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117B1 -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117B1
KR101193117B1 KR1020120066148A KR20120066148A KR101193117B1 KR 101193117 B1 KR101193117 B1 KR 101193117B1 KR 1020120066148 A KR1020120066148 A KR 1020120066148A KR 20120066148 A KR20120066148 A KR 20120066148A KR 101193117 B1 KR101193117 B1 KR 101193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late
support plate
groove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기술단
Priority to KR1020120066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관체 내부에 전선을 고정하는 판체와 누름판을 포함하는 호형내측지지판과, 호형내측지지판과 간격을 두고 관체의 내경에 밀착되는 호형외측지지판을 구비하되, 이들 사이에는 가압돌기와 삽입홈을 각각 마련하여 가압돌기가 삽입홈 속에서 탄성유동되게 함과 동시에 삽입홈 바닥에 압전소자를 설치하고 압전소자로부터 인출된 신호송출선을 경보장치에 접속함으로써 못 등을 박을 때 호형외측지지판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가압돌기가 압전소자를 누르는 순간 경보장치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송출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즉시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못을 박을 때 벽체에 매설된 보호관과 접촉시 이를 즉시 감지하여 경보를 발령하도록 함으로써 내부 전선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TUBE FOR PROTECTING DISTRIBUTING ELECTRIC LED LINE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 사용하는 LED 기구에 사용하는 배전선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전선이 보호관 내의 분리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여 다른 전선과의 간섭과 발열에서 보호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구역의 경우 소비전력의 감소를 위해 효율이 좋은 엘이디(LED)를 조명용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엘이디 조명등은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배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통상, 공동주택의 경우 사용하는 전력량이 매우 크므로 각 세대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동주택의 일부분에 직경이 큰 관을 설치하여 배전선을 관 내부에 설치하고, 인출하여 벽체나, 기둥, 천정이나 바닥 등을 통해 건축물 내부로 인입된 후 배전반에 접속되고, 배전반에 접속된 전원내선을 통해 건축물 내부로 여러 공간으로 외부전력이 송전된다.
특히, 주로 현관문 등의 출입구 쪽에 많이 설치되는 엘이디는 전원내선으로부터 인출된 후 그 말단이 연결되어 배선됨으로써 점등되게 된다.
한편, 공동주택의 실내에는 각종 컴퓨터나 여러 LED 기구를 포함한 여러 전기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많은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배선이 복잡하게 설치됨은 물론 최근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공동주택의 시공시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전용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 층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동주택에 사용하는 전선을 벽체에 매설할 때, 일반 배선관에 넣어 매설하면 못을 박는 등의 작업에 의해 파손이 되거나, 배선관 내에 전선이 서로 닿아 합선이 일어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전선에서 발열이 발생하거나 피복이 벗겨져 누전이 발생할 경우 쉽게 감지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등록특허 제1119624호가 개시된 바 있으나, 개시된 특허의 경우 못을 박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은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사후적 처리만 가능하고, 사전 처리를 위해서는 철편을 모두 씌우거나 혹은 관 자체를 철관으로 해야 하는데, 그럴 경우 비용상승으로 인해 불리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부합할 수 있도록 창출된 것으로, 못을 박을 때 벽체에 매설된 보호관과 접촉시 이를 즉시 감지하여 경보를 발령하도록 함으로써 내부 전선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금속판을 중간 중간 설치하여 전선에서 외부로 누설되어 흐르는 전기를 누전감지장치가 감지하여 누전이 발생할 경우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형 관체의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개방구가 형성되는 보호관; 관체 내경에 원판 형태의 판체가 다수개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고, 판체의 중앙으로 한쌍의 중앙돌기부가 형성되면서 그 내측으로 중앙전선홈이 형성되며, 중앙전선홈의 양측으로 측방전선홈이 각각 형성되고, 판체 전후를 관통하는 홀이 중앙전선홈의 아래에 형성되며, 중앙돌기부의 외측면에 만곡단이 형성되고, 중앙전선홈과 측방전선홈은 개방구에 의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전선이 인입되며, 중앙전선홈과 측방전선홈에 길이를 따라 중앙으로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전선지지판;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체 전선지지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중앙돌기부, 중앙전선홈, 측방전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지지판 3개 ~ 4개당 한개의 비율로 보호관의 관체 내경에 다수개가 고정되며, 중앙전선홈 아래로 판체 전후면에 철선이 고정되어 전선지지판의 홀을 통해 인접한 금속판에 고정되는 금속판; 보호관의 개방구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호형판이 형성되어 보호관의 개방구가 개폐되고, 호형판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누름판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전선지지판과 