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517B1 -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전기안전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전기안전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2517B1
KR100722517B1 KR1020050033877A KR20050033877A KR100722517B1 KR 100722517 B1 KR100722517 B1 KR 100722517B1 KR 1020050033877 A KR1020050033877 A KR 1020050033877A KR 20050033877 A KR20050033877 A KR 20050033877A KR 100722517 B1 KR100722517 B1 KR 100722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oltage
load
house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1921A (ko
Inventor
고윤석
Original Assignee
고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윤석 filed Critical 고윤석
Priority to KR102005003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251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1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개시된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은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전압신호, 전류신호, 영상전류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각각 변환하여 출력하는 입력신호부와, 상기 입력신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에 따라 전압, 전류, 에너지 등을 계산하고,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순차적으로 주택 전기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상용 교류전원을 주택 내에 설치된 부하에 공급하고 누전이나 과전류를 감시하여 차단하며, 누전차단기나 배선차단기 그리고 부하의 원격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분전반부와, 입력수단인 조작스위치나 출력 수단인 표시장치 등을 구비하는 주변장치부 및 원격지에서 상기 주제어부에 주택 전기관리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주택 내에 설치된 부하에 직접 제어명령을 내리는 원격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주택전기 분야에서 일반 전기수용가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 주택전기 사용의 안전성과 신뢰성 그리고 요금의 효율적인 관리는 물론 공급전기의 품질감시가 가능하며, 동시에 전력회사의 수용가로부터의 데이터 요구를 만족시켜 공급전기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주택전기, 지능형, 전압관리, 부하관리, 디지털, 요금관리

Description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 전기안전관리 방법 {Digital Intelligent Home Electric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의 대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입력신호부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주제어부의 상세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분전반부의 상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 전기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도 5에서 인터럽트가 단위시간 인터럽트인 경우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한 변압기 부하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입력신호부 200: 주제어부
300: 분전반부 400: 주변장치부
500: 통신부 600: 부하
700: 원격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 전기안전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홈 네트워킹 시대에 대비하여 주택 전기공급의 안전성, 신뢰성, 편이성, 그리고 효율적인 요금관리가 가능하도록 주택 내의 전기보호제어, 요금관리, 안전관리, 전기품질, 부하관리 등 전기사용에 관한 종합적 관리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내에는 전기, 가스, 수도 그리고 보안설비 등 다양한 설비들이 설치되는데, 가스안전 및 일부 보안설비 등은 주택 자동화 시스템에 포함되어 발전하여 왔으나, 과부하, 누전사고에 대한 전기보호제어 설비들은 자기보호 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별도의 설비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전기, 가스, 수도 사용량 검침 등도 기존 주택 자동화 시스템과는 별도로 검침원에 의하여 검침업무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냉난방 부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도 실현되지 않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국내외적으로 센서 및 디지털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주택 자동화는 홈 네트워킹에 기반을 두어 주택 내의 제반설비와 생활가전 부하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급속히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일반 전기수용가들은 IT기술에 기반을 둔 디지털 시스템의 장점을 살려 주택전기 분야에서 기존의 전기설비들의 단점을 보완하고 수용가들 에 직접적이고 다차원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롭고 혁신적인 개념을 요구하고 있다.
전력회사에서는 이러한 일반 전기수용가의 전기사용에 대한 합리성을 유도하고 편이성과 고품질 전력공급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하기 위해서 원격검침에 기반을 둔 전기품질 관련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을 새롭게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IT기술에 기반을 둔 주택 자동화의 핵심영역인 주택전기 분야에서 일반 전기수용가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 주택전기 사용의 안전성과 신뢰성 그리고 요금의 효율적인 관리는 물론 공급전기의 품질감시가 가능하며, 동시에 전력회사의 수용가로부터의 데이터 요구를 만족시켜 공급전기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 전기안전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은 주택으로 들어오는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전압신호, 전류신호, 영상전류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각각 변환하여 출력하는 입력신호부;
상기 입력신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에 따라 전압, 전류, 에너지 등을 계산하고,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순차적으로 주택 전기관리 업무를 수행하 는 주제어부;
상기 주택으로 들어오는 상용 교류전원을 주택 내에 설치된 부하에 공급하고 누전이나 과전류를 감시하여 차단하며, 누전차단기나 배선차단기 그리고 부하의 원격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분전반부;
입력수단인 조작스위치나 출력수단인 표시장치 등을 구비하는 주변장치부; 및
원격지에서 상기 주제어부에 주택 전기관리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주택 내에 설치된 부하에 직접 제어명령을 내리는 원격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 전기관리 방법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주택 전기관리 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부에 대한 관련 데이터와 전기관련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단계;
디지털로 변환된 영상 변류기의 영상전류(Iz)가 최대누설허용값(ILMAX)을 초과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Iz>ILMAX인 경우 누전으로 판단하여 누전에 대한 조치를 취하여 고장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I>ILMAX가 아닌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배선차단기의 전원단에 설치된 각 계기용 변류기들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부하전류(I)가 최대허용전류값(IMAX)을 초과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I>IMAX인 경우, 과부하 전류에 대한 조치를 취하여 고장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부하제어 스케줄에 따라 부하제어 시간이 일치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부하제어 시간이 일치하는 경우 해당 부하에 대해 제어를 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내부 또는 외부에서 인터럽트 요청이 오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럽트 요청이 오지 않으면 이벤트 감시를 계속 수행하고, 내부 또는 외부 인터럽트에서 인터럽트 요청이 오면 해당 인터럽트 서비스 업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전압관리 방법은 각 주택에 구비된 주택 전기관리 장치의 전압패턴 데이터를 원격관리 시스템에서 원격에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격관리 시스템에 구비된 DB로부터 수용가 정보를 검색하여 수용가에 대해 전압 패턴을 읽어 들이는 단계와,
모든 수용가에 대해 적정전압 공급여부를 감시하여 부적정 전압개소를 판정하고, 부적정 전압 개소수를 누산하며, 전압적정유지율을 계산/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부적정 전압 개소에 대한 주상변화기 최적탭 및 관련 변압기의 부하시탭변환장치(ULTC: Under Load Tap Changer)에 대한 최적 정정치를 계산하여 결정하 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부하관리 방법은 각 주택에 구비된 주택 전기관리 장치의 전류부하 패턴 데이터를 원격관리 시스템에서 원격에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리 시스템에 구비된 DB로부터 변압기 정보를 검색하고 이 변압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수용가들에 대해 전류 패턴을 읽어 들이는 단계와,
상기 전류패턴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더해서 변압기에 걸리는 최대부하전류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변압기 최대부하를 산출하며 변압기 정격을 고려하여 변압기 이용률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변압기 이용률로 과부하 변압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과부하 변압기가 존재하는 경우, 주택 전기관리 장치에 명령을 내려 과부하분에 해당하는 수용가 부하들을 개방시켜 과부하를 해소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전기안전관리 방법은 각 주택에 구비된 전기관리 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배선차단기의 전류(I)가 최대허용전류값(IMAX)을 초과하는 경우 과부하 이벤트 정보를, 영상 변류기의 전류(Iz)가 0.5*ILMAX(최대누설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 누전 이벤트 정보를, 누전상태가 주의상태 이상인 경우 누전상태정보를 원격지의 원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원격관리 시스템에서 DB에 저장된 수용가 누전 정보를 검색, 누전의 정도를 확인하여 누전사고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는 주의상태 이상에 해당하는 수용가 들에 대한 목록 및 관련정보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관리 시스템에서 DB에 저장된 누전이나 과부하 이벤트 정보를 기반으로 누전차단이나 과부하차단 경험이 있는 수용가 및 관련정보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의 대략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관리 시스템은 입력신호부(100), 주제어부(200), 분전반부(300), 주변장치부(400), 통신부(500)로 이루어지는 주택마다 구비된 주택 전기관리 장치(HEMD)와 원격지의 원격관리 시스템(700)을 포함한다.
