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505B1 -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 - Google Patents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505B1
KR102463505B1 KR1020220009972A KR20220009972A KR102463505B1 KR 102463505 B1 KR102463505 B1 KR 102463505B1 KR 1020220009972 A KR1020220009972 A KR 1020220009972A KR 20220009972 A KR20220009972 A KR 20220009972A KR 102463505 B1 KR102463505 B1 KR 10246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ower
earth leakage
wiring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수
Original Assignee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9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누전차단형 콘센트를 사용하여 누전이 발생한 부하에 대해서만 전원을 차단하고 나머지 부하에 대해서는 전원이 계속 공급되게 함으로써 에어컨, 보일러가 동시에 모두 가동을 중지되지 않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누전 발생시 부하의 전원코드에 연결된 전원프러그가 누전차단형 콘센트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되게 함으로써 누전차단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세대원의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지 않게 하고, 누전에 의한 감전이나 화재발생과 같은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Indoor wiring system for apartment house with earth leakage breaking func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기술 분야 중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누전이 발생한 부하에 대해서만 전원을 차단하고 나머지 부하에 대해서는 전원이 계속 공급되게 함으로써 에어컨, 보일러가 동시에 모두 가동을 중지되지 않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누전이 발생한 부하의 전원코드가 콘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여 누전차단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세대원의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지 않게 하고, 누전에 의한 감전이나 화재발생과 같은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전기전원 공급을 위해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관에 설치되는 분전함(VDB)이 설치되며, 분전함(VDB)에는 인입선에 연결되는 누전차단기와 누전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등배선차단기와 전열배선차단기가 설치되고, 전등배선차단기와 전열배선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등배선(w1)과 전열배선(w2)이 각 침실, 거실, 주방, 발코니, 보일러실, 다용도실 등의 각 구역(R)의 천장과 벽체에 매설되고, 각 구역의 천장에는 전등배선(w1)에 스위치(S)를 거쳐 연결되는 전등(L)이 설치되며, 각 구역(R)의 벽체에는 전열배선(w2)에 연결되는 콘센트(C)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전원공급 라인에는 누전이 발생하였을 때 실제로 누전이 발생한 부하 측 배선에 대해서만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고, 분전함에 설치된 누전차단기에 의해 전체 전원을 차단되어 모든 전등이 소등되고, 냉장고, 에어컨, 보일러 등 모든 가전제품의 가동이 중지되어 세대원들이 어두운 실내에서 여름철에는 더위에, 겨울철에는 추위에 시달려야 할 뿐만 아니라 냉장고 내의 식품이 상하게 되는 등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0159호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차단 시스템"은 보호플레이트, 차단동력발생부, 제1구동부, 제2구동부, 센서부, 전류측정기,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누전차단모듈, 공동주택 전기시설 통합관리서버, 세대원 이동통신단말기 및 관리자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여, 세대분전함에 설치된 누전차단기가 해당 세대에서 누전이 발생하였음에도 고장 등 이유로 미작동 시 누전차단기의 레버를 강제로 오프 상태로 전환시켜 누전차단기 이상 상황에서의 누전에 따른 전기화재 내지 감전사고 등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러한 사실 정보가 해당 세대의 세대원 및 전기시설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가각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누전 공사 등의 조치가 즉각적으로 취해질 수 있게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세대분전함에 설치된 누전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누전차단기의 레버를 기계적으로 오프시켜 전원을 전체적으로 차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9990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가 오프작동될 시 그 사실을 외출 중인 사용자가 즉시 알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누전차단기에 대한 관리자의 방문 점검을 선택적으로 요청할 수 있고, 방문 점검을 요청할 경우 관리자를 통한 사무 공간, 매장 또는 세대 내에 대한 출입 및 점검 상황의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획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편한 마음으로 관리자의 방문 점검을 요청할 수 있는 동시에 관리자의 점검 과정을 실시간 내지 추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역시 누전차단기가 차단됨에 따라 모든 전등이 소등되고 모든 가전제품의 가동이 중지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전원플러그가 연결된 가전제품 등에서 누전이 발생한 경우 자체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누전차단형 콘센트(Cel)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도 8참조).
