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171B1 -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 - Google Patents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171B1
KR102056171B1 KR1020190061095A KR20190061095A KR102056171B1 KR 102056171 B1 KR102056171 B1 KR 102056171B1 KR 1020190061095 A KR1020190061095 A KR 1020190061095A KR 20190061095 A KR20190061095 A KR 20190061095A KR 102056171 B1 KR102056171 B1 KR 102056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level sensor
support body
enclosure
distribu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숙
Original Assignee
(주)월명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명기술단 filed Critical (주)월명기술단
Priority to KR102019006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 또는 오수가 맨홀의 내부로 유입되어 차오르는 것을 미연에 감지하여 외부로 자동배출하면서 상호 연결된 배전선로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수위감지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ELECTRIC WIRE PIPE APPARATUS OF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 또는 오수가 맨홀의 내부로 유입되어 차오르는 것을 미연에 감지하여 외부로 자동배출하면서 상호 연결된 배전선로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수위감지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전선로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내게 된다.
상기 변전소는 대체로 지상에 설비되는데, 이러한 변전소의 경우 특고압의 전류를 이송시켜 주어야 하는바 특고압 배전선로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외부로 노출된 특고압 배전선로는 외부간섭으로 인한 누전 및 합선이 유발되기 쉬우며, 어지럽게 가설된 특고압 배전선로로 인해 주변의 경관을 해치 등의 문제가 있어 지하에 특고압 배전선로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지하에 특고압의 배전선로를 설치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간섭에 따른 문제 및 주변경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는 해소되지만, 최초 설계된 특고압 배전선로의 길이가 현장여건에 따라 더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맨홀에 특고압 배전선로를 설치하여 연결하는데, 특고압 배전선로의 지름이 상당히 굵기 때문에 서로 맞대준 상태에서 볼트체결시켜 상호 결합하고, 결합된 이음 부분에는 외면에 절연테이프를 감아 보호한다.
그러나, 맨홀 내부로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면서 합선 및 누전 등의 전기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으로 인해 이음 부분이 단락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16185호(2012.04.12.)에는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선관은 외부로부터 수위감지센서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16185호(2012.04.12.)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 또는 오수가 맨홀의 내부로 유입되어 차오르는 것을 미연에 감지하여 외부로 자동배출하면서 상호 연결된 배전선로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수위감지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상면과 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2안내홈(11a,11b)과, 외부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안내홈(11a)과 상호 연통되는 안내공(11c)과, 양단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기(11d)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외함부본체(11)와; 제2안내홈(11b)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부(21c)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탄성체(12)와; 양단부에 돌기(11d)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13a)을 갖추고서, 외함부본체(11)의 양단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체(12)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개폐판(13)과; 외함부본체(11)의 저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봉(14a)을 갖추고서, 맨홀(1)의 바닥면에 설치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4)와; 가이드봉(14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물에 뜨는 부양체(15)를 갖춘 외함부(10): 상면 중앙에 형성되며 제1안내홈(11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21a)와, 하면 중앙에 형성되며 제2안내홈(11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21b)와,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체결부(21c)를 갖추고서, 배전선(L1,L2)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절연재질의 내함부바디(21)와; 내함부바디(21)에 내설되어 배전선(L1,L2)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재질의 금속관(22)과; 안내공(11c)을 관통해 제1가이드부(2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안내공(11c)을 따라 이동하는 기준봉(23)과; 배전선(L1,L2)의 외면을 감싸면서 배전선(L1,L2)을 압착고정하는 고정구(24a)와, 고정구(24a)의 둘레를 감싸면서 고정구(24a)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체결부(21c)에 체결되어 고정구(24a)를 체결부(21c)에 고정하는 결합구(24b)로 이루어진 결속금구(24)를 갖춘 내함부(20): 외함부본체(11)의 상면에 설치되되, 기준봉(23)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기준봉(23)에 