입력신호부(100)는 주택으로 들어오는 전원으로부터 전압신호, 전류신호, 영상전류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각각 변환하여 주제어부(200)에 출력한다.
주제어부(200)는 전압, 전류, 에너지 등을 계산하고,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순차적으로 주택 전기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분전반부(300)는 주택으로 들어오는 상용 교류전원을 부하(600)에 공급하고 누전이나 과전류를 감시하여 차단함으로써 주택전기를 실제 전력선으로부터 분리하여 고장파급효과를 최소화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전반부(300)가 누전차단기나 배선차단기 그리고 부하의 원격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여, 전기사용의 안전성과 신뢰성, 편이성 을 제고하고 요금관리나 부하관리 기능에 기반을 둔 합리적인 전기사용을 유도한다.
통신부(500)는 원격관리 시스템(700)으로부터의 데이터 요청이나 부하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데이터를 원격관리 시스템(7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원격관리 시스템(700)은 주택 전기관리 장치(HEMD)의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DB(710)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통신부(500)를 통해 주제어부(200)에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부하제어 명령을 내린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입력신호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신호부(100)는 전압검출부(102), 전류검출부(104), 영상전류 검출부((106), ZCT: Zero Current Transformer), 전원회로부(108), 전압신호 변환부(110), 전류신호 변환부(112), 영상전류신호 변환부(114), 주파수/펄스 변환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압검출부(102)는 주택으로 들어오는 상용 교류전원의 전압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압검출부(102)를 계기용 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로 구성하여 적은 위상지연을 가지면서 전압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전압신호를 출력한다.
전압신호 변환부(110)는 상기 전압검출부(102)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신호를 뒷단에 연결된 주제어부(200)의 신호 전처리기(202)에서 허용하는 전압레벨로 변환하여 신호 전처리기(202)로 출력한다.
전류검출부(104)는 주택으로 들어오는 상용 교류전원의 전류를 검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류검출부(104)를 계기용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로 구성하여 높은 선형성을 가지고 실제 부하전류에 비례하는 전류신호를 출력한다.
전류신호 변환부(112)는 상기 전류검출부(104)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신호를 뒷단에 연결된 신호 전처리기(202)에서 허용하는 전류레벨로 변환하여 신호 전처리기(202)로 출력한다.
ZCT(106)는 누전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압선과 중성선 사이의 불평형 전류에 비례하는 전류신호를 출력하고, 영상전류신호 변환부(114)는 상기 ZCT(106)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전류신호를 뒷단에 연결된 주제어부(200)의 A/D 컨버터(204)에서 요구하는 전류레벨로 변환하여 A/D 컨버터(204)로 출력한다.
전원회로부(108)는 주택으로 들어오는 상용 교류전원을 뒷단의 주제어(200)부에 공급한다.
주파수/펄스 변환부(116)는 상용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펄스를 발생시켜 뒷단에 연결된 주제어부(200)의 카운터(206)로 출력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주제어부의 상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분전반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제어부(200)는 신호 전처리기(202), A/D 컨버터(204), 카운터(206), 디코더(208), 마이크로프로세서(210), RAM(212), ROM(214), 표시장치 구동부(216), 통신포트(218), 멀티플렉서(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신호 전처리기(202)는 입력신호부(100)의 전압신호 변환부(110)와 전류신호 변환부(112)로부터 전압, 전류신호를 입력받아 전압 실효치, 전류 실효치, 에너지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계산하여 지정된 레지스터(미도시)에 저장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에너지 데이터 등이 관련 초기 설정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외부 인터럽트를 걸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A/D 컨버터(204)는 입력신호부(100)의 영상전류신호 변환부(114)로부터 영상 전류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내장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00)에서는 주기적으로 이 A/D 컨버터(204)의 데이터를 읽어 들인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ROM(214)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순차적으로 주택 전기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업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A/D 컨버터(204)에 의해 디지털로 변환된 영상전류신호를 읽어 들여 누진정도를 판단하고, 표시장치 구동부(216)를 제어하여 누진정도를 주변장치부(400)의 표시장치(406)에 표시한다.
상기 누전으로 판단되는 경우 누전 이벤트를 RAM(212)에 저장하고, 누전 이벤트 정보를 원격관리 시스템(700)에 전송하고, 누전상태가 보강공사를 요구하는 주의상태 이상 수준인 경우 그 누전상태정보를 원격관리 시스템(700)에 전송한다.
또한, 분전반부(300)의 누전차단기(310)가 고장차단에 실패하는 경우, 해당하는 릴레이(306)를 재구동해서 누전차단기(310)를 개방시켜 고장을 차단하기 위한 시도를 반복하며, 고장차단에 실패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주위 사람에게 누 전 사실을 알리고 전기 사용의 안전성을 제고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신호 전처리기(202)로부터 부하전류를 읽어 들여 과부하 전류를 감시하고, 표시장치 구동부(216)를 제어하여 과부하 사실을 표시장치(406)에 표시한다.
상기 과부하로 판단되는 경우, 과부하 전류 이벤트를 RAM(212)에 저장하고 과전류 이벤트 정보를 원격관리 시스템(700)에 전송한다.
또한, 분전반부(300)의 배선차단기(312)가 고장차단에 실패하는 경우, 해당 릴레이(306)를 재구동해서 배선차단기(312)를 반복해서 재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의 출력을 반복하며, 고장차단에 실패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주위 사람에게 과부하 사실을 알리고 전기 사용의 안전성을 제고한다.
