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990B1 -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9990B1 KR102289990B1 KR1020210043968A KR20210043968A KR102289990B1 KR 102289990 B1 KR102289990 B1 KR 102289990B1 KR 1020210043968 A KR1020210043968 A KR 1020210043968A KR 20210043968 A KR20210043968 A KR 20210043968A KR 102289990 B1 KR102289990 B1 KR 1022899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arth leakage
- leakage breaker
- light
- signal
- househol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사무 공간이나 매장 내 또는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가 오프 작동될 시 그 사실을 외출 중인 사용자가 즉시 알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누전차단기에 대한 관리자의 방문 점검을 선택적으로 요청할 수 있고, 방문 점검을 요청할 경우 관리자를 통한 사무 공간, 매장 또는 세대 내에 대한 출입 및 점검 상황의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획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편한 마음으로 관리자의 방문 점검을 요청할 수 있는 동시에 관리자의 점검 과정을 실시간 내지 추후 확인할 수 있는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은 차단 작동 감지부, 제어부, 카메라모듈, 중계모듈 및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사무 공간이나 매장 내 또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 내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가 오프 작동될 시 그 사실을 외출 중인 사용자가 즉시 알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누전차단기에 대한 관리자의 방문 점검을 선택적으로 요청할 수 있고, 방문 점검을 요청할 경우 관리자를 통한 사무 공간, 매장 또는 각 세대 내에 대한 출입 및 점검 상황의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획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편한 마음으로 관리자의 방문 점검을 요청할 수 있는 동시에 관리자의 점검 과정을 실시간 내지 추후 확인할 수 있는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이나 그 밖의 다양한 건축물에는 배전함에 내장되는 방식으로 배전반이 설치된다.
그리고 배전반에는 공급되는 전력을 각종 부하로 분배 및 공급하는 전원분배기와,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상태를 감지하여 누전 등과 같은 이상 상태 발생시 전기를 신속히 차단시켜 전기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누전차단기와, 이상이 있는 부하측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와, 일정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의 총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 등의 각종 전기 기기들이 설치된다.
또한, 배전반을 내장하는 배전함은 통상 공동주택 또는 건축물의 벽면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배전함은 내장된 배전반의 외부 노출을 위한 도어를 구비한다.
공동주택을 예로 부연 설명하면,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는 통상 세대분전함 및 이러한 세대분전함에 내장되는 세대분전반이 벽체 매입형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세대분전반에 누전차단기가 설치된다.
한편 누전차단기는 과도한 전기사용량, 누전, 콘센트나 스위치에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등의 이유로 작동하게 되며, 그 작동 시기를 사용자가 알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외출 후 밤에 귀가하였는 데 누전차단기가 작동된 상태여서 곤란을 겪게 되는 일이 종종 발생된다. 특히 최근에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여서 이러한 곤란함을 겪는 사용자들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건축물의 사무 공간이나 매장 내 또는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가 오프 작동될 시 그 사실을 외출 중인 사용자가 즉시 알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누전차단기에 대한 관리자의 방문 점검을 선택적으로 요청할 수 있고, 방문 점검을 요청할 경우 관리자를 통한 사무 공간, 매장 또는 세대 내에 대한 출입 및 점검 상황의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획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편한 마음으로 관리자의 방문 점검을 요청할 수 있는 동시에 관리자의 점검 과정을 실시간 내지 추후 확인할 수 있는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은, 건축물의 사무 공간이나 매장 내 또는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에 설치되며, 상기 누전차단기의 오프(OFF) 작동을 감지하면 해당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차단 작동 감지부(10)와, 상기 누전차단기가 설치되는 분전반의 분전함 내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 작동 감지부(10)로부터 신호 전송 시 상기 누전차단기의 오프 작동에 대한 신호(이하 “오프 작동 신호”라 함)를 생성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어부(20)와, 상기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실내의 출입문을 촬영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누전차단기의 사용자로부터 전송 요청이 있을 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카메라모듈(30)과, 상기 카메라모듈(30)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누전차단기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60) 및 상기 카메라모듈(30) 간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중계모듈(40)과,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상기 오프 작동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누전차단기의 오프 작동에 따른 방문 점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60)에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건축물의 사무 공간이나 매장 내 또는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가 