KR101915148B1 - 개선된 기능을 갖는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 Google Patents

개선된 기능을 갖는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148B1
KR101915148B1 KR1020170088463A KR20170088463A KR101915148B1 KR 101915148 B1 KR101915148 B1 KR 101915148B1 KR 1020170088463 A KR1020170088463 A KR 1020170088463A KR 20170088463 A KR20170088463 A KR 20170088463A KR 101915148 B1 KR101915148 B1 KR 10191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connector
fire
joint
us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국
Original Assignee
홍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국 filed Critical 홍승국
Priority to KR1020170088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인트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인트 컨넥터 내부 및 외부에는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현재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송신된 상태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지령을 수신하여 상기 조인트 컨넥터가 제어되도록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와이 파이, 지그비, NFC 내지 비콘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300)이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조인트 컨넥터 외부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상태 정보 메시지를 전달하는 LED 내지 OLED로 마련된 디스플레이부(500)가 마련되고, 상기 조인트 컨넥터 내부 및 외부에는 온도센서(610) 및 연기센서(630)를 포함하는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을 마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및 근거리 통신수단(300)을 통해 화재 발생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하나 이상의 알람 수단(700)을 상기 조인트 컨넥터에 마련함으로써 화재 시 건물 내 또는 상기 조인트 컨넥터 인근 지역에 화재에 관한 알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조인트 컨넥터 내부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 디스플레이부(500),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 알람수단(700) 및 조인트 컨넥터를 제어하는 마이콤 제어부(400)가 마련되고, 외부의 우수나 해충의 침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수, 누전, 손상 방지를 위한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싱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싱은 내화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확보하도록 아노다이징 표면처리 된 알루미늄과 스칸듐의 합금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밀폐성능, 절연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그립감을 개선시키도록 실리콘 고무, 도자, ABS 및 PL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되, 정교한 형태를 확보하기 위해 3D 프린팅 가공을 통해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기능을 갖는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Joint connector of extension electrical construction with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은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녹는점이 낮고 연하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며 도전효과가 좋고 고열에 잘 녹아 모든 전기공사나 가전제품에 휴즈로 사용하고 있는 납을 내부의 조인트 탭으로 구성하면서 외부를 절연재인 케이스로 감싸게 함으로써 내선 전기공사 중 단선된 곳을 연결하거나 콘센트를 설치할 때나 다른 필요한 전기선 연결에 사용토록하여 보다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절연효과를 갖아 누전으로 인한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재질을 개선하고 통신수단 및 디스플레이 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성 및 편리성을 증진시킨 건축전기용 천장전기 조인트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선된 전선을 연결하는 경우에 피복을 벗기고 정해진 공법에 의해 두 선이나 여러 가닥을 한 선으로 꼬아서 연결시키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여러 가지 연결방법으로 연결된 전선은 전기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겠지만 단전효과는 없어 과부하 시에 자동누전차단기가 작동되지 않거나 고장으로 인해 누전에 의한 화재는 실로 엄청난 재산손실은 물론 인명피해까지 불러일으켜 많은 문제가 되어 왔으나, 지금도 그러한 연결법으로 시공되고 있다는 것은 앞으로도 누전으로 인한 더한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커다란 문제점이 된다.
