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698B1 -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698B1
KR102481698B1 KR1020220016827A KR20220016827A KR102481698B1 KR 102481698 B1 KR102481698 B1 KR 102481698B1 KR 1020220016827 A KR1020220016827 A KR 1020220016827A KR 20220016827 A KR20220016827 A KR 20220016827A KR 102481698 B1 KR102481698 B1 KR 102481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ower
leakage current
terminal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수
Original Assignee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1/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switching-on in case an undesired electric working condition might result
    • H02H11/00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switching-on in case an undesired electric working condition might result in case of too low isolation resistance, too high load, short-circuit; earth faul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H02H3/16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for ac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원콘센트에 전원플러그가 연결된 가전제품 등의 부하에서 누전이 발생하였을 때 플러그추출수단에 의해 해당 전원플러그가 전원콘센트에서 완전히 분리되게 함으로써 누전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지 않은 채 해당 부하를 사용할 수 없게 하여 누전이 발생하는 가전제품 등의 부하를 교체하게 유도할 수 있으며, 누전의 반복 발생을 방지하고 누전에 의한 화재발생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으며, 플러그추출수단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가 전원플러그의 코드부싱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에 삽입하였을 때 벽체로부터의 전원플러그의 돌출높이가 증가하지 않게 하여 가전제품이나 가구의 배치에 지장을 주지 않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Automatic control system for electric power supply in apartment houses using AI}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분야 기술 중에서, AI(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t)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원콘센트에 전원플러그가 연결된 가전제품 등의 부하에서 누전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전원플러그가 전원콘센트에서 완전히 분리되게 함으로써 누전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지 않은 채 해당 부하를 사용할 수 없게 하여 누전이 발생하는 가전제품 등의 부하를 교체하게 유도할 수 있으며, 누전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여 누전에 의한 화재발생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고,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에 삽입하였을 때 벽체로부터의 전원플러그의 돌출높이가 증가하지 않게 하여 가전제품이나 가구의 배치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에서 전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현관 측에 설치되는 분전함과; 분전함에 설치되며 인입선에 연결되는 누전차단기와, 누전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등배선차단기와 전열배선차단기와; 전등배선차단기에 연결되어 각 구역의 벽체와 천장에 매설되는 전등배선과; 전열배선차단기에 연결되어 각 구역의 벽체와 천장에 매설되는 전열배선과; 각 구역의 벽체와 천장에 매설되는 스위치배선과; 각 구역의 천장에 설치되어 전등배선과 스위치배선에 연결되는 전등과; 각 구역의 벽체에 설치되어 전열배선에 연결되는 전원콘센트;가 구비되며, 전원콘센트에는 각종 가전제품의 전원플러그가 연결된다.
그런데 전등이나 가전제품에서 누전이 발생할 경우 분전함에 설치된 누전차단기가 차단되어 전등배선과 전열배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때문에 모든 구역의 전등과 가전제품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전등과 전등배선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전등배선차단기가 차단되어 모든 구역의 전등을 사용할 수 없게 되고, 가전제품과 전열배선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전열배선차단기가 차단되어 모든 구역의 가전제품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공동주택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다수의 콘센트가 구비되어 있는 멀티 콘센트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그 공동주택 벽면에 고정설치된 콘센트에 다수의 전원플러그를 꽂아 사용하는 방식이 일반화되어 있다.