오프 작동될 시 그 사실을 외출 중인 사용자가 즉시 알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누전차단기에 대한 관리자의 방문 점검을 선택적으로 요청할 수 있게 되고, 방문 점검을 요청할 경우 관리자를 통한 사무 공간, 매장 또는 세대 내에 대한 출입 및 점검 상황의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획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편한 마음으로 관리자의 방문 점검을 요청할 수 있는 동시에 관리자의 점검 과정을 실시간 내지 추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에서 차단 작동 감지부를 예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에서 차단 작동 감지부를 예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에서 차단 작동 감지부의 일부를 측면에서 예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에서 차단 작동 감지부를 예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에서 차단 작동 감지부를 예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에서 차단 작동 감지부의 일부를 측면에서 예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은 차단 작동 감지부(10), 제어부(20), 카메라모듈(30), 중계모듈(40) 및 관리자 단말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단 작동 감지부(10)는 건축물의 사무 공간이나 매장 내 또는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에 설치되어 해당 누전차단기의 오프(OFF) 작동을 감지하며, 누전차단기의 오프(OFF) 작동을 감지하면 해당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한다. 다시 말해 차단 작동 감지부(10)는 누전차단기의 오프(OFF) 작동을 감지 시 해당 신호를 후술되는 제어부(20)에 전송한다.
제어부(20)는 누전차단기가 설치되는 분전반의 분전함 내에 설치되며, 차단 작동 감지부(10)로부터 신호 전송 시 누전차단기의 오프 작동에 대한 신호(이하 “오프 작동 신호”라 함)를 생성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20)는 상기 오프 작동 신호를 후술되는 관리자 단말기(50)에 전송한다.
카메라모듈(30)은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실내의 출입문을 촬영하도록 설치되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카메라모듈(30)은 누전차단기의 사용자로부터 전송 요청이 있을 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여 후술되는 중계모듈(40)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60)에 전송되게 한다.
중계모듈(40)은 카메라모듈(30)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이러한 중계모듈(40)은 누전차단기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60) 및 카메라모듈(30) 간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한다.
관리자 단말기(50)는 제어부(20)로부터 상기 오프 작동 신호를 수신하며, 이와 같이 상기 오프 작동 신호가 수신되면 누전차단기의 오프 작동에 따른 방문 점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누전차단기 사용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60)에 전송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누전차단기가 오프 작동 시 해당 신호인 오프 작동 신호가 관리자 단말기(50)에 전송되고, 이에 따라 관리자는 오프 작동된 누전차단기에 대한 방문 점검 여부를 누전차단기의 사용자에게 확인하게 되며, 확인 결과 누전차단기의 사용자가 방문 점검을 원하면 방문하여 점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관리자의 방문 및 누전차단기에 대한 점검 영상이 카메라모듈(30)을 통해 누전차단기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60)에 실시간 전송될 수 있고, 따라서 누전차단기의 사용자는 보다 편한 마음으로 관리자의 방문 점검을 요청할 수 있는 동시에 관리자의 점검 과정을 실시간 내지 추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일련의 작용을 통해서, 사용자가 누전차단기의 오프 작동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저녁이나 밤에 귀가하는 데 따른 당혹스러움 및 어려움을 겪게 되는 난점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에서 차단 작동 감지부를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에서 차단 작동 감지부를 예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에서 차단 작동 감지부의 일부를 측면에서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은 차단 작동 감지부(100), 제어부(200), 카메라모듈(300), 중계모듈(400), 세대인터폰(500) 및 통합 인터폰 시스템(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단 작동 감지부(100)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2)에 설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는 통상 분전반 및 이의 분전함이 설치되며, 분전반에 누전차단기(2)가 설치되고, 차단 작동 감지부(100)는 이러한 누전차단기(2)에 설치된다. 그리고 차단 작동 감지부(100)는 누전차단기(2)의 오프 작동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따라서 차단 작동 감지부(100)는 누전차단기(2)의 오프 작동을 감지 시 해당 신호를 후술되는 제어부(2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차단 작동 감지부(100)는 좌측 포스트부재(110), 발광소자(120), 레이저모듈(130), 우측 포스트부재(140) 및 수광소자(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측 포스트부재(110)는 누전차단기(2)의 정면에 누전차단기(2)의 온(ON)/오프(OFF) 작동용 레버(2a)를 중심으로 좌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좌측 포스트부재(110)는 본체(111) 및 테이핑 고정용 플랜지(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1)는 누전차단기(2)의 정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누전차단기(2)의 정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테이핑 고정용 플랜지(112)는 이러한 본체(111)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본체(111)와 수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테이핑 고정용 플랜지(112)는 본체(111)를 누전차단기(2)의 정면에 테이프를 통한 접착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용도이다.