또한, 사용 시 조인트 컨넥터의 현 상태를 센싱하기 어렵고 센싱 된 현 상태를 파악하기도 어려운 불편함과 사용자에게 조인트 컨넥터의 현 상태 내지 센싱 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화재 발생에 대한 방지 책이 없으며, 사용자가 조인트 컨넥터를 제어하는 경우 곤란하거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854334 호(2008.08.26. 등록공고)
본 발명은 종래 조인트 컨넥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녹는점이 낮고 연하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며 도전효과가 좋고 고열에 잘 녹아 모든 전기공사나 가전제품에 휴즈로 사용하고 있는 납을 내부의 조인트 탭으로 구성하면서 외부를 절연재인 케이스로 감싸게 함으로써 내선 전기공사 중 단선된 곳을 연결하거나 콘센트를 설치할 때나 다른 필요한 전기선 연결에 사용토록 하여 보다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절연효과를 가짐으로써 누전으로 인한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별도의 통신 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현 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고 화재의 발생을 방지 및 알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절연재질인 직육면체로 내부중심에는 가로질러 양분시키는 수직격리판이 형성되고, 좌우측으로는 좌우측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좌우측개방부가 형성되되 좌우측커버는 상하단의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며, 상하단면 좌우측에는 한 쌍의 상하측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는 컨넥터케이스와;
상기 컨넥터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는 도전체인 관체로 내주연에는 내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단중심에는 상기 상하측결합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통전봉이 형성되되 통전봉 선단에서 내측으로는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공이 형성되며, 통전봉 외주연에는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전선을 고정시키는 볼트공이형성되고, 통전봉 외주연을 감싸면서 절연시키는 절연캡이 형성되는 상하측전선통전관과;
상기 상하측전선통전관의 내측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도전체인 관체로 중심에 관통공을 갖고 내측나사부 하단과 밀착되는 고정판이 형성되고, 고정판 상단에는 상기 내측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외측나사부를 갖는 체결돌부가 형성되되 체결돌부 상단에서 내측으로는 관통공보다 넓은 내주연을 갖는 작동공이 형성되는 상하측고정관과;
정면이 T형상으로 상기 상측고정관 작동공에 위치되어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탄발되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머리부 중심하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관통공을 통해 하측고정관 작동공에 위치되는 다리부가 형성되며, 하측고정관 작동공에 위치되어 다리부 선단이 관통되어 걸림고정되는 통공을 갖는 체결판이 형성되되 체결판은 스프링에 의해 외측으로 탄발되는 전도체인 납재질인 조인트탭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컨넥터 내부 및 외부에는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현재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송신된 상태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지령을 수신하여 상기 조인트 컨넥터가 제어되도록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와이 파이, 지그비, NFC 내지 비콘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300)이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조인트 컨넥터 외부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상태 정보 메시지를 전달하는 LED 내지 OLED로 마련된 디스플레이부(500)가 마련되고,
상기 조인트 컨넥터 내부 및 외부에는 온도센서(610) 및 연기센서(630)를 포함하는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을 마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및 근거리 통신수단(300)을 통해 화재 발생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하나 이상의 알람 수단(700)을 상기 조인트 컨넥터에 마련함으로써 화재 시 건물 내 또는 상기 조인트 컨넥터 인근 지역에 화재에 관한 알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조인트 컨넥터 내부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 디스플레이부(500),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 알람수단(700) 및 조인트 컨넥터를 제어하는 마이콤 제어부(400)가 마련되고,
외부의 우수나 해충의 침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수, 누전, 손상 방지를 위한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싱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싱은 내화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확보하도록 아노다이징 표면처리 된 알루미늄과 스칸듐의 합금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밀폐성능, 절연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그립감을 개선시키도록 실리콘 고무, 도자, ABS 및 PL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되, 정교한 형태를 확보하기 위해 3D 프린팅 가공을 통해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녹는점이 낮고 연하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며 도전효과가 좋고 고열에 잘 녹아 모든 전기공사나 가전제품에 휴즈로 사용하고 있는 납을 내부의 조인트 탭으로 구성하면서 외부를 절연재인 케이스로 감싸게 함으로써 내선 전기공사 중 단선된 곳을 연결하거나 콘센트를 설치할 때나 다른 필요한 전기선 연결에 사용토록 하여 보다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절연효과를 가짐으로써 누전으로 인한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통신 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현 