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288B1 -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288B1
KR102488288B1 KR1020220032559A KR20220032559A KR102488288B1 KR 102488288 B1 KR102488288 B1 KR 102488288B1 KR 1020220032559 A KR1020220032559 A KR 1020220032559A KR 20220032559 A KR20220032559 A KR 20220032559A KR 102488288 B1 KR102488288 B1 KR 102488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outlet
electric heating
notifica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봉상
Original Assignee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2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2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having ejecting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36Overload-protection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단수단과 알림수단 및 추출수단에 의하여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 측에서 사고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벽체콘센트와 전열배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플러그를 벽체콘센트로부터 추출하여 더 이상 사고전류가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누전, 정전, 화재 등의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세대원에게 차단 및 추출 상태를 알림으로써 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고, 전체 배선 중 메인전등배선과 매전열배선, 천장전등배선과 천장스위치배선, 수직전열배선은 벽체와 천장에 매설되지만 수평전등배선과 수평전열배선은 벽체의 거실 측에서 노출되어 있는 수평배선몰딩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전등배선과 전열배선의 교체작업 시 철거와 삽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노후된 전등배선과 전열배선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사고전류의 발생원인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하여 더욱 안전한 전기 사용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Safety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ity in apartment hou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분야 기술 중에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 측에서 사고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벽체콘센트와 전열배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플러그를 벽체콘센트로부터 추출하여 더 이상 사고전류가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누전, 정전, 화재 등의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세대원에게 차단 및 추출 상태를 알림으로써 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노후된 전등배선과 전열배선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사고전류의 발생원인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하여 더욱 안전한 전기 사용이 가능하게 되도록 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전기계통은 벽체의 현관 측에 설치되는 분전함과, 분전함에 설치되어 전력량계를 거쳐 인입되는 인입선에 연결되는 누전차단기와, 누전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등배선용 차단기와 전열배선용 차단기와, 전등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등배선과, 전열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되는 전열배선과, 각 구역의 천장에 설치되어 전등배선에 연결되는 조명기기와, 각 구역의 벽체에 설치되어 전열배선에 연결되는 벽체콘센트로 구성된다.
조명기기는 벽체에 설치된 스위치에 연결되는 스위치선과 함께 전등배선에 연결되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켜고 끌 수 있도록 설치된다.
벽체콘센트에는 전자제품의 전원코드에 달린 플러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대체로 조명기기와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을 비교해 보면, 대체로 조명기기는 전자제품들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사고전류(누설전류나 과전류)의 발생빈도가 매우 낮은 반면 전자제품의 경우 사고전류의 발생빈도가 높다.
또한 벽체콘센트는 각 구역마다 설치되어 있으나, 최근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제품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기존 설치된 벽체콘센트만으로는 수요를 충당할 수 없어 복수개의 콘센트부를 가지는 소위 멀티탭이라고 하는 멀티콘센트를 벽체콘센트에 연결하여 수요를 충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하나의 벽체콘센트에는 허용전류값이 정해져 있는데 지나치게 많은 콘센트부를 가지는 멀티콘센트를 연결하여 많은 수의 전자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결국 과전류로 인해 누전차단기 또는 전열배선용 차단기가 차단되면서 세대 전체가 정전되어 세대원들이 주거생활에 많은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전자제품의 오동작 또는 고장에 의해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누전차단기 또는 전열배선용 차단기가 차단되어 세대 전체가 정전되어 세대원들이 주거생활에 많은 불편을 겪게 된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9990호(2021.08.18. 공고)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 내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가 차단동작될 때 그 사실을 외출 중인 세대원이 즉시 알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누전차단기에 대한 관리자의 방문 점검을 선택적으로 요청할 수 있고, 방문 점검을 요청할 경우 관리자를 통한 각 세대 내에 대한 출입 및 점검 상황의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획득되어 세대원에게 제공될 수 있어 세대원은 보다 편한 마음으로 관리자의 방문 점검을 요청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점검 과정을 실시간 내지 추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전등이 연결된 전등배선에서는 사고전류(누설전류와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매우 적고, 대부분 전자제품이 연결되는 콘센트가 연결된 전열배선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콘센트에서 사고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기술과 선행기술에서는 콘센트에 사고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누전차단기나 전열배선용 차단기가 차단되어 모든 전등과 전자제품에 대한 전원이 차단된다.
따라서 사고전류가 발생한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은 물론 나머지 전자제품도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사고전류와 무관한 세대원이 밤늦게 귀가하는 경우 전등을 켜지 못하여 세대원의 주거생활에 큰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선행기술에서는 누전차단기가 차단되었을 때 세대원에게 알려서 대처할 수 있게 하고 있을 뿐, 어떤 전자제품이 연결된 콘센트와 관련하여 차단이 되었는지는 알리지 않으므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몇 번 콘센트와 이에 연결된 어떤 전자제품과 관련하여 차단이 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면, 해당 전자제품의 종류에 따라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데 선행기술에서는 그렇지 못하므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가 연결된 특정 콘센트와 관련하여 차단이 이루어졌다고 할 때, 세대원은 특정 콘센트와 냉장고와 관련하여 차단이 이루어졌는지 알 수 있으므로 곧바로 냉장고에 대하여 A/S를 신청하고, 냉장고에 저장된 음식물과 음식재료에 대한 조치를 취하는 등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게 되는데 선행기술에서는 어떤 콘센트와 전자제품과 관련하여 차단이 이루어졌는지 알 수 없으므로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고전류는 단지 콘센트 부분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노후된 전등배선과 전열배선에서도 발생하게 되는데 근본적인 사고전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등배선과 전열배선을 교체하여야 한다.