또한, 본체(111)에는 후술되는 발광소자(120) 및 레이저모듈(130)이 인입형으로 설치되기 위한 센서홈(111a) 및 레이저홈(111b)이 각각 형성되고, 발광소자(120) 및 레이저모듈(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매입형으로 설치되며, 발광소자(120)의 작동을 위한 센서 작동스위치(114) 및 레이저모듈(130)의 작동을 위한 레이저 작동스위치(115)가 각각 설치된다.
발광소자(120)는 좌측 포스트부재(110)의 본체(111)에 형성되는 센서홈(111a)에 인입형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발광소자(120)는 센서 작동스위치(114)의 조작에 따라 온(ON)/오프(OFF)된다.
레이저모듈(130)은 좌측 포스트부재(110)의 본체(111)에 형성되는 레이저홈(111b)에 인입형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레이저모듈(130)은 레이저 작동스위치(115)의 조작에 따라 온(ON)/오프(OFF)된다.
우측 포스트부재(140)는 좌측 포스트부재(110)와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누전차단기(2)의 정면에 레버(2a)를 중심으로 우측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우측 포스트부재(140)는 본체(141) 및 테이핑 고정용 플랜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141)는 누전차단기(2)의 정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누전차단기(2)의 정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테이핑 고정용 플랜지(142)는 이러한 본체(141)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본체(141)와 수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테이핑 고정용 플랜지(142)는 본체(141)를 누전차단기(2)의 정면에 테이프를 통한 접착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용도이다.
또한, 본체(141)에는 후술되는 수광소자(150)가 인입형으로 설치되기 위한 센서홈(141a)이 형성되고, 좌측 포스트부재(110)에 설치된 레이저모듈(130)의 레이저 빔에 대한 타겟 기능을 수행하여 발광소자(120) 및 수광소자(150)가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의 위치정렬표적(141b)이 표시된다.
또한, 본체(141)에는 수광소자(1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매입형으로 설치되고, 수광소자(150)의 작동을 위한 센서 작동스위치(144)가 설치되며, 수광소자(150)의 신호를 후술되는 제어부(200)에 전송하기 위한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45)이 설치된다.
수광소자(150)는 우측 포스트부재(140)의 본체(141)에 형성되는 센서홈(141a)에 인입형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수광소자(150)는 센서 작동스위치(144)의 조작에 따라 온(ON)/오프(OFF)된다.
그리고 발광소자(120) 및 수광소자(150)는 누전차단기(2)의 오프 작동에 따른 레버(2a)의 하향 회전 시 발광소자(120)로부터 방출되어 수광소자(150)로 투사되는 광이 순간적으로 차단되면서 수광소자(150)에 대한 발광소자(120)의 광 투사가 순간적으로 끊기게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술한 위치에 발광소자(120) 및 수광소자(1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좌측 포스트부재(110) 및 우측 포스트부재(140)의 센서홈(111a,141a)들이 해당 위치에 형성된다.
