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750B1 -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750B1
KR101112750B1 KR1020110102606A KR20110102606A KR101112750B1 KR 101112750 B1 KR101112750 B1 KR 101112750B1 KR 1020110102606 A KR1020110102606 A KR 1020110102606A KR 20110102606 A KR20110102606 A KR 20110102606A KR 101112750 B1 KR101112750 B1 KR 101112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tribution line
moving part
electromagne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천
Original Assignee
(주)하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일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하일기술단
Priority to KR1020110102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for action on rop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원형의 관 형상으로 하단에 배수홈)이 형성된 관체; 상기 관체의 하단에 상기 관체의 외측방향으로만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수홈을 개폐하는 배수판;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배전선과 나란하게 입설되는 회전축;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양 단부에 양 극성이 각각 발현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반원통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연결체와 상기 제1연결체의 일 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일면에 제1이격홈이 형성된 제1결합체로 구성되는 제1이동부와,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상기 제1연결체와 마주보게 설치되며 상기 제1연결체와 마주하는 면에 극성이 발현되도록 내설되어 통전이 되는 경우 상기 영구자석과 척력이 발생되는 전자석이 내설된 반원통 형상의 제2연결체와 상기 제1결합체와 마주보게 상기 제2연결체의 일 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이격홈과 마주하는 면에 제2이격홈이 형성된 제2결합체로 구성된 제2이동부를 갖춘 이동부; 상기 배전선이 관통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수평배치된 본체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를 수평이동하게 고정하는 아암을 갖춘 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이격홈에 내설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를 수평으로 강제이격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상기 아암에 고정되는 타원형상의 캠과, 상기 아암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스테핑모터를 갖춘 이격부; 하단이 상기 배전선의 외면의 절반을 감싸고 상단이 상기 본체에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플레이트가 낙하하는 경우 공기의 저항에 의해 상기 배전선에 서로 밀착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승하는 경우 공기의 저항에 의해 상기 배전선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쌍이 상기 배전선을 상호접합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된 스위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 상기 전자석 및 상기 스테핑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플레이트를 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스테핑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이동부와 회전축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낙하시키며, 상기 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스테핑모터에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이동부와 회전축을 결합시키고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축을 회전시켜 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관 내부에 설치되는 배전선의 표면에 묻은 수분를 제거하여 수분으로 인한 배전선의 경화를 방지하며, 보호관의 내부의 물은 외부로 배출하되 보호관 외부의 물이 보호관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여 배전선 간의 합선 및 누전으로 인한 정전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Protection pipe for distribution cabl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내설되는 배전선에 물이 묻는 경우 물을 제거하여 배전선의 피복이 수분에 의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관 내부에 물이 차는 것을 방지하여 누전 및 합선 등을 예방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경우 사용하는 전력량이 매우 크므로 각 세대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동주택의 일 부분에 직경이 보호관을 설치하여 배전선을 보호관 내부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보호관에 의해 배전선은 외부의 오염 및 외력으로부터 보호된다. 하지만 보호관 내부에는 배전선 뿐만 아니라 각종 하수관 등도 함께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항상 물이 흐르는 상수관 및 하수관에 의해 일반적으로 보호관 내부의 습도는 높으며, 높은 습도로 인해 배전선의 피복에 이슬이 맺히거나, 상수관 또는 하수관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 배전선에 지속적으로 물을 뿌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전선의 피복에 수분이 맺히는 경우 상기 수분이 증발되고 다시 수분이 맺히는 과정의 반복에 의해 고무 재질의 피복에 경화가 발생하여 피복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경화로 인한 피복의 틈을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경우 누전 또는 합선의 위험이 있으며, 이는 공동주택 전체의 정전으로 이어져 많은 불편을 초래하였다.
