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705Y1 - 탬퍼 스위치 - Google Patents

탬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705Y1
KR200460705Y1 KR2020120001395U KR20120001395U KR200460705Y1 KR 200460705 Y1 KR200460705 Y1 KR 200460705Y1 KR 2020120001395 U KR2020120001395 U KR 2020120001395U KR 20120001395 U KR20120001395 U KR 20120001395U KR 200460705 Y1 KR200460705 Y1 KR 200460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upling
coupled
receiving groove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준
Original Assignee
유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준 filed Critical 유성준
Priority to KR2020120001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7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7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템퍼 스위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결합되는 스위치 결합부와, 상기 스위치 결합부 일측에 형성되어 밸브 스템과 결합되는 스템 결합부 및 상기 스위치 결합부 타측에 형성되어 보호관과 결합되는 관 결합부를 가진 결합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내부에 감지부가 수용되고, 스프링이 내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는 감지 돌기; 상기 감지부에 통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접촉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 하부에 상기 수직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수평부를 가진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본체 중 상기 스위치 결합부는 일면에 상기 스위치 수용홈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감지 돌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수용홈 일측에 상기 스위치 수용홈과 연통되게 연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수용홈에 상기 스위치의 삽입 결합 시 상기 스위치의 하부는 상기 스위치 결합부의 일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거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노출홀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전원 단자의 수평부는 상기 연결홈 측으로 노출된다.
원통형의 하우징 상부에 출몰 가능하게 감지돌기가 결합되고, 전원 단자가 수직부 및 수평부로 이루어진 형태로 형성된 스위치가 결합본체의 스위치 결합부에 형성된 스위치 수용홈 내에 삽입되어 감지 돌기와 전원 단자의 수평부 일부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커버에 의하여 스위치 수용홈을 덮음으로써 결합본체로부터 스위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관 결합부에 보호관의 결합 시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 작업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탬퍼 스위치{TEMPER SWITCH}
본 고안은 탬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방시설의 급수부 등에 결합되어 개폐 밸브의 개폐 여부를 감시하는 템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 쿨러 등 소방시설의 급수부는 급수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의 개/폐상태를 원거리에 배치된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에서 감지하여 알람 또는 램프에 의한 신호음 또는 점멸로 표시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소방시설의 배관수리 및 교체 후 상기 밸브를 잠금 상태에서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화재 시 스프링 쿨러가 동작되지 않아 많은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부에 템퍼 스위치를 장착하여 상기 급수밸브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도 1은 템퍼 스위치를 밸브에 장착하기 위한 도면(등록실용신안 제0454355호 도 3)으로, 상기 밸브는 디스크가 내장된 바디(140)와, 디스크와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는 밸브스템(120)과, 밸브스템(12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핸들(110)과, 핸들(110)과 바디(140) 사이에 장착되는 요크(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템퍼 스위치는 밸브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200)와, 리미트스위치(200)를 밸브스템(120)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235)과, 브라켓(235)과 볼트(225)로 결합되는 뒤판(230)과, 상기 밸브스템(120)에 장착된 리미트스위치(200)의 하측에 볼트(225)로 장착된 커플링(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200)에 연결된 스위칭스프링(210)은 밸브스템(120)에 장착된 커플링(220)과 요크(130)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고정된다. 이 구조에서, 상기 핸들(110)을 조작하여 밸브스템(120)을 위로 올리면 밸브 개방되고 아래로 내리면 밸브 폐쇄되는데, 이 상태는 밸브스템(120)에 고정된 리미트스위치(200)의 스위칭스프링(210)의 접촉 및 이격에 의하여 감지되어 원거리의 감시제어반 또는 수신기로 신호 전송된다.
상기한 밸브구조 및 템퍼 스위치 구조가 급수밸브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용될 수는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설치공간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이러한 복잡한 구조를 적용시키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또한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템퍼 스위치 고정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템퍼 스위치 고정구는 구조가 복잡하고, 따라서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템퍼 스위치 고정구는 고정구에 템퍼 스위치를 접착제 등으로 부착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블이 당겨지는 등의 상황에서 고정구로부터 템퍼 스위치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호관의 결합 시 나사 결합에 의하므로 보호관 및 보호관이 결합되는 부위에 나사산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0343767호 등록실용신안 제0366061호 등록실용신안 제0454355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위치가 결합되는 고정구로부터 스위치의 이탈을 방지하고, 보호관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개선된 템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템퍼 스위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결합되는 스위치 결합부와, 상기 스위치 결합부 일측에 형성되어 밸브 스템과 결합되는 스템 결합부 및 상기 스위치 결합부 타측에 형성되어 보호관과 결합되는 관 결합부를 가진 결합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내부에 감지부가 수용되고, 스프링이 내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는 감지 돌기; 상기 감지부에 통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접촉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 하부에 상기 