의해 동작되어 제1이동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이동감지센서(30): 외함부본체(11)의 상면 양단부에 설치되며 제1이동감지센서(30)를 통과한 기준봉(23)에 의해 동작되어 제2이동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이동감지센서(40): 외함부본체(11)의 저면에 설치되며 부양체(15)에 의해 동작되어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센서(50): 제1이동감지센서(30)로부터 제1이동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보신호를 출력하고, 제2이동감지센서(40)로부터 제2이동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위험신호를 출력하며, 수위감지센서(50)로부터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침수경고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펌프(80)와 램프(9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60): 제어부(60)로부터 경보신호 또는 위험신호 또는 침수경고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기(70): 일측과 타측에 각각 흡입관(81)과 배출관(82)을 갖추고서, 지상에 설치되며, 제어부(6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흡입관(81)을 매개로 맨홀(1) 내부의 우수를 흡입하여 배출관(82)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80): 지상에 설치되며, 제어부(6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외부로 불빛을 방출하는 램프(90)를 포함하는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위감지센서(50)를 보호하는 보호부(100)를 더 포함하고, 보호부(100)는, 내측으로 수위감지센서(50)가 위치되도록 외함부본체(11)의 저면에 구비되는 지지링(110); 수위감지센서(5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지링(110)에 구비되는 보호커버(120); 보호커버(120)를 지지링(1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30); 및 수위감지센서(50)가 부양체(15)와의 접촉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 이상으로의 수위 상승시, 부양체(15)에 의한 수위감지센서(50)로의 가압을 방지하는 가압방지수단(140)을 포함하며, 가압방지수단(140)은, 부양체(15)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가이드봉(14a)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141)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141)는, 일측에 절개부(141a)가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인접하는 원통 형태를 이루는 한편, 양단부에 각각 자석(142)이 구비되면서 자력에 의해 양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보호커버(120)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반구 형태를 이루면서 내측으로 배치되는 수위감지센서(50)를 보호하는 한편, 부양체(15)의 가압에 의해 상방향으로 눌리면서 수위감지센서(50)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여름철 맨홀커버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 또는 오수를 수위감지센서와 제어부, 펌프 및 램프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면서 송신기를 통해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침수경고신호를 송신하여 배전선이 우수 또는 오수와 상호 접촉되어 합선되는 등의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이동감지센서와 제2이동감지센서, 제어부 및 송신기를 통해 배전선에 의해 이동하는 기준봉의 단계별 동작을 감지하여 이를 중앙통제실에 상주하는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때문에 작업자가 배전선의 현재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외함부본체에 내설되며 압축과 복원을 반복하는 탄성체를 통해 내함부바디가 항상 원상태로 회복되도록 해 줌으로써 관리자가 위치 이동된 기준막대를 강제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넷째, 외부로부터 수위감지센서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나타내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보호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보호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가압방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에서 변형방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10의 변형방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는 외함부(10), 내함부(20), 제1이동감지센서(30), 제2이동감지센서(40), 수위감지센서(50), 제어부(60), 송신기(70), 펌프(80), 램프(90)로 구성되어, 지중에 매설되는 배전선(L1,L2)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외함부(10)는 절연기능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함체로서, 외함부본체(11)와 탄성체(12), 개폐판(13), 베이스플레이트(14) 및 부양체(15)로 구성되어 내부로 삽입된 내함부(20) 및 내함부(20)를 매개로 연결된 배전선(L1,L2)을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외함부(10)는 베이스플레이트(14)를 매개로 맨홀(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고정된다.
상기 외함부본체(11)는 직사각형태를 이루는 관 형상으로, 내부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 제1,2안내홈(11a,11b)이 구비되고, 외부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안내홈(11a)과 상호 연통되는 안내공(11c)이 구비되고, 양단부 내측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는 돌기(11d)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리고 양단부 외면에는 외향으로 돌출된 플랜지(11e)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11e)는 맨홀(1)의 내부로 설치된 연결관(3,4)의 플랜지(미도시)에 서로 맞대어져 체결부재(볼트,너트)를 매개로 상호 이음된다.