금속판에 맞물리게 형성되며, 누름판은 중앙돌기와 한쌍의 측방돌기로 이루어져 중앙돌기는 중앙전선홈에 삽입되어 중앙전선홈에 삽입된 전선을 눌러주고, 측방돌기는 측방전선홈에 삽입되어 측방전선홈에 삽입된 전선을 눌러주며, 측방돌기의 중앙돌기쪽 단부가 곡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지지판의 만곡단과 맞물려 고정되는 커버; 일측이 절개된 원형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커버가 고정된 보호관에 끼워지는 고정클립; 금속판에 고정된 철선의 단부가 연결되어 전선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금속판과 철선을 통해 감지하는 누전감지기; 누전감지기에서 전달된 신호에 의해 관리부서에 경고하는 경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관체의 내경에는 1/4 원형판 형태의 호형외측지지판 3개가 반경반향으로 밀착설치되고, 상기 호형외측지지판의 내측면에는 내부에 삽입홈을 갖도록 원통형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는 압전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압전소자에는 상기 경보장치와 연결된 신호송출선이 연결되며, 상기 호형외측지지판의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호형내측지지판이 설치되고, 상기 호형내측지지판의 외측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압전소자와 접촉되는 가압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일단이 상기 압전소자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돌기에 걸림되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호형외측지지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원통형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호형내측지지판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가이드바가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못을 박을 때 벽체에 매설된 보호관과 접촉시 이를 즉시 감지하여 경보를 발령하도록 함으로써 내부 전선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전선 보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전선 보호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전선 보호관의 전선지지판과 누름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전선 보호관의 금속판과 누름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전선 보호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 보호관의 예시적인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119624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119624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119624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못을 박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여 이를 경보음을 송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개선한 내용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119624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충격감지부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선(1)을 보호하는 보호관(10)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커버(40)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고, 보호관(10)의 내부에 다수개의 전선지지판(20)과 금속판(30)을 일정간격으로 고정하며, 전선지지판(20)과 금속판(30)과 결합되는 누름판(42)을 커버(40)의 호형판(41)에 일체로 형성하고, 금속판(30)에 연결되는 철선(35)의 단부를 누전감지기(60)에 연결하여 누전을 간편하게 알아낼 수 있도록 한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호관(10)은 원형 관체(11)의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개방구(12)가 관체(11)의 길이 전체에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전선지지판(20)은 보호관(10)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보호관(10)의 관체(11) 내경에 원판 형태의 판체(21)가 다수개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고, 판체(21)의 중앙으로 한쌍의 중앙돌기부(22)가 형성되면서 그 내측으로 중앙전선홈(23)이 형성된다. 즉, 판체(21)의 상부는 도 2,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되어 중앙전선홈(23)과 측방전선홈(2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중앙돌기부(22)를 경계로 하여 중앙전선홈(23)의 양측으로 측방전선홈(24)이 각각 형성되고, 판체(21) 전후를 관통하는 홀(25)이 중앙전선홈(23)의 아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돌기부(22)의 외측면 즉, 측방전선홈(24)의 벽면에 만곡단(22-1)이 형성되고, 중앙전선홈(23)과 측방전선홈(24)은 개방구(12)에 의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전선이 인입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개방구(12)를 통해 인입된 전선(1)은 중앙전선홈(23)과 두개의 측방전선홈(24)에 분리되어 삽입된다.
한편, 상기 커버(40)가 닫히면서 삽입된 전선(1)의 위를 커버(40)의 누름판(42)이 누르게 된다.
또한, 상기 전선지지판(20)에서 중앙전선홈(23)과 측방전선홈(24)을 이루는 내측 벽면에는 길이를 따라 중앙으로 결합홈부(26)가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부(26)는 커버(40)의 누름판(42)이 전선지지판(20)과 결합될 때 전선지지판(20)의 양측방향으로 누름판(4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금속판(30)은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체(31)가 전선지지판(20)과 동일한 형상으로 중앙돌기부(32), 중앙전선홈(33), 측방전선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지지판(20) 3개 ~ 4개당 금속판(30)이 한개의 비율로 보호관(10)의 관체(11) 내경에 다수개가 고정된다.