상기한 마이크로프로세서(210)의 과부하 감시 및 배선차단기(312)의 제어 기능은 배선차단기(312) 전원단에 각각 CT(312a)가 설치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각 배선차단기(312)에 흐르는 전류 계측이 가능한 경우로 제한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신호 전처리기(202)의 외부 인터럽트에 근거하여 사용전력량을 누적하여 RAM(212)에 저장하며, 전력요금으로 환산해서 표시장치 구동부(216)를 제어하여 표시장치(406)에 표시한다.
또한, 신호 전처리기(202)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압 실효치와 전류 실효치를, 카운터(206)로부터 주파수 등을 읽어 들여 역률을 계산하며, 이들 데이터를 누적하여 일정 주기별로 평균치를 취해 RAM(212)에 저장하고, 표시장치 구동부(216)를 제어하여 표시장치(406)에 표시한다.
또한, 일정 주기별로 정전시간(OT)을 누적하여 RAM(212)에 저장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요금관리나 부하관리 그리고 단전요구를 위한 외부 통신 요구에 응하여 디코더(208)를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분전반부(300)의 릴레이 드라이버((302), RD: Relay Driver)를 선택적으로 여자하여, 릴레이((306), Relay)를 동작시켜 누전차단기(310)나 배선차단기(312)를 동작시킨다.
또한, 부하(600)에 연결된 스위칭 릴레이((308), SR: Switching Relay)를 동작시켜 부하(600)를 온/오프하며 동시에 멀티플렉서(220)를 통해 감시하고자 하는 누전차단기(310), 배선차단기(312) 또는 부하단 스위칭 릴레이(308)의 접점 상태를 감시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외부의 원격관리 시스템(700)으로부터 데이터 요청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사용전력량 데이터, 시간대별 전압 데이터, 시간대별 부하전류 데이터, 역률, 주파수, 이벤트 데이터, 정전시간(OT) 등을 통신부(500)를 통하여 전송한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요금관리나 부하관리를 위해 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부하(600)를 원격에서 제어한다.
ROM(214)은 주택 전기관리 장치(HEMD)의 운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212)은 주택 전기관리 장치(HEMD)를 운용하는데 필요한 모든 초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한 사용전력량 데이터, 전압패턴 데이터, 전류패턴 데이터 그리고 누전이나 과전류 이벤트, 정전시간을 기록하게 된다.
표시장치 구동부(216)는 마이크로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초기 데이터, 사용전력량, 전기요금, 누전상태 등을 표시장치(406)에 표시한다.
통신포트(218)는 외부 원격관리 시스템(700)의 요청이나 주택 전기관리 장치(HEMD)가 필요할 때 데이터를 원격관리 시스템(700)에 전송하기 위한 포트이다.
주변장치부(400)는 조작 스위치(402), 백업 배터리(404), 표시장치(40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전반부(300)는 누전차단기(310), 배선차단기(312), 릴레이 드라이버(302), 릴레이(306), 포토커플러(304) 그리고 스위칭 릴레이(30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누전차단기(310)는 누전을 감시하여 차단하고 특히, 외부에서의 릴레이 드라이버(302) 제어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되고, 접점 상태를 감시한다.
배선차단기(312)는 과전류를 감시하여 차단하고 특히, CT(312a)로 배선차단기(312)에 흐르는 전류 계측이 가능하여, 외부에서의 릴레이 드라이버(302) 제어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되고, 접점 상태를 감시한다.
계전기는 두 개의 타입 즉, 릴레이(306)와 스위칭 릴레이(308)로 구성되고, 이 중에서 릴레이(306)는 누전차단기(310)나 배선차단기(312)를 구동하고, 스위칭 릴레이(308)는 부하(600)에 대한 스위칭 기능을 한다.
상기 누전차단기(310)나 배선차단기(312)는 첫째, 수동적으로, 둘째, 누전이나 과부하 이벤트 발생시 자율적으로, 셋째 마이크로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한 릴레이 드라이버(302)로 릴레이(306)를 트립시켜, 주택전기를 실제 전력선으로부터 차단함으로써 전기사용의 안전성을 제고한다.
상기 스위칭 릴레이(308)는 요금관리나 부하관리를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210)의 제어신호에 의한 릴레이 드라이버(302)의 동작에 의해, 부하(600)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멀티플렉서(220)는 복수의 회로(누전차단기, 배선차단기, 부하단 스위칭 릴레이)에서 입력되는 신호중 어느 하나의 입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포토커플러(304)는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 멀티플렉서(220)와 포토커플러(304)를 통해 누전차단기(310), 배선차단기(312) 그리고 부하단 스위칭 릴레이(308)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감시하는 경우, 릴레이(306), 부하단 스위칭 릴레이(308)와 멀티플렉서(220)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 전기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주택 내의 전기보호제어, 요금관리, 전기품질, 부하관리, 전기품질 관련 데이터를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 등 주택 전기 사용에 관한 종합적 관리를 위해, 전기관리 시스템의 기동시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주택 전기관리 장치(HEMD)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신호 전처리기(202) 등 모든 구성부에 대한 관련 데이터를 초기화한다(S202).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전기관련 데이터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전력량(W), 1초간의 에너지량(Ws), 전압(E), 전류(I), 주파수(F), 역률(cosθ)을 0으로 초기화한다(S204).
이와 같이 초기화를 수행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A/D 컨버터(204)에 저장되는 ZCT(106)의 전류값(Iz)을 읽어 들여 최대누설허용값(ILMAX)을 초과하는지 감시한다(S206).
만약, Iz>ILMAX인 경우 누전으로 판단하여 누전에 대한 조치를 취한다(S232).
즉, 누전 이벤트를 RAM(212)에 기록하고 누전 이벤트 정보를 원격관리 시스템(700)에 전송하며, 누전차단기(310)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누전차단기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 누전차단기(312)의 동작시간만큼 지난 후 누전차단기를 재동작시켜 고장을 차단하며, 차단에 실패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누전에 대한 조치단계(S232)로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Iz≥0.5*ILMAX를 감시하여 Iz≥0.5*ILMAX인 경우 누전상태정보를 원격 관리 시스템(700)에 전송한다.
상기 S206단계에서 Iz>ILMAX가 아닌 경우, 또는 S232단계에서 누전관련 조치를 취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배선차단기(312)의 전원단에 설치된 각 CT(312a)들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부하전류(I)가 최대허용전류값(IMAX)을 초과하는지 감시한다(S208).
상기 I>IMAX인 경우, 과부하 전류에 대한 조치를 취한다(S242).