누전차단형 콘센트(Cel)는 벽체에 매설되며 내부에 누전차단기구가 구비된 콘센트본체와, 콘센트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전열배선(w2)에 연결되는 전원단자와, 콘센트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플러그삽입홈과, 플러그삽입홈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러그단자삽입공과, 플러그단자삽입공 내에 구비된 플러그단자접속구와, 콘센트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을 때 점등되는 전원램프와, 누전차단동작을 점검하기 위한 시험버튼과, 누전발생원인이 해소된 후 다시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리셋버튼을 포함한다.
누전차단형 콘센트(Cel)는 내부에 설치되어 누전에 의한 지락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는 영상변류기와, 누전에 의한 지락전류 발생시 전원단자와 플러그단자접속구의 접속을 차단하는 트립장치가 설치된다. 트립장치는 평상시 플런저와 아마추어가 스프링에 의해 전진하여 트립바가 전원단자와 플러그단자접속구를 접속하게 하고, 지락전류 발생시 지락전류에 의해 플런저가 자화되어 아마추어를 흡인하여 트립바가 전원단자와 플러그단자접속구를 차단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누전차단형 콘센트(Cel)는 기성 제품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에 누전차단형 콘센트(Cel)를 설치한 경우, 누전 발생시 누선차단형 콘센트(Cel)의 전원단자와 플러그단자삽입공 내에 구비된 플러그단자접속부를 차단하여 플러그단자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플러그단자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되지만, 여전히 플러그단자가 플러그단자접속부에 접속되어 누전이 발생한 가전제품 등의 부하의 전원코드가 플러그단자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므로 리셋버튼에 의해 리셋되는 경우 누전이 발생한 가전제품 등의 부하로 인하여 다시 누전차단이 반복될 수 있어 세대원의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게 되며, 누전에 의한 감전이나 화재발생과 같은 2차 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0159호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차단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9990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5676호 "누전차단기를 구비한 플러그와 콘센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전이 발생한 부하에 대해서만 전원을 차단하고 나머지 부하에 대해서는 전원이 계속 공급되게 함으로써 에어컨, 보일러가 동시에 모두 가동을 중지되지 않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누전이 발생한 부하의 전원코드가 콘센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여 누전차단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세대원의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지 않게 하고, 누전에 의한 감전이나 화재발생과 같은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관에 설치되는 분전함에서 분기된 전등배선과 전열배선이 각 구역의 천장과 벽체에 매설되고, 각 구역의 천장에는 전등배선에 스위치를 거쳐 연결되는 전등이 설치되며, 각 구역의 벽체에는 전열배선에 연결되고 플러그몸체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홈과 플러그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플러그단자접속구를 가지며 자체 누전차단 기능을 가지는 누전차단형 콘센트가 설치되는 공지의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는 상기 누전차단형 콘센트의 플러그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부와 원통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드부싱부를 가지는 절연재질의 플러그본체와, 상기 플러그본체 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원통부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플러그단자와, 상기 플러그단자의 후단에 연결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코드부싱부를 통해 인출되는 전원코드와, 상기 코드부싱부의 내부에는 플러그단자에 연결되어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내장된 복원스프링에 의해 작동봉이 상승방향 전진하고,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작동봉이 하강방향으로 후진하는 솔레노이드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작동봉의 상단에 후방 하단이 연결되며 원통부의 전면에서 출몰되는 탄성푸셔와, 상기 원통부와 코드부싱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푸셔를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반전안내하는 반전안내부와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안내부와 원통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푸셔출몰공을 가지는 푸셔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푸셔는 내부에 스프링강 재질의 탄성푸셔심재와, 탄성푸셔심재를 피복하는 가요성 재질의 절연피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에 의하면, 누전차단형 콘센트를 사용하여 누전이 발생한 부하에 대해서만 전원을 차단하고 나머지 부하에 대해서는 전원이 계속 공급되게 함으로써 에어컨, 보일러가 동시에 모두 가동을 중지되지 않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누전 발생시 부하의 전원코드에 연결된 전원프러그가 누전차단형 콘센트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되게 함으로써 누전차단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세대원의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지 않게 하고, 누전에 의한 감전이나 화재발생과 같은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의 배선도,