또한, 전선의 피복을 따라 흐르는 누전을 감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금속판(30)은 중앙전선홈(33) 아래로 판체(31) 전후면에 철선(35)이 고정되어 전선지지판(20)의 홀(25)을 통해 인접한 금속판에 고정되고, 가장 최외측에서 누전감지기(6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커버(40)는 보호관(10)의 개방구(12)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호형판(41)이 형성되어 보호관(10)의 개방구(12)가 개폐되고, 호형판(41)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누름판(4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전선지지판(20)과 금속판(30)에 맞물리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누름판(42)은 중앙돌기(43)와 한쌍의 측방돌기(44)로 이루어지고, 중앙돌기(43)의 양쪽으로 측방돌기(4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중앙돌기(43)는 중앙전선홈(23)(33)에 삽입되어 중앙전선홈(23)(33)에 삽입된 전선을 눌러주고, 측방돌기(44)는 측방전선홈(24)에 삽입되어 측방전선홈(24)에 삽입된 전선을 눌러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측방돌기(44)에서 중앙돌기(43)쪽 단부가 곡선단(44-1)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지지판(20)의 만곡단(22-1)과 맞물려 고정된다.
따라서, 처음에 측방돌기(44)가 측방전선홈(24)에 삽입될때, 측방돌기(44)의 하단이 중앙돌기부(22)의 만곡단(22-1)에 닿아 들어가지 않으나 힘을 주어 밀어 넣으면 만곡단(22-1)을 지나 삽입된다.
이때, 삽입된 상태에서 측방돌기(44)의 곡선단(44-1)과 중앙돌기부(22)의 만곡단(22-1)이 서로 맞물려 이탈이 방지된다.
이는 금속판(30)과 누름판(42)의 경우도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40)가 보호관(10)의 개방구(12)를 닫은 상태, 즉 커버(40)와 보호관(10)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클립(50)을 끼운다.
상기 고정클립(50)은 일측이 절개된 원형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커버(40)가 고정된 상태의 보호관(10)에 끼우게 되며, 고정클립(50)의 절개된 부분은 보호관(1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되 보호관(10)의 지름에 해당하도록 벌렸을 때 고정클립(50)의 탄성 한도를 넘어서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선(1)에 누전이 발생하였을 경우 전술한 금속판(30)에 누설전류가 전달되고, 금속판(30)에 고정된 철선(35)을 통해 누전감지기(60)로 전달된다. 따라서 철선(35)의 단부를 누전감지기(60)와 연결하여 전선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를 경보장치(70)로 전달하여 누전되고 있음을 경고하다.
이를 위해, 누전감지기(60)를 경보장치(70)에 연결하여 경보장치(70)의 신호를 관리부서에서 쉽게 알수 있게 음향과 점등되는 신호를 관리부서에 주게 된다.
이러한 경보장치(70)와 누전감지기(60)는 시중에 판매되는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기본구성으로 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서 더 추가하고자 하는 내용은 이 기본구성을 갖고 벽체에 매립된 상태에서 벽체에 못 등을 박을 때 이를 감지하지 못할 경우 관 파손이나 피복 파손 및 이에 따른 합선, 그로 인한 2차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에 이 부분까지 완벽하게 해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기본구성에 충격감지부를 더 구성하여 구조적으로 완성도를 높이도록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한다.
도 6에서와 같이, 관체(11)의 내경에는 1/4 원형판인 호형외측지지판(100)이 밀착된다.
이때, 상기 호형외측지지판(100)은 원주를 4등분한 형상이기 때문에 4개를 조합했을 경우 상기 관체(11)의 내경과 정확하게 일치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3개가 밀착되고, 나머지 한 개는 누름판(42)이 된다.
그리고, 상기 호형외측지지판(100)의 내측면 중앙에는 원통형 돌출부(110)가 돌출되고 보스(Boss) 형태로 돌출되고, 그 내부에는 삽입홈(H)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H)은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내부 바닥면에는 압전소자(300)가 안착되고, 압전소자(300) 상부에는 스프링(120)이 안착된다.
다시 말해, 압전소자(3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H) 속에 스프링(120)이 끼워진 형태가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호형외측지지판(100)의 내측에는 이와 간격을 두고 동일 형상의 호형내측지지판(200)이 구비된다.
따라서, 전선(1)을 고정하는 판체(21) 및 이와 맞물리는 누름판(42)은 상기 호형내측지지판(200)의 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형내측지지판(200)의 외측면 중앙에는 상기 삽입홈(H)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게 가압돌기(210)가 돌출된다.
