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161B1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161B1
KR102652161B1 KR1020230053407A KR20230053407A KR102652161B1 KR 102652161 B1 KR102652161 B1 KR 102652161B1 KR 1020230053407 A KR1020230053407 A KR 1020230053407A KR 20230053407 A KR20230053407 A KR 20230053407A KR 102652161 B1 KR102652161 B1 KR 102652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underground parking
electric vehicle
parking lot
electrical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3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병오씨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병오씨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병오씨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053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시설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정확도 높은 실시간 감시가 수행되면서,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내 전기시설에서 이상이 발생 시 즉각적인 확인이 이루지는데 따른 신속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지하주차장 내 전기사고에 의한 화재 발생을 크게 억제하는 결과로도 이어지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은 전기시설 모니터링부, 데이터베이스 서버, 인공지능모듈, 통합관리서버,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 및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Safety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ity in apartment hou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주택 전기 기술분야 중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시설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정확도 높은 실시간 감시가 수행되면서,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내 전기시설에서 이상이 발생 시 즉각적인 확인이 이루지는데 따른 신속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지하주차장 내 전기사고에 의한 화재 발생을 크게 억제하는 결과로도 이어지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근래에 아파트, 오피스텔과 같은 다세대 형태의 공동주택이 일반적인 주거 형태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이러한 공동주택에는 다양한 공용 전기시설이 설치되며, 공용 전기시설의 예로 각종 조명기구 및 그 제어 시스템, CCTV, 화재감지기, 자동문, 승강기 등이 있다.
한편 공동주택에서의 화재 발생 시에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공동주택의 화재 중 상당수는 전기사고에 의해 발생하므로, 공동주택 내 공용 전기시설의 고장·이상 유무 및 고장·이상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 후 조치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 건축되는 아파트의 경우 그 지하주차장이 아파트 여러 동을 연결한 형태로 설치되고, 따라서 지하주차장에서 화재 발생 시 이와 연결된 아파트 동들로 확산될 위험이 크다. 또한 지하주차장에 주차된 자동차들 각각이 불에 타기 쉬운 가열물을 많이 장착한 형태이므로, 지하주차장에 화재가 발생되어 주차된 자동차에 불이 붙게되면 빠르게 확산될 위험성이 큰 것이다. 더욱이 지하주차장은 지하 공간이라는 특성상 높은 습도 등의 이유로 전기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었다.
따라서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을 대상으로 그 내부에 설치된 공용 전기시설의 고장·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이를 통해 지하주차장에서의 전기사고에 의한 화재 발생을 보다 잘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최근 들어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 및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특히 컴퓨팅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 및 딥러닝 기술의 출현으로 인공지능의 정확도가 획기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코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488288호(2023.01.13.공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2065028호(2020.01.10.공고),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안전 관리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2218115호(2021.02.23.공고),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시설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정확도 높은 실시간 감시가 수행되면서,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내 전기시설에서 이상이 발생 시 즉각적인 확인이 이루지는데 따른 신속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진행될 수 있어, 지하주차장 내 전기사고에 의한 화재 발생을 크게 억제하는 결과로도 이어지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은,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각 전기시설로 연결되는 전원케이블들 상에 개별 설치되어 해당 전기시설에 대한 입력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계, 상기 전기시설별 설치되어 해당 전기시설의 출력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계, 상기 제1 및 제2 전류계의 측정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전송주기에 따라 수신 대상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전기시설 모니터링부와,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가 설치된 공동주택별 지하주차장의 전기시설 및 전원케이블에 대한 특성정보가 상기 전기시설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사전 등록되며,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의 상기 전송주기별 측정 데이터가 상기 전기시설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데이터들을 대상으로 딥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특성정보가 동일한 지하주차장의 전기시설별 이상 판단을 위한 점검필요기준을 생성 및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인공지능모듈과,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전송주기에 따라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동시에 전송된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점검필요기준을 비교하여 해당 전기시설의 이상 여부를 판단 후, 이상 의심에 따른 점검 필요성이 있는 전기시설의 존재 시 해당 관리자가 휴대한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에 점검요청신호를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시설의 식별정보는 지하주차장 구분을 위한 제1식별코드 및 동일 지하주차장 내 전기시설의 구분을 위해 전기시설별 부여된 일련번호인 제2식별코드가 하이픈(hyphen)을 통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전기시설별 고장·수리·교체에 대한 