즉, 과부하 전류 이벤트를 RAM(212)에 기록하고 과부하 전류 이벤트 정보를 원격관리 시스템(700)에 전송하며, 배선차단기(312)의 동작시간이 지난 후 배선차 단기의 상태를 감시해서 그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동작하지 않은 경우, 배선차단기의 동작시간만큼 경과 후 배선차단기를 재동작시켜 고장을 차단하며, 차단에 실패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상기 S242단계의 과부하 전류에 대한 조치는 각 배선차단기(312)별로 전원단에 각각 CT(312a)가 설치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각 배선차단기에 흐르는 전류를 계측할 수 있는 경우에 가능하다.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신호 전처리기(202)에 저장된 전압값(V)을 읽어 들여 정전 조건(V<0.5*VRATE) 해당하는지 감시하여(S209), V<0.5*VRATE인 경우, 정전시간(OT)을 누적하여 ROM(214)에 저장한다(S244).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A/D 컨버터(204)에서 입력되는 ZCT(106)의 전류(Iz)의 크기에 대응하는 해당상태로 표시장치(406)에 표시한다(S210).
이때 상태는 정상, 주의, 우려 그리고 비상상태로 구분되는데, 각각은 IZ<0.5*ILMAX, 0.5*ILMAX≤IZ<0.75*ILMAX, 0.75*ILMAX≤IZ<ILMAX, IZ≥ILMAX에 해당한다.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ROM(214)에 저장된 부하제어 스케줄 프로그램에 따라 부하제어 시간이 일치하는지 감시하여(S212), 일치하는 경우 해당 부하(600)에 대해 제어를 실시한다(S252).
즉, 정해진 부하제어 스케줄에 따라 제어대상 부하(600)에 연결되는 릴레이 드라이버(302)를 여자하여 릴레이(306)를 구동해서, 해당 배선차단기(312)를 동작시키거나 부하단 스위칭 릴레이(308)를 동작시켜 직접 해당 부하(600)를 온/오프 시키거나, 원격관리 시스템(700)에서 통신부(500)를 통해 원격에서 제어대상 부하(600)를 온/오프 제어하여 부하를 원격 제어한다.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서 인터럽트 요청이 오는지 확인하여(S214), 인터럽트 요청이 오지 않으면 S206단계로 가서 이벤트 감시를 계속하게 수행한다.
내부 또는 외부 인터럽트에서 인터럽트 요청이 오면 해당 인터럽트 서비스 업무를 수행한다.
만약 요청 인터럽트가 1초 인터럽트와 같은 단위시간 인터럽트인 경우(S216), 도 6의 순서에 따라 업무를 수행한다.
도 6은 도 5에서 인터럽트가 단위시간 인터럽트인 경우의 순서도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신호 전처리기(202)로부터 전압 실효치(Er), 전류 실효치(Ir), 주파수(Fr)를 읽어 들이고(S302) 이 읽어 들인 값을 이용하여 새로운 전압, 전류, 주파수, 그리고 정전시간(OT)을 누적하여 계산한다(S304).
즉, E=E+Er, I=I+Ir, F=F+Fr을 얻고, Er<0.5*VRATE인 경우 OT=OT+UTIME(단위시간)를 얻는다.
상기 단계의 데이터들로부터 역률 누적치(cosθ)를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누적 사용전력량(W)을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한다(S306).
Figure 112005021324393-pat00001
여기서 PS는 1초간의 에너지 펄스수, ENP는 펄스당 에너지의 값이다.
그리고 1초간의 소비전력
Figure 112005021324393-pat00002
이며 유효전력을 의미한다.
Figure 112005021324393-pat00003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장치 구동부(216)를 구동하여 사용전력량(W), 전압 실효치(Er), 전류 실효치(Ir), 주파수(Fr)를 표시장치(406)에 디스플레이 한다(S308).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관리시간(n분)이 초과하였는지를 감시하여(S310), n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Ps=0으로 설정한 후 도 5의 S206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관리시간 n분은 전력회사에서 전압관리는 15분 주기, 부하관리는 10분 주기로 평균치를 취하기 때문에 10분 주기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시간(n분)을 초과하는 경우, n분주기 동안의 실효전압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04
)는 수학식 3에 의해, 실효전류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05
)는 수학식 4에 구한다(S312).
Figure 112005021324393-pat00006
Figure 112005021324393-pat00007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사용전력량(W), n분주기 실효전압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08
), n분주기 실효전류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09
), n분주기 역률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10
), n분주기 주파수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11
) 그리고 정전시간(OT)을 RAM(212)에 저장한다(S314).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장치 구동부(216)를 구동하여 전기사용요금, 누전 정도, 사용전력량(W), n분주기 실효전압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12
), n분주기 실효전류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13
), n분주기 역률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14
), n분주기 주파수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15
)를 표시장치(406)에 디스플레이 한다(S316).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사용전력량(W), n분주기 실효전압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16
), n분주기 실효전류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17
), n분주기 역률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18
), n분주기 주파수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19
)를 0으로 초기화한 후 도 5의 S206단계를 수행한다.
도 5의 S218단계에서 요청 인터럽트가 외부 인터럽트인 경우, 에너지 방향이 정이면 Ps++를 계산하고, 에너지의 방향이 부이면 Ps--를 계산하여(S262) 이후, 도 6의 S312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Ps는 1초 동안 신호 전처리기(202)로부터 발생하는 규정된 에너지(Ws) 크기에 대응하는 펄스들의 총 수이다.
S220단계에서 요청 인터럽트가 조작스위치(402)의 조작에 의한 버튼 인터럽트인 경우, 시간, 날짜, 전력요금 산정 테이블, 신호 전처리기 초기치 등 전기관리 장치의 운영과 관련된 제반 설정치를 사용자와 프로그램 간의 인터액티브 환경을 기반으로 새로운 값으로 변경하고(S292), 이후 S206단계를 수행한다.
S222단계에서 요청 인터럽트가 통신 인터럽트인 경우, 데이터의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데이터 요청 요구, 원격 초기치 설정 요구, 부하 제어 요구인지를 확인한다(S272,S282,S286).
데이터 요청 요구인 경우 사용전력량(W), n분주기 실효전압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20
), n분주기 실효전류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21
), n분주기 역률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22
), n분주기 주파수 평균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23
), 누적된 정전시간(OT) 등을 원격관리 시스템(700)으로 전송한다.
원격 초기치 설정 요구인 경우, 시간, 날씨, 전력요금 산정 테이블 등 주택 전기관리 장치(HEMD)의 운영과 관련된 제반 설정치를 원격지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설정한다(S284).
부하 제어 요구인 경우, 해당 릴레이 드라이버(302)를 여자하여 누전차단기(310), 배선차단기(312), 또는 스위칭 릴레이(308)를 동작하는 부하제어를 실시하고(S288), 이후 S206단계를 수행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해 아래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첫째, 지능화된 누전 보호제어기능을 실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A/D 컨버터(204)로부터 입력되는 ZCT(106)의 전류(Iz)가 최대누설허용값(ILMAX)을 초과하는지를 감시하여 Iz>ILMAX인 경우 누전 이벤트로 설정하고 RAM(212)에 누전 이벤트를 기록한다.