수직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수평부를 가진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본체 중 상기 스위치 결합부는 일면에 상기 스위치 수용홈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감지 돌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수용홈 일측에 상기 스위치 수용홈과 연통되게 연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수용홈에 상기 스위치의 삽입 결합 시 상기 스위치의 하부는 상기 스위치 결합부의 일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거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노출홀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전원 단자의 수평부는 상기 연결홈 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스위치 결합부의 일면에는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 수용홈 내에 수용된 상기 스위치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 결합부는 일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신장홈이 형성되고, 내면 양측에 상기 결합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관의 삽입 결합 시 일단이 신장되면서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고, 상기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상기 보호관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걸려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 수용홈은 원형부 및 상기 원형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과 연통되는 일자부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템퍼 스위치에 의하면, 원통형의 하우징 상부에 출몰 가능하게 감지돌기가 결합되고, 전원 단자가 수직부 및 수평부로 이루어진 형태로 형성된 스위치가 결합본체의 스위치 결합부에 형성된 스위치 수용홈 내에 삽입되어 감지 돌기와 전원 단자의 수평부 일부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커버에 의하여 스위치 수용홈을 덮음으로써 결합본체로부터 스위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관 결합부에 보호관의 결합 시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 작업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 템퍼 스위치가 밸브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템퍼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템퍼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템퍼 스위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템퍼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템퍼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템퍼 스위치는 스위치(10) 및 상기 스위치(10)가 결합되는 결합본체(2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10)는 하우징(11)과, 감지 돌기(12) 및 전원 단자(13)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내부에 감지부(미도시)가 수용되고, 감지부 상에 스프링(미도시)이 안착된다.
상기 감지 돌기(12)는 하우징(11)의 상부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가 돌출되어 단턱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으며, 단턱이 스프링 상에 안착되고, 하부의 돌출된 부분이 스프링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감지 돌기(12)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하우징(11) 내로 들어가게 되면 감지 돌기(12)의 돌출된 하부가 감지부에 접촉된다.
상기 전원 단자(13)는 하우징(11) 양측에 감지부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직부(14)와 수평부(15)로 이루어지며, 수평부(15)는 수직부(14)의 하부에 수직부(14)에 직교하게 돌출 형성되며, 단부에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본체(20)는 스위치(10)가 결합되는 스위치 결합부(21)와, 스위치 결합부(21)의 일측에 형성되어 밸브 스템이 결합되는 스템 결합부(24) 및 스위치 결합부(21)의 타측에 형성되어 보호관이 결합되는 관 결합부(25)로 이루어진다.
스위치 결합부(21)는 일면에 상기 스위치(10)가 삽입되는 스위치 수용홈(22)이 형성되고, 타면에 스위치(10)의 감지 돌기(12)가 노출 및 돌출되도록 스위치 수용홈(22)과 연통되게 노출홈(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스위치 수용홈(22)은 하우징(11)이 삽입되는 원형부 및 원형부 양측에 전원 단자(13)가 삽입되는 일자부로 이루어진다.
스위치 수용홈(22)에 스위치(10)의 삽입 결합 시 스위치(10)의 하부는 스위치 결합부(21)의 일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거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스위치 결합부(21)의 일면 상에는 스위치 수용홈(22)을 덮도록 커버(30)가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위치 수용홈(22)에 삽입된 스위치(1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수용홈(22) 일측에는, 즉 관 결합부(25) 측에는 일자부와 연통되게 연결홈(26)이 형성되어 일자부에 삽입된 전원 단자(13) 중 수평부(15)의 단부가 연결홈(26) 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된다.
이 연결홈(26)은 관 결합부(25)와 연통된다.
상기 스템 결합부(24)는 일측이 개방된 원형이되, 개방된 부분의 양 단부가 직선으로 돌출된 형태로, 원형 부분에 밸브 스템이 배치되고, 직선으로 돌출된 부분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고정된다.
한편, 직선으로 돌출된 부분은 종래보다 길게 형성되어 신장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스템 결합부(24)는 일반적인 형태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관 결합부(25)는 원형의 관 형태로, 일측이 연결홈(26)에 연통되고, 타측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신장홈(27)이 형성된다.
관 결합부(25)의 내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복수개의 걸림돌기(28)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관 결합부(25)에 보호관의 결합은 억지끼움식 결합에 의하는데, 보호관이 관 결합부에 삽입 시 신장홈(27)이 신장되면서 보호관이 삽입되게 경로를 열어주고, 삽입된 후에는 보호관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걸림돌기(28)가 걸리면서 단단히 고정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템퍼 스위치에 의하면, 원통형의 하우징 상부에 출몰 가능하게 감지 돌기(12)가 결합되고, 전원 단자(13)가 수직부(14) 및 수평부(15)로 이루어진 형태로 형성된 스위치(10)가 결합본체(20)의 스위치 결합부(21)에 형성된 스위치 수용홈(22) 내에 삽입되어 감지 돌기(12)와 전원 단자(13)의 수평부 일부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커버(130)에 의하여 스위치 수용홈(22)을 덮음으로써 결합본체로(20)부터 스위치(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관 결합부(25)에 보호관의 결합 시 억지끼움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 작업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10... 스위치 11... 하우징
12... 감지 돌기 13... 전원 단자
14... 수직부 15... 수평부
20... 결합본체 21... 스위치 결합부
22... 스위치 수용홈 23... 노출홀
24... 스템 결합부 25... 관 결합부
26... 연결홈 27... 신장홈
28... 걸림돌기 30... 커버