이때, 상기 가압돌기(210)의 길이 중간에는 걸림턱(220)이 형성되고, 앞서 설명한 스프링(120)의 일단이 상기 걸림턱(220)에 걸림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압돌기(210)는 상기 삽입홈(H)으로부터 분리되어도 상관없다. 왜냐하면 이들 조립체를 관체(11)에 설치할 때에는 관체(11)의 개구된 일단에 끼운 다음 밀어 넣는 방식으로 장착하는 구조여서 어느 일단만 삽입되면 그 다음부터는 밀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덧붙여, 작동의 원활성을 위해 상기 가압돌기(210)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한쌍의 가이드바(230)가 돌출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230)와 대응되는 위치의 호형외측지지판(100)이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바(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 상기 삽입홈(H)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3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압돌기(210)는 삽입홈(H)에 삽입되어 스프링(120)에 의해 탄성유동되고, 가이드바(230)는 가이드홈(130)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돌기(210)의 유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상기 호형내측지지판(200)과 호형외측지지판(100)은 상호 탄성완충적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전소자(300)에는 신호송출선(310)이 연결되고, 상기 신호송출선(310)은 호형외측지지판(100) 및 관체(11)를 관통한 뒤 경보장치(70)에 접속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관체(11)가 벽체에 매립되었을 경우 못 등을 박더라도 박히는 못이 관체(11)에 충돌되거나 혹은 관체를 뚫고 진입될 때 호형외측지지판(100)이 변형되거나 혹은 눌리면서 움직이게 되고, 이로 인해 압전소자(300)가 가압돌기(210)와 접촉되면서 압전현상을 일으켜 전기를 발생시키며, 이것은 신호송출선(310)을 타고 경보장치(70)로 전송되어 경보장치(70)를 구동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즉시에 이상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후속 피해를 억제하거나 예방할 수 있게 된다.
10 : 보호관 20 : 전선지지판
30 : 금속판 40 : 커버
50 : 고정클립 60 : 누전감지기
70 : 경보장치 100 : 호형외측지지판
200 : 호형내측지지판 300 : 압전소자

Claims (1)

  1. 원형 관체(11)의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개방구(12)가 형성되는 보호관(10); 관체(11) 내경에 원판 형태의 판체(21)가 다수개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고, 판체(21)의 중앙으로 한쌍의 중앙돌기부(22)가 형성되면서 그 내측으로 중앙전선홈(23)이 형성되며, 중앙전선홈(23)의 양측으로 측방전선홈(24)이 각각 형성되고, 판체(21) 전후를 관통하는 홀(25)이 중앙전선홈(23)의 아래에 형성되며, 중앙돌기부(22)의 외측면에 만곡단(22-1)이 형성되고, 중앙전선홈(23)과 측방전선홈(24)은 개방구(12)에 의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전선이 인입되며, 중앙전선홈(23)과 측방전선홈(24)에 길이를 따라 중앙으로 결합홈부(26)가 형성되는 전선지지판(20);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체(31)가 전선지지판(20)과 동일한 형상으로 중앙돌기부(32), 중앙전선홈(33), 측방전선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지지판(20) 3개 ~ 4개당 한개의 비율로 보호관(10)의 관체(11) 내경에 다수개가 고정되며, 중앙전선홈(33) 아래로 판체(31) 전후면에 철선(35)이 고정되어 전선지지판(20)의 홀(25)을 통해 인접한 금속판에 고정되는 금속판(30); 보호관(10)의 개방구(12)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호형판(41)이 형성되어 보호관(10)의 개방구(12)가 개폐되고, 호형판(41)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누름판(4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전선지지판(20)과 금속판(30)에 맞물리게 형성되며, 누름판(42)은 중앙돌기(43)와 한쌍의 측방돌기(44)로 이루어져 중앙돌기(43)는 중앙전선홈(23)(33)에 삽입되어 중앙전선홈(23)(33)에 삽입된 전선을 눌러주고, 측방돌기(44)는 측방전선홈(24)에 삽입되어 측방전선홈(24)에 삽입된 전선을 눌러주며, 측방돌기(44)의 중앙돌기(43)쪽 단부가 곡선단(44-1)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지지판(20)의 만곡단(22-1)과 맞물려 고정되는 커버(40); 일측이 절개된 원형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커버(40)가 고정된 보호관(10)에 끼워지는 고정클립(50); 금속판(30)에 고정된 철선(35)의 단부가 연결되어 전선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금속판(30)과 철선(35)을 통해 감지하는 누전감지기(60); 누전감지기(60)에서 전달된 신호에 의해 관리부서에 경고하는 경보장치(70);를 포함하되,
    상기 관체(11)의 내경에는 1/4 원형판 형태의 호형외측지지판(100) 3개가 반경반향으로 밀착설치되고,
    상기 호형외측지지판(100)의 내측면에는 내부에 삽입홈(H)을 갖도록 원통형 돌출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H)의 바닥면에는 압전소자(300)가 설치되고,
    상기 압전소자(300)에는 상기 경보장치(70)와 연결된 신호송출선(310)이 연결되며,
    상기 호형외측지지판(100)의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호형내측지지판(200)이 설치되고,
    상기 호형내측지지판(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삽입홈(H)에 삽입되며 상기 압전소자(300)와 접촉되는 가압돌기(210)가 돌출되며,
    상기 삽입홈(H)에는 일단이 상기 압전소자(300)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돌기(210)에 걸림되는 스프링(120)이 구비되고,
