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729B1 -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729B1
KR102486729B1 KR1020220042235A KR20220042235A KR102486729B1 KR 102486729 B1 KR102486729 B1 KR 102486729B1 KR 1020220042235 A KR1020220042235 A KR 1020220042235A KR 20220042235 A KR20220042235 A KR 20220042235A KR 102486729 B1 KR102486729 B1 KR 102486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ensor
insertion hole
outle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to KR1020220042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단자삽입공을 차폐하거나 개방하는 동작이 차폐판과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물체센서와 플러그센서에 의해 젓가락이나 쇠고챙이와 플러그를 구분하여 감지함으로써 내부차단 방식을 적용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실제 콘센트에 적용하는 데에 무리가 없으며, 콘센트의 플러그삽입홈에 진입하는 모든 물체를 감지함과 아울러 플러그의 진입을 감지하여 진입하는 물체가 진입하는 물체가 플러그이면 플러그단자삽입공을 개방하여 플러그의 삽입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플러그가 아니면 플러그단자삽입공을 차폐하여 어린이들이 젓가락이나 쇠꼬챙이 등을 콘센트에 삽입하지 못하게 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함과 아울러 어린이를 제외한 세대원들의 지문을 인식하여 플러그단자삽입공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정상적인 플러그의 삽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ccident in apartment house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분야 기술 중에서,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ce)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내부차단 방식을 적용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실제 콘센트에 적용하는 데에 무리가 없으며, 콘센트의 플러그삽입홈에 진입하는 모든 물체를 감지함과 아울러 플러그의 진입을 감지하여 진입하는 물체가 진입하는 물체가 플러그이면 플러그단자삽입공을 개방하여 플러그의 삽입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플러그가 아니면 플러그단자삽입공을 차폐하여 어린이들이 젓가락이나 쇠꼬챙이 등을 콘센트에 삽입하지 못하게 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함과 아울러 어린이를 제외한 세대원들의 지문을 인식하여 플러그단자삽입공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정상적인 플러그의 삽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전기계통은 분전함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와 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되어 벽체와 천장에 매설되는 전열배선과 전등배선 및 스위치배선과, 벽체에 매설되어 전열배선에 연결되는 콘센트 및, 천장에 설치되어 전등배선과 스위치배선에 연결되는 전등을 포함한다.
전열배선과 전등배선 및 스위치배선은 절연관에 삽입된 상태로 벽체와 천장에 매설된다.
전등은 천장에 설치되어 있고 전등배선과 스위치배선은 벽체와 천장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가 아니면 평상시 감전될 염려가 없다.
콘센트는 벽체에 매설되며 플러그가 삽입되는 단자접속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 작업을 하지 않는 평상시에도 어린이들이 단자삽입공에 젓가락이나 쇠꼬챙이 등을 삽입하여 감전사고를 당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한다.
공동주택의 전기계통 중 콘센트 이외의 전열배선과 전등배선 및 스위치배선은 벽체와 천장에 매설되어 있고, 전등은 대체로 어린이들이 접근할 수 없는 천장 등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분전함도 벽체의 상단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평상시 도어에 의해 닫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서는 감전사고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들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어린이들이 콘센트의 단자삽입공에 젓가락이나 쇠꼬챙이 등을 삽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감전을 방지하는 기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커버를 구비하여 단자삽입공을 차단하는 외부차단 방식과, 단자삽입공에 젓가락이나 쇠꼬챙이를 삽입하더라도 전류가 흐르는 단자부나 전선에 닿지 않게 하는 내부차단 방식으로 구분된다.
외부차단 방식의 감전사고 방지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6882호(2013.11.01.)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4354호(2010.07.30.) "공동주택의 감전사고방지형 콘센트" 등이 있다.
