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098B1 -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 - Google Patents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098B1
KR100857098B1 KR1020080037938A KR20080037938A KR100857098B1 KR 100857098 B1 KR100857098 B1 KR 100857098B1 KR 1020080037938 A KR1020080037938 A KR 1020080037938A KR 20080037938 A KR20080037938 A KR 20080037938A KR 100857098 B1 KR100857098 B1 KR 100857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hinge portion
plate
center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영
Original Assignee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03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어 전선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천장전선함에 관한 것으로서, 종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철부(11,12)가 형성되고 양측에서 내측 상방으로 형성된 각 경사면(13)의 상단부에 힌지부(14)가 각각 형성된 요철판(10)과, 하단부가 상기 요철판(10)의 중앙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부가 슬래브(1)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요철판(10)을 지지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양측면의 하단이 상기 경사면(13)의 양측면의 상단과 동일간격으로 이격되는 경사면(32)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루프(30)와, 상기 경사면(13)의 힌지부(14)에 힌지결합되어 경사면(32)의 하단부에 결속되는 회동패널(40)과, 상기 요철판(10)의 요부(11) 상에 종방향으로 각각 삽입되어 중앙에 삽입되는 전선(2)을 양측에서 탄성지지하는 다수의 전선탄지대(50)를 포함하므로, 배선된 각 전선들을 구분하여 지지 및 보호하여 전선의 훼손이나 누전 등을 방지하고, 측면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 또는 교체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공동주택, 천장전선함, 요철판, 회동패널, 전선탄지대