그런데 전등배선은 현관측에서 벽체에 매설되는 메인전등배선과, 각 구역의 천장에 매설되는 수평전등배선 및 벽체에 매설되는 전등스위치배선으로 이루어지며, 벽체와 천장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매인전등배선이 삽입된 메인전등배선매설관과, 수평전등배선이 삽입된 수평전등배선매설관과, 전등스위치배선이 삽입된 전등스위치배선매설관을 거푸집과 철근에 고정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 양생, 경화하는 것에 의해 벽체와 천장에 매설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노후된 전등배선을 교체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난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열배선은 현관측에서 벽체에 매설되는 메인전열배선과, 각 구역의 천장에 매설되는 수평전열배선 및 벽체에 매설되는 수직전열배선으로 이루어지며, 벽체와 천장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메인전열배선이 삽입된 메인전열배선매설관과 수평전열배선이 삽입된 수평전열배선매설관과 수직전열배선이 삽입된 수직전열배선매설관을 거푸집과 철근에 고정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 양생, 경화하는 것에 의해 벽체와 천장에 매설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노후된 전열배선을 교체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난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메인전등배선매설관과 메인전열배선매설관은 현관측 벽체에서만 개구되고, 수평전등배선매설관과 수평전열배선매설관은 벽체나 천장에서 개구되지 않으며, 전등스위치배선매설관과 수직전열배선매설관은 벽체의 벽체콘센트의 위치에서만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전열배선을 인출하고, 새로운 전열배선을 삽입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난해하게 된다.
더욱이 메인전등배선매설관과 수평전등배선매설관과 전등스위치배선매설관의 연결부위와 수직전열배선매설관과 수평전열배선매설관과 수직전열배선매설관의 연결부위가 꺾여 있기 때문에 기존 전열배선을 인출하고 새로운 전열배선을 삽입하는 작업이 더욱 난해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1326호(2020.11.20. 공고),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감시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0159호(2020.05.29. 공고),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차단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4893호(2019.04.05. 공고), "인공지능과 연계되는 구간별 공동주택 전기누전 감지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09889호(2021.02.02.공고), "공동주택용 실내전기의 구간별 누전 감시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9990호(2021.08.18. 공고)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 측에서 사고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벽체콘센트와 전열배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플러그를 벽체콘센트로부터 추출하여 더 이상 사고전류가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누전, 정전, 화재 등의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세대원에게 차단 및 추출 상태를 알림으로써 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후된 전등배선과 전열배선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사고전류의 발생원인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하여 더욱 안전한 전기 사용이 가능하게 되도록 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전함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에 연결되는 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등배선과 전열배선, 천장에 설치되며 전등배선과 스위치배선에 연결되는 조명기기와, 벽체에 매설되며 전열배선에 연결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플러그단자접속구가 구비된 콘센트와, 전자제품 전원코드에 연결되어 플러그단자접속구에 삽입되는 플러그단자를 가지는 플러그를 포함하며, 연결전선과 나란히 설치된 전류센서모듈에서 1차 사고신호가 측정되면 차단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연결전선이 1차 차단되게 함과 아울러 콘센트ID를 전달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연결전선이 접속되게 하며, 2차 사고신호가 측정되면 차단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연결전선이 2차 차단되게 함과 아울러 콘센트ID를 전달하고, 동시에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추출되게 하는 차단수단; 분전함에 설치되어 차단수단으로부터 콘센트ID가 전달되면 알림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가 콘센트ID를 포함하는 1차 및 2차 알림신호를 송신하고, 알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세대원단말에서 콘센트ID와 1차 및 2차 알림신호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면 1차 및 2차 알림화면이 표시되게 하는 알림수단; 차단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2차 차단시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추출하는 추출수단; 전류센서모듈과 차단제어부와 차단스위치, 알림제어부와 통신부, 솔레노이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분전함의 내부에는 직류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전등배선은 벽체의 현관측에 매설되는 메인전등배선과, 천장에 매설되는 천장전등배선과, 각 구역의 벽체의 거실측 상단과 천장 사이의 구석 부분을 따라 부착된 수평배선몰딩에 삽입되어 메인전등배선과 천장전등배선을 연결하는 수평전등배선과, 천장에 매설되는 천장스위치배선과, 벽체에 매설되는 벽체스위치배선으로 구성되고, 전열배선은 벽체의 현관측에 매설되는 메인전열배선과, 각 구역의 벽체에 매설되는 수직전열배선과, 수평배선몰딩에 삽입되어 메인전열배선과 수직전열배선을 연결하는 수평전열배선으로 구성되며, 벽체의 현관측 상단의 메인전등배선과 수평전등배선이 접속되는 위치에 현관을 향하여 개방됨과 아울러 메인배선관의 상단과 연통되는 메인점검구가 형성되고, 벽체의 거실측 상단의 천장전등배선과 수평전등배선이 접속되는 위치에 거실을 향하여 개방됨과 아울러 벽체스위치배선관의 상단과 연통되는 전등배선점검구가 형성되며, 벽체의 거실측 상단의 수직전열배선과 수평전열배선이 접속되는 위치에 거실을 향하여 개방됨과 아울러 수직전열배선관의 상단과 연통되는 