내부차단 방식의 감전사고 방지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2665호(2017.05.26.)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3694호(2017.11.25.) "안전 콘센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외부차단 방식의 경우, 대부분의 커버가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쉽게 탈락하거나 파손되어 제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내부차단 방식의 경우, 대체로 구조가 복잡하여 실제 콘센트에 적용하는 데에는 다소 무리가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6882호(2013.11.01.)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4354호(2010.07.30.) "공동주택의 감전사고방지형 콘센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2665호(2017.05.26.)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3694호(2017.11.25.) "안전 콘센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차단 방식을 적용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실제 콘센트에 적용하는 데에 무리가 없으며, 콘센트의 플러그삽입홈에 진입하는 모든 물체를 감지함과 아울러 플러그의 진입을 감지하여 진입하는 물체가 진입하는 물체가 플러그이면 플러그단자삽입공을 개방하여 플러그의 삽입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플러그가 아니면 플러그단자삽입공을 차폐하여 어린이들이 젓가락이나 쇠꼬챙이 등을 콘센트에 삽입하지 못하게 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함과 아울러 어린이를 제외한 세대원들의 지문을 인식하여 플러그단자삽입공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정상적인 플러그의 삽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전함에 설치된 누전차단기에 연결된 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되는 전열 배선에 연결되는 콘센트와;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에 있어서, 콘센트는 전면판이 결합되는 박스형으로 형성되는 콘센트본체와, 전면판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플러그단자삽입공이 형성되는 홈수직판과, 전면판과 홈수직판을 일체로 연결하는 홈원통부로 이루어지는 플러그삽입홈과, 콘센트본체의 내부에 플러그단자삽입공과 동축으로 설치되며 전열배선에 연결되는 플러그단자접속구를 포함하며, 플러그는 플러그삽입홈에 삽입되며 홈수직판에 대응하는 후면판과 홈원통부에 대응하는 원통부를 가지는 플러그본체와, 플러그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드부싱부와, 플러그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후면판을 통해 돌출되는 플러그단자를 포함하고, 홈수직판의 후면과 플러그단자접속구의 전단 사이의 간극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러그단자삽입공을 차폐 또는 개방하는 차폐판과, 차폐판을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와, 플러그삽입홈에 진입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센서와, 플러그삽입홈에 진입하는 물체가 플러그인지를 감지하는 플러그센서와, 콘센트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지문센서와, 물체센서의 물체진입감진신호와 플러그센서의 플러그진입감지신호 및 지문센서의 감지지문정보를 전달받으며, 솔레노이드에 개방명령 또는 차폐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어부에 물체센서에 의한 물체감지신호가 전달되고, 플러그센서에 의한 플러그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차폐명령을 출력하고, 제어부의 차폐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작동봉이 하향 전진하고, 차폐판이 하강하여 플러그단자삽입공을 차폐하며, 플러그삽입홈에 플러그가 진입될 때, 물체센서에 의한 물체감지신호와 플러그센서에 의한 플러그감지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면 제어부가 개방명령을 출력하고, 제어부의 개방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작동봉이 상향 후퇴하고, 차폐판이 상승하여 플러그단자삽입공을 개방하며, 제어부에는 세대원 중 어린이를 제외한 세대원들의 지문을 모두 저장되고, 지문센서에 의한 지문감지정보가 전달되면 미리 저장된 지문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지문감지정보가 지문등록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면 개방명령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에 의하면 플러그단자삽입공을 차폐하거나 개방하는 동작이 차폐판과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물체센서와 플러그센서에 의해 젓가락이나 쇠고챙이와 플러그를 구분하여 감지함으로써 내부차단 방식을 적용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실제 