그리고 분전반부(300)의 누전차단기(310) 상태를 감시해서 누전차단기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 누전차단기 동작시간만큼 경과 후, 누전차단기를 재동작시켜 고장 차단을 시도하고, 고장 차단에 실패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둘째, 지능화된 과전류 보호기능을 실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각 배선차단기(312)의 전원단에 설치된 각 CT(312a)들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부하전류(I)가 최대허용전류값(IMAX)을 초과하는지 감시하여, I>IMAX인 경우 과부하 이벤트로 설정하고 RAM(212)에 과전류 이벤트를 기록한다.
그리고 분전반부(300)의 배선차단기(312)의 동작시간이 지난 후에 배선차단기의 상태를 감시해서 그 동작 여부를 확인하여 동작하지 않은 경우, 배선차단기의 동작시간만큼 경과 후 배선차단기를 재동작시켜 고장 차단을 시도하고, 고장 차단에 실패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셋째, 지능화된 부하제어기반 요금관리 기능을 실현한다.
사용자가 조작스위치(402)를 조작하여 원하는 전기사용 요금을 설정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인터액티브 기법에 기반을 두어 설정된 요금이 얻어지도록 주택 내에 설치된 부하의 제어 스케줄을 작성한다.
이때 각각의 부하(600)는 부하 중요도를 가진다.
예를 들어 냉장고 같은 경우는 부하 중요도를 0순위 설정하여 가급적 부하제어 대상에서 가급적 배제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냉난방기나 전등은 낮은 중요도로 설정하여 부하제어 대상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정해진 부하제어 스케줄에 근거하여 해당 시간에 직접 제어대상 부하에 대응하는 릴레이 드라이버(302)를 여자하여 배선차단기(312)를 동작시키거나 스위칭 릴레이(308))를 동작시켜 직접 해당 부하(600)를 온/오프 시킨다.
또는 원격지의 원격관리 시스템(700)에서 통신부(500)를 통해 원격에서 제어대상 부하(600)에 온/오프 제어를 하여 부하를 원격에서 제어한다.
넷째, 디지털 적산 전력계의 기능을 실현한다.
신호 전처리기(202)는 전압검출부(102)와 전류검출부(104)의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초기 설정된 에너지 양(Ws)에 대응하는 펄스와 그 에너지의 방향을 제공한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1초 동안 그 펄스수를 누적하게 되는데, 에너지 방향이 정인 경우 Ps++를, 에너지의 방향이 부인 경우 Ps--를 계산한다.
다음 1초간 누적 사용전력량(W)을
Figure 112005021324393-pat00024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며 1개월간 사용전력량을 누적해서 월간 사용 전력량 W[kWh]를 얻는다.
다섯째, 원격 부하제어 기능을 실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에서는 원격지의 부하제어 요청에 근거하여 해당 릴레이 드라이버(302)를 여자하여 배선차단기(312)를 동작시키거나 부하단 스위치 릴레이(308)를 동작시켜 해당 부하(600)를 온/오프 시킨다.
또는 원격관리 시스템(700)에서 통신부(500)를 통해 해당하는 부하(600)에 직접 제어 신호를 보내어 부하를 제어한다.
여섯째, 원격 전압관리 기능을 실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신호 전처리기(202)로부터 전압 실효치(Er)를 읽어 들여, m일간 n분 주기별로 평균치를 취해 얻어진 전압 데이터
Figure 112005021324393-pat00025
를 RAM(212)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데이터는 Vij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i는 수용가 번호이고 j=m*n이다.
그리고 원격관리 시스템(700)의 요청에 근거하여 전압 데이터(Vij)를 원격관리 시스템(700)으로 전송하고 원격관리 시스템(700)은 주택 전기관리 장치(HEMD)로부터 얻어진 전압 패턴 데이터(Vij)를 데이터 DB(710)에 저장한 후 전압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만약 전 수용가에 대해 매월 전압을 측정하여 전압적정유지율을 계산할 수 있다면 일반 수용가에 대한 전압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수용가를 전압측정개소로 할 수 있고, 측정빈도도 매월 1회씩 수행함으로써 연간 전압 적정유지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도 7은 원격관리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모든 수용가에 대한 전압감시를 위한 전압관리 프로세서이다.
원격관리 시스템(700)은 데이터 DB(710) 중 변압기 DB로부터 수용가 정보를 읽어 들여 모든 수용가 리스트를 작성한다(S702).
여기서 Vij는 DB에 저장된 수용가 i의 전기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된 전압 패턴을 보인다.
Vmax=max(Vij), Vmin=min(Vij)으로 설정한 후(S704), 모든 수용가에 대해 적정전압 공급 여부를 감시한다(S706).
만약 상기 S706단계에서 max(Vij)>허용전압 상한치(VHLIMIT)이거나 min(Vij)<허용전압 하한치(VLLIMIT)인 측정개소가 발견되면, 공급전압이 허용전압 상한치(VHLIMIT)를 초과하거나 허용전압 하한치(VLLIMIT)에 이르지 못한 경우이기 때문에 부적정 전압 개소로 판정하여 관련된 정보를 보고하고(S708) 모든 수용가에 대한 부적정전압개소수(UAN)를 누산한다(S710).
그리고 전압 적정 유지율을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고(S712) 보고한다(S714).
부적정 전압 개소에 대한 주상변압기 최적탭을 계산하여 결정하고(S716) 관련 변압기의 부하시탭변환장치(ULTC: Under Load Tap Changer)에 대한 최적 정정치를 계산하여 결정하며(S718), 전압 보강공사를 실시함으로써 적정 전압이 공급된다.
일곱째 원격 변압기 부하관리 기능을 실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신호 전처리기(202)로부터 전류 실효치(Ir)를 읽어 들여, m일간 n분주기별로 평균치를 취해 얻어진 전류 데이터(
Figure 112005021324393-pat00026
)를 RAM(212)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데이터는 Iijk로 표시될 수 있는데, 여기서 i는 변압기 번호, j는 변압기 i에 속한 수용가 번호이고 k=m*n이다.
또한, 매월 누적된 사용전력량 W를 RAM(212)에 저장하는데 이때 저장되는 W는 Whij로 표시된다.
전기관리 시스템은 원격관리 시스템(700)의 요청에 근거하여 부하전류 데이터(Iijk), 사용 전력량 데이터(Whij) 등을 원격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원격관리 시스템(700)은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 DB(710)에 저장한 후 도 8과 같이 변압기 부하관리를 한다.
원격관리 시스템(700)은 데이터 DB(710)중 변압기 DB로부터 변압기(T) 정보를 검색하여 변압기별 수용가 리스트를 작성한다(S802).
다음 i번째 주상변압기에 속하는 각 수용가의
Figure 112005021324393-pat00027
,
Figure 112005021324393-pat00028
, Whij를 검색한다(S804).