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고 화재의 발생을 방지 및 알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의 과전류시 조인트탭이 단락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컨넥터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컨넥터의 화재 발생 시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의 과전류시 조인트탭이 단락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는, 전도체인 상하측전선통전관(20,20a)과 상하측고정관(30,30a)을 절연시키면서 보호하는 컨넥터케이스(10)와, 전선(23a,23b)이 상하측에서 연결고정되는 상하측전선통전관(20,20a)과, 상하측전선통전관(20,20a)과 결합되어 조인트탭(40)을 고정지지하는 상하측고정관(30,30a)과, 상하측고정관(30,30a) 내측에서 양단이 스프링(44,44a)에 의해 외측으로 탄발된 상태로 고정지지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는 조인트탭(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컨넥터케이스(10)는 전도체인 상하측전선통전관(20,20a)과 상하측고정관(30,30a)을 절연시키면서 보호하는 절연재질인 직육면체로, 내부중심에는 가로질러 양분시키는 수직격리판(16)이 형성되고, 좌우측으로는 좌우측커버(12,12a)에 의해 밀폐되는 좌우측개방부(11,11a)가 형성되되 좌우측커버(12,12a)는 상하단의 체결볼트(13)에 의해 체결고정되며, 상하단면 좌우측에는 한 쌍의 상하측결합공(14,14a)(15,15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하측전선통전관(20,20a)은 전선(23a,23b)이 상하측에서 연결고정되되 상기 컨넥터케이스(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도전체인 관체로, 내주연에는 내측나사부(21)가 형성되고, 상단중심에는 상기 상하측결합공(14,14a)(15,15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통전봉(22)이 형성되되 통전봉(22) 선단에서 내측으로는 전선(23,23a)이 삽입되는 전선삽입공(23)이 형성되며, 통전봉(22) 외주연에는 고정볼트(24a)가 체결되어 전선(23a,23b)을 고정시키는 볼트공(24)이 형성되고, 통전봉(22) 외주연을 감싸면서 절연시키는 절연캡(25)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측고정관(30,30a)은 상기 상하측전선통전관(20,20a)의 내측나사부(21)에 나사결합되어 조인트탭(40)을 고정지지하는 도전체인 관체로, 중심에 관통공(31a)을 갖고 내측나사부(21) 하단과 밀착되는 고정판(31)이 형성되고, 고정판(31) 상단에는 상기 내측나사부(21)에 나사결합되는 외측나사부(32a)를 갖는 체결돌부(32)가 형성되되 체결돌부(32) 상단에서 내측으로는 관통공(31a)보다 넓은 내주연을 갖는 작동공(33)이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탭(40)은 상하측고정관(30,30a) 내측에서 양단이 스프링(44,44a)에 의해 외측으로 탄발된 상태로 고정지지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는 정면이 T형상인 전도체인 납재질로, 상기 상측고정관(30) 작동공(33)에 위치되어 스프링(44)에 의해 외측으로 탄발되는 머리부(41)가 형성되고, 머리부(41) 중심하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관통공(31a)을 통해 하측고정관(30a) 작동공(33)에 위치되는 다리부(42)가 형성되며, 하측고정관(30a) 작동공(33)에 위치되어 다리부(42) 선단이 관통되어 걸림고정되는 통공(43a)을 갖는 체결판(43)이 형성되되 체결판(43)은 스프링(44a)에 의해 외측으로 탄발되어 전선(23a, 23b)에 관전류가 흐르면 그 열에 의해 녹아 단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선(23a, 23b) 사이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열에 약한 납재질인 조인트탭(40)은 그 열기에 의해 녹아 전선(23a, 23b)을 단전시키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하측전선통전관(20,20a)의 통전봉(22)에서 전선(23a, 23b)을 각각 분리시킨 다음, 컨넥터케이스(10) 좌우측의 좌우측커버(12,12a)를 체결볼트(13)를 분리시켜 이탈시킨다.
이 상태에서 좌우측개방부(11,11a)를 통해서 상하측전선통전관(20,20a)에서 상하측고정관(30,30a)을 각각 나사분리하여 조인트탭(40)을 교환한 다음, 다시 상하측전선통전관(20,20a)에 상하측고정관(30,30a)을 체결고정시킨다. 그 다음, 상하측전선고정관(20,20a)의 통전봉(22)에 전선(23a, 23b)을 각각 연결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 컨넥터는 케이싱 내지 하우징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지 케이싱 내부 및 외부에는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현재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송신된 상태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지령을 수신하여 상기 조인트 컨넥터가 제어되도록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와이 파이, 지그비, NFC 내지 비콘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300)이 하나 이상 마련된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은 경우에 따라서 별도의 서버(미도시)를 포함하거나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원거리로 정보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수단(300)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사용자의 일방적인 지령 전달이나, 조인트 컨넥터의 상태 정보 송신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상태정보를 송신하고 이에 맞는 사용자의 지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300)은 지그비나 비콘 등을 사용하여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근방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관리자 내지 사용자가 상기 조인트 컨넥터를 관리하거나 체크하는 경우 별도로 상기 조인트 컨넥터를 개방하거나 확인하지 않더라도 근거리를 지나치면서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조인트 컨넥터 내부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 및 조인트 컨넥터를 제어하는 마이콤 제어부(400)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크기가 작아 상기 조인트 컨넥터 내부에 삽입될 만한 마이콤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서버를 통한 온라인 제어도 가능하다.