콘센트에 적용하는 데에 무리가 없으며, 콘센트의 플러그삽입홈에 진입하는 모든 물체를 감지함과 아울러 플러그의 진입을 감지하여 진입하는 물체가 진입하는 물체가 플러그이면 플러그단자삽입공을 개방하여 플러그의 삽입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플러그가 아니면 플러그단자삽입공을 차폐하여 어린이들이 젓가락이나 쇠꼬챙이 등을 콘센트에 삽입하지 못하게 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함과 아울러 어린이를 제외한 세대원들의 지문을 인식하여 플러그단자삽입공이 개방되게 함으로써 정상적인 플러그의 삽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공동주택의 전기계통을 보인 배선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콘센트와 플러그의 분리된 상태를 정면과 후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콘센트와 플러그의 삽입된 상태를 정면과 후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플러그단자삽입공이 차폐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플러그단자삽입공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플러그단자삽입공이 차폐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능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은 공동주택의 전기계통을 보인 배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동주택의 전기계통은 분전함(VDB)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와 배선용 차단기(도시생략)에 연결되어 벽체와 천장에 매설되는 전열배선(10)과 전등배선(20) 및 스위치배선(30)과, 벽체에 매설되어 전열선(10)에 연결되는 콘센트(100)와, 천장에 설치되어 전등배선(20)과 스위치배선(30)을 통해 스위치(40)에 연결되는 전등(L)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콘센트와 플러그의 분리된 상태를 정면과 후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콘센트와 플러그의 삽입된 상태를 정면과 후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플러그단자삽입공이 차폐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플러그단자삽입공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플러그단자삽입공이 차폐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콘센트(100)는 전면판(111)이 결합되는 박스형으로 형성되는 콘센트본체(110)와, 전면판(111)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플러그단자삽입공(123)이 형성되는 홈수직판(121)과, 전면판(111)과 홈수직판(121)를 일체로 연결하는 홈원통부(122)로 이루어지는 플러그삽입홈(120)과, 콘센트본체(110)의 내부에 플러그단자삽입공(123)과 동축으로 설치되며 전열배선(10)에 연결되는 플러그단자접속구(130)를 포함한다.
콘센트본체(110)는 절연재질에 의하여 전후면이 개방된 상자 형태로 형성되며, 콘센트본체(110)와 전면판(111)은 고주파 접합 또는 접착제 또는 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플러그단자접속구(130)는 후단부에 전열배선(10)이 연결되는 접속단자(131)가 형성된다.
플러그단자접속구(130)는 콘센트본체(110)의 후단에 형성된 지지판(132)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홀더(133)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지지판(132)에는 접속단자(131)가 통과하는 통공(134)이 형성된다.
플러그(200)는 플러삽입홈(120)에 삽입되며 홈수직판(121)에 대응하는 후면판(211)과 홈원통부(122)에 대응하는 원통부(212)를 가지는 플러그본체(210)와, 플러그본체(2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드부싱부(220)와, 플러그본체(210)의 내부에 고정되고 후면판(211)을 통해 돌출되는 플러그단자(230)를 포함한다.
콘센트본체(110)와 플러그본체(210) 및 코드부싱부(220)는 절연재질로 형성된다.
플러그단자(230)는 도전체로 구성되며, 플러그본체(210) 내에 고정되고, 돌출된 부분은 절연피복(232)으로 피복하여 선단에 접촉부(231)가 노출된다.
절연체(232)와 접촉부(231)가 모두 플러그단자접속구(130)에 삽입되지만 절연피복(232)은 플러그단자접속구(1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플러그단자접속구(130)에 접촉되지 않고, 접촉부(231)만 플러그단자접속구(130)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단자(230)가 접촉부(234)만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단자접속구(130)의 전단부가 홈수직판(12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홈수직판(121)의 후면과 플러그단자접속구(130)의 전단 사이의 간극에 형성되게 할 수 있다.
플러그단자(230)에는 코드(221)가 연결되어 코드부싱부(220)를 통해 인출된다. 이 코드(221)는 전자제품 등의 전기장치의 전원코드이거나 멀티콘센트의 코드일 수 있다.
콘센트본체(110)의 내부에는 플러그단자접속구(130)에 젓가락이나 쇠꼬챙이 등이 삽입되지 않게 하여 감전을 방지하는 감전방지수단(300)이 구비된다.