하지만 멀티 콘센트에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다수 연결되면서 전력사용량(소비전력)이 많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과부하 및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화재나 감전 등의 사고로 이어지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어 현재에는 멀티 콘센트 전체 또는 각각의 콘센트마다 대응되는 전원차단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기안전에 대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종래의 방식은 일일이 전원스위치를 사용자가 온/오프 방식으로 조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벽면에 설치되되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복수의 전선이 연결되는 콘센트부에 해당 전선의 누설전류를 검침하기 위한 누설전류 검침부를 구비하여 소비전력에 따른 누설전류의 변동사항에 대해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3램프를 발광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1 내지 제3램프로 발광하는 색상을 통해 전기장치의 플러그를 몸체나 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멀티탭에서 분리하여 소비전력의 사용량을 안전하게 제어하여 누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5028호(공고일: 2020.01.10.)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안전 관리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5028호는 누전이 발생하여 누설전류 검침체에 의해 누설전류가 검출되었을 때 전원을 차단하는 임시차단스위치를 구비하고 있으나, 한 번 누전이 발생한 가전제품 등의 부하에서는 또 다시 누전이 발생하게 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임시차단스위치에 의해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누설전류 검침체에 의해 검출되었던 누설전류가 소멸되면 다시 임시차단스위치가 「온」으로 되어 해당 가전제품 등의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지만, 누전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전에는 다시 반복적으로 누전이 발생하여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와 화재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그런데 누전이 발생하여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누설전류가 소멸되어 해당 가전제품 등의 부하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되면, 누전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생각을 하지 않고 다시 사용하게 되는 것이 인지상정이어서 누선에 의한 감전사고와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22517호(공고일:2007.05.2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74332호(공고일:2010.08.0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88736호(공개일:2017.08.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5028호(공고일: 2020.01.10.)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안전 관리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콘센트에 전원플러그가 연결된 가전제품 등의 부하에서 누전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전원플러그가 전원콘센트에서 완전히 분리되게 함으로써 누전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지 않은 채 해당 부하를 사용할 수 없게 하여 누전이 발생하는 가전제품 등의 부하를 교체하게 유도할 수 있으며, 누전의 반복 발생을 방지하고 누전에 의한 화재발생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에 삽입하였을 때 벽체로부터의 전원플러그의 돌출높이가 증가하지 않게 하여 가전제품이나 가구의 배치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후면에 형성되는 플러그삽입홈과 플러그삽입홈의 수직면에 형성되는 플러그단자삽입공을 구비하는 콘센트본체와, 상기 콘센트본체의 배면에 설치되며 공동주택의 각 구역의 벽체에 매설된 전열배선에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에 연결되며 플러그단자삽입공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플러그단자접속구와, 상기 입력단자와 플러그단자접속구를 연결하는 연결전선을 포함하는 전원콘센트와; 상기 플러그삽입홈에 삽입되는 원통부와 원통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드부싱부를 가지는 절연재질의 플러그본체와, 상기 플러그본체 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원통부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플러그단자접속구에 삽입되는 플러그단자와, 상기 플러그단자접속구의 후단에 연결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코드부싱부를 통해 인출되는 전원코드를 포함하는 전원플러그와; 상기 코드부싱부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플러그단자에 연결되어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내장된 복원스프링에 의해 작동봉이 상승방향 전진하고,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작동봉이 하강방향으로 후퇴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작동봉의 상단에 후방 하단이 연결되며 원통부의 전면에서 출몰되는 탄성푸셔와, 상기 원통부와 코드부싱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푸셔를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반전안내하는 반전안내부와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안내부와 원통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푸셔출몰공을 가지는 푸셔가이드를 포함하는 플러그추출수단과; 콘센트본체의 내부에 연결전선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누설전류를 검침하는 누설전류 검침체와, 상기 연결전선의 중간에 설치되는 차단스위치와, 누설전류 기준값이 미리 저장되고 상기 누설전류 검침체에 의해 누설전류 검침값과 누설전류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차단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연결전선에 연결되어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류기를 포함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전원콘센트에 전원플러그가 연결된 가전제품 등의 부하에서 누전이 발생하였을 때 플러그추출수단에 의해 해당 전원플러그가 전원콘센트에서 완전히 분리되게 함으로써 누전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지 않은 채 해당 부하를 사용할 수 없게 하여 누전이 발생하는 가전제품 등의 부하를 교체하게 유도할 수 있으며, 누전의 반복 발생을 방지하고 누전에 의한 화재발생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플러그추출수단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가 전원플러그의 코드부싱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에 삽입하였을 때 벽체로부터의 전원플러그의 돌출높이가 증가하지 않게 하여 가전제품이나 가구의 배치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동주택 실내배선의 배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블록도,
도 3은 전원콘센트와 전원플러그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전원콘센트와 전원플러그의 전면 사시도,
도 5는 연결전선과 누설전류 검침체의 사시도,
도 6은 전원플러그의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
도 7은 전원플러그가 전원콘센트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종단측면도,
도 8은 전원플러그가 전원콘센트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종단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공동주택 실내 배선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관에 설치되는 분전함(VDB)과, 분전함(VDB)에 설치되어 인입선에 연결되는 누전차단기와, 누전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등배선차단기와 전열배선차단기와, 전등배선차단기와 전열배선차단기에 연결되며 각 침실, 거실, 주방, 발코니, 보일러실, 다용도실 등의 각 구역(R)의 천장과 벽체에 매설되는 전등배선(w1)과 전열배선(w2)과, 각 구역(R)의 천장에 매설되어 각 구역(R)의 벽체에 설치된 스위치(S)를 거쳐 전등배선(w1)에 연결되는 전등(L)과, 각 구역(R)의 벽체에 매설되어 전열배선(w2)에 연결되는 전원콘센트(1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콘센트(100)는 후면에 형성되는 플러그삽입홈(111)과 플러그삽입홈(111)의 수직면에 플러그단자삽입공(112)을 구비하는 콘센트본체(110)와,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전열배선(w2)에 연결되는 입력단자(120)와, 상기 입력단자(120)에 연결되며 플러그단자삽입공(112)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플러그단자접속구(130)와, 상기 입력단자(120)와 플러그단자접속구(130)를 연결하는 연결전선(140)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단자접속구(130)의 전단에는 연결전선(140)이 연결되는 연결단자(131)가 구비된다.