또한 보호관의 내부에 위치한 상수관 또는 하수관에 균열이 발생하여 물이 새는 경우 보호관 내부로 물이 차오르거나 홍수가 발생하는 경우 보호관 내부로 물이 침투하여 감전 또는 함선의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고 보호관 내부의 물은 배출시키며 외부로부터 보호관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신규한 발상에 의해 발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과 관련된 적절한 배경기술을 찾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보호관 내부에 설치되는 배전선의 표면에 뭍은 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며, 보호관 내부에 물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형의 관 형상으로 하단에 배수홈이 형성된 관체; 상기 관체의 하단에 상기 관체의 외측 방향으로만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수홈을 개폐하는 배수판;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배전선과 나란하게 입설되는 회전축;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양 단부에 양 극성이 각각 발현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반원통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연결체와 상기 제1연결체의 일 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일면에 제1이격홈이 형성된 제1결합체로 구성되는 제1이동부와,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상기 제1연결체와 마주보게 설치되며 상기 제1연결체와 마주하는 면에 극성이 발현되도록 내설되어 통전이 되는 경우 상기 영구자석과 척력이 발생되는 전자석이 내설된 반원통 형상의 제2연결체와 상기 제1결합체와 마주보게 상기 제2연결체의 일 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이격홈과 마주하는 면에 제2이격홈이 형성된 제2결합체로 구성된 제2이동부를 갖춘 이동부; 상기 배전선이 관통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수평배치된 본체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를 수평이동하게 고정하는 아암을 갖춘 플레이트; 상기 제1 및 제2이격홈에 내설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를 수평으로 강제이격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상기 아암에 고정되는 타원형상의 캠과, 상기 아암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스테핑모터를 갖춘 이격부; 하단이 상기 배전선의 외면의 절반을 감싸고 상단이 상기 본체에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플레이트가 낙하하는 경우 공기의 저항에 의해 상기 배전선에 서로 밀착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승하는 경우 공기의 저항에 의해 상기 배전선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쌍이 상기 배전선을 상호접합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된 스위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 상기 전자석 및 상기 스테핑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플레이트를 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스테핑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이동부와 회전축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낙하시키며, 상기 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스테핑모터에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이동부와 회전축을 결합시키고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축을 회전시켜 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조명용 LED 배전선 절연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관 내부에 설치되는 배전선의 표면에 묻은 수분를 제거하여 수분으로 인한 배전선의 경화를 방지하며, 보호관의 내부의 물은 외부로 배출하되 보호관 외부의 물이 보호관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여 배전선 간의 합선 및 누전으로 인한 정전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동작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동작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와 회전축 및 아암과의 결합 및 동작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퍼와 배전선과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은 공동주택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관체(1)와, 관체(1)에 물이 차는 경우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판(4)과, 배전선(L)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0)과, 회전축(10)과 맞물리게 설치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20)와, 배전선(L)이 관통하고 이동부(20)에 고정설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플레이트(30)와, 이동부(20)와 회전축(10)간의 맞물림을 원활하게 해제하기 위한 이격부(40)와, 플레이트(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레이트(30)의 이동에 의해 배전선(L)의 표면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는 스위퍼(50)와, 회전축(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0)와, 모터(60)와 전자석 및 스테핑모터(4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70) 및 플레이트(30)의 하강과 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0)를 포함한다.
관체(1)는 원형의 관 형상으로 공동주택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입설되며, 내부에는 각종 배관이나 전선 등이 내설된다. 또한 관체(1)의 하단에는 관체(1)에 물이 차는 경우 상기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홈(1a)이 형성된다.
배수판(4)은 배수홈(1a)에 대응하는 판 형상으로 관체(1)의 외측방향으로만 회동가능하게 관체(1)에 고정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걸림대(1b)를 배수홈(1a)의 저면에서 돌출되게 형성하여 배수판(4)이 관체(1)의 내측방향으로는 회동이 불가능하게 하였다. 이 외에도 배수판(4)의 일 방향으로만 회동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회전축(10)은 긴 원기둥 형상으로 외면에 나사산(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동주택의 관체(1)의 내부에 배전선(L)과 나란하게 입설된다. 회전축(10)의 상단은 모터(60)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있어 모터(6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이동부(20)는 사각프레임 형상의 돌기가 외면에 형성된 원통 형상을 서로 대칭이 되게 반으로 분리한 2개의 형상 중 하나의 형상인 제1이동부(20a)와 나머지 하나의 형상인 제2이동부(20b)를 포함하며, 제1이동부(20a)와 제2이동부(20b)는 서로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1이동부(20a)는 반원통 형상으로 내면에 회전축(10)의 나사산(10a)과 대응되는 나사산(21a)이 형성된 제1연결체(21)와, 제1연결체(21)의 일 단부에 돌출형성된 제1결합체(22)로 구성된다.
제1연결체(21)는 영구자석 재질이며 반원통의 양 단부에 양 극성이 각각 발현되도록 제조되거나 금속재질로 외면을 형성하되, 내부에 영구자석을 상기와 같이 반원통의 양 단부에 양 극성이 발현되도록 배치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즉 말굽자석 형태의 영구자석이 반원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양 단부에서 각각 N극과 S극을 띄도록 제조할 수 있다. 제1연결체(21)는 회전축(10)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회전축의 나사산(10a)과 제1연결체(21)의 나사산(21a)과 결합한다.