정보(이하 “전기시설 유지/관리 히스토리 정보”라 함) 및 상기 전기시설별 연결되는 상기 전원케이블들 각각의 고장·수리·교체에 대한 정보(이하 “전원케이블 유지/관리 히스토리 정보”라 함)가 상기 전기시설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가 설치된 지하주차장에 대한 습도 및 온도 측정용의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 그리고 상기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의 상기 전송주기에 맞춰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통합관리서버에 대한 측정 데이터 전송 시 해당 지하주차장의 구분을 위한 상기 제1식별코드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로부터 상기 전송주기에 맞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상기 제1식별코드를 기준으로 해당 지하주차장의 모든 전기시설에 각각 매핑시켜 저장하는 동시에 전기시설별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인공지능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상기 특성정보, 전기시설 모니터링부의 측정 데이터,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의 측정 데이터, 전기시설 유지/관리 히스토리 정보 및 전원케이블 유지/관리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딥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점검필요기준을 생성 및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시설에는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포함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가 설치된 지하주차장 내 전기자동차 충전구역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구역 내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별 설치되어 필요 시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와,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가 설치된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 후 상기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에 무선 송출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충전 커넥터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되도록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 거치대와; 상기 커넥터 거치대에 대한 상기 충전 커넥터의 거치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넥터 거치대에 설치되는 전자석 유닛과;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전자석 유닛에 포개지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충전 커넥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금속블록과; 상기 커넥터 거치대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상기 통합관리서버의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어신호 송수신모듈과; 상기 커넥터 거치대에 대한 상기 충전 커넥터의 거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커넥터 거치대에 설치되는 접촉감지센서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별 형성되는 전기자동차 충전주차구역에 설치되어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주차구역에 대한 자동차 진입 및 주차를 감지하는 주차감지 센싱부와; 상기 커넥터 거치대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신호 송수신모듈로부터 상기 통합관리서버의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감지센서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전송된 후 상기 주차감지 센싱부로부터 자동차 진입 및 주차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전자석 유닛을 자화 상태로 작동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충전 커넥터를 통한 전기자동차 충전 동작 시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 및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와 상기 인공지능모듈의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대한 상기 점검필요기준을 비교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이상 여부를 판단 후, 이상 의심에 따른 점검 필요성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시설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정확도 높은 실시간 감시가 수행되면서,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내 전기시설에서 이상이 발생 시 즉각적인 확인이 이루지는데 따른 신속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진행될 수 있고, 따라서 지하주차장 내 전기사고에 의한 화재 발생을 크게 억제하는 결과로도 이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데이터 저장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의 지하주차장에 대한 설치 상태를 예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데이터 저장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의 지하주차장에 대한 설치 상태를 예시한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은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 데이터베이스 서버(200), 인공지능모듈(300) 및 통합관리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은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600),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700) 및 무선통신모듈(8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각 전기시설로 연결되는 전원케이블들 상에 개별 설치되어 해당 전기시설에 대한 입력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계(110), 상기 전기시설별 설치되어 해당 전기시설의 출력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계(120), 제1 및 제2 전류계(110,120)의 측정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전송주기에 따라 수신 대상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는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가 설치된 공동주택별 지하주차장의 전기시설 및 전원케이블에 대한 특성정보가 상기 전기시설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사전 등록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는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의 상기 전송주기별 측정 데이터가 상기 전기시설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는 상기 전기시설별 고장·수리·교체에 대한 정보(이하 “전기시설 유지/관리 히스토리 정보”라 함) 및 상기 전기시설별 연결되는 상기 전원케이블들 각각의 고장·수리·교체에 대한 정보(이하 “전원케이블 유지/관리 히스토리 정보”라 함)가 상기 전기시설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저장된다.
인공지능모듈(300)은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의 데이터들을 대상으로 딥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특성정보가 동일한 지하주차장의 전기시설별 이상 판단을 위한 점검필요기준을 생성 및 지속적으로 갱신한다.