전열배선점검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수평배선몰딩은 천장 하면에 부착되는 수평부와 벽체에 부착되는 수직부를 가지며, 수직부에 메인점검구와 전등배선점검구 및 전열배선점검구에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몰딩본체와, 몰딩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몰딩커버를 포함하며, 수직부와 수평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몰딩커버에는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차단수단과 알림수단 및 추출수단에 의하여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 측에서 사고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벽체콘센트와 전열배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플러그를 벽체콘센트로부터 추출하여 더 이상 사고전류가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누전, 정전, 화재 등의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세대원에게 차단 및 추출 상태를 알림으로써 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전체 배선 중 메인전등배선과 매전열배선, 천장전등배선과 천장스위치배선, 수직전열배선은 벽체와 천장에 매설되지만 수평전등배선과 수평전열배선은 벽체의 거실 측에서 노출되어 있는 수평배선몰딩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전등배선과 전열배선의 교체작업 시 철거와 삽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노후된 전등배선과 전열배선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사고전류의 발생원인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하여 더욱 안전한 전기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동주택의 전기배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블록도,
도 3은 콘센트와 플러그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콘센트와 플러그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추출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콘센트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종단측면도,
도 7은 콘센트가 플러그에서 추출되는 상태를 보인 종단측면도,
도 8은 세대원단말의 1차 알림화면을 보인 도면,
도 9는 세대원단말의 2차 알림화면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순서도,
도 11은 메인전등배선, 메인전열배선, 메인배선관, 메인점검구와 수평배선몰딩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천장전등배선, 천장스위치배선, 천장전등배선관, 벽체스위치배선, 벽체스위치배선관, 전등배선점검구와 수평배선몰딩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수직전열배선, 수직전열배선관, 전열배선점검구와 수평배선몰딩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공동주택의 전기계통은 벽체(W)의 현관측에 설치되는 분전함(VDB)과, 분전함(VDB)에 설치되어 전력량계를 거쳐 인입되는 인입선(Li)에 연결되는 누전차단기(ELB)와, 누전차단기(ELB)에 연결되는 전등배선용 차단기(CB1)와 전열배선용 차단기(CB2)와, 전등배선용 차단기(CB1)에 연결되는 전등배선(10)과, 전열배선용 차단기(CB2)에 연결되는 전열배선(20)과, 각 구역(R)의 천장(C)에 설치되어 전등배선(10)에 연결되는 조명기기(30)와, 각 구역(R)의 벽체(W1)에 설치되어 전열배선(20)에 연결되는 벽체콘센트(100)로 구성된다.
조명기기(30)는 벽체(W)에 설치된 전등스위치(S)에 연결되는 스위치선(S)과 함께 전등배선(10)에 연결되어 전등스위치(S)의 조작에 의해 켜고 끌 수 있도록 설치된다.
벽체콘센트(100)에는 전자제품의 전원코드에 달린 플러그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등배선(10)은 벽체(W)의 현관측에 매설되는 메인전등배선(11)과, 천장(C)에 매설되는 천장전등배선(12)과, 각 구역(R)의 벽체(W)의 거실측 상단과 천장(C) 사이의 구석 부분을 따라 배선되어 메인전등배선(11)과 천장전등배선(12)을 연결하는 수평전등배선(13)과, 천장(C)에 매설되는 천장스위치배선(Sc)과, 벽체(W)에 매설되는 벽체스위치배선(Sw)으로 구성된다.
전열배선(20)은 벽체(W)의 현관측에 매설되는 메인전열배선(21)과, 각 구역(R)의 벽체(W)에 매설되는 수직전열배선(22)과, 각 구역(R)의 벽체(W)의 거실측 상단과 천장(C) 사이의 구석을 따라 배선되어 메인전열배선(21)과 수직전열배선(22)을 연결하는 수평전열배선(23)으로 구성된다.
메인전등배선(11)과 수평전등배선(13), 천장전등배선(12)과 수평전등배선(13), 메인전열배선(21)과 수평전열배선(23), 수직전열배선(22)과 수평전열배선(23)은 각각 결속에 의해 연결하거나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전등배선(10)과 전열배선(20)은 벽체(W)와 천장(C)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매인전등배선(11)과 메인전열배선(21)이 삽입된 메인배선관(P)과, 천장전등배선(12)과 천장스위치배선(Sc)이 삽입된 천장전등배선관(P1)과, 벽체스위치배선(Sw)이 삽입된 벽체스위치배선관(P2)과, 수직전열배선(22)이 삽입된 수직전열배선관(P3)을 거푸집과 철근에 고정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주입, 양생, 경화하는 것에 의해 벽체(W)와 천장(C)에 매설할 수 있다.
콘센트(100)는 후면에 형성되는 플러그삽입홈(111)과 플러그삽입홈(111)의 수직면에 형성되는 플러그단자삽입공(112)을 구비하는 콘센트본체(110)와, 상기 콘센트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수직전열배선(22)이 연결되는 입력단자(120)와, 상기 입력단자(120)에 연결되며 플러그단자삽입공(12)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플러그단자접속구(130)와, 상기 입력단자(120)와 플러그단자접속구(130)를 연결하는 연결전선(140)을 포함한다.
각 구역(R)에 설치되는 전자제품의 플러그(200)는 플러그삽입홈(111)에 삽입되는 원통부(211)와 원통부(211)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드부싱부(212)를 가지는 플러그본체(210)와, 상기 플러그본체(210) 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원통부(211)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플러그단자접속구(130)에 삽입되는 플러그단자(220)와, 상기 플러그단자(220)의 후단에 연결되어 코드부싱부(212)를 통해 인출되는 전원코드(230)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본체(210)와 플러그단자(220) 및 전원코드(230)는 통상적인 플러그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콘센트(100)에는 차단수단(300)과 플러그추출수단(500)이 구비된다.