이때, 별도의 서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는 클라우드 서버로 마련되고, 송신 및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매체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조인트 컨넥터 외부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상태 정보 메시지를 전달하는 LED 내지 OLED로 마련된 디스플레이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모양, 색채, 문자 등의 정보전달 메시지를 도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별도의 전원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무선전력공급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컨넥터 내부 및 외부에는 온도센서(610) 및 연기센서(630)를 포함하는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을 마련하여 상기 제어부(400) 및 근거리 통신수단(300)을 통해 화재 발생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한다.
즉, 상기 조인트 컨넥터가 누전되거나 자체 과열 등의 이슈가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하려고 하거나 발생한 경우 화재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고 사용자 등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알람 수단(700)을 상기 조인트 컨넥터에 마련함으로써 화재 시 건물 내 또는 상기 조인트 컨넥터 인근 지역에 화재에 관한 알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알람 수단(700)은 소리, 냄새, 시각적인 전달 등 모든 정보확인 가능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이렌 소리 등과 같은 알람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의 우수나 해충의 침입으로 발생하는 누수, 누전, 손상 방지를 위한 밀폐부재(미도시)를 포함하는 케이싱(미도시)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싱은 내화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확보하도록 아노다이징 표면처리 된 알루미늄과 스칸듐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상기 밀페부재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및 섬유재질 등 다양한 밀폐성능을 가지는 부재를 사용하여 외부의 공기나 수분,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고 상기 밀폐부재라 사용된 상기 케이싱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 내지 다양한 구성부품은 알루미늄과 스칸듐의 합금으로 제작하여 내열성, 내화성 및 내부식성을 확보하고 표면을 아노다이징 처리함으로써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밀폐성능, 절연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그립감을 개선시키도록 실리콘 고무, 도자, ABS 및 PL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재질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컨넥터의 요구 성능을 만족하는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자체 특성 상, 상술한 밀폐성, 내열성, 절연성 등의 기능이 필요하므로 재질에 있어서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고무는(silicone rubber) 고 중합도 곧은사슬 모양의 디올가노폴리실록산에 미분 실리카 등을 보강제로 혼화하여 가교시킨 고무 탄성체로서. 내후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50 ~200℃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교하고 다양한 요구 조건에 적합한 부품을 만들기 위해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부품들은 상술한 재료를 이용하되 3D 프린팅 가공을 통해 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구성부품을 가공 및 제작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맞는 부품, 및 상기 조인트 컨넥터가 설치될 장소, 건물의 형태, 환경조건 등에 대한 다양한 요인에 맞는 제품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컨넥터의 구성요소 사이 관계를 대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 컨넥터는 상기 제어부(400)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500), 통신수단(300), 알람수단(700), 화재감지수단(60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종래 조인트 컨넥터에 비해 월등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컨넥터가 화재 감지 시 발생하는 프로세스를 순서에 맞게 보여주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수단(600)이 화재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S100), 이벤트(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00), 알람수단(700)이 작동하는 단계(S300), 통신수단(300)이 작동하는 단계(S400), 사용자가 확인하는 단계(S500) 및 사용자의 조치단계(S6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컨넥터는 별도의 통신 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현 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며 화재의 발생을 방지 및 알람할수 있는 조인트 컨넥터에 이용될 수 있다.