상기 탄성체(12)은 공지의 코일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안내홈(11b)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부(21b)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이후에 설명될 내함부바디(21)의 제2가이드부(21b)가 배전선(L1,L2)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가이드부(21b)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고 있던 탄성체(12)은 압축하게 되고, 배전선(L1,L2)에 가해지고 있던 외력이 제거되면 제2가이드부(21b)는 탄성체(12)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중앙으로 옮기지 않아도 되므로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매우 편리해지게 된다.
상기 개폐판(13)는 삽입홈(13a)이 양단부에 구비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삽입홈(13a)을 매개로 외함부본체(11)의 돌기(11d)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외함부본체(11)의 양단부를 개폐하는 하며, 이와 더불어서 탄성체(12)가 압축을 받더라도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개폐판(13)는 폐쇄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나사볼트)를 매개로 외함부본체(11)에 고정된다. 따라서, 개폐판(13)를 개방상태로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함부본체(11)에 체결된 체결부재(나사볼트)를 해체한 상태에서 개방해야하므로, 관리자 이외에 제3자가 쉽게 연결상태를 해제하려는 의도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으로서, 상면에는 외함부본체(11)의 저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가이드봉(14a)이 일체로 형성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맨홀(1)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어 외함부본체(11)가 맨홀(1)의 바닥면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부양체(15)는 물에 쉽게 뜨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4)의 가이드봉(14a)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맨홀(1)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될 경우 우수에 의해 부양체(15)는 뜨게 되며, 이로 인해 외함부본체(11)의 저면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50)는 부양하는 부양체(15)에 의해 동작되어 수위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게 되며, 이후에 과정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내함부(20)은 내함부바디(21)와 금속관(22), 기준봉(23) 및 결속금구(24)로 구성되어 배전선(L1,L2)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내함부바디(21)와 기준봉(23) 및 결속금구(24)는 합성수지 재질이다.
상기 내함부바디(21)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직육체형상의 바로서, 상면과 저면 중앙에는 각각 제1안내홈(11a)과 제2안내홈(11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21a)와 제2가이드부(21b)가 일체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체결부(21c)가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내함부바디(21)의 내부는 배전선(L1,L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양단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부(21a)의 상면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이 구멍에는 이후에 설명될 기준봉(23)의 일단부가 외함부(10)의 안내공(11c)을 관통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금속관(22)은 공지의 구리관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내함부바디(21)에 내설되어 배전선(L1,L2)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기준봉(23)은 공지의 환봉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안내공(11c)을 관통해 제1가이드부(2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안내공(11c)을 따라 이동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봉(23)의 위치에 따라 배전선(L1,L2)에 인장력이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어 후속조치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기준봉(23)의 말단부에는 어두운 공간에서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야광수단을 설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금구(24)는 배전선(L1,L2)의 외면을 감싸면서 배전선(L1,L2)을 압착고정하는 고정구(24a)와; 고정구(24a)의 둘레를 감싸면서 고정구(24a)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체결부(21c)에 체결되어 고정구(24a)를 체결부(21c)에 고정하는 결합구(2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동감지센서(30)와 제2이동감지센서(40), 수위감지센서(50), 제어부(60), 송신기(70), 펌프(80) 및 램프(90)의 상호연관관계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이동감지센서(30)는 공지의 리밋스위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외함부본체(11)의 상면에 설치되되, 기준봉(23)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며 기준봉(23)에 의해 동작되어 제1이동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2이동감지센서(40)는 제1이동감지센서(30)와 동일한 공지의 리밋스위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외함부본체(11)의 상면 양단부에 설치되며 제1이동감지센서(30)를 통과한 기준봉(23)에 의해 동작되어 제2이동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50)는 공지의 스위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외함부본체(11)의 저면에 설치되며 우수에 의해 부양된 부양체(15)에 의해 동작되어 수위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어부(60)는 제1이동감지센서(30)로부터 제1이동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보신호를 송신기(70)로 출력하고, 제2이동감지센서(40)로부터 제2이동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위험신호를 송신기(70)로 출력하며, 수위감지센서(50)로부터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침수경고신호를 송신기(70)로 출력함과 동시에 펌프(80)와 램프(90)를 동작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송신기(70)는 지상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제어부(60)로부터 전달된 경보신호 또는 위험신호 또는 침수경고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펌프(80)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맨홀(1)의 내부로 삽입되는 흡입관(81)과, 지상으로 노출되는 배출관(82)을 갖추고서, 맨홀(1)과 인접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펌프(80)는 제어부(60)에 의해 동작되어 맨홀(1)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흡입관(81)을 통해 흡입하고, 흡입된 우수는 배출관(82)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해 줌으로서, 전선관이 우수에 의해 침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램프(90)는 공지의 조명기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맨홀(1)과 인접하게 지상에 설치되며, 제어부(6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외부로 불빛을 방출한다.