감전방지수단(300)은 홈수직판(121)의 후면과 플러그단자접속구(130)의 전단 사이의 간극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러그단자삽입공(123)을 차폐 또는 개방하는 차폐판(310)과, 차폐판(310)을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320)와, 플러그삽입홈(120)에 진입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센서(330)와, 플러그삽입홈(120)에 진입하는 물체가 플러그(200)인지를 감지하는 플러그센서(340)와, 콘센트본체(1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지문센서(350)와, 물체센서(330)의 물체진입감진신호와 플러그센서(340)의 플러그진입감지신호 및 지문센서(350)의 감지지문정보를 전달받으며, 솔레노이드(320)에 개방명령 또는 차폐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도시예에서는 차폐판(31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플러그단자삽입공(123)과 플러그단자접속구(130)가 좌우로 배치되어 있어 차폐판(310)을 좌우로 이동되게 하는 것보다 상하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 차폐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차페판(310)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차폐판(310)을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32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콘센트(100)의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등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플러그단자삽입공(123)이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이동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차폐판(310)은 콘센트본체(110)의 좌우측판 내측면에 구비된 안내레일(311)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안내레일(311)은 콘센트본체(110)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나사체결에 의해 콘센트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안내레일(311)은 차폐판(310)의 양단부가 삽입 안내되는 안내홈(312)을 가지는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하되, 홈원통부(122)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절취부를 형성한다.
또한 홈수직판(121)의 후면은 안내레일(311)과 함께 차폐판(31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솔레노이드(320)는 선단이 차폐판(310)에 연결되는 작동봉(321)을 가지며,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봉(321)이 전진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작동봉(321)이 후퇴하는 형식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레노이드(320)를 장착하기 위하여 안내레일(311)의 상단에 장착대(322)이 구비된다. 장착대(322)에는 작동봉(321)이 관통하는 통공(323)이 형성된다.
장착대(322)는 안내레일(31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320)는 장착대(322)에 나사체결에 의해 장착될 수 있고, 작동봉(321)의 선단과 차폐판(310)은 통상적인 나사체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물체센서(330)는 홈원통부(122)의 일측에 설치되는 발광부(331)와, 그 반대측에 설치되는 수광부(332)를 포함하는 포토커플러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삽입홈(120)의 홈원통부(122)에는 발광부(331)와 수광부(332)에 대응하는 투광창(333, 334)이 구비된다.
물체센서(330)는 젓가락이나 쇠꼬챙이는 물론 플러그(200)도 감지한다.
플러그센서(340)는 플러그(200) 측에 설치되는 자석(341)과, 콘센트(100) 측에 설치되는 리드스위치(34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석(331)은 후면판(211)에 설치하고, 리드스위치(332)는 홈수직판(121)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홈수직판(121)의 후면에 설치되는 차폐판(310)과 리드스위치(332)가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자석(331)은 원통부(212)에 설치하고, 리드스위치(332)는 홈원통부(122)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문센서(350)는 콘센트본체(110)의 전면판(111)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지문을 인식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지문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360)에 물체센서(330)에 의한 물체감지신호가 전달되고, 플러그센서(340)에 의한 플러그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제어부(360)는 차폐명령을 출력한다.
제어부(360)의 차폐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320)의 작동봉(321)이 하향 전진하고, 차폐판(310)이 하강하여 플러그단자삽입공(123)을 차폐하게 된다.