제1결합체(22)는 반원통의 일 단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 단부와 동일평면상의 일면에 캠(41)의 외형과 대응하는 반타원 형상의 제1이격홈(22a)이 형성된다. 또한 제1결합체(22)의 상면과 하면에는 아암(32)에 형성된 가이드(32a)를 삽입하기 위한 제1가이드홈(22b)이 형성된다.
제2이동부(20b)는 반원통 형상으로 내면에 회전축(10)의 나사산(10a)과 대응되는 나사산(23a)이 형성된 제2연결체(23)와, 제2연결체(23)의 일 단부에 돌출형성된 제2결합체(24)로 구성되며, 제2결합체(24)의 상면과 하면에도 아암(32)에 형성된 가이드(32a)를 삽입하기 위한 제1가이드홈(22b)이 형성된다.
제1이동부(20a)와 제2이동부(20b)는 서로 대칭형상으로 회전축(1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바, 제2이동부(20b)의 구성인 제2연결체(23) 및 제2결합체(24)의 형상은 제1연결체(21) 및 제1결합체(22)의 형상과 서로 대칭된다. 제2이동부(20b)의 형상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이동부(20a)의 형상과 대칭되는 바 형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연결체(23)는 외면이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전자석(미도시)이 설치된다. 전자석은 제1연결체(21)의 영구자석의 극성이 발현되는 양 단부에 극성이 발현되도록 배치되며, 특히 전자석이 통전되는 경우 제1연결체(21)의 영구자석과 척력이 발생되도록 배치된다. 즉 영구자석과 전자석은 제1연결체(21)와 제2연결체(23)가 마주하는 양 면에 각각 극성이 발현되도록 설치된다.
제2결합체(24)도 제1결합체(22)와 마주하는 면에 제1이격홈(22a)의 형상과 대칭되는 형상의 제2이격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1이동부(20a)와 제2이동부(20b)가 영구자석 및 전자석의 척력과 캠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경우 상기 이격을 일정범위 내로 한정하기 위해 결합핀(25)이 제1이동부(20a)와 제2이동부(20b)에 형성된 결합홈(25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이동부(20a)와 제2이동부(20b)의 결합이 완전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이격의 범위를 제한한다.
플레이트(30)는 배전선(L)과 수평설치되는 본체(31)와, 일단이 본체(31)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결합체(22) 및 제2결합체(24)를 수평이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아암(32)을 포함한다.
본체(31)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배전선(L)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구멍(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31a)의 직경은 배전선(L)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관통구멍(31a)과 배전선(L)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공기가 흐를 수 있게 하며, 관통구멍(31a)의 직경은 배전선(L)의 직경의 3배가 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체(31)의 상하이동시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아암(32)은 이동부(20)와 마주하는 본체(31)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말단에는 제1결합체(22) 및 제2결합체(24)에 형성된 가이드홈(22b, 24b)에 삽입되어 제1결합체(22) 및 제2결합체(24)를 상하방향으로는 고정 및 수평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32a)가 형성된다. 가이드(32a)는 'ㄷ' 형상인 아암(32)의 말단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격부(40)는 본체(31)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스테핑모터(42)와, 스테핑모터(42)의 회전축에 고정설치되어 제1 및 제2이격홈(22a, 24a)에 내설되는 타원형상의 캠(41)을 포함한다.
캠(41)은 제1 및 제2이격홈(22a, 24a)에 내설되되, 스테핑모터(4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제1 및 제2이격홈(22a, 24a)을 동일한 거리만큼 수평방향으로 이격시켜 결과적으로 제1결합체(22) 및 제2결합체(24)를 강제 이격시킨다.
스테핑모터(42)는 제어부(80)에 의해 한번에 90°씩 회전되게 제어되어 캠(41)을 회전시킨다.