참고로, 펌프(80)와 램프(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마철과 같이 비가 많이 내릴 경우 맨홀(1)이 개폐판(2)에 의해 덮여 있다 하더라도 우수가 맨홀(1)의 내부로 쉽게 유입되는데, 이로 인해 맨홀(1)은 우수에 의해 서서히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이 우수가 상승하게 되면 우수에 의해 부양체(15)가 뜨게 되고, 부양체(15)가 상승하면서 수위감지센서(50)를 누르게 되면 이로 인해 수위감지센서(50)는 동작되어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수위감지센서(50)로부터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는 침수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송신기(50)로 전달함과 동시에 제어부(60)는 펌프(80)와 램프(90)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침수경고신호를 전달받은 송신기(50)는 위험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60)에 의해 동작제어된 펌프(80)는 흡입관(81)을 매개로 맨홀(1)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흡입하여 양정된 우수를 배출관(82)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해 주며, 제어부(60)에 의해 동작제어된 램프(90)는 점등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통제실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는 접수받은 침수경고신호를 통해 해당 맨홀(1)로 출동하여 현재 상황을 예의 주시하면서 만약을 대비해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침수에 따른 전기합선으로부터 배전선(L1,L2)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야간에 주변이 어두워 식별이 곤란한 경우에도 점등된 램프(90)를 통해 해당 맨홀(1)을 쉽게 찾을 수 있어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상기 내함부바디(21)의 내부에서 금속관(22)을 매개로 상호 이음된 배전선(L1,L2)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내함부바디(21)는 이로 인해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내함부바디(21)의 제1가이드부(2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기준봉(23) 역시 안내공(11c)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기준봉(23)이 제1이동감지센서(30)를 지나게 되면 이로 인해 제1이동감지센서(30)가 동작되면서 제1이동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전달하게 되고, 제1이동감지센서(30)로부터 제1이동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는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송신기(50)로 전달하며, 제어부(60)로부터 경보신호를 전달받은 송신기(50)는 경보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봉(23)이 제1이동감지센서(30)를 지나 제2이동감지센서(40)를 지나게 되면 제2이동감지센서(40)는 제2이동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게 되고, 제2이동감지센서(40)로부터 제2이동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는 위험신호를 출력하여 송신기(50)로 전달하며, 제어부(60)로부터 위험신호를 전달받은 송신기(50)는 위험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통제실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는 접수받은 경보신호 또는 위험신호를 통해 배전선(L1,L2)의 현재상태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플레이트(14)를 매개로 외함부(10)를 맨홀(1)의 바닥면에 설치해 준다. 그 다음 외함부(10)를 설치해 준 상태에서 배전선(L1)을 외함부(10)의 일단으로 삽입하여 타단을 통해 배출시켜 준다. 그리고, 배전선(L1,L2)의 일단부에 각각 결속금구(24)를 설치한 다음, 배전선(L1,L2)을 내함부바디(21)의 체결부(21c)를 통해 내부로 삽입시켜 금속관(22)을 매개로 배전선(L1,L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금속관(22)을 매개로 배전선(L1,L2)이 연결되면, 배전선(L1,L2)에 설치된 결속금구(24)의 결합구(24b)를 체결부(21c)와 상호 체결시켜 배전선(L1,L2)이 고정되도록 해 준다. 