차단 작동 감지부(100)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누전차단기(2)의 정면에 테이핑을 통한 부착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해당 누전차단기(2)의 오프 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좌측 포스트부재(110) 및 우측 포스트부재(140)가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별도의 테이핑 부착 방식을 통해 각각 고정되는 것이므로, 좌측 포스트부재(110) 및 우측 포스트부재(140)가 일체형의 유동을 하면서 발광소자(120) 및 수광소자(150)를 통한 레버(2a) 회전의 감지가 불가능한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도 발광소자(120)의 광이 수광소자(150)에 계속해서 투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누전차단기(20)의 오프 작동을 감지하는 기능이 상실된 상태에서, 이 사실이 후술되는 제어부(200)를 통해 확인되지 못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차단 작동 감지부(100)는 레이저모듈(130) 및 위치정렬표적(141b)을 통해 발광소자(120)의 광이 수광소자(150)에 정확하게 투사되는 상태로 좌측 포스트부재(110) 및 우측 포스트부재(140)를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므로, 좌측 포스트부재(110) 및 우측 포스트부재(140)가 서로 독립된 구성임에도 발광소자(120) 및 수광소자(150)를 일적선상에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좌측 포스트부재(110) 및 우측 포스트부재(140)가 서로 독립된 구성임에도 발광소자(120) 및 수광소자(150)를 통한 센싱 기능의 정확도가 높아지는 결과로 이어진다.
제어부(200)는 누전차단기(2)가 설치되는 분전반의 분전함 내에 설치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제어부(200)가 분전함의 도어(4a) 내면에 부착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210)을 접속하고 있어,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45)을 통해 전송되는 수광소자(150)의 신호를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210)을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차단 작동 감지부(100)의 수광소자(15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누전차단기(2)의 오프 작동을 판단하고, 누전차단기(2)의 오프 작동으로 판단되면 해당 신호(이하 “누전차단기 오프 작동 신호”라 함)를 생성 후 생성된 상기 누전차단기 오프 작동 신호를 후술되는 세대인터폰(500)의 중계 기능을 통해 해당 공동주택(10)의 경비실에 설치된 통합 인터폰 시스템(6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세대인터폰(500)에는 제어부(200)의 상기 누전차단기 오프 작동 신호를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21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3 근거리 무선통신모듈(510)이 설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어부(200)는 발광소자(120)의 광에 대한 수광소자(150)의 수신 신호가 수광소자(150)로부터 순간적으로 전송되지 않다가 다시 전송될 경우 누전차단기(2)의 오프 작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200)는 발광소자(120)의 광에 대한 수광소자(150)의 수신 신호가 수광소자(150)로부터 계속해서 전송되지 않을 경우 차단 작동 감지부(10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누전차단기(2)의 오프 작동으로 판단 시 후술되는 카메라모듈(3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이에 따라 카메라모듈(300)은 해당 세대의 출입문에 대해 촬영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카메라모듈(300)의 설명에서 더 서술키로 한다.
카메라모듈(300)은 차단 작동 감지부(100)를 설치하고 있는 세대의 출입문 및 그 주변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해당 세대 내에 설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공동주택의 세대 내 분전반 및 그 분전함은 통상 출입문과 인접하여 설치되므로, 카메라모듈(300)은 누전차단기(2)에 대해 방문 점검을 하는 작업자의 출입문을 중심으로 한 동선 그리고 누전차단기(2)에 대한 점검 상황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카메라모듈(300)은 상술한 것처럼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세대의 출입문 및 그 주변에 대한 촬영 동작을 시작한다. 또한, 카메라모듈(300)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후술되는 중계모듈(4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중계모듈(400)은 카메라모듈(300)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이러한 중계모듈(400)은 차단 작동 감지부(100)를 설치하고 있는 세대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0) 및 카메라모듈(30) 간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한다. 다시 말해 카메라모듈(30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가 중계모듈(400)의 중계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0)에 전송된다. 또한, 사용자는 카메라모듈(300)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수신 요청 신호를 사용자 자신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0) 및 중계모듈(400)을 통해 카메라모듈(300)에 전송할 수 있다.