각 구역(R)에 비치되는 각종 가전제품의 전원플러그(200)는 플러그삽입홈(111)에 삽입되는 원통부(211)와 원통부(211)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드부싱부(212)를 가지는 절연재질의 플러그본체(210)와, 상기 플러그본체(210) 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원통부(211)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플러그단자접속구(130)에 삽입되는 플러그단자(220)와, 상기 플러그단자접속구(130)의 후단에 연결되는 연결단자(230)와, 상기 연결단자(230)에 연결되어 코드부싱부(212)를 통해 인출되는 전원코드(240)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본체(210)와 플러그단자(220)와 연결단자(230)와 전원코드(240)의 구성은 통상적인 전원플러그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241은 전원코드(240)의 코드선을 보인 것이다.
또한 전원플러그(200)에는 플러그추출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플러그추출수단(300)은 상기 코드부싱부(212)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플러그단자(220)에 연결되어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내장된 복원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작동봉(311)이 상승방향 전진하고,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작동봉(311)이 하강방향으로 후퇴하는 솔레노이드(310)와, 상기 작동봉(311)의 상단에 후방 하단이 연결되며 원통부(211)의 전면에서 출몰되는 탄성푸셔(320)와, 상기 원통부(211)와 코드부싱부(212)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푸셔(320)를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반전안내하는 반전안내부(331)와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안내부(332)와 원통부(211)의 전면에 형성되는 푸셔출몰공(333)을 가지는 푸셔가이드(330)를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310)는 교류형을 사용하는 경우 플러그단자(220)에 직접 연결할 수 있으며, 직류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류기(340)를 통해 플러그단자(2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서 "351"은 플러그단자(220)의 연결단자(230)에 정류기(340)를 연결하는 전선을 보인 것이고, "352"는 정류기(340)와 후술하는 제어부(430)에 솔레노이드(310)를 연결하는 전선을 보인 것이다.
상기 솔레노이드(310)는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봉(311)이 자체 내장된 스프링에 대항하여 상승방향으로 전진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작동봉(311)이 자체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방향으로 후퇴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탄성푸셔(320)는 내부에 스프링강 재질의 탄성푸셔심재(321)와, 탄성푸셔심재(321)를 피복하는 가요성 재질의 절연피복(3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푸셔심재(321)는 영구변형이 일어나는 상태로 절곡하는 것이 아니고, 평판 상태로 형성하여 푸셔가이드(330)의 형상에 따라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탄성푸셔(320)와 작동봉(311)은 탄성푸셔심재(321)의 하단과 작동봉(311)의 상단을 용접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210)는 플러그단자(220), 연결단자(230), 전원코드(240), 솔레노이드(310), 탄성푸셔(320), 푸셔가이드(330)의 각 부품을 조립하기 위하여 좌우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하여 각 부품을 조립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거나 초음파접합 방식 등으로 접합할 수 있다.
또한 푸셔가이드(330)도 좌우로 분할 형성함과 아울러 좌우로 분할 형성되는 플러그본체(210)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류기(340)는 에폭시수지로 몰딩한 팩(pack) 형태로 구성하여 플러그본체(210)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은 상기 솔레노이드(3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수단(400)은 콘센트본체(110)의 내부에 연결전선(14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누설전류를 검침하는 누설전류 검침체(410)와, 상기 연결전선(140)의 중간에 설치되는 차단스위치(420)와, 누설전류 기준값이 미리 저장되고 상기 누설전류 검침체(410)에 의해 누설전류 검침값과 누설전류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차단스위치(420)를 제어하는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누설전류 검침체(410)는 연결전선(140)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411)이 형성되어 연결전선(140)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누설전류 검침체(410)와 제어부(430)는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5028호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안전 관리장치"의 검침체와 분석부의 방식을 원용할 수 있는 것이며, 누설전류 검침체(410)는 통상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전선을 감싸게 설치되어 누설전류를 검침하는 누설전류 검침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누설전류 검침체(410)는 콘센트본체(110)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412)을 구비한다.