도 2는 누전차단형 콘센트와 전원플러그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누전차단형 콘센트와 전원플러그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전원플러그의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
도 5는 전원플러그가 누전차단형 콘센트에 연결된 상태를 보인 종단측면도,
도 6은 전원플러그가 누전차단형 콘센트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종단측면도,
도 7은 종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의 배선도,
도 8은 종래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의 배선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는
현관에 설치되는 분전함(VDB)이 설치되며, 분전함(VDB)에는 인입선에 연결되는 누전차단기와 누전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등배선차단기와 전열배선차단기가 설치되고, 전등배선차단기와 전열배선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등배선(w1)과 전열배선(w2)이 각 침실, 거실, 주방, 발코니, 보일러실, 다용도실 등의 각 구역(R)의 천장과 벽체에 매설되고, 각 구역의 천장에는 전등배선(w1)에 스위치(S)를 거쳐 연결되는 전등(L)이 설치되며, 각 구역(R)의 벽체에는 전열배선(w2)에 연결되는 누전차단형 콘센트(100)가 설치된다.
공동주택의 현관에는 분전함(VDB)이 설치되고, 분전함(VDB) 내에는 인입선에 연결되는 누전차단기가 설치되며, 누전차단기의 출력단에 전등배선차단기와 전열배선차단기가 연결되고, 전등배선차단기와 전열배선차단기의 출력단에는 상기 전등배선(w1)과 전열배선(w2)이 연결된다.
상기 누전차단형 콘센트(100)는 종래의 누전차단형 콘센트와 마찬가지로 벽체에 매설되며 내부에 누전차단기구가 구비된 콘센트본체(110)와, 콘센트본체(110)의 후면에 구비되어 전열배선(w2)에 연결되는 전원단자(120)와, 콘센트본체(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플러그삽입홈(130)과, 플러그삽입홈(130)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러그단자삽입공(140)과, 플러그단자삽입공(140)과 동축으로 콘센트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단자(120)에 연결되는 플러그단자접속구(150)와, 콘센트본체(110)의 후면에 구비되어 각각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을 때 점등되는 전원램프(160)와, 누전차단동작을 점검하기 위한 시험버튼(170)과, 누전발생원인이 해소된 후 다시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리셋버튼(180)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단자접속구(150)는 도전성 재질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전원단자(120)에 전선(도시생략)으로 연결된다.
누전차단형 콘센트(100)는 내부에 설치되어 누전에 의한 지락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는 영상변류기와, 누전에 의한 지락전류 발생시 전원단자와 플러그단자접속구의 접속을 차단하는 트립장치가 설치된다. 트립장치는 평상시 플런저와 아마추어가 스프링에 의해 전진하여 트립바가 전원단자와 플러그단자접속구를 접속하게 하고, 지락전류 발생시 지락전류에 의해 플런저가 자화되어 아마추어를 흡인하여 트립바가 전원단자와 플러그단자접속구를 차단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누전차단형 콘센트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전원플러그(200)는 상기 누전차단형 콘센트(100)의 플러그삽입홈(130)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부(211)와 원통부(211)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드부싱부(212)를 가지는 절연재질의 플러그본체(210)와, 상기 플러그본체(210) 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원통부(211)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플러그단자(220)와, 상기 플러그단자(220)의 후단에 연결되는 연결단자(230)와, 상기 연결단자(230)에 연결되어 코드부싱부(212)를 통해 인출되는 전원코드(240)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본체(210)와 플러그단자(220)와 연결단자(230)와 전원코드(240)의 구성은 통상적인 전원플러그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원플러그(200)는 상기 코드부싱부(212)의 내부에는 플러그단자(220)에 연결되어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내장된 복원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작동봉(251)이 