Description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Ceiling Wire Box capable of easily Replacing and Installing Wires i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어 전선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천장전선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요철판의 각 요부 내에 전선을 양쪽에서 탄성지지하는 탄지부재를 각각 설치하여 배선된 각 전선을 구분하여 압박지지토록 함으로써 전선의 훼손이나 누전 등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지 및 보호되도록 하고, 경사진 양 측면에 개방할 수 있는 회동패널을 설치하여 측면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 또는 교체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는 전원공급을 위하여 다수의 전선들이 천장인 슬래브 하부와 벽체를 따라 배선되며, 이렇게 배선된 전선들은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체무게로 하부로 처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선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고 각각의 공간으로 배선되는 전선들을 분류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내구성과 제작 편의를 위하여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전선들과 접촉된 상태로 지지하므로, 노후화 등으로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전선들 간의 접촉부분이나 이음부분을 통하여 누전되면 전류가 케이블 트레이를 통하여 넓은 범위까지 전도되어 전력손실뿐만 아니라 감전위험도 높아지게 된다.
또한, 배선된 전선을 점검하거나 문제가 발생할 경우 보수 또는 교체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트레이 위로 올라가서 확인해야함에 따라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적절한 보수나 교체를 위해서는 케이블 트레이를 해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선된 각 전선들을 구분하여 지지 및 보호하여 전선의 훼손이나 누전 등을 방지하고, 측면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 또는 교체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에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요부와 철부를 구비하고, 양측 단부에서 상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힌지부를 구비한 요철판;
하단부가 상기 요철판의 중앙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부에 볼트부가 형성되어 슬래브에 매설된 매설너트와 나사결합되는 지지봉;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일정각도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마다 상부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돌출볼트를 구비하여, 상기 요철판에 형성된 경사면의 일측 상단과 경사면의 일측 하단 및 요철판에 형성된 경사면의 타측 상단과 경사면의 타측 하단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통공을 관통한 지지봉 상부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는 루프;
일측 단부에 상기 힌지부와 맞물리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볼트가 관통되도록 타측 가장자리에 일정간격마다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맞물린 힌지부와 힌지부를 관통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경사면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경사면의 하단부와 결속되는 회동패널; 및
Figure 112008029158995-pat00001
형 단면이며 비전도체로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과, 제1 철판과 제2 철판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곡면부를 전면에 구비한 비전도체인 밀착대가 상기 제2 철판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 양측에 곡면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탄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요철판의 요부 상에 종방향으로 각각 삽입되어 중앙에 삽입되는 전선을 양측에서 탄성지지하는 전선탄지대; 를 포함하는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에 의하면,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된 요철판의 각 요부 내에 전선을 양쪽에서 탄성지지하는 탄지부재를 각각 설치하여 배선된 각 전선을 구분하여 압박지지토록 함으로써 전선의 훼손이나 누전 등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지지 및 보호되도록 하고, 경사진 양 측면에 개방할 수 있는 회동패널을 설치하여 측면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 또는 교체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장전선함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은, 종방향을 따라 다수의 요철부(11,12)가 형성되고 양측에서 내측 상방으로 형성된 각 경사면(13)의 상단부에 힌지부(14)가 각각 형성된 요철판(10)과, 하단부가 상기 요철판(10)의 중앙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부가 슬래브(1)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요철판(10)을 지지하는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요철판(10)에 형성된 경사면(13)의 일측상단과 경사면(32)의 일측하단 및 요철판(10)에 형성된 경사면(13)의 타측상단과 경사면(32)의 타측하단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통공(31)을 관통한 지지봉(20) 상부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는 루프(30)와, 상기 경사면(13)의 힌지부(14)에 힌지결합되어 경사면(32)의 하단부에 결속되는 회동패널(40)과, 상기 요철판(10)의 요부(11) 상에 종방향으로 각각 삽입되어 중앙에 삽입되는 전선(2)을 양측에서 탄성지지하는 다수의 전선탄지대(5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장전선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요철판, 지지봉, 루프 및 회동패널에 대한 상부측 및 하부측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요철판(10)은 내부에 전선(2)들을 구분되게 수용하는 부재로서, 바닥면에는 다수의 요부(11)와 철부(12)가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양측 단부에는 경사면(13)이 상방 내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13)의 상단부에는 힌지부(14)가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14)에는 회동패널(40)이 힌지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봉(20)은 금속재질의 봉형상 부재로서, 그 하단부는 상 기 요철판(10)의 중앙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고, 볼트부(21)가 형성된 상단부는 슬래브(1)에 매설된 매설너트(22)와 나사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봉(20)은 요철판(10)을 슬래브(1)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루프(30)는 지지봉(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패널 부재로서, 도 2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는 상기 지지봉(20)이 관통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통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각각 일정각도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된 경사면(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32)은 요철판(10)의 경사면(13)과 동일한 경사로 형성되며, 상기 요철판(10)에 형성된 경사면(13)의 일측 상단과 경사면(32)의 일측 하단 및 요철판(10)에 형성된 경사면(13)의 타측 상단과 경사면(32)의 타측 하단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32)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일정간격마다 돌출볼트(33)가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하기 회동패널(40)의 관통공(43)과 결속되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상기 요철판(10)과 지지봉(20)이 접촉하는 부분과 루프(30)와 지지봉(20)이 접촉하는 부분에는 각각 패킹(23)이 설치되는데, 이는 누수 등에 의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패널(40)은 하부가 경사면(13)의 힌지부(14)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부가 루프(30)의 경사면(32) 하단부와 결속되는 부재로서, 일측 단부에는 상기 힌지부(14)와 맞물리는 힌지부(41)를 구비하고 있고, 타측 단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마다 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패널(40)은 힌지부(14)와 힌지부(41)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힌지축(42)으로 관통되어, 상기 힌지축(42)을 중심으로 경사면(13)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패널(40)이 상부로 회동될 경우 상기 돌출볼트(33)들이 관통공(43)들 내에 삽입되므로 관통된 각 돌출볼트(33)들의 단부에 너트(34)를 각각 결합시키면 루프(30)의 경사면(32)과 요철판(10)의 경사면(13) 사이의 개방된 측면을 폐쇄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탄지대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전선탄지대(50)는 상기 요철판(10)의 요부(11) 상에 종방향으로 각각 삽입되며, 중앙에 삽입되는 전선(2)을 양측에서 탄성지지함으로써 각 전선(2)들을 구분하여 지지 및 보호하는 부재로서, 프레임(51)과 탄지부재(5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51)은 길이가 길며 단면이
Figure 112008029158995-pat00002
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요부(11)마다 각각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탄지부재(59)는 제1 철판(52)과 제2 철판(54) 사이를 다수의 스프링(53)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철판(54) 전면에 밀착대(56)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철판(54)의 전면에는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55)가 상하에 수평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밀착대(56)의 배면에는 돌출부(55)에 대응하는 장홈(57)이 상하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돌출부(55)가 장홈(57)과 결속됨으로써 밀착대(56)와 제2 철판(54)이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착대(56)의 전면에는 곡면부(5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밀착대(56)를 전선(2)의 외부면과 밀착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지부재(59)는 제1 철판(52)이 프레임(51)의 내측 수직면과 접 촉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양쪽 밀착대(56)의 곡면부(58)가 중앙에 배치되므로, 그 중앙부분에 배선되는 전선(2)을 양측에서 탄성지지하게 되어 전선을 더욱 안정되게 지지하고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1)과 밀착대(56)의 재질은 플라스틱 등의 비전도체로 형성되므로 전선(2)으로부터 누전 등이 발생할 경우 외부로 전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장전선함의 사용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장전선함이 슬래브(1) 하부에 전선(2)들을 수용하며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선(2)의 상태 또는 단락 여부를 점검하는 경우, 먼저 돌출볼트(33)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34)를 풀고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동패널(40)을 아래로 회동시키면 측면이 개방되어, 내부의 전선(2)들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점검이나 교체작업이 끝나면 다시 회동패널(40)의 관통공(43)에 돌출볼트(33)를 삽입시키고 너트(34)로 결합시킴으로써 전선(2)이 탄지되어 보호되는 원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장전선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장전선함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장전선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장전선함의 요철판, 지지봉, 루프 및 회동패널에 대한 상부측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하부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장전선함의 전선탄지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장전선함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슬래브 2:전선
10:요철판 11:요부
12:철부 13:경사면
14:힌지부 20:지지봉
21:볼트부 22:매설너트
30:루프 31:통공
32:경사면 33:돌출볼트
40:회동패널 41:힌지부
42:힌지축 43:관통공
50:전선탄지대 51:프레임
52:제1 철판 53:스프링
54:제2 철판 55:돌출부
56:밀착대 57:장홈
58:곡면부 59:탄지부재