상기 내함부(20)의 설치과정이 완료되면, 내함부(20)를 구성하는 내함부바디(21)의 제1가이드(21a)와 제2가이드부(21b)를 외함부(10)를 구성하는 외함부본체(11)의 제1안내홈(11a)과 제2안내홈(11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해 주고, 제2안내홈(11b)에는 탄성체(12)를 각각 설치해 준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이후에는 개폐판(13)의 삽입홈(13a)을 매개로 외함부본체(11)의 돌기(11d)에 삽입한 다음, 회동시켜 외함부본체(11)의 개구부를 폐쇄하고, 외함부본체(11)에 체결부재(나사볼트)를 체결하여 개폐판(13)를 고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는 맨홀(1)의 양측을 통해 연결관(3,4)을 각각 삽입해 주고, 연결관(3,4)의 플랜지(미도시)를 외함부(10)의 플랜지(11e)에 서로 맞대 준 후에 체결부재(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상호 이음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한여름 장마철과 같이 비가 많이 내릴 경우 맨홀(1)이 커버(2)에 의해 덮여 있다 하더라도 우수가 맨홀(1)의 내부로 쉽게 유입되는데, 이로 인해 맨홀(1)은 우수에 의해 서서히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이 우수가 상승하게 되면 우수에 의해 부양체(15)가 베이스플레이트(14)의 가이드봉(14a)을 따라 승강하게 되고, 부양체(15)가 상승하면서 수위감지센서(50)를 누르게 되면 이로 인해 수위감지센서(50)는 동작되어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50)로부터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는 침수경고신호를 출력하여 송신기(50)로 전달함과 동시에 펌프(80)와 램프(9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침수경고신호를 전달받은 송신기(50)는 위험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60)에 의해 동작제어된 펌프(80)는 흡입관(81)을 매개로 맨홀(1)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흡입하여 양정된 우수를 배출관(82)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해 주며, 제어부(60)에 의해 동작제어된 램프(90)는 점등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통제실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는 접수받은 침수경고신호를 통해 해당 맨홀(1)로 출동하여 현재 상황을 예의 주시하면서 만약을 대비해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침수에 따른 전기합선으로부터 배전선(L1,L2)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야간에 주변이 어두워 식별이 곤란한 경우에도 점등된 램프(90)를 통해 해당 맨홀(1)을 쉽게 찾을 수 있어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한편, 평상시에는 배전선(L1,L2)을 상호 연결하고 있는 내함부(20)는 외함부(10)의 내부에 중앙에 위치해 있게 된다. 하지만, 배전선(L1,L2)로 외력(좌 또는 우)이 작용하는 경우 이로 인해 내함부(20)는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내함부바디(21)에 설치된 기준봉(23) 역시 함께 이동하게 되며, 탄성체(12)는 압축된다. 이때, 기준봉(23)이 외함부본체(11)의 안내공(11c)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제1이동감지센서(30)를 지나갈 경우 제1이동감지센서(30)는 기준봉(23)에 의해 동작되면서 제1이동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전달하게 되고, 제1이동감지센서(30)로부터 제1이동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는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송신기(50)로 전달하며, 제어부(60)로부터 경보신호를 전달받은 송신기(50)는 경보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봉(23)이 제1이동감지센서(30)를 지나 제2이동감지센서(40)를 지나게 되면 제2이동감지센서(40)는 제2이동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출력하게 되고, 제2이동감지센서(40)로부터 제2이동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는 위험신호를 출력하여 송신기(50)로 전달하며, 제어부(60)로부터 위험신호를 전달받은 송신기(50)는 위험신호를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중앙통제실로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통제실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는 접수받은 경보신호 또는 위험신호를 통해 배전선(L1,L2)의 현재상태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필요한 조치를 단계별로 취할 수 있어 시설물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내함부바디(21)의 제2가이드부(21b)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체(12)는 배전선(L1,L2)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제2가이드부(21b)가 원상태로 돌아오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자가 위치 이동된 기준봉(23)을 강제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수위감지센서(50)를 보호하는 보호부(100)를 더 포함한다.