상기 차단수단(300)은 상기 연결전선(140)의 일측에 나란히 설치되어 사고전류가 측정되면 사고신호를 출력하는 전류센서모듈(310)과, 상기 콘센트본체(110) 내에 설치되고 콘센트ID가 저장되며 전류센서모듈(310)로부터 사고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접속명령을 출력하고 전류센서모듈(310)로부터 사고신호가 전달되면 1차 차단명령을 출력하며 콘센트ID를 전달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30분)이 경과한 후 접속명령을 출력하며, 다시 전류센서모듈(310)로부터 사고신호가 전달되면 2차 차단명령과 추출명령을 출력하며 콘센트ID를 전단하는 차단제어부(320)와, 상기 연결전선(140)의 도중에 설치되어 차단제어부(320)의 접속명령에 따라 접속되고 1차 및 2차 차단명령에 따라 차단되는 차단스위치(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류센서모듈(310)은 종래의 누전차단기나 배선용 차단기에서 사용하는 열동식이나 전자식보다 측정속도가 빠른 전자파 측정식 전류센서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누전차단기나 배선용 차단기에서 사용하는 열동식은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사고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가해지면 휘어지면서 차단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고, 전자식은 코일을 이용하여 사고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기자력에 의해 차단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이들 열동식과 전자식의 측정속도는 20ms정도인바, 전자파 측정식은 사고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파를 측정하여 차단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측정속도가 열동식과 전자식에 비해 5배 빠른 4ms정도이다.
이와 같이 전류센서모듈(310)로서 누전차단기나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속도보다 빠른 차단속도를 가지는 전자파 측정식 전류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콘센트(100)에서 사고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누전차단기나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전류센서모듈(310)이 사고전류를 측정하고 차단제어부(320)에 의해 차단스위치(330)가 「오프」되어 콘센트(10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되므로 사고전류가 발생한 사고 콘센트(100)에 연결된 전자제품에 대한 전원만 차단되고, 정상 콘센트(100)에 연결된 전자제품에는 전원이 계속하여 공급되어 사고전류와 관련 없는 나머지 전자제품은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어 세대원이 주거생활에 불편을 겪지 않게 된다.
또한 사고전류와 무관한 전등배선과 전등에도 전원이 계속 공급되어 세대원이 밤늦게 귀가하는 경우에도 전등을 켤 수 있어 세대원이 주거생활에 불편을 겪지 않게 될 수 있다.
차단스위치(330)는 차단제어부(320)의 1차 및 2차 차단명령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는 전자스위치를 사용한다.
알림수단(400)은 분전함(VDB)에 설치되어 각 콘센트(100)에 설치된 차단제어부(320)로부터 콘센트ID를 전달받아 콘센트ID를 포함하는 1차 및 2차 알림명령을 출력하는 알림제어부(410)와, 알림제어부(410)의 알림명령에 따라 콘센트ID를 포함하는 1차 및 2차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420)와, 알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통신부(420)에서 송신된 콘센트ID와 알림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1차 및 2차 알림화면(440, 450)을 표시하는 세대원단말(430)을 포함한다.
통신부(420)는 콘센트ID를 포함하는 1차 및 2차 알림신호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알림제어부(410)와 통신부(420)는 분전함(VDB) 내에 설치하고, 알림제어부(410)는 각 콘센트(100)에 설치된 차단제어부(320)에 유선으로 연결된다.
세대원단말(430)에는 통신부(420)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송신되는 콘센트ID를 포함하는 1차 및 2차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1차 및 2차 알림화면(440, 450)을 표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세대원단말(430)에서 알림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는 통상적인 이동통신단말(일명, 스마트폰)에 구비되어 있는 수신부가 그대로 활용된다.
세대원단말(430)에서 콘센트ID를 포함하는 1차 및 2차 알림신호를 수신하면, 통상적인 스마트폰에서와 같이 알림음이 울리면서 화면에 알림표시가 되고, 잠금상태인 경우에는 잠금을 해제하고 알림표시를 터치하면 1차 및 2차 알림화면(440, 450)이 표시되며, 사용 중인 경우에는 알림음이 울리면서 사용 중인 애플리케이션 화면 상단에 알림표시가 되고, 알림표시를 터치하면 1차 및 2차 알림화면(440, 450)이 표시될 수 있다.
추출수단(500)은 콘센트본체(110)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출몰하는 작동봉(511)을 가지는 솔레노이드(510)와, 플러그본체(210)의 전면과 플러그삽입홈(111)의 수직면의 플러그단자삽입공(112) 사이에 형성되는 추출공(521, 522)과, 작동봉(511)의 후단에 결합되며 추출공(521, 522)을 통하여 플러그본체(210)의 전면부를 밀어 추출할 수 있는 절연재질의 추출봉(530)과, 차단제어부(320)의 접속명령과 추출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510)에 대한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솔레노이드 스위치(540)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510)는 전원이 차단되면 작동봉(511)이 전방으로 이동하며 솔레노이드(510)의 내부로 몰입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봉(511)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식의 것을 사용한다.
추출봉(530)은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솔레노이드(510)에 조립하기 전의 작동봉(511)을 금형에 고정함으로써 추출봉(530)의 전단부에 작동봉(511)의 후단부가 인서트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작동봉(511)과 일체화 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510)에 전원이 차단되면, 작동봉(511)이 전방으로 이동하며 솔레노이드(510)의 내부로 몰입되고, 작동봉(511)의 후단에 결합된 추출봉(530)이 추출공(521, 522)의 전방에 위치한다.
솔레노이드(5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봉(511)이 후방으로 이동하며 솔레노이드(5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작동봉(511)의 후단에 결합된 추출봉(530)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플러그삽입홈(111)에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본체(210)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본체(210)가 플러그삽입홈(111)에서 추출됨과 아울러 플러그단자(220)가 플러그단자접속구(130)와 플러그단자삽입공(112)에서 추출되어 플러그(200)가 콘센트(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단수단(300)을 구성하는 전류센서모듈(310)과 차단제어부(320)와 차단스위치(330), 알림수단(400)을 구성하는 알림제어부(410)와 통신부(420), 추출수단(500)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51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분전함(VDB)의 내부에는 직류공급수단(600)이 설치된다.