세대인터폰(500) 및 통합 인터폰 시스템(600)에 대해서는 제어부(200)의 설명에서 함께 언급하였다.
그리고 통합 인터폰 시스템(600)에 대해 더 설명하면, 통합 인터폰 시스템(600)은 상술한 누전차단기 오프 작동 신호를 세대인터폰(500)을 통해 수신할 경우, 해당 세대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0)에 누전차단기(2)에 대한 방문 점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누전차단기(2)에 대한 방문 점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로는 문자메시지 내지 음성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누전차단기(2)에 대한 방문 점검을 원할 경우 경비실로 연락해서 누전차단기(2)에 대한 방문 점검을 요청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른 누전차단기(2)에 대한 방문 점검 상황이 카메라모듈(300)을 통해 촬영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며,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차단 작동 감지부(100)의 발광소자(120) 및 수광소자(150)의 작동이 시작된다.
단계(S120)에서, 제어부(200)는 수광소자(150)로부터 발광소자(120)의 광을 수신 중인 신호가 전송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단계(S120)을 통해 수광소자(150)를 통한 발광소자(120) 광의 수신이 중단된 것으로 확인되면, 단계(S130)을 통해 수광소자(150)를 통한 발광소자(120) 광의 수신이 재개되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단계(S140)에서, 제어부(200)는 단계(S130)을 통해 수광소자(150)를 통한 발광소자(120) 광의 수신이 재개되면, 누전차단기(2)가 오프 작동을 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단계(S140)에 따라 제어부(200)는 단계(S150)에서 카메라모듈(3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카메라모듈(300)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제어부(200)는 단계(S145)에서 “누전차단기 오프 작동 신호”를 생성 후 이를 세대인터폰(500)에 전송한다.
그리고 단계(S160)에서, 단계(S150)을 통해 촬영을 시작한 카메라모듈(300)의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그리고 단계(S160)을 통해 사용자가 카메라모듈(300)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수신을 요청하면, 카메라모듈(300)의 영상데이터가 중계모듈(400)의 중계를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0)에 전송된다.
또한, 단계(S155)에서, 세대인터폰(500)은 단계(S145)를 통해 수신된 상기 누전차단기 오프 작동 신호를 해당 공동주택 경비실의 통합 인터폰 시스템(600)에 전송한다.
그리고 단계(S1650)에서, 통합 인터폰 시스템(600)은 단계(S155)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누전차단기 오프 작동 신호를 수신한 다음, 사용자의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0)에 누전차단기(2)에 대한 방문 점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단계(S210)에서, 제어부(200)는 단계(S130)을 통해 수광소자(150)를 통한 발광소자(120) 광의 수신이 재개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차단 작동 감지부(10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단계(S210)에서, 제어부(200)는 차단 작동 감지부(100)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 예의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공동주택의 세대 내 누전차단기가 오프 작동 시 그에 따른 누전차단기 오프 작동 신호가 해당 세대의 세대인터폰을 통해 해당 공동주택의 경비실에 설치된 통합 인터폰 시스템에 전송된다. 그리고 통합 인터폰 시스템은 상기 누전차단기 오프 작동 신호의 수신에 따라 해당 세대의 사용자가 등록해 놓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 누전차단기에 대한 방문 점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따라서 이를 확인하는 사용자가 누전차단기에 대한 방문 점검을 요청할 지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방문 점검을 요청하는 것으로 결정할 경우 사용자는 경비실 내지 공동주택 관리실 등에 전화하여 누전차단기에 대한 방문 점검을 요청하게 된다.