통합관리서버(400)는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로부터 상기 전송주기에 따라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동시에 전송된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점검필요기준을 비교하여 해당 전기시설의 이상 여부를 판단 후, 이상 의심에 따른 점검 필요성이 있는 전기시설의 존재 시 해당 관리자가 휴대한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500)에 점검요청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시설의 식별정보는 지하주차장 구분을 위한 제1식별코드 및 동일 지하주차장 내 전기시설의 구분을 위해 전기시설별 부여된 일련번호인 제2식별코드가 하이픈(hyphen)을 통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는 상기 전기시설별 고장·수리·교체에 대한 정보(이하 “전기시설 유지/관리 히스토리 정보”라 함) 및 상기 전기시설별 연결되는 상기 전원케이블들 각각의 고장·수리·교체에 대한 정보(이하 “전원케이블 유지/관리 히스토리 정보”라 함)가 상기 전기시설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저장된다.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600)는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가 설치된 지하주차장에 대한 습도 및 온도 측정용의 습도센서(610) 및 온도센서(620) 그리고 이러한 습도센서(610) 및 온도센서(620)의 측정 데이터를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의 상기 전송주기에 맞춰 통합관리서버(40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630)을 포함하되, 통합관리서버(400)에 대한 측정 데이터 전송 시 해당 지하주차장의 구분을 위한 상기 제1식별코드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따라서 통합관리서버(400)는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600)로부터 상기 전송주기에 맞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에 상기 제1식별코드를 기준으로 해당 지하주차장의 모든 전기시설에 각각 매핑시켜 저장하는 동시에 전기시설별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인공지능모듈(300)은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의 상기 특성정보,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의 측정 데이터,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600)의 측정 데이터, 전기시설 유지/관리 히스토리 정보 및 전원케이블 유지/관리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딥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점검필요기준을 생성 및 지속적으로 갱신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시설에는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가 포함된다.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700)는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가 설치된 지하주차장 내 전기자동차 충전구역(L)에 설치되며, 전기자동차 충전구역(L) 내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별 설치되어 필요 시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모듈(800)은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가 설치된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며, 통합관리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700)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 후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700)에 무선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700)는 커넥터 거치대(710), 전자석 유닛(720), 금속블록(730), 제어신호 송수신모듈(740), 접촉감지센서(750), 주차감지 센싱부(760) 및 제어모듈(7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넥터 거치대(710)는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의 충전 커넥터(1200)가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되도록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의 몸체(11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자석 유닛(720)은 커넥터 거치대(710)에 대한 충전 커넥터(1200)의 거치 영역에 위치하도록 커넥터 거치대(710)에 설치된다.
금속블록(730)은 충전 커넥터(1200)가 커넥터 거치대(710)에 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전자석 유닛(720)에 포개지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충전 커넥터(120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어신호 송수신모듈(740)은 커넥터 거치대(710)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어신호 송수신모듈(740)은 무선통신모듈(800)로부터 통합관리서버(400)의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대상에 전송한다.
접촉감지센서(750)는 커넥터 거치대(710)에 대한 충전 커넥터(1200)의 거치를 감지하도록 커넥터 거치대(710)에 설치된다.
주차감지 센싱부(760)는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별 형성되는 전기자동차 충전주차구역(P)에 설치되어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주차구역(P)에 대한 자동차 진입 및 주차를 감지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주차감지 센싱부(760)가, 전기자동차 충전주차구역(P)에 대한 진입 영역에 설치되어 전기자동차 충전주차구역(P)으로의 자동차 진입을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760a) 및 전기자동차 충전주차구역(P)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기자동차 충전주차구역(P)으로 이동한 자동차가 주차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주차감지센서(760b)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진입감지센서(760a) 및 주차감지센서(760b)는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제어모듈(770)은 커넥터 거치대(710)에 내장되며, 이러한 제어모듈(770)은 제어신호 송수신모듈(740)로부터 통합관리서버(4000)의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접촉감지센서(75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전송된 후 주차감지 센싱부(760)로부터 자동차 진입 및 주차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전자석 유닛(720)을 자화 상태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통합관리서버(400)는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의 충전 커넥터(1200)를 통한 전기자동차 충전 동작 시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 및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600)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와 인공지능모듈(300)의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에 대한 상기 점검필요기준을 비교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의 이상 여부를 판단 후, 이상 의심에 따른 점검 필요성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통신모듈(800)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의 사용에 따른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의 충전 동작 시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의 측정 데이터 및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600)의 측정 데이터가 각각 통합관리서버(400)에 전송되고, 통합관리서버(400)에서는 수신된 측정 데이터들 및 인공지능모듈(300)의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에 