여기서
Figure 112005021324393-pat00029
는 전기관리 장치(HEMD)로부터 전송된 i번째 변압기에 속하는 j번째 수용가의 k시간대 전류부하평균치를 나타내고 Whij는 전기관리 장치(HEMD)로부터 전송된 i번째 변압기의 j번째 수용가의 한 달간 사용전력량을 표시한다.
i번째 변압기(Ti)의 모든 수용가와, 모든 변압기(T)의 수용가에 대한 검색이 완료되면(S806,S808), 원격관리 시스템(700)은 i번째 변압기(Ti)의 시간대별 부하전류패턴(Tik)을 계산한다(S810).
시간대별 부하전류패턴(Tik)은 변압기 i에 속하는 모든 수용가의 동일시간대 부하전류를 합하여 산정하게 되는데, i번째 변압기의 k시간대 부하로서
Figure 112005021324393-pat00030
으로 계산된다.
상기 Tik로부터 Ti의 최대부하전류 ITi를 계산하고(S812) 이 계산을 모든 변압기에 대해 수행한 후(S814), 주택 내로 들어오는 상용교류 전원이 220V인 경우 최대부하(Pi)를
Figure 112005021324393-pat00031
공식을 이용해 계산한다(S816).
변압기 용량으로 나누어 변압기(Ti) 이용률을 모든 변압기에 대해 계산하고(S818,S820), 과부하 변압기를 중심으로 매월 변압기 이용률을 보고한다(S822).
특히 과부하 변압기나 과부하 예상 변압기로 보고되는 경우 원격관리 시스템(700)은 부하제어 전략에 근거하여 수용가에 부하제어 명령을 내리며, 주택 전기관리 장치(HEMD)는 이 명령에 근거하여 냉방기 제어를 하여 변압기 과부하를 해소한다.
여덟째 원격 전기품질관리 기능을 실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신호 전처리기(202)로부터 전압 실효치(Er), 전류 실효치(Ir), 주파수(Fr), 유효전력을 얻은 다음, m일간 n분주기별로 평균치를 취해 얻어진 역률 데이터(
Figure 112005021324393-pat00032
)와 주파수 데이터(
Figure 112005021324393-pat00033
)를 RAM(212)에 저장한다.
또한, 정전조건(Er<0.5*VRATE)에 해당하는 경우마다, 단위시간을 누적하여 누적된 정전시간을 RAM(212)에 저장한다.
그리고 원격관리 시스템(700)의 요청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원격관리 시스템은 이들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기품질 개선공사가 요구되는 수용가 및 관련정보 목록을 작성, 전기품질 개선공사(안) 및 전기품질 개선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홉째 누전상태 표시 기능을 실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A/D 컨버터(204)로부터 얻어지는 누전전류의 크기 에 따라 표시장치 구동부(216)를 구동하여 표시장치(406)에 해당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상태는 정상, 주의, 우려 그리고 비상상태로 구분되고, 각각은 IZ<0.5*ILMAX, 0.5*ILMAX≤IZ<0.75*ILMAX, 0.75*ILMAX≤IZ<ILMAX, IZ≥ILMAX에 해당된다.
열째, 전력요금 표시기능을 실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사용자의 요청이나 필요할 때 RAM(212)에 저장된 사용전력량을 요금으로 환산하여 표시장치(406)에 표시한다.
열한째, 전기안전관리 기능을 실현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0)는 배선차단기(312)의 전원단에 설치되는 CT(312a)들의 전류(I)가 최대허용전류값(IMAX)을 초과하는 경우 과부하 이벤트 정보를, ZCT(106)의 전류(Iz)가 0.5*ILMAX(최대누설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 누전 이벤트 정보를 통신부(500)를 통해 원격관리 시스템(700)에 전송한다.
또한, 누전상태가 주의상태 이상인 경우 즉, Iz≥0.5*ILMAX인 경우 누전상태정보를 통신부(500)를 통해 원격관리 시스템(7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원격관리 시스템(700)은 DB(710)으로부터 수용가 누전 정보를 검색, 누전의 정도를 확인하여 누전사고에 대하 주의가 요구되는 주의상태 이상에 해당하는 수용가들에 대한 목록 및 관련정보를 작성, 전기설비 안전도 개선공사(안)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누전이나 과부하 이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누전차단이나 과부하차단 경험이 있는 수용가 및 관련 정보 목록을 작성, 화재 등의 사고시 화재원인을 분석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상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IT기술에 기반을 둔 주택 자동화의 핵심영역인 주택전기분야에서 일반 전기수용가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 주택전기 사용의 안전성과 신뢰성 그리고 요금의 효율적인 관리는 물론 공급전기의 품질감시가 가능하며, 동시에 전력회사의 수용가로부터의 데이터 요구를 만족시켜 공급전기의 품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6)

  1. 주택으로 들어오는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전압신호, 전류신호, 영상전류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각각 변환하여 출력하는 입력신호부;
    상기 입력신호부의 전압, 전류신호를 입력받아 전압 실효치, 전류 실효치, 에너지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계산하여 저장하는 신호 전처리기와, 상기 영상전류 신호에 비례하는 전류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저장하는 A/D 컨버터와,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순차적으로 주택 전기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모든 초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전력량 데이터, 전압패턴, 데이터, 전류패턴 데이터, 누전이나 과부하 전류 이벤트, 정전시간을 기록하는 RAM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초기 데이터, 전류, 전압, 사용전력량, 전기요금, 누전상태 등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표시장치 구동부와, 외부 원격관리 시스템의 요청이나 주택에 구비된 전기관리 장치가 필요할 때 데이터를 원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포트를 구비한 주제어부와;
    상기 주택으로 들어오는 상용 교류전원을 주택 내에 설치된 부하에 공급하고 누전이나 과전류를 감시하여 차단하며, 누전차단기나 배선차단기 그리고 부하의 원격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분전반부;
    입력수단인 조작스위치나 출력수단인 표시장치 등을 구비하는 주변 장치부; 및
    원격지에서 상기 주제어부에 주택 전기관리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DB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주택 내에 설치된 부하에 직접 제어명령을 내리는 원격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부는 주택으로 들어오는 상용 교류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상기 전압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신호를 주제어부에서 허용하는 전압레 벨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신호 변환부와,
    상기 상용 교류전원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신호를 주제어부에서 허용하는 전류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류신호 변환부와,
    누전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압선과 중성선 사이의 불평형 전류에 비례하는 전류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변류기와,
    상기 영상 변류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전류신호를 주제어부에서 요구하는 전압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전류신호 변환부와,
    상기 상용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펄스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주파수/펄스 변환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검출부는 계기용 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로 이루어져 실제 전압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전압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검출부는 계기용 변류기(Current Transformer)로 이루어져 높은 선형성을 가지고 실제 부하전류에 비례하는 전류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에는 멀티플렉서가 더 구비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멀티플렉서를 통해 분전반부의 누전차단기, 배선차단기와 부하를 온/오프 하는 스위칭 릴레이의 접점 상태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부는 누전을 감시하여 차단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원격 제어되고, 접점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와,