여기서 물체센서(330)는 플러그삽입홈(120)에 진입되는 젓가락이나 쇠꼬챙이 등과 플러그(200)를 구분하지 못하고, 단지 물체가 진입하는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하지만, 젓가락이나 쇠꼬챙이 등은 플러그센서(340)에 의해 감지되지 않으므로 젓가락이나 쇠꼬챙이 등과 플러그(200)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러그삽입홈(120)에 플러그(200)가 진입될 때, 물체센서(330)가 플러그(200)를 물체로 간주하여 물체감지신호가 제어부(360)에 전달되지만 동시에 플러그센서(340)에 의한 플러그감지신호가 제어부(360)에 전달되어 제어부(360)가 개방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물체센서(330)가 플러그(200)를 물체로서 감지하여 물체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제어부(360)에 플러그센서(340)에 의한 플러그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360)는 개방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360)의 개방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320)의 작동봉(321)이 상향 후퇴하고, 차폐판(310)이 상승하여 플러그단자삽입공(123)을 개방하게 된다.
또한 플러그센서(340)에 의한 플러그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더라도 지문센서(350)에 의한 지문감지정보가 전달되면 미리 저장된 지문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지문감지정보와 지문등록정보가 일치하면 개방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360)에는 세대원 중 어린이를 제외한 세대원들의 지문을 모두 저장하고 있으면서 지문센서(540)로부터 전달받은 지문감지정보가 저장된 지문등록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면 개방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플러그삽입홈(120)에 플러그(200)를 삽입하기 전에 미리 지문을 인식시켜 플러그단자삽입공(123)이 개방되도록 하여 정상적인 플러그(200)의 삽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어부(360)는 모듈화하여 콘센트본체(11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지문센서(340)와 제어부(350)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콘센트본체(110) 내에 배터리(370)를 내장할 수 있다.
배터리(370)는 일반 건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전열배선(10)에 흐르는 상용전원을 정류, 평활하여 충전회로(371)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충전회로(371)는 배터리(370)와 함께 모듈화하여 콘센트본체(110)의 내부에 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전열배선 100 : 콘센트
110 : 콘센트본체 111 : 전면판
120 : 플러그삽입홈 121 : 홈수직판
122 : 홈원통부 123 : 플러그단자삽입공
130 : 플러그단자접속구 131 : 접속단자
132 : 지지판 133 : 홀더
200 : 플러그 210 : 플러그본체
211 : 후면판 212 : 원통부
230 : 플러그단자 231 : 접촉부
232 : 절연피복 300 : 감전방지수단
310 : 차폐판 311 : 안내레일
320 : 솔레노이드 321 : 작동봉
330 : 물체센서 331 : 발광부
332 : 수광부 333, 334 : 투광창
340 : 플러그센서 341 : 자석
342 : 리드스위치 350 : 지문센서
360 : 제어부 370 : 배터리

Claims (2)

  1. 전면판이 결합되는 박스형으로 형성되는 콘센트본체와, 전면판보다 후방에 위치하며 플러그단자삽입공이 형성되는 홈수직판과, 전면판과 홈수직판을 일체로 연결하는 홈원통부로 이루어지는 플러그삽입홈과, 콘센트본체의 내부에 플러그단자삽입공과 동축으로 설치되며 전열배선에 연결되는 플러그단자접속구를 포함하는 콘센트와, 플러그삽입홈에 삽입되며 홈수직판에 대응하는 후면판과 홈원통부에 대응하는 원통부를 가지는 플러그본체와, 플러그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드부싱부와, 플러그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후면판을 통해 돌출되는 플러그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와, 홈수직판의 후면과 플러그단자접속구의 전단 사이의 간극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플러그단자삽입공을 차폐 또는 개방하는 차폐판과, 차폐판을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에 있어서,
    홈원통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그 반대측에 설치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포토커플러로 구성되어 플러그삽입홈에 진입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센서와,
    플러그 측에 설치되는 자석과, 콘센트 측에 설치되는 리드스위치로 구성되어 플러그삽입홈에 진입하는 물체가 플러그인지를 감지하는 플러그센서와,
    콘센트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지문센서와,
    물체센서의 물체진입감진신호와 플러그센서의 플러그진입감지신호 및 지문센서의 감지지문정보를 전달받으며,
    솔레노이드에 개방명령 또는 차폐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에 물체센서에 의한 물체감지신호가 전달되고, 플러그센서에 의한 플러그감지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제어부가 차폐명령을 출력하고,
    제어부의 차폐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작동봉이 하향 전진하고, 차폐판이 하강하여 플러그단자삽입공을 차폐하며,
    플러그삽입홈에 플러그가 진입될 때, 물체센서에 의한 물체감지신호와 플러그센서에 의한 플러그감지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면 제어부가 개방명령을 출력하고,