상승방향 전진하고,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작동봉(251)이 하강방향으로 후진하는 솔레노이드(250)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작동봉(251)의 상단에 후방 하단이 연결되며 원통부(211)의 전면에서 출몰되는 탄성푸셔(260)와, 상기 원통부(211)와 코드부싱부(212)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푸셔(260)를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반전안내하는 반전안내부(271)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안내부(272)와 원통부(211)의 전면에 형성되는 푸셔출몰공(273)을 가지는 푸셔가이드(27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푸셔(260)는 내부에 스프링강 재질의 탄성푸셔심재(261)와, 탄성푸셔심재(261)를 피복하는 가요성 재질의 절연피복(262)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푸셔심재(261)는 영구변형이 일어나는 상태로 절곡하는 것이 아니고, 평판 상태로 형성하여 푸셔가이드(270)의 형상에 따라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탄성푸셔(260)와 작동봉(251)은 탄성푸셔심재(261)의 하단과 작동봉(251)의 상단을 용접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본체(210)는 플러그단자(220), 연결단자(230), 전원코드(240), 솔레노이드(250), 탄성푸셔(260), 푸셔가이드(270)의 각 부품을 조립하기 위하여 좌우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하여 각 부품을 조립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거나 초음파접합 방식 등으로 접합할 수 있다.
또한 푸셔가이드(270)도 좌우로 분할 형성함과 아울러 좌우로 분할 형성되는 플러그본체(210)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플러그(200)가 누전차단형 콘센트(1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25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작동봉(251)이 상승방향으로 전진하면서 탄성푸셔(260)를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푸셔(260)가 푸셔가이드(27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푸셔가이드(270)가 반전안내부(271)과 수평안내부(272)와 원통부(211)의 전면에 형성되는 푸셔출몰공(273)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탄성푸셔(260)는 상승방향으로 이동하고, 반전안내부(271)을 따라 반전되어 휘어지면서 이동하며, 수평안내부(272)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푸셔출몰공(273)을 통해 원통부(211)의 전면에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탄성푸셔(260)는 상승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수직판 상태로 되고, 반전안내부(271)을 따라 반전되어 휘어지면서 이동할 때는 원호형으로 휘어지는 상태로 되며, 수평안내부(272)와 푸셔출몰공(27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수평판 상태로 된다.
특히, 탄성푸셔(260)는 반전안내부(271)을 따라 반전되어 휘어지면서 이동하던 부분이 반전안내부(271)을 벗어나는 순간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곧바로 수평판 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탄성푸셔(260)의 선단은 플러그단자(220)의 선단과 일치하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전원플러그(200)의 원통부(211)를 누전차단형 콘센트(100)의 플러그삽입홈(130)에 삽입함과 아울러 플러그단자(220)를 플러그단자삽입공(140)을 통해 플러그단자접속구(150)에 삽입하면, 플러그단자접속구(150)가 전원단자(120)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단자(120)는 전열배선(w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러그단자(220)와 이에 연결된 전원코드(2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전제품 등의 부하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원통부(211)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있던 탄성푸셔(260)의 선단이 플러그삽입홈(130)의 전면에 의해 상대적으로 눌리게 되고, 그 힘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푸셔출몰공(273)과 수평안내부(272)와 반전안내부(271)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후방 하단이 작동봉(251)을 하방으로 누르게 되어 작동봉(251)이 자체 복원스프링에 대항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후, 플러그단자(220)가 플러그단자접속구(150)에 접속하기 시작하면, 플러그단자(220)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 전원이 솔레노이드(250)에 인가되어 작동봉(251)이 솔레노이드(250)의 작동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작동봉(251)의 상단에 결합된 탄성푸셔(260)를 하방으로 당기게 되어 탄성푸셔(260)가 푸셔출몰공(273)과 수평안내부(272)와 반전안내부(271)을 따라 후진 이동하여 그 선단이 원통부(211)의 전면에 일치하는 상태로 된다.