상기 차단스위치(420)는 평상시 「온」 상태로 유지되는 형식을 사용한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연결전선(130)에 연결되는 정류기(440)를 통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누설전류 검침체(410)에서 누설전류 검침값과 저장된 누설전류 기준값을 비교하여 누설전류 검침값이 누설전류 기준값 미만이면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누설전류 검침값이 누설전류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게 한다.
상기 제어부(430)와 정류기(440)는 에폭시수지로 몰딩한 팩(pack) 형태로 구성하여 콘센트본체(11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 "451"은 연결전선(140)에 정류기(440)를 직접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고, "452"는 누설전류 검침체(410)와 제어부(430)를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원플러그(200)가 전원콘센트(1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플러그단자(220)가 플러그단자접속구(130)로부터 분리되어 전열배선(w2)에서 입력단자(120), 연결전선(140) 및 플러그단자접속구(13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정류기(340)와 솔레노이드(310)에 공급되지 않으므로 작동봉(311)이 자체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상승방향으로 전진하면서 탄성푸셔(320)를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푸셔(320)가 푸셔가이드(330)를 따라 전진하게 된다(도 3, 도 4 및 도 8 참조).
이때, 푸셔가이드(330)가 반전안내부(331)와 수평안내부(332)와 원통부(211)의 전면에 형성된 푸셔출몰공(333)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탄성푸셔(320)는 반전안내부(331)를 따라 반전되어 휘어지면서 전진하고, 수평안내부(332)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전진하여 푸셔출몰공(333)을 통해 원통부(211)의 전면에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탄성푸셔(320)가 상승방향으로 전진하는 구간에서는 수직판 상태로 되고, 반전안내부(331)를 따라 반전되어 휘어지면서 전진하는 구간에서는 원호형으로 휘어지는 상태로 되며, 수평안내부(332)와 푸셔출몰공(33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전진하는 구간에서는 수평판 상태로 된다.
특히, 탄성푸셔(320)는 반전안내부(331)를 따라 반전되어 휘어지면서 전진하던 부분이 반전안내부(331)를 벗어나는 순간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곧바로 수평판 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탄성푸셔(320)의 선단은 플러그단자(220)의 선단과 일치하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전원플러그(200)의 원통부(211)를 전원콘센트(100)의 플러그삽입홈(111)에 삽입함과 아울러 플러그단자(220)를 플러그단자삽입공(112)을 통해 플러그단자접속구(130)에 삽입하면, 플러그단자접속구(130)가 연결전선(140)과 입력단자(120)를 통해 전열배선(w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러그단자(220)와 이에 연결된 전원코드(240)에 전원이 연결되어 가전제품 등의 부하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원통부(211)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있던 탄성푸셔(320)의 선단이 삽입하는 힘에 의해 플러그삽입홈(111)의 전면에 의해 상대적으로 눌리게 되고, 그 힘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푸셔출몰공(333)과 수평안내부(332)와 반전안내부(331)를 따라 후퇴하게 되고, 후방 하단이 작동봉(311)을 하방으로 누르게 되어 작동봉(311)이 자체 복원스프링에 대항하여 하강방향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후, 플러그단자(220)가 플러그단자접속구(130)에 접속하기 시작하면,
전열배선(w1), 인입단자(120), 연결전선(140), 연결단자(131), 플러그단자접속구(130), 플러그단자(220), 연결단자(230), 전선(351), 정류기(340), 전선(352)을 통해 솔레노이드(310)에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봉(311)이 솔레노이드(310)의 작동에 의해 후퇴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작동봉(311)의 상단에 결합된 탄성푸셔(320)를 하방으로 당기게 되어 탄성푸셔(320)가 푸셔출몰공(333)과 수평안내부(332)와 반전안내부(331)를 따라 후퇴하여 그 선단이 원통부(211)의 전면에 일치하는 상태로 된다.
원통부(211)가 플러그삽입홈(111)에 완전히 삽입되고, 플러그단자(220)가 플러그단자삽입공(112)과 플러그단자접속구(13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원통부(211)의 전면이 플러그삽입홈(111)의 후면에 밀착되고, 탄성푸셔(320)의 선단이 원통부(211)의 전면과 플러그삽입홈(111)의 후면에 일치하는 상태로 된다(도 7 참조).