대한 점검필요기준을 비교하여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 다음, 이상 의심에 따른 점검 필요성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무선통신모듈(800)을 통해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와 연계된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70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700)의 제어모듈(770)은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의 충전 커넥터(1200)가 커넥터 거치대(710)에 다시 거치되는지 여부를 접촉감지센서(750)의 감지 신호를 통해 확인하고, 충전 커넥터(1200)가 커넥터 거치대(710)에 거치된 것으로 확인된 후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주차구역(P)으로 자동차의 진입 및 주차가 주차감지 센싱부(760)의 감지신호를 통해 확인되면, 전자석 유닛(720)을 자화시켜 커넥터 거치대(710)에서 충전 커넥터(1200)가 인력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에 대한 점검 및 유지/보수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사용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부연 설명하면, 점검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에 대해 그 사용을 위한 사용자의 자동차 주차 작업이 확인되지 않으면, 해당 충전 커넥터(1200)에 대한 전자석 유닛(720)의 분리 단속 기능이 작동하지 않고, 따라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하려는 작업자는 별다른 해제 조치 없이 바로 커넥터 거치대(710)에서 충전 커넥터(1200)를 분리시키면서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에 대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전기시설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정확도 높은 실시간 감시가 수행되고, 따라서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내 전기시설에서 이상이 발생 시 즉각적인 확인이 이루지는데 따른 신속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진행될 수 있고, 이는 지하주차장 내 전기사고에 의한 화재 발생을 크게 억제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내 전기자동차 충전구역의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대한 이상 감시가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높은 정확도로 진행됨에 따라, 이상이 의심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계속 사용에 기인하는 전기자동차 화재가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는 화재 발생 시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진화에 큰 어려움이 따르는 전기자동차의 특성에 비춰볼 때,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전기시설 모니터링부 110 : 제1 전류계
120 : 제2 전류계 130 : 통신모듈
200 : 데이터베이스 서버 300 : 인공지능모듈
400 : 통합관리서버 500 :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600 :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 610 : 습도센서
620 : 온도센서 630 : 통신모듈
700 :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 710 : 커넥터 거치대
720 : 전자석 유닛 730 : 금속블록
740 : 제어신호 송수신모듈 750 : 접촉감지센서
760 : 주차감지 센싱부 760a : 진입감지센서
760b : 주차감지센서 770 : 제어모듈
800 : 무선통신모듈 1000 : 전기자동차 충전기
1100 : 본체 1200 : 충전 커넥터
L : 전기자동차 충전구역 P : 전기자동차 충전주차구역

Claims (2)

  1.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각 전기시설로 연결되는 전원케이블들 상에 개별 설치되어 해당 전기시설에 대한 입력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계(110), 상기 전기시설별 설치되어 해당 전기시설의 출력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계(120), 상기 제1 및 제2 전류계(110,120)의 측정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전송주기에 따라 수신 대상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30)을 포함하는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가 설치된 공동주택별 지하주차장의 전기시설 및 전원케이블에 대한 특성정보가 상기 전기시설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사전 등록되며,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의 상기 전송주기별 측정 데이터가 상기 전기시설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200):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의 데이터들을 대상으로 딥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특성정보가 동일한 지하주차장의 전기시설별 이상 판단을 위한 점검필요기준을 생성 및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인공지능모듈(300): 및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로부터 상기 전송주기에 따라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동시에 전송된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점검필요기준을 비교하여 해당 전기시설의 이상 여부를 판단 후, 이상 의심에 따른 점검 필요성이 있는 전기시설의 존재 시 해당 관리자가 휴대한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500)에 점검요청신호를 전송하는 통합관리서버(400)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시설의 식별정보는 지하주차장 구분을 위한 제1식별코드 및 동일 지하주차장 내 전기시설의 구분을 위해 전기시설별 부여된 일련번호인 제2식별코드가 하이픈(hyphen)을 통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는 상기 전기시설별 고장·수리·교체에 대한 정보(이하 “전기시설 유지/관리 히스토리 정보”라 함) 및 상기 전기시설별 연결되는 상기 전원케이블들 각각의 고장·수리·교체에 대한 정보(이하 “전원케이블 유지/관리 히스토리 정보”라 함)가 상기 전기시설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매핑되어 저장되며,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가 설치된 지하주차장에 대한 습도 및 온도 측정용의 습도센서(610) 및 온도센서(620) 그리고 상기 습도센서(610) 및 온도센서(620)의 측정 데이터를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의 상기 전송주기에 맞춰 상기 통합관리서버(40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630)을 포함하되, 상기 통합관리서버(400)에 대한 측정 데이터 전송 시 해당 지하주차장의 구분을 위한 상기 제1식별코드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400)는 상기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600)로부터 상기 전송주기에 맞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에 상기 제1식별코드를 기준으로 해당 지하주차장의 모든 전기시설에 각각 매핑시켜 저장하는 동시에 전기시설별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인공지능모듈(30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의 상기 특성정보,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의 측정 데이터,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600)의 측정 데이터, 전기시설 유지/관리 히스토리 정보 및 전원케이블 유지/관리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딥러닝을 수행하여 상기 점검필요기준을 생성 및 지속적으로 갱신하며,