Claims (4)

  1.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결합되는 스위치 결합부와, 상기 스위치 결합부 일측에 형성되어 밸브 스템과 결합되는 스템 결합부 및 상기 스위치 결합부 타측에 형성되어 보호관과 결합되는 관 결합부를 가진 결합본체;를 포함하는 템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내부에 감지부가 수용되고, 스프링이 내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부에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는 감지 돌기;
    상기 감지부에 통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접촉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 하부에 상기 수직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수평부를 가진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본체 중 상기 스위치 결합부는 일면에 상기 스위치 수용홈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감지 돌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수용홈 일측에 상기 스위치 수용홈과 연통되게 연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수용홈에 상기 스위치의 삽입 결합 시 상기 스위치의 하부는 상기 스위치 결합부의 일면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거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감지돌기는 상기 노출홀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전원 단자의 수평부는 상기 연결홈 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결합부의 일면에는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 수용홈 내에 수용된 상기 스위치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관 결합부는 일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신장홈이 형성되고, 내면 양측에 상기 결합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호관의 삽입 결합 시 일단이 신장되면서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고, 상기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상기 보호관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걸려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수용홈은 원형부 및 상기 원형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홈과 연통되는 일자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퍼 스위치.
KR2020120001395U 2012-02-23 2012-02-23 탬퍼 스위치 KR200460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395U KR200460705Y1 (ko) 2012-02-23 2012-02-23 탬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395U KR200460705Y1 (ko) 2012-02-23 2012-02-23 탬퍼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705Y1 true KR200460705Y1 (ko) 2012-06-13

Family

ID=4660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395U KR200460705Y1 (ko) 2012-02-23 2012-02-23 탬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7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391B1 (ko) * 2022-01-05 2022-07-08 최화순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767Y1 (ko) * 2003-12-15 2004-03-12 정원식 바깥나사식 밸브용 템퍼스위치
KR200366061Y1 (ko) * 2004-08-02 2004-11-02 정기옥 템퍼스위치 고정구
KR100778087B1 (ko) 2006-11-30 2007-11-22 이교승 밸브의 개폐 표시용 템퍼스위치
KR200454355Y1 (ko) * 2009-05-29 2011-06-29 정기옥 개량 템퍼스위치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767Y1 (ko) * 2003-12-15 2004-03-12 정원식 바깥나사식 밸브용 템퍼스위치
KR200366061Y1 (ko) * 2004-08-02 2004-11-02 정기옥 템퍼스위치 고정구
KR100778087B1 (ko) 2006-11-30 2007-11-22 이교승 밸브의 개폐 표시용 템퍼스위치
KR200454355Y1 (ko) * 2009-05-29 2011-06-29 정기옥 개량 템퍼스위치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391B1 (ko) * 2022-01-05 2022-07-08 최화순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4467B2 (en) Water detection and shut-off system and methods
KR10163850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KR101825187B1 (ko) 캐비닛 내부 화재 소화 설비
KR20150015032A (ko) 전기 콘센트
KR200460705Y1 (ko) 탬퍼 스위치
KR101190175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20150136390A (ko) 안전콘센트
KR100778087B1 (ko) 밸브의 개폐 표시용 템퍼스위치
JP2007102555A (ja) 防災防犯機器の防水構造
KR20150136906A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1260258B1 (ko) 실외하우징이 결합된 돔카메라
KR200475286Y1 (ko) 템퍼 스위치
KR101193117B1 (ko)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705497B1 (ko)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KR200454355Y1 (ko) 개량 템퍼스위치 고정구
CN205722269U (zh) 一种用于火灾探测器的蜂鸣器底座及火灾探测器
CN105355425B (zh) 一种防水式电容安装装置
KR101559832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장치
KR100673989B1 (ko) 경고기능이 구비된 공동주택의 외벽설치용 방범커버
CN203984845U (zh) 一种带自锁功能的电器盒组件
KR102419391B1 (ko) 템퍼 스위치 고정장치
KR200457285Y1 (ko) 볼 밸브용 템퍼스위치 고정구
KR100960154B1 (ko)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KR20150010355A (ko) 배선관용 커넥터
KR200362481Y1 (ko) 밸브용 접점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