보호부(100)는 맨홀(1)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나 오수 등을 포함하는 물에 의한 수위감지센서(50)의 고장이나 작동오류 등을 방지하는 한편, 부양체(15)의 승강에 따른 수위감지센서(50)의 동작이 이루어진 이후, 수위감지센서(50)로의 가압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작동을 유도한다.
보호부(100)는 내측으로 수위감지센서(50)가 위치되도록 외함부본체(11)의 저면에 구비되는 지지링(110), 수위감지센서(5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지링(110)에 구비되는 보호커버(120), 보호커버(120)를 지지링(1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30) 및 수위감지센서(50)가 부양체(15)와의 접촉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 이상으로의 수위 상승시, 부양체(15)에 의한 수위감지센서(50)로의 가압을 방지하는 가압방지수단(140)을 포함한다.
지지링(110)은 원형링 형태를 이루며, 외측으로 복수의 고정돌기(111)가 형성되면서 볼트,나사 등을 포함하는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외함부본체(11)에 고정된다.
고정돌기(111)에는 체결구가 결합되는 체결공(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링(110)은 상부에 압착부재(112)가 구비되면서 외함부본체(11)와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압착부재(112)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지링(110)은 내측으로 수위감지센서(50)가 위치되도록 외함부본체(11)의 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보호커버(120)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반구 형태를 이루면서 내측으로 배치되는 수위감지센서(50)를 보호한다.
보호커버(120)는 반구 형태를 이루는 커버(121) 및 커버(121)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122)를 포함한다.
플랜지(122)는 지지링(110)에 고정되면서 지지링(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위감지센서(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그리고, 보호커버(120)는 부양체(15)의 가압에 의해 커버(121)가 상방향으로 눌리면서 수위감지센서(5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수단(130)은 지지링(11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플랜지(122)를 통과하는 복수의 고정바(131a)와, 각 고정바(131a)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반구 형태의 고정돌기(131b)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131), 플랜지(122)의 하부에 배치되며 고정돌기(131b)가 통과하면서 끼움 결합되는 끼움공(132a)이 형성되는 고정링(132)을 포함한다.
플랜지(122)는 고정바(131a)가 통과하는 복수의 중공(122a)이 형성된다.
보호커버(120)는 플랜지(122)가 지지링(110)과 고정링(132) 간에 배치되면서 지지링(110)과 고정링(132) 간이 기밀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링(132)은 플랜지(122)의 하부에 배치되는 한편, 중공(122a) 및 끼움공(132a)을 통과하는 고정돌기(131b)가 끼움공(132a)의 둘레에 걸림되면서 보호커버(120)를 지지링(110)에 고정한다.
커버(121)는 고정링(132)보다 하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수위 상승에 따라 승강하는 부양체(15)와 접촉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50)는 고정돌기(131b)보다 하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수위 상승에 따른 부양체(15)의 승강에 따라 부양체(15)의 가압에 의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가압방지수단(140)은 부양체(15)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가이드봉(14a)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141)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41)는 우레탄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하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는 한편, 일측에 절개부(141a)가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인접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탄성부재(141)는 일측에 절개부(141a)가 형성됨으로써 양단부를 벌리는 동작에 의해 가이드봉(14a)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141)는 대향되는 양단부에 각각 자석(142)이 구비되면서 양단부가 자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141)는 가이드봉(14a)으로의 분리,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양단부가 자석(142)에 의해 부착되면서 가이드봉(14a)으로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압방지수단(140)은 맨홀(1)의 수위 변화에 따른 부양체(15)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며, 부양체(15)의 가압에 의해 수위감지센서(50)가 동작한 상태에서 외함부본체(11)의 저면에 접한다.