원통부(211)가 플러그삽입홈(130)에 완전히 삽입되고, 플러그단자(220)가 플러그단자삽입공(140)과 플러그단자접속구(15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원통부(211)의 전면이 플러그삽입홈(130)의 후면에 밀착되고, 탄성푸셔(260)의 선단이 원통부(211)의 전면과 플러그삽입홈(130)의 후면에 일치하는 상태로 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전원플러그(200)가 누전차단형 콘센트(100)에 연결되어 전원코드(240)에 전원이 공급되면 해당 가전제품 등의 부하가 가동하게 된다.
부하가 가동되는 과정에서 부하 측에 누전이 발생하게 되면, 그 누전에 의한 지락전류에 의해 누전차단형 콘센트(100)의 트립바가 트립되어 전원단자(120)와 플러그단자접속구(150)가 차단되어 해당 부하에 대한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이때, 솔레노이드(250)가 플러그단자(2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솔레노이드(250)에도 전원이 차단된다.
솔레노이드(250)에 전원이 차단되면, 자체 복원스프링에 의해 작동봉(251)이 상승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상승방향으로 전진하고, 반전안내부(271)을 따라 반전되어 휘어지면서 전진하게 되며, 수평안내부(272)와 푸셔출몰공(27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푸셔(260)의 전진에 따라 탄성푸셔(260)의 선단부가 원통부(211)의 전면에서 돌출되면서 플러그삽입홈(130)의 후면을 밀게 되고, 상대적으로 원통부(211)와 코드부싱부(212)와 플러그단자(220)를 포함하는 전원플러그(200)가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따라 원통부(211)가 플러그삽입홈(130)에서 인출되고, 플러그단자(220)가 플러그단자접속구(150)와 플러그단자삽입공(140)으로부터 인출되어 플러그단자(220)와 플러그단자접속구(150)가 분리된다.
원통부(211)가 플러그삽입홈(130)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면 전원플러그(200)의 자중에 의해 낙하하게 되어 전원플러그(200)가 누전차단형 콘센트(100)에서 완전히 분리된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누전발생 요인을 가지고 있는 가전제품 등의 부하의 전원플러그(200)가 누전차단형 콘센트(100)에서 완전히 분리되므로 누전차단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세대원의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지 않게 하고, 누전에 의한 감전이나 화재발생과 같은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VDB : 분전함 w1 : 전등배선
w2 : 전열배선 L : 전등
100 : 누전차단형 콘센트 110 : 콘센트본체
120 : 전원단자 130 : 플러그삽입홈
140 : 플러그단자삽입공 150 : 플러그단자접속구
160 : 전원램프 170 : 시험버튼
180 : 리셋버튼 200 : 전원플러그
210 : 플러그본체 220 : 플러그단자
240 : 전원코드 250 : 솔레노이드
260 : 탄성푸셔 270 : 푸셔가이드

Claims (1)

  1. 원통부와 원통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드부싱부를 가지는 절연재질의 플러그본체와, 플러그본체 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원통부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플러그단자와, 플러그단자의 후단에 연결되는 연결단자와, 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코드부싱부를 통해 인출되는 전원코드를 포함하는 전원플러그와; 현관에 설치되는 분전함에서 분기된 전등배선과 전열배선이 각 구역의 천장과 벽체에 매설되고, 각 구역의 천장에는 전등배선에 스위치를 거쳐 연결되는 전등이 설치되며, 각 구역의 벽체에 설치되어 전열배선에 연결되고 플러그몸체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홈과 플러그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플러그단자접속구를 가지며 자체 누전차단 기능을 가지는 누전차단형 콘센트를 포함하는 공지의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에 있어서,
    코드부싱부의 내부에는 플러그단자에 연결되어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내장된 복원스프링에 의해 작동봉이 상승방향 전진하고,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작동봉이 하강방향으로 후진하는 솔레노이드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작동봉의 상단에 후방 하단이 연결되며 원통부의 전면에서 출몰되는 탄성푸셔와,
    원통부와 코드부싱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탄성푸셔를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반전안내하는 반전안내부와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수평안내부와 원통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푸셔출몰공을 가지는 푸셔가이드를 포함하고,
    탄성푸셔는 내부 스프링강 재질의 탄성푸셔심재와, 탄성푸셔심재를 피복하는 가요성 재질의 절연피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