상기 직류공급수단(600)은 전열배선(20)에 연결되어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고 평활하는 정류회로부(610)와, 정류회로부(610)에서 출력되는 직류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배터리(620)를 포함한다.
충전배터리(620)를 전류센서모듈(310)과 차단제어부(320)와 차단스위치(330), 알림제어부(410)와 통신부(420), 솔레노이드(510)에 연결하기 위한 직류전원선(DL)은 전열배선(20)의 수평전열배선(23)과 함께 후술하는 수평배선몰딩(800)에 삽입된 상태로 배선될 수 있다.
또한 차단제어부(320)와 알림제어부(410)를 연결하는 제어서(CL)도 전열배선(20)의 수평전열배선(23)과 함께 후술하는 수평배선몰딩(800)에 삽입된 상태로 배선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스위치(540)는 충전배터리(620)와 솔레노이드(510)를 연결하는 직류전원선의 도중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510)에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접속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솔레노이드 스위치(540)는 플러그본체(210)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자제품의 전원코드에 설치된 플러그(200)가 콘센트(100)에 삽입되고, 전류센서모듈(310)이 사고전류를 측정(S110)하여 사고전류가 측정되지 않으면(S120), 차단수단(300)의 차단제어부(320)가 접속명령을 출력(S130)하고, 이 접속명령에 따라 차단스위치(330)가 「온」으로 되며(S140), 콘센트(100)의 플러그단자접속구(130)에는 전열배선(20), 입력단자(120), 연결전선(140)을 통해 전원이 연결되고, 전자제품은 플러그단자접속구(130)에 삽입된 플러그단자(220)와 전원코드(230)를 통해 전원이 연결되어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S150).
사고전류가 측정되면(S120), 차단제어부(320)가 1차 차단명령을 출력함과 아울러 사고 콘센트의 콘센트ID를 전달(S210)하며, 1차 차단명령에 따라 연결전선(140)에 설치된 차단스위치(330)가 「오프」로 되어(S220), 플러그단자접속구(130)와 전열배선(20)의 연결이 차단되며(S230), 이에 따라 플러그단자접속구(130)와 플러그단자(220)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어 사고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전원이 차단된다.
아울러 차단제어부(320)에서 전달되는 콘센트ID를 알림제어부(410)가 전달 받아(S310) 콘센트ID를 포함하는 1차 알림명령을 출력(S320)하고, 통신부(330)가 콘센트ID를 포함하는 1차 알림신호를 송신(S330)하며, 세대원단말(430)이 콘센트ID를 포함하는 1차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1차 알림화면(440)을 표시한다(S340).
차단제어부(320)는 1차 차단명령을 출력한 후 경과시간을 카운트하며(S410), 설정시간(예컨대, 30분)이 경과하면(S420), 차단제어부(320)가 접속명령을 출력하고(S430), 이 접속명령에 따라 차단스위치(330)가 「온」으로 되며(S440), 이에 따라 플러그단자접속구(130)와 전열배선(20)의 연결이 이루어지며(S450), 플러그단자접속구(130)와 플러그단자(220)에 대한 전원이 연결되어 사고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전원이 공급된다.
이어서, 전류센서모듈(310)은 계속해서 사고전류를 측정하며(S510), 사고전류가 측정되지 않으면(S520), 차단제어부(320)가 접속명령을 출력하고(S610), 차단스위치(330)가 「온」으로 되며(S620), 이에 따라 플러그단자접속구(130)와 전열배선(20)의 연결이 이루어지며(S630), 플러그단자접속구(130)와 플러그단자(220)에 대한 전원이 연결되어 사고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전원이 공급된다.
아울러 사고전류가 측정되면(S520), 차단제어부(320)가 2차 차단명령과 추출명령을 출력함과 아울러 콘센트ID를 전달하고(S710), 2차 차단명령에 따라 차단스위치(330)가 「오프」로 되고(S720), 플러그단자접속구(130)와 전열배선(20)의 연결이 차단되며(S730), 이에 따라 플러그단자접속구(130)와 플러그단자(220)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어 사고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전원이 차단된다.
또한 차단제어부(320)의 추출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 스위치(540)가 「온」으로 되며(S810), 이에 따라 작동봉(511)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그 후단부에 결합된 추출봉(53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추출공(521, 522)을 통해 플러그본체(210)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본체(210)가 플러그삽입홈(111)에서 추출됨과 아울러 플러그단자(220)가 플러그단자접속구(130)와 플러그단자삽입공(112)애서 추출된다(S820).
여기서 1차 차단과 함께 추출하지 않고 1차 차단 후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접속하는 이유는 사고전류 측정이 일시적인 현상에 의한 것일 경우, 설정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접속하였을 때 사고전류가 측정되지 않을 경우 특별히 조치할 필요가 없을 수 있음에도 불필요하게 조치를 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알림제어부(410)가 콘센트ID를 전달받아(S910), 콘센트ID를 포함하는 2차 알림명령을 출력하고(S920), 2차 알림명령에 따라 통신부(420)가 콘센트ID를 포함하는 2차 알림신호를 송신하며(S930), 세대원단말(430)이 2차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2차 알림화면을 표시한다.
1차 및 2차 알림화면(440, 450)은 수신된 콘센트ID에 대응하는 콘센트 번호와 이에 연결된 전자제품명을 포함하는 아이콘(441, 451)이 표시됨과 아울러 그 하부에 1차 및 2차 알림문구(442, 452)가 표시된다.