스위퍼(50)는 배전선(L)의 표면에 묻은 수분을 닦아내어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광하협의 원통 형상을 대칭되게 반으로 나누어 각각을 회동축(50a)을 매개로 본체(3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스위퍼(50)의 하단은 배전선(L)과 접촉되어 배전선(L)의 표면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배전선(L)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배전선(L)에 묻은 수분을 보다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배전선(L)의 표면과 접하는 스위퍼(50)의 말단을 고무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위퍼(50)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원통 형상이되, 하방으로 이어지는 경사가 일정하지 않고 일 지점에서 경사를 완만하게 형성하여 플레이트(30)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경우 스위퍼(50)에 가해지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배전선에 더욱 밀착되게 하며, 플레이트(30)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본체(31)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 흐르는 공기에 의해 스위퍼(50)와 배전선(L)과의 접촉을 해제할 수 있게 한다.
관체(1)의 내부 상단에는 속이 빈 사각 프레임 형상의 함체(3)가 관체(1)의 내면과 고정되어 설치된다. 함체(3)의 내부에는 모터(60), 배터리(70), 제어부(80) 및 공동주택의 조명용 LED로 배전선을 분배하기 위한 배전함(2)이 고정설치된다.
모터(60)는 회전축(10)과 연결되어 회전축(10)을 회전시킨다.
배터리(70)는 모터(60), 전자석, 스테핑모터(4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80)는 모터(60), 전자석, 스테핑모터(42)의 동작을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조명용 LED 배전선 절연대의 동작을 제어하며 보다 자세한 제어동작은 하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LED 배전선 절연대의 동작을 설명하면서 설명한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조명용 LED 배전선 절연대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a)는 제1결합체(22)와 제2결합체(24) 및 아암(32)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캠(41)이 회전하여 제1결합체(22)와 제2결합체(24)가 강제로 이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a)는 스위퍼(50)가 배전선(L)에 밀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스위퍼(50)와 배전선(L)과의 밀착이 해제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은 건물의 일부분에 직경이 큰 관체(1)을 설치하여 상기 관체(1)을 통해 각종 배관, 전선 등을 내설하여 외부로 부터 배관 및 전선 등을 보호한다. 상기 관체(1)의 내부에는 배전선(L)과 상수관 및 하수관이 등이 함께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수관 및 하수관 등 물이 흐르는 관들에 같은 공간에 설치된 배전선(L)의 외면에 수분이 묻을 수 있으며 상기 수분이 증발하고 다시 수분이 묻는 현상의 반복에 의해 고무재질로 된 배전선의 피복에 경화가 발생하여 배전선이 갈라지고 심한 경우 배전선 내부의 구리선이 표면으로 드러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조명용 LED 배전선 절연대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플레이트(30)가 배전선(L)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즉, 이 경우 이동부(20)를 구성하는 제1연결체(21)와 제2연결체(23)가 자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결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제1연결체(21) 및 제2연결체(23)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21a, 23a)과 회전축(10)의 나사산(10a)이 서로 나사산결합을 하여 플레이트(30)를 상방에 고정시킨다.
배전선(L)의 외면에 묻은 물을 제거하는 경우 먼저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스테핑모터(42)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석은 자성을 띄게 되고 상기 자성은 제1연결체(21)의 영구자석과 척력을 가지도록 발현된다. 따라서 제1연결체(21)와 제2연결체(23)는 수평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받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핑모터(42)는 전원이 공급될 때마다 90°의 각도로 회전하는 것으로 스테핑모터(42)에 전원이 공급되면 스테핑모터(42)의 회전축에 연결된 캠(41)을 90°로 회전시킨다. 캠(41)의 회전에 의해 제1이격홈(22a)과 제2이격홈(24a)은 서로 이격되게 되어 제1결합체(22)와 제2결합체(24)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다. 전자석은 하강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전원이 공급되며, 스테핑모터(42)는 캠(41)을 90°로 회전시킬 동안만 전원이 공급되고 그 후에는 전원이 차단된다. 전자석과 스테핑모터(42)의 동작에 의해 결과적으로 제1이동부(20a) 및 제2이동부(20b)와 회전축(10)과의 나사산 결합이 해제되게 되고, 이로 인해 이동부(20)와 이동부에 고정연결된 플레이트(30)가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플레이트(30)의 낙하에 의해 스위퍼(50)의 하단은 공기의 저항을 받아 배전선(L)과 더욱 밀착되고 배전선(L)에 묻은 물기를 더욱 잘 닦아낼 수 있다.