여기서, 탄성푸셔(320)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310)가 코드부싱부(212)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탄성푸셔(320)는 반전안내부(331)와 수평안내부(332) 및 푸셔출몰공(333)으로 이루어지는 푸셔가이드(330)에 의해 안내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원플러그(200)를 전원콘센트(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벽면에서의 전원플러그(200)의 돌출높이가 통상적인 전원플러그와 동일한 정도로 유지될 수 있어 가전제품이나 가구 등의 배치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전원플러그(200)와 전원코드(240)가 연결된 가전제품 등의 부하가 가동되는 과정에서 부하 측에 누전이 발생하게 되면, 누설전류 검침체(410)가 누설전류를 검침하게 되고, 그 누설전류 검침값이 제어부(430)에 전달되고, 제어부(430)가 누설전류 검침체(410)에 의한 누설전류 검침값을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누설전류 기준값과 비교한다.
이때, 누설전류 검침값이 누설전류 기준값 미만이면, 제어부(430)의 제어에 의해 연결전선(140)에 설치된 차단스위치(420)가 「온」 상태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310)에 대한 전원이 계속하여 공급되게 한다.
솔레노이드(310)에 전원이 계속 공급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봉(311)이 하강방향으로 후퇴하고, 탄성푸셔(320)의 선단이 원통부(211)의 전면과 플러그삽입홈(111)의 후면에 일치하는 상태로 유지되며, 플러그단자(220)가 플러그단자접속구(130)에 삽입되어 전원코드(24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로 유지된다(도 7 참조).
반대로 누설전류 검침값이 누설전류 기준값 이상이면, 제어부(430)의 제어에 의해 연결전선(140)에 설치된 차단스위치(420)가 「오프」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연결전선(140), 연결단자(131), 플러그단자접속구(130), 플러그단자(220), 연결단자(230), 전선(351), 정류기(340), 전선(352)을 통하여 솔레노이드(310)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된다.
솔레노이드(310)에 전원이 차단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자체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봉(311)이 상승방향으로 전진하고, 탄성푸셔(320)의 선단이 플러그삽입홈(111)의 후면을 밀게 되며, 전원콘센트(100)는 벽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전원플러그(200)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플러그단자(220)가 플러그단자접속구(130)와 플러그단자삽입공(112)에서 추출되고, 원통부(211)가 플러그삽입홈(111)에서 추출되어 결과적으로 전원플러그(200)가 전원콘센트(100)에서 분리되어 누전이 발생한 가전제품에 대한 전원공급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누전이 발생했던 가전제품 등의 부하의 누전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지 않은 채 해당 가전제품 등의 부하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누전이 발생하는 가전제품 등의 부하를 교체하게 유도할 수 있으며, 누전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여 누전에 의한 화재발생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전원콘센트 110 : 콘센트본체
111 : 플러그삽입홈 112 : 플러그단자삽입공
120 : 입력단자 130 : 플러그단자접속구
140 : 연결전선 200 : 전원플러그
210 : 플러그본체 211 : 원통부
212 : 코드부싱부 220 : 플러그단자
230 : 연결단자 240 : 전원코드
300 : 플러그추출수단 310 : 솔레노이드
320 : 탄성푸셔 330 : 푸서가이드
340 : 정류기 400 : 제어수단
410 : 누설전류 검침체 420 : 차단스위치
430 : 제어부 440 : 정류기

Claims (1)

  1. 후면에 형성되는 플러그삽입홈과 플러그삽입홈의 수직면에 형성되는 플러그단자삽입공을 구비하는 콘센트본체와, 상기 콘센트본체의 배면에 설치되며 공동주택의 각 구역의 벽체에 매설된 전열배선에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에 연결되며 플러그단자삽입공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플러그단자접속구와, 상기 입력단자와 플러그단자접속구를 연결하는 연결전선을 포함하는 전원콘센트와; 상기 플러그삽입홈에 삽입되는 원통부와 원통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드부싱부를 가지는 절연재질의 플러그본체와, 상기 플러그본체 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원통부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플러그단자접속구에 삽입되는 플러그단자와, 상기 플러그단자접속구의 후단에 연결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코드부싱부를 통해 인출되는 전원코드를 포함하는 전원플러그와; 콘센트본체의 내부에 연결전선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누설전류를 검침하는 누설전류 검침체와, 상기 연결전선의 중간에 설치되는 차단스위치와, 누설전류 기준값이 미리 저장되고 상기 누설전류 검침체에 의해 누설전류 검침값과 누설전류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차단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연결전선에 연결되어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류기를 포함하는 제어수단; 및 누전발생시 전원콘센트로부터 전원플러그가 분리되게 하는 플러그추출수단을 포함하는 공지의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추출수단은 코드부싱부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플러그단자에 연결되어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내장된 복원스프링에 의해 작동봉이 상승방향 전진하고,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작동봉이 하강방향으로 후퇴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작동봉의 상단에 후방 하단이 연결되며 원통부의 전면에서 출몰되는 탄성푸셔와, 상기 원통부와 코드부싱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푸셔를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반전안내하는 반전안내부와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안내부와 원통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푸셔출몰공을 가지는 푸셔가이드를 포함하여,