콘센트 번호와 전자제품명은 콘센트 #1 냉장고, 콘센트 #3 에어컨, 콘센트 #4 미사용, 콘센트 #5 세탁기, 콘센트 #6 건조기, 콘센트 #7 전자랜지, 콘센트 #8 보일러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아이콘(441, 451)은 정상콘센트에 대응하는 녹색점과 사고콘센트에 대응하는 적색점 및 미사용 콘센트에 대응하는 흑색점을 포함할 수 있다.
세대원단말(430)에 알림 애플리케이션을 처음 설치할 때 콘센트 번호의 개수를 선택하면 그 개수만큼의 아이콘(441, 451)이 생성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441, 451)에 콘센트 번호만 표시될 경우 세대원이 어떤 전자제품인지 알 수 없으므로 전자제품명을 입력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세대원단말(430)에 설치된 알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알림화면(440, 450)이 표시되게 하고, 아이콘(441, 451)을 길게 누르면 전자제품명을 새로 입력하거나 입력된 전자제품명을 편집(변경)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세대원단말(430)에 알림 애플리케이션을 처음 설치할 때 세대원단말(43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와 전화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허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아이콘(441, 451)에 입력된 전자제품명에 대응하는 A/S전화번호를 세대원단말(430)에 입력하여 세대원단말(430)에 설치된 알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알림화면(351)이 표시된 상태에서 아이콘(441, 451)을 짧게 터치하면 전화번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서 해당 A/S전화번호로 전화가 걸리게 되고, 곧바로 A/S를 신청하는 등 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벽체(W)의 현관측 상단의 메인전등배선(11)과 수평전등배선(13)이 접속되는 위치에 현관을 향하여 개방됨과 아울러 메인배선관(P)의 상단과 연통되는 메인점검구(710)가 형성되고, 벽체(W)의 거실측 상단의 천장전등배선(12)과 수평전등배선(13)이 접속되는 위치에 거실을 향하여 개방됨과 아울러 벽체스위치배선관(P2)의 상단과 연통되는 전등배선점검구(720)가 형성되며, 벽체(W)의 거실측 상단의 수직전열배선(22)과 수평전열배선(23)이 접속되는 위치에 거실을 향하여 개방됨과 아울러 수직전열배선관(P3)의 상단과 연통되는 전열배선점검구(730)가 형성된다.
벽체(W)의 거실측 상단과 천장(C) 사이의 구석에는 수평전등배선(13)과 수평전열배선(23)이 삽입되며 메인점검구(710)와 전등배선점검구(720) 및 전열배선점검구(730)에 연통되는 수평배선몰딩(800)이 부착된다.
수평배선몰딩(800)은 벽체(W)의 거실 측면에 부착되는 수직부(811)와 천장(C)의 하면에 부착되는 수평부(812M)를 가지는 몰딩본체(810)와, 수직부(811)에 형성되어 메인점검구(710)와 전등배선점검구(720) 및 전열배선점검구(730)에 연통되는 통공(821, 822, 823)과, 몰딩본체(8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몰딩커버(830)를 포함한다.
수평배선몰딩(800)은 통상적으로 벽체(W)와 천장(C) 사이의 구석에 부착되어 벽체도배지와 천장도배지의 경계를 이루는 천장몰딩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몰딩본체(810)는 수직부(811)와 수평부(812)를 벽체(W)와 천장(C)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거나, 수직부(811)와 수평부(812)를 관통하는 스크루를 벽체(W)와 천장(C)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되는 칼블럭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몰딩본체(810)는 전체가 하나로 구성되지 않고, 벽체(W)의 거실측 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로 구성된다.
벽체(W) 중 현관측에 부착되는 몰딩본체(810)에는 메인점검구(810)에 연통하는 통공(821)이 형성되고, 벽체(W) 중 전등스위치(S)가 위치하는 부분에 부착되는 몰딩본체(810)에는 전등배선점검구(720)에 연통하는 통공(822)이 형성되며, 벽체(W) 중 콘센트(100)가 위치하는 부분에 부착되는 몰딩본체(810)에는 전열배선점검구(730)에 연통하는 통공(823)이 형성된다.
몰딩본체(810)와 몰딩커버(830)는 수직부(811)와 수평부(812)에 형성된 결합홈(841)에 몰딩커버(830)에 형성된 결합돌기(842)를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전체 배선 중 수평전등배선(13)과 수평전열배선(23)은 벽체(W)의 거실 측에서 노출되어 있는 수평배선몰딩(80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수평전등배선(13)과 수평전열배선(23)의 교체작업 시 철거와 삽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메인전등배선(11)과 메인전열배선(21)이 삽입된 메인배선관(P)과 천장전등배선(12)과 천장스위치배선(Sc)이 삽입된 천장전등배선관(P1)과 벽체스위치배선(Sw)이 삽입된 벽체스위치배선관(P2) 및 수직전열배선(22)이 삽입된 수직전열배선관(P3)의 길이는 수평배선몰딩(800)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을 뿐만 아니라 직선으로 설치되고, 메인점검구(710)와 전등배선점검구(720) 및 전열배선점검구(730)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배선관(P)과 천장전등배선관(P1)과 벽체스위치배선관(P2) 및 수직전열배선관(P3)에서 메인전등배선(11)과 매전열배선(20), 천장전등배선(12)과 천장스위치배선(Sc), 벽체스위치배선(Sw)과 수직전열배선(22)을 인출하는 데에 번거로움이나 어려움이 없게 된다.