플레이트(30)가 낙하하는 경우 관체(1)의 바닥에 닿게 되면 스위퍼(50)가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회전축의 하단에 멈춤돌기(미도시)를 돌출시켜 이동부(20)의 낙하시 이동부(20)의 하면과 접하게 하여 스위퍼(50)가 바닥에 닿아 파손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멈춤돌기의 상면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재질의 완충부재(미도시)를 설치하여 이동부(20)와 멈출돌기와의 충돌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플레이트(30)의 하강동작이 끝난 후에 먼저 스테핑모터(42)에 전원을 공급하여 캠(41)을 90°로 회전시켜 제1 및 제2이격홈(22a, 24a)에 캠(41)이 삽입되게 한다. 제1결합체(22) 및 제2결합체(24)를 강제적으로 이격시키고 있던 캠(41)이 제1 및 제2이격홈(22a, 24a)에 삽입됨으로 인해 제1 및 제2결합체(22, 24)는 서로 밀착가능한 상태가 된다. 스테핑모터(42)가 90°로 회전하고 난 후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제1연결체(21) 및 제2연결체(23)가 제1연결체의 영구자석의 자성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제1연결체(21) 및 제2연결체(23)의 결합에 의해 회전축(10)과 이동부(20)가 나사산 결합을 하게 되며, 그 후 모터(60)에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축(10)을 회전시켜 이동부(20)를 상승시킨다.
이동부(20)의 상승동작에 의해 본체(31)의 관통구멍(31a)을 통해 하방으로 공기가 이동하며 상기 공기의 이동은 스위퍼(50)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스위퍼(50)가 바깥쪽으로 회동하게 되어 배전선(L)과의 밀착이 해제되게 된다. 이는 플레이트(30)의 하강동작에 의해 스위퍼(50)의 하단에 물이 묻어 있을 수 있으며, 그대로 상승하는 경우 배전선(L)의 표면에 다시 물이 묻게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플레이트(30)가 초기 위치(즉, 플레이트가 하강하기 전의 위치)로 상승하게 되면 모터(6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플레이트(30)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제어부의 제어는 외부에 컨트롤박스를 설치하여 수동으로 실시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일정시간을 주기로 반복동작할 수 있게 실시할 수도 있다.
관체(1)의 내부에 설치된 상수관 또는 하수관이 파손되거나 균열이 발생한 경우 관체(1)의 저면으로 모인 물의 수압에 의해 관체(1)의 하단에 형성된 배수판(4)이 관체(1)의 외측으로 회동하게 되어 관체(1)에 고인 물을 배수홈(1a)을 통해 관체(1)의 외부로 배출한다.
반면에 홍수 등에 의해 건물이 물에 잠기는 경우에는 관체(1)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이 불가능한 배수판(4)의 구조 때문에 관체(1) 외부의 물이 관체(1)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1; 관체 1a; 배수홈 4; 배수판
10; 회전축 20; 이동부 30; 플레이트
40; 이격부 50; 스위퍼 60; 모터
70; 배터리 80; 제어부

Claims (1)

  1. 원형의 관 형상으로 하단에 배수홈(1a)이 형성된 관체(1);
    상기 관체(1)의 하단에 상기 관체의 외측 방향으로만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수홈(1a)을 개폐하는 배수판(4);
    외면에 나사산(10a)이 형성되어 배전선(L)과 나란하게 입설되는 회전축(10);
    내면에 나사산(21a)이 형성되고 양 단부에 양 극성이 각각 발현되는 영구자석으로 된 반원통 형상으로 상기 회전축(1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연결체(21)와 상기 제1연결체(21)의 일 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일면에 제1이격홈(22a)이 형성된 제1결합체(22)로 구성되는 제1이동부(20a)와, 내면에 나사산(23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을 감싸도록 상기 제1연결체(21)와 마주보게 설치되며 상기 제1연결체(21)와 마주하는 면에 극성이 발현되도록 내설되어 통전이 되는 경우 상기 영구자석과 척력이 발생되는 전자석이 내설된 반원통 형상의 제2연결체(23)와 상기 제1결합체(22)와 마주보게 상기 제2연결체(23)의 일 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이격홈(22a)과 마주하는 면에 제2이격홈(24a)이 형성된 제2결합체(24)로 구성된 제2이동부(20b)를 갖춘 이동부(20);
    상기 배전선(L)이 관통하도록 관통구멍(31a)이 형성되고 수평배치된 본체(31)와, 일단이 상기 본체(31)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2, 24)를 수평이동하게 고정하는 아암(32)을 갖춘 플레이트(30);
    상기 제1 및 제2이격홈(22a, 24b)에 내설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체(22, 24)를 수평으로 강제이격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상기 아암(32)에 고정되는 타원형상의 캠(41)과, 상기 아암(32)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캠(41)을 회전시키는 스테핑모터(42)를 갖춘 이격부(40);
    하단이 상기 배전선(L)의 외면의 절반을 감싸고 상단이 상기 본체(31)에 회동축(50a)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플레이트(30)가 낙하하는 경우 공기의 저항에 의해 상기 배전선(L)에 서로 밀착되고, 상기 플레이트(30)가 상승하는 경우 공기의 저항에 의해 상기 배전선(L)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쌍이 상기 배전선(L)을 상호접합시 상광하협의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된 스위퍼(50);
    상기 회전축(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0);
    상기 모터(60), 상기 전자석 및 상기 스테핑모터(42)를 동작시키기 위한 배터리(70); 및