10 : 컨넥터케이스 11,11a : 좌우측개방부
12,12a : 좌우측커버 13 : 체결볼트
14,14a,15,15a : 상하측결합공 16 : 수직격리판
20,20a : 상하측전선통전관 21 : 내측나사부
22 : 통전봉 23 : 전선삽입공
23a,23b : 전선 24 : 볼트공
24a : 고정볼트 25 : 절연캡
30,30a : 상하측고정관 31 : 고정판
31a : 관통공 32 : 체결돌부
32a : 외측나사부 33 : 작동공
40 : 조인트캡 41 : 머리부
42 : 다리부 43 : 체결판
43a : 통공 44,44a : 스프링
300: 근거리 통신수단 400: 마이콤 제어부
500: 디스플레이부 600: 화재감지수단
610: 온도센서 630: 연기센서
700: 알람수단

Claims (2)

  1.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컨넥터 내부 및 외부에는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현재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송신된 상태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지령을 수신하되, 건물의 관리자 내지 사용자가 상기 조인트 컨넥터를 관리하거나 체크하는 경우 별도로 상기 조인트 컨텍터를 개방하거나 확인하지 않고도 근거리를 지나면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여 상기 조인트 컨넥터가 제어되도록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와이 파이, 지그비, NFC 내지 비콘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300)이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조인트 컨넥터 외부에는 개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상기 조인트 컨넥터의 상태 정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LED 또는 OLED로 마련된 디스플레이부(500)가 마련되고,
    상기 조인트 컨넥터 내부 및 외부에는 온도센서(610) 및 연기센서(630)를 포함하는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을 마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500) 및 근거리 통신수단(300)을 통해 화재 발생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하나 이상의 알람 수단(700)을 상기 조인트 컨넥터에 마련함으로써 화재 시 건물 내 또는 상기 조인트 컨넥터 인근 지역에 화재에 관한 알람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조인트 컨넥터 내부에는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300), 디스플레이부(500),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 알람수단(700) 및 조인트 컨넥터를 제어하는 마이콤 제어부(400)가 마련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화재 발생 감지수단(600)이 화재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S100), 화재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00), 상기 알람 수단(700)이 작동하는 단계(S300),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이 작동하는 단계(S400), 사용자가 확인하는 단계(S500) 및 사용자가 조치를 하는 단계(S600)가 순서대로 동작하며,
    외부의 우수나 해충의 침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수, 누전, 손상 방지를 위한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싱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싱은 내화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확보하도록 아노다이징 표면처리 된 알루미늄과 스칸듐의 합금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케이싱은 밀폐성능, 절연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그립감을 개선시키도록 실리콘 고무, 도기, 자기,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및 PLA(Poly Lactic Aci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되, 정교한 형태를 확보하기 위해 3D 프린팅 가공을 통해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절연재질인 직육면체로 내부중심에는 가로질러 양분시키는 수직격리판(16)이 형성되고, 좌우측으로는 좌우측커버(12,12a)에 의해 밀폐되는 좌우측개방부(11,11a)가 형성되되 좌우측커버(12,12a)는 상하단의 체결볼트(13)에 의해 체결고정되며, 상하단면 좌우측에는 한 쌍의 상하측결합공(14,14a)(15,15a)이 각각 형성되는 컨넥터케이스(10)와;
    상기 컨넥터케이스(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도전체인 관체로 내주연에는 내측나사부(21)가 형성되고, 상단중심에는 상기 상하측결합공(14,14a)(15,15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통전봉(22)이 형성되되 통전봉(22) 선단에서 내측으로는 전선(23,23a)이 삽입되는 전선삽입공(23)이 형성되며, 통전봉(22) 외주연에는 고정볼트(24a)가 체결되어 전선(23a,23b)을 고정시키는 볼트공(24)이 형성되고, 통전봉(22) 외주연을 감싸면서 절연시키는 절연캡(25)이 형성되는 상하측전선통전관(20,20a)과;
    상기 상하측전선통전관(20,20a)의 내측나사부(21)에 나사결합되는 도전체인 관체로 중심에 관통공(31a)을 갖고 내측나사부(21) 하단과 밀착되는 고정판(31)이 형성되고, 고정판(31) 상단에는 상기 내측나사부(21)에 나사결합되는 외측나사부(32a)를 갖는 체결돌부(32)가 형성되되 체결돌부(32) 상단에서 내측으로는 관통공(31a)보다 넓은 내주연을 갖는 작동공(33)이 형성되는 상하측고정관(30,30a)과;