    계기용 변류기가 구비되어 과전류를 감시하여 차단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원격 제어되고, 접점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배선차단기와,
    상기 누전차단기나 배선차단기에 대한 구동 기능을 하는 릴레이와,
    상기 부하에 대한 스위치 기능을 하는 스위칭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나 스위칭 릴레이를 동작시키는 릴레이 드라이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부에는 포토커플러가 더 구비되고 주제어부에는 멀티플렉서가 구비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멀티플렉서와 포토커플러를 통해 누전차단기, 배선차단기, 스위칭 릴레이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감시하되, 상기 포토커플러는 릴레이, 스위칭 릴레이와 멀티플렉서 사이를 전기적으로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9.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주택 전기관리 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부에 대한 관련 데이터와 전기관련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제1단계;
    디지털로 변환된 영상 변류기의 영상전류(Iz)가 최대누설허용값(ILMAX)을 초과하는지 감시하는 제2단계;
    상기 Iz>ILMAX인 경우 누전으로 판단하여 누전에 대한 조치를 취하여 고장을 차단하는 제3단계;
    상기 Iz>ILMAX가 아닌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배선차단기의 전원단에 설치된 각 계기용 변류기들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부하전류(I)가 최대허용전류값(IMAX)을 초과하는지 감시하는 제4단계;
    상기 I>IMAX인 경우, 과부하 전류에 대한 조치를 취하여 고장을 차단하는 제5단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부하제어 스케줄에 따라 부하제어 시간이 일치하는지 감시하는 제6단계;
    상기 부하제어 시간이 일치하는 경우 해당 부하에 대해 제어를 하는 제7단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내부 또는 외부에서 인터럽트 요청이 오는지 확인하는 제8단계; 및
    상기 인터럽트 요청이 오지 않으면 제2단계로 가서 이벤트 감시를 계속 수행하고, 내부 또는 외부 인터럽트에서 인터럽트 요청이 오면 해당 인터럽트 서비스 업무를 수행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누전 이벤트를 기록하고 누전 이벤트 정보를 원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며, 누전차단기를 상태를 감시하여 누전차단기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누전차단기 동작시간만큼 지난 후 누전차단기를 재동작시켜 고장을 차단하며, 고장 차단에 실패하면 경고음을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Iz≥0.5*ILMAX를 감시하여 Iz≥0.5*ILMAX인 경우, 누전상태정보를 원격관리 시스템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과부하 전류 이벤트를 기록하고, 과부하 전류 이벤트 정보를 원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며, 배선차단기 동작시간이 지난 후에 배선차단기의 상태를 감시해서 동작 여부를 확인하여 동작하지 않는 경우. 배선차단기 동작시간만큼 지난 후 배선차단기를 재동작시켜 고장을 차단하며, 고장 차단에 실패하면 경고음을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 이후에, 영상전류(Iz)의 크기에 대응하는 해당 상태로 표시장치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상태는 정상, 주의, 우려, 비상상태로 구분되고, 각각은 IZ<0.5*ILMAX, 0.5*ILMAX≤IZ<0.75*ILMAX, 0.75*ILMAX≤IZ<ILMAX, IZ≥ILMAX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정해진 부하제어 스케줄에 근거하여 제어대상 부하에 해당하는 릴레이 드라이버를 여자하여, 릴레이를 구동해서 배선차단기를 동작시키거나 스위칭 릴레이를 동작시켜 직접 해당 부하를 온/오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방법.
  16. 제9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제어 스케줄은, 사용자가 원하는 전기사용 요금을 설정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인터액티브 기법에 기반을 두어 설정된 요금이 얻어지도록 작성되고 각각의 중요도를 갖는 부하의 제어 스케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9단계에서 요청 인터럽트가 단위시간 인터럽트인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신호 전처리기의 전압 실효치, 전류 실효치, 주파수들을 읽어 들여 이들을 정전시간과 함께 각각 누적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제10단계의 데이터들로부터 역률을 계산하고, 누적 사용전력량을 계산하는 제11단계와,
    관리 시간이 초과하였는지 감시하는 제12단계와,
    상기 관리 시간을 초과한 경우 n분주기 전압, 전류 실효 평균치를 구하는 제13단계와,
    상기 사용전력량, n분주기 전압 실효 평균치, n분주기 전류 실효 평균치, n분주기 역률 평균치, n분주기 주파수 평균치, 정전시간을 저장하는 제14단계와,
    상기 사용전력량, n분주기 전압 실효 평균치, n분주기 전류 실효 평균치, n분주기 역률 평균치, n분주기 주파수 평균치를 0으로 초기화하는 제15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인터럽트의 단위시간은 1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단계 이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사용전력량, 전압 실효치, 전류 실효치, 주파수를 표시장치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4단계 이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사용전력량, n분주기 전압 실효 평균치, n분주기 전류 실효 평균치, n분주기 역률 평균치, n분주기 주파수 평균치를 표시장치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방법.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9단계에서 요청 인터럽트가 외부 인터럽트인 경우, 1초간의 에너지 펄스수(Ps)를 계산하되, 에너지 방향이 정이면 Ps++를 계산하고, 에너지의 방향이 부이면 Ps--를 계산하는 제16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 기관리 방법.
  2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9단계에서 요청 인터럽트가 사용자 조작에 의한 버튼 인터럽트인 경우, 시간, 날짜, 전력요금 산정 테이블, 초기치 등 전기관리 업무의 운영과 관련된 설정치를 사용자와 프로그램 간의 인터액티브 환경을 기반으로 새로운 값으로 변경하는 제17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방법.
  2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9단계에서 요청 인터럽트가 원격관리 시스템의 통신 인터럽트인 경우, 데이터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데이터 요청 요구, 원격 초기 설정치 요구, 부하제어 요구인지를 확인하는 제18단계와,
    상기 데이터 요청 요구인 경우 사용전력량, n분주기 전압 실효 평균치, n분주기 전류 실효 평균치, n분주기 역률 평균치, n분주기 주파수 평균치, 정전시간 등의 데이터를 원격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9단계와,
    상기 원격 초기 설정치 요구인 경우, 시간, 날짜, 전력요금 산정 테이블 등 전기관리 업무의 운영과 관련된 설정치를 원격관리 시스템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설정하는 제20단계와,
    상기 부하 제어 요구인 경우, 부하 제어를 하는 제21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방법.