가압방지수단(140)은 수위감지센서(50)가 부양체(15)와의 접촉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 이상으로의 수위 상승시, 부양체(15)의 승강을 방지하면서 수위감지센서(50)로 전달되는 가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호부(100)는 맨홀(1)의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나 오수 등을 포함하는 물에 의한 수위감지센서(50)의 고장이나 작동오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부양체(15)에 의한 수위감지센서(50)의 동작과 함께 수위감지센서(50)로의 가압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작동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관장치는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14a)과 부양체(15) 간의 접촉에 따른 부양체(15)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200)를 더 포함한다.
변형방지부(200)는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통공(16)으로 결합되는 부싱(210) 및 부싱(210)을 부양체(15)에 결속하는 결속수단(220)을 포함한다.
부싱(210)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부싱유닛(211)으로 분기되어 가이드봉(14a)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통공(16)으로 결합된다.
즉, 한 쌍의 부싱유닛(211)은 각각 반원통 형태를 이루면서 가이드봉(14a)의 외측으로 결함된다.
결속수단(220)은 링 형태를 이루면서 가이드봉(14a)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한편, 인입홈(16a)으로 인입되면서 부싱(210)을 부양체(15)에 결속한다.
부싱(210)은 상,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속수단(22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부싱(210)의 상,하부 외주면으로 나사결합된다.
결속수단(220)은 인입홈(16a)으로 인입 고정되면서 부싱(210)을 부양체(15)에 고정한다.
결속수단(220)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결속유닛(221)으로 분기되면서 가이드봉(14a)의 상,하부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인입홈(16a)으로 인입되면서 부싱(210)을 부양체(15)에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변형방지부(200)는 가이드봉(14a)과 부양체(15) 간의 접촉에 따른 부양체(1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맨홀 10: 외함부
20: 내함부 30: 제1이동감지센서
40: 제2이동감지센서 50: 수위감지센서
60: 제어부 70: 송신기
80: 펌프 90: 램프
100: 보호부 110: 지지링
120: 보호커버 121: 커버
122: 플랜지 130: 고정수단
131: 고정부재 132: 고정링
140: 가압방지수단 141: 탄성부재
200: 결속수단

Claims (1)

  1. 절연재질의 외함부본체(11)와, 외함부본체(11)의 저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봉(14a)을 갖추고서, 맨홀(1)의 바닥면에 설치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4)와, 가이드봉(14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물에 뜨는 부양체(15)를 갖춘 외함부(10);
    외함부본체(1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전선(L1,L2)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절연재질의 내함부바디(21)와, 내함부바디(21)에 내설되어 배전선(L1,L2)의 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도체재질의 금속관(22)을 갖춘 내함부(20);
    외함부본체(11)의 저면에 설치되며 부양체(15)에 의해 동작되어 수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감지센서(50); 및
    수위감지센서(50)로부터 수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침수경고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펌프(80)와 램프(9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에 있어서,
    맨홀(1)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수위감지센서(50)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부양체(15)의 승강에 따른 수위감지센서(50)의 동작 후, 수위감지센서(50)로 전달되는 가압을 방지하여 수위감지센서(50)의 고장이나 작동오류를 방지하는 보호부(100); 및
    가이드봉(14a)과 부양체(15) 간의 접촉에 따른 부양체(15)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200)를 더 포함하고,
    보호부(100)는,
    내측으로 수위감지센서(50)가 위치되도록 외함부본체(11)의 저면에 구비되는 지지링(110);
    수위감지센서(5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지링(110)에 구비되는 보호커버(120);
    보호커버(120)를 지지링(1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30); 및
    수위감지센서(50)가 부양체(15)와의 접촉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 이상으로의 수위 상승시, 부양체(15)에 의한 수위감지센서(50)로의 가압을 방지하는 가압방지수단(140)을 포함하며,
    가압방지수단(140)은,
    부양체(15)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가이드봉(14a)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141)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141)는,