또한, 누전차단기에 대한 방문 점검 상황이 해당 세대에 설치된 카메라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다음, 이렇게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 내지 추후에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한 마음으로 누전차단기에 대한 방문 점검을 요청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점검 과정에 대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일련의 작용을 통해서, 사용자가 누전차단기의 오프 작동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저녁이나 밤에 귀가하는 데 따른 당혹스러움 및 어려움을 겪게 되는 난점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100 : 차단 작동 감지부 20,200 : 제어부
30,300 : 카메라모듈 40,400 : 중계모듈
50 : 관리자 단말기 60,1000 :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110 : 좌측 포스트부재 111 : 본체
111a : 센서홈 111b : 레이저홈
112 : 테이핑 고정용 플랜지 114 : 센세 작동스위치
115 : 레이저 작동스위치 120 : 발광소자
130 : 레이저모듈 140 : 우측 포스트부재
141 : 본체 141a : 센서홈
141b : 위치정렬표적 142 : 테이핑 고정용 플랜지
144 : 센서 작동스위치 145 :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150 : 수광소자 210 :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500 : 세대인터폰 510 : 제3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600 : 통합 인터폰 시스템
30,300 : 카메라모듈 40,400 : 중계모듈
50 : 관리자 단말기 60,1000 :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110 : 좌측 포스트부재 111 : 본체
111a : 센서홈 111b : 레이저홈
112 : 테이핑 고정용 플랜지 114 : 센세 작동스위치
115 : 레이저 작동스위치 120 : 발광소자
130 : 레이저모듈 140 : 우측 포스트부재
141 : 본체 141a : 센서홈
141b : 위치정렬표적 142 : 테이핑 고정용 플랜지
144 : 센서 작동스위치 145 :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150 : 수광소자 210 :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500 : 세대인터폰 510 : 제3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600 : 통합 인터폰 시스템
Claims (1)
-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되는 누전차단기(2)의 정면에 상기 누전차단기(2)의 온(ON)/오프(OFF) 작동용 레버(2a)를 중심으로 좌측에 설치되며, 상기 누전차단기(2)의 정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누전차단기(2)의 정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본체(111) 및 상기 본체(111)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상기 본체(111)와 수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를 갖는 테이핑 고정용 플랜지(112)를 포함하되, 상기 테이핑 고정용 플랜지(112)는 상기 본체(111)를 상기 누전차단기(2)의 정면에 테이프를 통한 접착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용도이고, 상기 본체(111)에는 센서홈(111a) 및 레이저홈(111b)이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매입형 배터리 및 센서 작동스위치(114) 그리고 레이저 작동스위치(115)가 각각 설치되는 좌측 포스트부재(110)와;
상기 본체(111)의 센서홈(111a)에 인입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센서 작동스위치(114)의 조작에 따라 온(ON)/오프(OFF)되는 발광소자(120)와;
상기 본체(111)의 레이저홈(111b)에 인입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레이저 작동스위치(115)의 조작에 따라 온(ON)/오프(OFF)되는 레이저모듈(130)과;
상기 좌측 포스트부재(110)와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전차단기(2)의 정면에 레버(2a)를 중심으로 우측에 설치되며, 본체(141)에는 센서홈(141a)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레이저모듈(130)의 레이저 빔에 대한 타겟 기능을 수행하는 위치정렬표적(141b)이 표시되고, 상기 본체(141)에는 매입형 배터리, 센서 작동스위치(144) 및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45)이 설치되는 우측 포스트부재(140)와;
상기 우측 포스트부재(140)의 본체(141)에 형성되는 센서홈(141a)에 인입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센서 작동스위치(144)의 조작에 따라 온(ON)/오프(OFF)되는 수광소자(150);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120) 및 수광소자(150)는 상기 누전차단기(2)의 오프 작동에 따른 레버(2a)의 하향 회전 시 상기 발광소자(120)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수광소자(150)로 투사되는 광이 순간적으로 차단되면서 상기 수광소자(150)에 대한 상기 발광소자(120)의 광 투사가 순간적으로 끊기게 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차단 작동 감지부(100):