    제어부의 개방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작동봉이 상향 후퇴하고, 차폐판이 상승하여 플러그단자삽입공을 개방하며,
    제어부에는 세대원 중 어린이를 제외한 세대원들의 지문을 모두 저장되고, 지문센서에 의한 지문감지정보가 전달되면 미리 저장된 지문등록정보와 비교하여 지문감지정보가 지문등록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면 개방명령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2. 삭제
KR1020220042235A 2022-04-05 2022-04-05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KR102486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235A KR102486729B1 (ko) 2022-04-05 2022-04-05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235A KR102486729B1 (ko) 2022-04-05 2022-04-05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729B1 true KR102486729B1 (ko) 2023-01-11

Family

ID=8489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235A KR102486729B1 (ko) 2022-04-05 2022-04-05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316B1 (ko) 2023-06-19 2023-11-09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감전 사고 예방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13Y1 (ko) * 2003-03-27 2003-06-18 민영전기(주) 지문인식 전원제어장치
KR100739126B1 (ko) * 2007-01-22 2007-07-12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실내 전기접속기구의 감전방지구조
KR100974354B1 (ko) 2010-05-28 2010-08-05 주식회사 대림기술단 공동주택의 감전사고방지형 콘센트
KR101326882B1 (ko) 2013-05-09 2013-11-13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101742665B1 (ko) 2016-12-02 2017-06-15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101803694B1 (ko) 2017-08-24 2017-11-30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안전 콘센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13Y1 (ko) * 2003-03-27 2003-06-18 민영전기(주) 지문인식 전원제어장치
KR100739126B1 (ko) * 2007-01-22 2007-07-12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실내 전기접속기구의 감전방지구조
KR100974354B1 (ko) 2010-05-28 2010-08-05 주식회사 대림기술단 공동주택의 감전사고방지형 콘센트
KR101326882B1 (ko) 2013-05-09 2013-11-13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101742665B1 (ko) 2016-12-02 2017-06-15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101803694B1 (ko) 2017-08-24 2017-11-30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안전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316B1 (ko) 2023-06-19 2023-11-09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감전 사고 예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8562B2 (en) Modified electrical devices
KR102486729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US8841563B2 (en) Split line and low voltage wire conduit and transformer box
US5418521A (en) Power cable with alarm
KR101119624B1 (ko)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CN105556755A (zh) 用于可移动插座的通电导轨的装置
KR101999193B1 (ko)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 시설물
KR100679600B1 (ko) 건축물에 설치하는 자동 전기차단 안전콘센트
US5906508A (en) Electrical disconnect for use with an appliance
US5158475A (en) Solenoid
CN106099573A (zh) 一种新型电源分接集成装置
IE852374L (en) Electric plug assembly with cable guiding member
KR101329800B1 (ko)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KR101256629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
KR101629732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US20200194942A1 (en) Safety Power Connector
EP0033411B1 (en) An alternating current socket-outlet for electric equipment
KR100834781B1 (ko) 공동주택용 전원공급기의 안전형설치구조
CN210348683U (zh) 一种自助设备线路防护系统
KR102481698B1 (ko)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CA2456361C (en) Electrical safety device
US6394826B1 (en) Dual actuating shutter safety system
CN112119552B (zh) 电气用户
CN215268232U (zh) 一种新型感应开关
KR101002792B1 (ko) 공동구내 화재감지용 소방감지선의 접속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