따라서 메인전등배선(11)과 메인전열배선(21), 천장전등배선(12)과 천장스위치배선(Sc), 벽체스위치배선(Sw)과 수직전열배선(22) 및 수평전등배선(13)과 수평전열배선(23)이 노후되었을 때 쉽게 교체할 수 있어 누전과 화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직류전원선(DL)과 제어선(CL)도 수평배선몰딩(800)에 삽입된 상태로 배선되어 있으므로 직류전원선(DL)과 제어선(CL)도 간편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VDB : 분전함 10 : 전등배선
20 : 전열배선 22 : 수직전열배선
100 : 콘센트 130 : 플러그단자접속구
140 : 연결전선 200 : 플러그
220 : 플러그단자 300 : 차단수단
310 : 전류센서모듈 320 : 차단제어부
330 : 차단스위치 400 : 알림수단
410 : 알림제어부 420 : 통신부
430 : 세대원단말 440 : 1차 알림화면
450 : 2차 알림화면 500 : 추출수단
510 : 솔레노이드 511 : 작동봉
530 : 추출봉 540 : 솔레노이드 스위치
600 : 직류공급수단 710 : 메인점검구
720 : 전등배선점검구 730 : 전열배선점검구
800 : 수평배선몰딩 810 : 몰딩본체(210)
820 : 몰딩커버

Claims (2)

  1. 분전함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에 연결되는 배선용 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등배선과 전열배선, 천장에 설치되며 전등배선과 스위치배선에 연결되는 조명기기와, 벽체에 매설되며 플러그단자삽입공을 구비하는 콘센트본체와, 전열배선에 연결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플러그단자접속구가 구비된 콘센트와, 전자제품 전원코드에 연결되어 플러그단자삽입공을 통해 플러그단자접속구에 삽입되는 플러그단자를 가지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연결전선의 일측에 나란히 설치되어 사고전류가 측정되면 사고신호를 출력하는 전류센서모듈과, 콘센트본체 내에 설치되고 콘센트ID가 저장되며 전류센서모듈로부터 사고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접속명령을 출력하고 전류센서모듈로부터 사고신호가 전달되면 1차 차단명령을 출력하며 콘센트ID를 전달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접속명령을 출력하며, 다시 전류센서모듈로부터 사고신호가 전달되면 2차 차단명령과 추출명령을 출력하며 콘센트ID를 전단하는 차단제어부와, 상기 연결전선의 도중에 설치되어 차단제어부의 접속명령에 따라 접속되고 1차 및 2차 차단명령에 따라 차단되는 차단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류센서모듈에서 1차 사고신호가 측정되면 차단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연결전선이 1차 차단되게 함과 아울러 콘센트ID를 전달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연결전선이 접속되게 하며, 2차 사고신호가 측정되면 차단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연결전선이 2차 차단되게 함과 아울러 콘센트ID를 전달하고, 동시에 콘센트로부터 플러그가 추출되게 하는 차단수단;
    알림수단은 분전함에 설치되어 각 콘센트에 설치된 차단제어부로부터 콘센트ID를 전달받아 콘센트ID를 포함하는 1차 및 2차 알림명령을 출력하는 알림제어부와, 알림제어부의 알림명령에 따라 콘센트ID를 포함하는 1차 및 2차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와, 알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통신부에서 송신된 콘센트ID와 알림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하여 1차 및 2차 알림화면을 표시하는 세대원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단수단으로부터 콘센트ID가 전달되면 알림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가 콘센트ID를 포함하는 1차 및 2차 알림신호를 송신하고, 알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세대원단말에서 콘센트ID와 1차 및 2차 알림신호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면 1차 및 2차 알림화면이 표시되게 하는 알림수단;
    콘센트본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출몰하는 작동봉을 가지는 솔레노이드와, 플러그본체의 전면과 플러그삽입홈의 수직면의 플러그단자삽입공 사이에 형성되는 추출공과, 작동봉의 후단에 결합되며 추출공을 통하여 플러그본체의 전면부를 밀어 추출할 수 있는 절연재질의 추출봉과, 차단제어부의 접속명령과 추출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에 대한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단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2차 차단시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추출하는 추출수단;
    전류센서모듈과 차단제어부와 차단스위치, 알림제어부와 통신부, 솔레노이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분전함의 내부에는 직류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전등배선은 벽체의 현관측에 매설되는 메인전등배선과, 천장에 매설되는 천장전등배선과, 각 구역의 벽체의 거실측 상단과 천장 사이의 구석 부분을 따라 부착된 수평배선몰딩에 삽입되어 메인전등배선과 천장전등배선을 연결하는 수평전등배선과, 천장에 매설되는 천장스위치배선과, 벽체에 매설되는 벽체스위치배선으로 구성되고, 전열배선은 벽체의 현관측에 매설되는 메인전열배선과, 각 구역의 벽체에 매설되는 수직전열배선과, 수평배선몰딩에 삽입되어 메인전열배선과 수직전열배선을 연결하는 수평전열배선으로 구성되며, 벽체의 현관측 상단의 메인전등배선과 수평전등배선이 접속되는 위치에 현관을 향하여 개방됨과 아울러 메인배선관의 상단과 연통되는 메인점검구가 형성되고, 벽체의 거실측 상단의 천장전등배선과 수평전등배선이 접속되는 위치에 거실을 향하여 개방됨과 아울러 벽체스위치배선관의 상단과 연통되는 전등배선점검구가 형성되며, 벽체의 거실측 상단의 수직전열배선과 수평전열배선이 접속되는 위치에 거실을 향하여 개방됨과 아울러 수직전열배선관의 상단과 연통되는 전열배선점검구가 형성되고,
    수평배선몰딩은 천장 하면에 부착되는 수평부와 벽체에 부착되는 수직부를 가지며, 수직부에 메인점검구와 전등배선점검구 및 전열배선점검구에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몰딩본체와, 몰딩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몰딩커버를 포함하며, 수직부와 수평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몰딩커버에는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2. 삭제
KR1020220032559A 2022-03-16 2022-03-16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88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559A KR102488288B1 (ko) 2022-03-16 2022-03-16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559A KR102488288B1 (ko) 2022-03-16 2022-03-16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288B1 true KR102488288B1 (ko) 2023-01-13

Family

ID=8490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559A KR102488288B1 (ko) 2022-03-16 2022-03-16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2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161B1 (ko) 2023-04-24 2024-03-29 주식회사 병오씨엠엔지니어링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KR102654556B1 (ko) 2023-06-30 2024-04-04 주식회사 다인그룹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655649B1 (ko) 2023-04-24 2024-04-08 주식회사 병오씨엠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케이블 보호시스템