  24. 각 주택에 구비된 주택 전기관리 장치의 전압패턴 데이터를 원격관리 시스템에서 원격에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격관리 시스템에 구비된 DB로부터 수용가 정보를 검색하여 수용가에 대해 전압 패턴을 읽어 들이는 단계와,
    모든 수용가에 대해 적정전압 공급 여부를 감시하여 부적정 전압개소를 판정하고, 부적정 전압 개소수를 누산하며, 전압적정유지율을 계산/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부적정 전압 개소에 대한 주상변화기 최적탭 및 관련 변압기의 부하시탭변환장치(ULTC: Under Load Tap Changer)에 대한 최적 정정치를 계산하여 결정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압관리 방법.
  25. 각 주택에 구비된 주택 전기관리 장치의 전류부하 패턴 데이터를 원격관리 시스템에서 원격에서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리 시스템에 구비된 DB로부터 변압기 정보를 검색하고 이 변압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수용가들에 대해 전류 패턴을 읽어 들이는 단계와,
    상기 전류패턴 데이터를 시간대별로 더해서 변압기에 걸리는 최대부하전류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변압기 최대부하를 산출하며 변압기 정격을 고려하여 변압기 이용률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변압기 이용률로 과부하 변압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과부하 변압기가 존재하는 경우, 주택 전기관리 장치에 명령을 내려 과부하분에 해당하는 수용가 부하들을 개방시켜 과부하를 해소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부하관리 방법.
  26. 각 주택에 구비된 전기관리 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배선차단기의 전류(I)가 최대허용전류값(IMAX)을 초과하는 경우 과부하 이벤트 정보를, 영상 변류기의 전류(Iz)가 0.5*ILMAX(최대누설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 누전 이벤트 정보를, 누전상태가 주의상태 이상인 경우 누전상태정보를 원격지의 원격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원격관리 시스템에서 DB에 저장된 수용가 누전 정보를 검색, 누전의 정도를 확인하여 누전사고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는 주의상태 이상에 해당하는 수용가들에 대한 목록 및 관련정보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관리 시스템에서 DB에 저장된 누전이나 과부하 이벤트 정보를 기반으로 누전차단이나 과부하차단 경험이 있는 수용가 및 관련정보 목록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전기안전관리 방법.
KR1020050033877A 2005-04-25 2005-04-25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전기안전관리 방법 KR100722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877A KR100722517B1 (ko) 2005-04-25 2005-04-25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전기안전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877A KR100722517B1 (ko) 2005-04-25 2005-04-25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전기안전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921A KR20060111921A (ko) 2006-10-31
KR100722517B1 true KR100722517B1 (ko) 2007-05-28

Family

ID=3762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877A KR100722517B1 (ko) 2005-04-25 2005-04-25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전기안전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25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396B1 (ko) * 2010-06-08 2010-12-17 중앙제어 주식회사 스마트 미터 제어기 및 이를 구비한 지능형 전자식 세대 분전반 시스템
CN101951022A (zh) * 2010-07-22 2011-01-19 深圳市海德森科技有限公司 智能配电方法及系统
CN105005205A (zh) * 2015-08-28 2015-10-28 天津求实智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力负荷分解与监测的家居安全告警系统及方法
KR102481698B1 (ko) 2022-02-09 2022-12-29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KR102484153B1 (ko) 2022-02-11 2023-01-04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 전기의 자동 통합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260B1 (ko) * 2007-04-24 2009-04-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전기 화재 예방장치
KR100896894B1 (ko) * 2007-08-23 2009-05-14 한국전기안전공사 분전반의 지능형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433819B1 (ko) * 2016-01-25 2022-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안전 관리 서버,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986221B1 (ko) * 2017-12-04 2019-09-30 한국전기안전공사 3상4선식 전기설비의 활선상태 절연저항 측정 방법 및 장치
CN109035839B (zh) * 2018-09-19 2024-01-12 广东省特种设备检测研究院顺德检测院 一种交通信号装置电气安全的全面监测方法
CN112993946A (zh) * 2021-01-27 2021-06-18 深圳市深龙达电器有限公司 一种电压时间型智能开关控制器的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991A (ko) * 1997-11-01 1999-06-05 김철호 무선신호를 이용한 가정용 방범, 통신구매, 종합검침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174974Y1 (ko) 1996-12-30 2000-04-01 정대헌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mof) 내의 디지탈 v/a lcd 감시장치
KR100443825B1 (ko) 2003-08-27 2004-08-11 주식회사 한국전설기술단 도전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974Y1 (ko) 1996-12-30 2000-04-01 정대헌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mof) 내의 디지탈 v/a lcd 감시장치
KR19990037991A (ko) * 1997-11-01 1999-06-05 김철호 무선신호를 이용한 가정용 방범, 통신구매, 종합검침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43825B1 (ko) 2003-08-27 2004-08-11 주식회사 한국전설기술단 도전 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396B1 (ko) * 2010-06-08 2010-12-17 중앙제어 주식회사 스마트 미터 제어기 및 이를 구비한 지능형 전자식 세대 분전반 시스템
CN101951022A (zh) * 2010-07-22 2011-01-19 深圳市海德森科技有限公司 智能配电方法及系统
CN105005205A (zh) * 2015-08-28 2015-10-28 天津求实智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力负荷分解与监测的家居安全告警系统及方法
KR102481698B1 (ko) 2022-02-09 2022-12-29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KR102484153B1 (ko) 2022-02-11 2023-01-04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 전기의 자동 통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921A (ko) 200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517B1 (ko)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전기안전관리 방법
CN205544597U (zh) 一种多功能三相电力监控装置
JP3138257B2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センタへのネットワーク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情報の提供方法及び装置
CN105074679B (zh) 用于开发、部署和实施电力系统计算机应用的系统和方法
US9722443B2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CN202948040U (zh) 一种具有用电故障监测保护功能的智能电能表
US7502698B2 (en) Power consumption measuring device and power control system
EP2448087B1 (en) Reliable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with alternate power source
CN102830255A (zh) 一种具有用电故障监测保护功能的智能电能表
US20100292857A1 (en) Electrical network command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JP6604327B2 (ja) 分散電源システム、局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WO2005093924A1 (ja) 複数の電力需要者集合エリアの電力システム
US8781638B2 (en) Campus energy manager
KR101220773B1 (ko)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에너지 관리기능을 갖는 지능형 분전반
CN105634138A (zh) 一种多功能三相电力监控装置
KR101318891B1 (ko)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30140237A (ko) 배전 계통의 최적 신뢰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404877B2 (en) Hierarchical power control system
JPH07147728A (ja) 系統連系型逆変換装置
JP3855168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4064960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KR20200089473A (ko) 사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세대분전반
JP5210611B2 (ja) 開閉器制御システム及び自動検針システム
KR102145323B1 (ko) 분산전원 플랜트를 관리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391796B1 (ko) 주파수연계 수요반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