    상기 플레이트(30)를 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스테핑모터(42)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이동부(20)와 회전축(10)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플레이트(30)를 낙하시키며, 상기 플레이트(30)를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스테핑모터(42)에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이동부(20)와 회전축(10)을 결합시키고 상기 모터(60)에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축(10)을 회전시켜 상기 플레이트(30)를 상승시키는 제어부(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20110102606A 2011-10-07 2011-10-07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112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606A KR101112750B1 (ko) 2011-10-07 2011-10-07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606A KR101112750B1 (ko) 2011-10-07 2011-10-07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750B1 true KR101112750B1 (ko) 2012-03-13

Family

ID=4614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606A KR101112750B1 (ko) 2011-10-07 2011-10-07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7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117B1 (ko) 2012-06-20 2012-10-19 주식회사 나우기술단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476637B1 (ko) * 2014-10-02 2014-12-26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실내전기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985508B1 (ko) 2019-01-24 2019-06-03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의 배전선 연결기구
CN109888687A (zh) * 2019-03-20 2019-06-14 上海睿中实业股份公司 一种新型漏泄电缆固定卡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134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용적가변형 머플러
KR20060099000A (ko) * 2005-03-10 200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차저의 브레이크 장치
KR100865942B1 (ko) 2008-07-28 2008-10-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공용 조명기형 제어반
KR100899575B1 (ko) 2008-08-20 2009-05-27 한인택 지중배전선로용 지상기기의 외함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134A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용적가변형 머플러
KR20060099000A (ko) * 2005-03-10 200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차저의 브레이크 장치
KR100865942B1 (ko) 2008-07-28 2008-10-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공용 조명기형 제어반
KR100899575B1 (ko) 2008-08-20 2009-05-27 한인택 지중배전선로용 지상기기의 외함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117B1 (ko) 2012-06-20 2012-10-19 주식회사 나우기술단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476637B1 (ko) * 2014-10-02 2014-12-26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실내전기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985508B1 (ko) 2019-01-24 2019-06-03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의 배전선 연결기구
CN109888687A (zh) * 2019-03-20 2019-06-14 上海睿中实业股份公司 一种新型漏泄电缆固定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565B1 (ko) 공동주택의 조명용 엘이디 배전선 절연대
KR101112750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2007679B1 (ko) 배전 선로의 지중 전선 연결용 커넥터 설비
KR102273249B1 (ko) 내진 및 누전 방지기능을 갖는 공동주택 단지용 전기 맨홀 구조체
KR101271746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EP3263803A1 (en) Substation
KR101110749B1 (ko)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
CN113708308A (zh) 一种基于重力挤压闭合的电缆桥架
KR101179210B1 (ko) 공동주택의 조명용 led 배전선 절연대
KR102343423B1 (ko) 공동주택 단지내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체
KR101727007B1 (ko) 공공주택의 전기배전 선로구조
KR20170032756A (ko) 기포를 이용한 전기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CN205300704U (zh) 一种110kV变电站电缆层水位警报装置
KR100857098B1 (ko)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
KR101935524B1 (ko) 공동주택 벽체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JP5056343B2 (ja) 発電装置の地下埋設構造
KR101318396B1 (ko)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476637B1 (ko) 실내전기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777784B1 (ko) 공동주택의 조명용 엘이디 배전선 절연대
KR101570524B1 (ko) 공동주택의 조명용 엘이디(led) 배전선 절연대
KR100890103B1 (ko) 천정 출몰형 콘센트
KR100883192B1 (ko) 매설형 배전선로의 설치구조
KR20180042665A (ko) 맨홀 침수 확인 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침수 확인 장치
KR101943369B1 (ko) 지중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CN209217546U (zh) 变电站防火隔板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