KR1020220009972A 2022-01-24 2022-01-24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 KR10246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972A KR102463505B1 (ko) 2022-01-24 2022-01-24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972A KR102463505B1 (ko) 2022-01-24 2022-01-24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505B1 true KR102463505B1 (ko) 2022-11-10

Family

ID=8410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972A KR102463505B1 (ko) 2022-01-24 2022-01-24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368B1 (ko) 2022-12-20 2023-07-25 (주)조은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누전 차단기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438U (ko) * 1996-10-02 1998-07-15 이승우 플러그의 이탈 장치
KR19990035676U (ko) 1998-02-06 1999-09-15 김성원 누전차단기를 구비한 플러그와 콘센트
KR200330215Y1 (ko) * 2003-07-14 2003-10-17 임상근 전기제품용 전원 플러그
KR101310351B1 (ko) * 2012-06-12 2013-09-23 김경애 대기 전력 소모 차단용 플러그
KR20150002996U (ko) * 2014-01-27 2015-08-05 문한새 전기 플러그
KR101999193B1 (ko) * 2019-01-22 2019-07-11 진종신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 시설물
KR102080159B1 (ko) 2019-08-28 2020-05-29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차단 시스템
KR102289990B1 (ko) 2021-04-05 2021-08-18 주식회사 부윤엔지니어링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438U (ko) * 1996-10-02 1998-07-15 이승우 플러그의 이탈 장치
KR19990035676U (ko) 1998-02-06 1999-09-15 김성원 누전차단기를 구비한 플러그와 콘센트
KR200330215Y1 (ko) * 2003-07-14 2003-10-17 임상근 전기제품용 전원 플러그
KR101310351B1 (ko) * 2012-06-12 2013-09-23 김경애 대기 전력 소모 차단용 플러그
KR20150002996U (ko) * 2014-01-27 2015-08-05 문한새 전기 플러그
KR101999193B1 (ko) * 2019-01-22 2019-07-11 진종신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 시설물
KR102080159B1 (ko) 2019-08-28 2020-05-29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차단 시스템
KR102289990B1 (ko) 2021-04-05 2021-08-18 주식회사 부윤엔지니어링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368B1 (ko) 2022-12-20 2023-07-25 (주)조은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누전 차단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9017B (zh) 直流开关装置
US7208850B2 (en) Power strip transfer mechanism
KR102463505B1 (ko)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
US20090216386A1 (en) Load shed transfer mechanism and method
CN101919125A (zh) 插座和连接器
CN101800385A (zh) 磁力电连接器
KR102488288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CN111338253A (zh) 升降式地埋环网柜的智能一体化管理系统及控制方法
KR20050036325A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기분전반의 차단기와 그 제어 방법
KR102575918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옥내 배전 장치 및 방법
TW201724152A (zh) 智慧型無熔絲開關
CN205583213U (zh) 一种漏电过流保护插座
KR100960146B1 (ko) 공동주택의 가전기기 구동용 전기공급식 멀티탭
KR100549241B1 (ko) 리셉터클
CN212517090U (zh) 一种漏电保护功能测试的电动操作机构
KR102539611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81698B1 (ko)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KR102447821B1 (ko) 전원차단장치
CN213661491U (zh) 一种消防泵控制柜
US9787132B2 (en) Auxiliary power input switch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line power and auxiliary power in an emergency
KR102484153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자동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10109285A (ko) 화재발생시 전원차단장치
CN213124217U (zh) 一种智能楼宇用消防报警开关
JPH09284986A (ja) 感震装置および自動通報装置
CN218448771U (zh) 电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