    상기 전기시설에는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가 포함되고,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가 설치된 지하주차장 내 전기자동차 충전구역(L)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구역(L) 내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별 설치되어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700)와: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가 설치된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700)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 후 상기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700)에 무선 송출하는 무선통신모듈(8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기 사용 방지장치(700)는,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의 충전 커넥터(1200)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되도록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의 몸체(11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 거치대(710)와; 상기 커넥터 거치대(710)에 대한 상기 충전 커넥터(1200)의 거치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넥터 거치대(710)에 설치되는 전자석 유닛(720)과; 상기 충전 커넥터(1200)가 상기 커넥터 거치대(710)에 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전자석 유닛(720)에 포개지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충전 커넥터(120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금속블록(730)과; 상기 커넥터 거치대(710)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통신모듈(800)로부터 상기 통합관리서버(400)의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어신호 송수신모듈(740)과; 상기 커넥터 거치대(710)에 대한 상기 충전 커넥터(1200)의 거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커넥터 거치대(710)에 설치되는 접촉감지센서(750)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별 형성되는 전기자동차 충전주차구역(P)에 설치되어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주차구역(P)에 대한 자동차 진입 및 주차를 감지하는 주차감지 센싱부(760)와; 상기 커넥터 거치대(710)에 내장되며, 상기 제어신호 송수신모듈(740)로부터 상기 통합관리서버(4000)의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감지센서(75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전송된 후 상기 주차감지 센싱부(760)로부터 자동차 진입 및 주차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전자석 유닛(720)을 자화 상태로 작동시키는 제어모듈(770)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400)는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의 충전 커넥터(1200)를 통한 전기자동차 충전 동작 시 상기 전기시설 모니터링부(100) 및 지하주차장 환경 센싱부(600)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와 상기 인공지능모듈(300)의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에 대한 상기 점검필요기준을 비교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기(1000)의 이상 여부를 판단 후, 이상 의심에 따른 점검 필요성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8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2. 삭제
KR1020230053407A 2023-04-24 2023-04-24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KR102652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407A KR102652161B1 (ko) 2023-04-24 2023-04-24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407A KR102652161B1 (ko) 2023-04-24 2023-04-24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161B1 true KR102652161B1 (ko) 2024-03-29

Family

ID=9048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3407A KR102652161B1 (ko) 2023-04-24 2023-04-24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1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559B1 (ko) * 2015-08-07 2016-12-30 주식회사 유디존테크놀로지 전기자동차의 충전인프라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065028B1 (ko) 2019-02-27 2020-01-10 주식회사 이린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안전 관리장치
KR102218115B1 (ko) 2020-08-24 2021-02-23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시스템
KR20210041724A (ko) * 2019-10-08 2021-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의 고장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488288B1 (ko) 2022-03-16 2023-01-13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559B1 (ko) * 2015-08-07 2016-12-30 주식회사 유디존테크놀로지 전기자동차의 충전인프라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065028B1 (ko) 2019-02-27 2020-01-10 주식회사 이린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안전 관리장치
KR20210041724A (ko) * 2019-10-08 2021-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기의 고장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218115B1 (ko) 2020-08-24 2021-02-23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인공지능형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시스템
KR102488288B1 (ko) 2022-03-16 2023-01-13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559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인프라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765235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센서와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647082A (zh) 一种机房智能巡检系统及其工作方法
KR101439399B1 (ko) 광복합 지중 송전, 배전 및 변전케이블 감시장치
CN102761156B (zh) 供电动车辆使用的充电系统及其监测方法
CN105574683A (zh) 一种全方位变电站巡检系统及方法
JP6547427B2 (ja) 火災検知装置、火災検知システム、火災検知方法、及び火災検知プログラム
CN107424380A (zh) 城市地下综合管廊监测预警系统及其方法
CN103884377B (zh) 隧道监测传感器
CN103523676B (zh) 一种地铁盾构隧道门吊作业安全风险实时监控预警系统及其工作方法
CN106371052A (zh) 智能电表的安全监控方法、装置及系统
KR102122588B1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122589B1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CN103674286A (zh) 一种基于红外图像的站内通信设备故障诊断方法
CN104677405B (zh) 异常判定系统及其判定方法
CN105270973A (zh) 一种电梯门联锁电路/安全电路故障检测装置及方法
CN110779568A (zh) 一种在线监测与移动巡检协同的电力电缆检测方法及装置
CN107445004A (zh) 电梯门故障诊断装置及方法
CN103065169A (zh) 一种巡检引导系统
CN114049738A (zh) 基于烟雾、温度、电气量的建筑电气火灾辨识方法及系统
KR102652161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CN110844732A (zh) 一种用于电梯故障测试的智能监测管理系统
CN113778007A (zh) 一种管廊巡检无人机智能监测系统
CN108280895A (zh) 一种石化防爆巡检机器人及防爆系统
CN112286180A (zh) 一种基于巡检机器人的电力巡检分析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