    전원콘센트에 전원플러그를 삽입하였을 때 전언콘센트의 후면으로부터 플러그몸체의 후단에 이르는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벽면에 배치되는 가구와 가전제품의 사용에 불편을 주지 않게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KR1020220016827A 2022-02-09 2022-02-09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KR102481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827A KR102481698B1 (ko) 2022-02-09 2022-02-09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827A KR102481698B1 (ko) 2022-02-09 2022-02-09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698B1 true KR102481698B1 (ko) 2022-12-29

Family

ID=8453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827A KR102481698B1 (ko) 2022-02-09 2022-02-09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69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458U (ko) * 1996-08-27 1998-05-25 배순훈 전원코드 감전 방지장치
KR19980019438U (ko) * 1996-10-02 1998-07-15 이승우 플러그의 이탈 장치
KR200330215Y1 (ko) * 2003-07-14 2003-10-17 임상근 전기제품용 전원 플러그
KR100722517B1 (ko) 2005-04-25 2007-05-28 고윤석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전기안전관리 방법
KR100974332B1 (ko) 2008-09-17 2010-08-05 한국 전기안전공사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KR20170088736A (ko) 2016-01-25 2017-08-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안전 관리 서버,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999193B1 (ko) * 2019-01-22 2019-07-11 진종신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 시설물
KR102065028B1 (ko) 2019-02-27 2020-01-10 주식회사 이린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안전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458U (ko) * 1996-08-27 1998-05-25 배순훈 전원코드 감전 방지장치
KR19980019438U (ko) * 1996-10-02 1998-07-15 이승우 플러그의 이탈 장치
KR200330215Y1 (ko) * 2003-07-14 2003-10-17 임상근 전기제품용 전원 플러그
KR100722517B1 (ko) 2005-04-25 2007-05-28 고윤석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전기안전관리 방법
KR100974332B1 (ko) 2008-09-17 2010-08-05 한국 전기안전공사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KR20170088736A (ko) 2016-01-25 2017-08-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안전 관리 서버,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999193B1 (ko) * 2019-01-22 2019-07-11 진종신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 시설물
KR102065028B1 (ko) 2019-02-27 2020-01-10 주식회사 이린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안전 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1680B2 (en)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US10644461B2 (en) Modified electrical devices
EP2621028A1 (en) Receptacle and plug
US20120056493A1 (en) Current sensing load demand apparatus and methods
EA024037B1 (ru) Способ подсоединения переключателей питания переменным током, датчиков тока и устройств управле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двусторонней ик-связи,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х и световодных кабелей и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их содержащая
WO2007015274A1 (en) Electric safety socket
KR102481698B1 (ko)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KR100804080B1 (ko) 무정전 단자대와 그 무정전 단자대에 결합하는 전력량계결합체 및 배선용 차단기 결합체
EP2915217B1 (en) Modified electrical devices
KR102486729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KR102484153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자동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63505B1 (ko)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
US20230137314A1 (en) In-wall power adapter having an outlet and a recess adapted to receive a control module
KR101626608B1 (ko) 벽면 매설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박스
JP2013125642A (ja) 直流コンセント
KR200236840Y1 (ko) 110v 및 220v 겸용 콘센트
KR100960146B1 (ko) 공동주택의 가전기기 구동용 전기공급식 멀티탭
WO2005071795A1 (en) Multi-outlet power cord
CN111211435A (zh) 一种具有插入检测功能的通用式插座
KR100549241B1 (ko) 리셉터클
KR101477514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1978641B1 (ko)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KR20010081216A (ko) 전원차단장치
KR20200115974A (ko) Led 표시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형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