    상기 호형외측지지판(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원통형 돌출부(11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가이드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호형내측지지판(200)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30)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가이드바(230)가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20120066148A 2012-06-20 2012-06-20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193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148A KR101193117B1 (ko) 2012-06-20 2012-06-20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148A KR101193117B1 (ko) 2012-06-20 2012-06-20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117B1 true KR101193117B1 (ko) 2012-10-19

Family

ID=4728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148A KR101193117B1 (ko) 2012-06-20 2012-06-20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1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168B1 (ko) 2013-01-22 2013-04-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엘이디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259167B1 (ko) 2013-01-22 2013-04-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N111609228A (zh) * 2020-05-28 2020-09-01 绍兴科辉电器有限公司 中央空调用水管接头及其制造方法
KR102606957B1 (ko) * 2022-11-16 2023-11-29 주식회사 천운건설 높이 조절이 가능한 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381B1 (ko) 2008-01-23 2008-04-25 유환홍 지중전선의 배전선 인입보호관
KR101000033B1 (ko) 2010-08-17 2010-12-10 (주)삼덕기술단 매설된 지중 배전선 보호 절연관
KR101112750B1 (ko) 2011-10-07 2012-03-13 (주)하일기술단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381B1 (ko) 2008-01-23 2008-04-25 유환홍 지중전선의 배전선 인입보호관
KR101000033B1 (ko) 2010-08-17 2010-12-10 (주)삼덕기술단 매설된 지중 배전선 보호 절연관
KR101112750B1 (ko) 2011-10-07 2012-03-13 (주)하일기술단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168B1 (ko) 2013-01-22 2013-04-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엘이디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259167B1 (ko) 2013-01-22 2013-04-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N111609228A (zh) * 2020-05-28 2020-09-01 绍兴科辉电器有限公司 中央空调用水管接头及其制造方法
CN111609228B (zh) * 2020-05-28 2024-06-04 河南致远制冷设备有限公司 中央空调用水管接头及其制造方法
KR102606957B1 (ko) * 2022-11-16 2023-11-29 주식회사 천운건설 높이 조절이 가능한 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624B1 (ko)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KR101193117B1 (ko)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CN103181030B (zh) 电气穿墙端子
KR101180921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0740946B1 (ko) 공동주택 실내 전기 케이블용 보호 케이스
KR100679600B1 (ko) 건축물에 설치하는 자동 전기차단 안전콘센트
KR101336112B1 (ko) 공동주택의 엘이디(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469892B1 (ko) 검전기 내장 접지형 엘보커넥터
KR101329800B1 (ko)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KR101259167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200423507Y1 (ko) 실내용 파워트랙 콘센트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040179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용 배선패널
KR101190175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CN104505721B (zh) 一种易清理配电箱
KR101259168B1 (ko) 공동주택의 엘이디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2486729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KR101427406B1 (ko) 전기계량기함 설치대의 설치구조
GB2551857A (en) Safety Plug
KR101266228B1 (ko)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KR101705497B1 (ko) 실내 사용상태 표시장치
CN100557897C (zh) 磁石安全插座和插头组成的装置
US9964657B2 (en) Terminal for detecting an optically invisible network, installation comprising such a detec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an optically invisible network
KR102173977B1 (ko) 종단저항 푸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