Claims (1)

  1. 바닥에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요부(11)와 철부(12)를 구비하고, 양측 단부에서 상방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3)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면(13)의 단부에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힌지부(14)를 구비한 요철판(10);
    하단부가 상기 요철판(10)의 중앙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단부에 볼트부(21)가 형성되어 슬래브(1)에 매설된 매설너트(22)와 나사결합되는 지지봉(20);
    중앙에 통공(3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일정각도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32)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면(3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마다 상부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돌출볼트(33)를 구비하여, 상기 요철판(10)에 형성된 경사면(13)의 일측 상단과 경사면(32)의 일측 하단 및 요철판(10)에 형성된 경사면(13)의 타측 상단과 경사면(32)의 타측 하단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통공(31)을 관통한 지지봉(20) 상부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는 루프(30);
    일측 단부에 상기 힌지부(14)와 맞물리는 힌지부(41)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볼트(33)가 관통되도록 타측 가장자리에 일정간격마다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43)을 구비하여, 상기 맞물린 힌지부(14)와 힌지부(41)를 관통하는 힌지축(42)을 중심으로 경사면(13)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경사면(32)의 하단부와 결속되는 회동패널(40); 및
    Figure 112008050549274-pat00003
    형 단면이며 비전도체로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51)과, 제1 철판(52)과 제2 철판(54)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스프링(53)으로 이루어지며 곡면부(58)를 전면에 구비한 비전도체인 밀착대(56)가 상기 제2 철판(54)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프레임(51)의 내부 양측에 곡면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탄지부재(59)를 구비하여, 상기 요철판(10)의 요부(11) 상에 종방향으로 각각 삽입되어 중앙에 삽입되는 전선(2)을 양측에서 탄성지지하는 전선탄지대(50); 를 포함하는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
KR1020080037938A 2008-04-23 2008-04-23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 KR100857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938A KR100857098B1 (ko) 2008-04-23 2008-04-23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938A KR100857098B1 (ko) 2008-04-23 2008-04-23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098B1 true KR100857098B1 (ko) 2008-09-05

Family

ID=4002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938A KR100857098B1 (ko) 2008-04-23 2008-04-23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0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109B1 (ko) 2009-09-30 2010-02-02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천정 전기배선 안전장치
KR101143877B1 (ko) 2012-02-16 2012-05-09 (주)하나전력기술단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20160047896A (ko) * 2014-10-23 2016-05-0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멀티 케이블 연결 조립체
KR102277790B1 (ko) * 2020-07-09 2021-07-15 주식회사 대성사 가공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단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9806A (ja) * 2005-06-30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9806A (ja) * 2005-06-30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供給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1998-062479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109B1 (ko) 2009-09-30 2010-02-02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천정 전기배선 안전장치
KR101143877B1 (ko) 2012-02-16 2012-05-09 (주)하나전력기술단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KR20160047896A (ko) * 2014-10-23 2016-05-0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멀티 케이블 연결 조립체
KR101635051B1 (ko) 2014-10-23 2016-06-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멀티 케이블 연결 조립체
KR102277790B1 (ko) * 2020-07-09 2021-07-15 주식회사 대성사 가공 배전선로의 전자파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098B1 (ko) 교체 및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
US7735794B1 (en) Adjustable fixture mounting bracket for suspended ceiling
KR100955656B1 (ko) 천장 매입형 led 조명등
WO2011096043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ケーブルホルダ
KR20150120791A (ko)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KR20160001575U (ko) 안내용 사인구조
KR101724094B1 (ko) 공동주택의 조명용 엘이디 배전선 절연대
KR101039828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KR100848822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천장전선함
KR101200980B1 (ko) 양면 전광판 프레임
KR20120023442A (ko) 전광판 프레임
CN207475027U (zh) 一种防潮防雨的电力转接装置
KR20110092955A (ko) 조명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정구조
JP2019090165A (ja) 屋根上設置物の取付構造
KR101967166B1 (ko) 공동주택용 천장형 케이블트레이
JP6933715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EP3209595A1 (en) Flange cover mounting and dismounting device and cooling device
KR102359418B1 (ko) 공동주택 단지의 지중배전선로 위치 감시장치
WO2019092303A1 (en) Plastic enclosure for enclosing industrial components
US20180142848A1 (en) Wall-mounted luminaire
JP2009183130A (ja) 配電機器を収納した外箱におけるケーブルブラケットの取り付け構造
KR100466338B1 (ko) 피뢰 설비 고정용 플레이트
JP2006167363A (ja) 棚板装置
KR200465088Y1 (ko) 외벽설치용 돌출형 간판지지장치
US10634293B1 (en) Retrofit light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