    정면이 T형상으로 상기 작동공(33)에 위치되어 스프링(44)에 의해 외측으로 탄발되는 머리부(41)가 형성되고, 머리부(41) 중심하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관통공(31a)을 통해 하측고정관(30a) 작동공(33)에 위치되는 다리부(42)가 형성되며, 하측고정관(30a) 작동공(33)에 위치되어 다리부(42) 선단이 관통되어 걸림고정되는 통공(43a)을 갖는 체결판(43)이 형성되되 체결판(43)은 스프링(44a)에 의해 외측으로 탄발되는 전도체인 납재질인 조인트탭(40)을 구비하는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KR1020170088463A 2017-07-12 2017-07-12 개선된 기능을 갖는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KR101915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463A KR101915148B1 (ko) 2017-07-12 2017-07-12 개선된 기능을 갖는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463A KR101915148B1 (ko) 2017-07-12 2017-07-12 개선된 기능을 갖는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148B1 true KR101915148B1 (ko) 2018-11-05

Family

ID=6432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463A KR101915148B1 (ko) 2017-07-12 2017-07-12 개선된 기능을 갖는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1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785B1 (ko) * 2019-09-30 2020-02-11 주식회사 마근이엔지 공동주택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커넥터
KR102661788B1 (ko) * 2023-10-19 2024-04-30 주식회사 이지건축 공동주택용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34B1 (ko) * 2008-02-28 2008-08-26 (주)우보엔지니어링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JP2009278608A (ja) * 2008-05-13 2009-11-26 Korea Electric Power Corp 地下電力区ケーブル接続箱表面温度の無線センサーを用いた監視システム
CN103831590A (zh) * 2014-02-21 2014-06-04 亚超特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金属外壳的成型方法及该金属外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334B1 (ko) * 2008-02-28 2008-08-26 (주)우보엔지니어링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JP2009278608A (ja) * 2008-05-13 2009-11-26 Korea Electric Power Corp 地下電力区ケーブル接続箱表面温度の無線センサーを用いた監視システム
CN103831590A (zh) * 2014-02-21 2014-06-04 亚超特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金属外壳的成型方法及该金属外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785B1 (ko) * 2019-09-30 2020-02-11 주식회사 마근이엔지 공동주택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커넥터
KR102661788B1 (ko) * 2023-10-19 2024-04-30 주식회사 이지건축 공동주택용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351B1 (ko)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102261503B1 (ko) 지중배전선 접속용 감전방지형 배전함
CN104094489B (zh) 电气壳体的过热抑制系统和方法
KR101915148B1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KR101219137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CN104155012A (zh) 一种可以现场显示电缆头温升情况的监测系统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CN101847858B (zh) 报警可靠的防雷保险丝及其浪涌过电压保护装置
KR101934528B1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벽면 매설용 건축 전기 콘센트박스
KR100854334B1 (ko)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KR10224722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CN212623012U (zh) 基于物联网的实时在线检测铜排布线装置
CN106197749A (zh) 一种电源转换器检测系统
US11488794B1 (en) Fuse tube device and load break fuse cutout assembly having ihe same
CN217823550U (zh) 接线结构、温度控制系统及电气设备
KR100786318B1 (ko) 지중케이블 연결을 위한 매설형 배관구조
CN111416319A (zh) 一种电缆中间接头过热保护防爆盒及过热保护方法
CN214204912U (zh) 一种带通讯漏电控制保护装置
US11508538B1 (en) Insulation device and load break fuse cutout assembly having the same
RU2724820C1 (ru) Сигнализатор давления универсальный
CN218498595U (zh) 一种防火电控柜
CN220795994U (zh) 一种智慧工地用火灾报警装置
CN204597144U (zh) 一种具有测温功能的可分离式电缆连接器
KR102174844B1 (ko) 스프링클러용 배관
CN216595458U (zh) 一种接线装置以及接线检测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