KR102687117B1 (ko) 2023-08-28 2024-07-23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관리 시스템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982B1 (ko) * 2010-05-17 2011-08-19 차보영 대기전력 차단 분전반
KR101372891B1 (ko) * 2013-12-31 2014-03-10 주식회사 리산테크 알람 기능이 구현된 콘센트 장치
KR101464684B1 (ko) * 2013-07-08 2014-12-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코일건 방식을 이용한 전기 콘센트 및 그 동작 방법
KR101635391B1 (ko) * 2015-08-25 2016-07-04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콘센트
KR101964893B1 (ko) 2019-03-04 2019-04-05 주식회사 이린 인공지능과 연계되는 구간별 공동주택 전기누전 감지시스템
KR102065028B1 (ko) * 2019-02-27 2020-01-10 주식회사 이린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안전 관리장치
KR102105899B1 (ko) * 2020-03-02 2020-05-04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정보통신망 수평 배선구조
KR102080159B1 (ko) 2019-08-28 2020-05-29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차단 시스템
KR102143458B1 (ko) * 2020-03-02 2020-08-12 이삼종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KR102156205B1 (ko) * 2020-07-06 2020-09-15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통신 단자함 시스템
KR102181326B1 (ko) 2020-08-26 2020-11-20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감시시스템
KR102209889B1 (ko) 2020-08-20 2021-02-02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공동주택용 실내전기의 구간별 누전 감시시스템
KR102289990B1 (ko) 2021-04-05 2021-08-18 주식회사 부윤엔지니어링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982B1 (ko) * 2010-05-17 2011-08-19 차보영 대기전력 차단 분전반
KR101464684B1 (ko) * 2013-07-08 2014-12-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코일건 방식을 이용한 전기 콘센트 및 그 동작 방법
KR101372891B1 (ko) * 2013-12-31 2014-03-10 주식회사 리산테크 알람 기능이 구현된 콘센트 장치
KR101635391B1 (ko) * 2015-08-25 2016-07-04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콘센트
KR102065028B1 (ko) * 2019-02-27 2020-01-10 주식회사 이린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안전 관리장치
KR101964893B1 (ko) 2019-03-04 2019-04-05 주식회사 이린 인공지능과 연계되는 구간별 공동주택 전기누전 감지시스템
KR102080159B1 (ko) 2019-08-28 2020-05-29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차단 시스템
KR102105899B1 (ko) * 2020-03-02 2020-05-04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정보통신망 수평 배선구조
KR102143458B1 (ko) * 2020-03-02 2020-08-12 이삼종 공동주택 실내 전기의 전선 연결 시스템
KR102156205B1 (ko) * 2020-07-06 2020-09-15 (주)동화이엔씨 공동주택의 통신 단자함 시스템
KR102209889B1 (ko) 2020-08-20 2021-02-02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공동주택용 실내전기의 구간별 누전 감시시스템
KR102181326B1 (ko) 2020-08-26 2020-11-20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감시시스템
KR102289990B1 (ko) 2021-04-05 2021-08-18 주식회사 부윤엔지니어링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161B1 (ko) 2023-04-24 2024-03-29 주식회사 병오씨엠엔지니어링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KR102655649B1 (ko) 2023-04-24 2024-04-08 주식회사 병오씨엠엔지니어링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케이블 보호시스템
KR102654556B1 (ko) 2023-06-30 2024-04-04 주식회사 다인그룹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687117B1 (ko) 2023-08-28 2024-07-23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8288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KR102539611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50326001A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and Circuit Breaker for Use Therein
KR101794580B1 (ko) 지능형 세대 분전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75918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옥내 배전 장치 및 방법
KR101167585B1 (ko)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709005B1 (ko) 비상전원 자동 절체 장치
KR101057982B1 (ko) 대기전력 차단 분전반
US12088087B2 (en) Smart grid interface relay and breaker
KR20050036325A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기분전반의 차단기와 그 제어 방법
CN102640376A (zh) 建筑物的配电系统以及配电系统中的干线的保护方法
TWI610327B (zh) 智慧型無熔絲開關及其組成之無熔絲開關組
KR102463505B1 (ko)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
CN102437652B (zh) 可远程控制的断路器
KR100500891B1 (ko) 단위세대 상용/비상 전원 분전반
KR20160100565A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파워 플러그 시스템
US11551894B2 (en) Intelligent fuseless switch with vibration detection
JP2009159732A (ja) 直流配電システム
KR102455053B1 (ko) 스마트 누전 차단기
KR100564321B1 (ko) 분전반 제어를 통한 실내 전력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CN214069105U (zh) 消防风机电控箱及系统
CN111029825B (zh) 插座、用电器、功率保护方法及存储介质
US20220376511A1 (en) Auxiliary-power-supply unit, auxiliary power supply,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CN213661491U (zh) 一种消防泵控制柜
CN216595458U (zh) 一种接线装置以及接线检测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