    일측에 절개부(141a)가 형성되면서 양단부가 인접하는 원통 형태를 이루는 한편, 양단부에 각각 자석(142)이 구비되면서 자력에 의해 양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며,
    보호커버(120)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반구 형태를 이루면서 내측으로 배치되는 수위감지센서(50)를 보호하는 한편, 부양체(15)의 가압에 의해 상방향으로 눌리면서 수위감지센서(50)가 작동되도록 하고,
    부양체(15)는,
    가이드봉(14a)이 통과하는 통공(16) 및 통공(16)과 연통되도록 상,하부면에 형성되는 인입홈(16a)이 형성되며,
    변형방지부(200)는,
    상,하부가 개방되면서 통공(16)으로 결합되는 부싱(210); 및
    부싱(210)을 부양체(15)에 결속하는 결속수단(220)을 포함하고,
    부싱(210)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부싱유닛(211)으로 분기되어 가이드봉(14a)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통공(16)으로 결합되며,
    결속수단(220)은,
    링 형태를 이루면서 가이드봉(14a)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한편, 인입홈(16a)으로 인입되면서 부싱(210)을 부양체(15)에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
KR1020190061095A 2019-05-24 2019-05-24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 KR102056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95A KR102056171B1 (ko) 2019-05-24 2019-05-24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95A KR102056171B1 (ko) 2019-05-24 2019-05-24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171B1 true KR102056171B1 (ko) 2019-12-17

Family

ID=6905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095A KR102056171B1 (ko) 2019-05-24 2019-05-24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874B1 (ko) * 2020-02-25 2020-08-19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용 통신과 전기케이블 방수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185B1 (ko) 2011-12-16 2012-04-12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101894913B1 (ko) 2018-01-17 2018-09-04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특별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185B1 (ko) 2011-12-16 2012-04-12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101894913B1 (ko) 2018-01-17 2018-09-04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특별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874B1 (ko) * 2020-02-25 2020-08-19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물용 통신과 전기케이블 방수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351B1 (ko)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US6872883B2 (en) Mast lighting system
US7855339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cover system for use near water
KR101525985B1 (ko) 승하강 방식의 지중 매립형 배전반의 시공구조
KR100983015B1 (ko) 공동주택의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US5696493A (en) Pedestal housing for electric connection panel for sump pump and full septic tank alarm
US6303857B1 (en) Mast lighting system
US8641384B2 (en) Solid state sump pump control
AU2018282392B2 (en) A method for tripping a residual current device, a secondary protection device for tripping a residual current device, an electrical protection unit and a mounting bracket
US6624990B1 (en) Underwater light junction box having a GFCI
JPH04503841A (ja) 別個に取り付けた容器内の溢れ防止付き下水汚物粉砕ポンプの液体レベル制御システム
KR101764325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 시스템
KR102056171B1 (ko) 특고압 배전선로 전선관장치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040179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용 배선패널
JP5888698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の据え付け方法
KR101132390B1 (ko) 누전방지형 지중배전선 보호관
KR101180275B1 (ko) 지중배전용 관로 연결구
KR102311202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변전실 변압기에 연결된 옥외 전기배선 누전차단장치
KR102186876B1 (ko) 침수시 누전방지장치가 부설된 이동형 전선릴
KR101119409B1 (ko) 배선용 방수차단기
KR101706708B1 (ko) 지진 감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JP4363230B2 (ja) 受配電設備
KR20060091556A (ko) 감전보호용 전원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