상기 누전차단기(2)가 설치되는 분전반의 분전함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45)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수광소자(1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210)이 접속되고, 상기 차단 작동 감지부(100)의 수광소자(15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누전차단기(2)의 오프 작동을 판단하되, 상기 발광소자(120)의 광에 대한 상기 수광소자(150)의 수신 신호가 상기 수광소자(150)로부터 순간적으로 전송되지 않다가 다시 전송될 경우 상기 누전차단기(2)의 오프 작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누전차단기(2)의 오프 작동으로 판단되면 해당 신호(이하 “누전차단기 오프 작동 신호”)를 생성 후 생성된 상기 누전차단기 오프 작동 신호를 세대인터폰(500)의 중계 기능을 통해 해당 공동주택(10)의 경비실에 설치된 통합 인터폰 시스템(600)에 전송하고 카메라모듈(3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발광소자(120)의 광에 대한 상기 수광소자(150)의 수신 신호가 상기 수광소자(150)로부터 계속해서 전송되지 않을 경우 상기 차단 작동 감지부(10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200):
상기 차단 작동 감지부(100)를 설치하고 있는 공동주택 세대의 출입문 및 그 주변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해당 세대 내에 설치되며,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카메라모듈(300):
상기 카메라모듈(300)과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모듈(30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차단 작동 감지부(100)를 설치하고 있는 세대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0)에 전송하고, 상기 카메라모듈(300)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상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0) 사용자의 수신 요청 신호를 상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카메라모듈(300)에 전송하는 중계모듈(400):
상기 제어부(200)의 상기 누전차단기 오프 작동 신호를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21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3 근거리 무선통신모듈(510)이 설치되는 상기 세대 인터폰(500): 및
상기 누전차단기 오프 작동 신호를 상기 세대인터폰(500)을 통해 수신시 해당 세대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상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1000)에 해당 누전차단기(2)에 대한 방문 점검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통합 인터폰 시스템(600)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누전차단기(2)에 대한 방문 점검을 원해 해당 공동주택(10)의 경비실로 상기 통합 인터폰 시스템(600)을 통해 방문 점검을 요청 시, 해당 누전차단기(2)에 대한 방문 점검 상황이 상기 카메라모듈(300)을 통해 실시간 촬영되어 사용자에게 실시간 내지 추후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3968A KR102289990B1 (ko) | 2021-04-05 | 2021-04-05 |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3968A KR102289990B1 (ko) | 2021-04-05 | 2021-04-05 |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9990B1 true KR102289990B1 (ko) | 2021-08-18 |
Family
ID=7746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3968A KR102289990B1 (ko) | 2021-04-05 | 2021-04-05 |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999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3505B1 (ko) | 2022-01-24 | 2022-11-10 |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 |
KR102488288B1 (ko) | 2022-03-16 | 2023-01-13 |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
KR102539611B1 (ko) | 2022-03-11 | 2023-06-05 |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 |
KR102575918B1 (ko) | 2022-03-29 | 2023-09-08 | (주)현대이엔지 |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옥내 배전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38566A (ja) * | 2000-05-30 | 2001-12-07 | Hitachi Ltd | 配線用遮断器および電気設備 |
KR20100032045A (ko) * | 2008-09-17 | 2010-03-25 | 한국 전기안전공사 |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
KR101587437B1 (ko) * | 2015-08-19 | 2016-01-21 | 주식회사 그랜드 | 자동제어반 스마트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
KR101964893B1 (ko) | 2019-03-04 | 2019-04-05 | 주식회사 이린 | 인공지능과 연계되는 구간별 공동주택 전기누전 감지시스템 |
KR102080159B1 (ko) | 2019-08-28 | 2020-05-29 |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차단 시스템 |
KR102181326B1 (ko) | 2020-08-26 | 2020-11-20 |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감시시스템 |
KR102209889B1 (ko) | 2020-08-20 | 2021-02-02 |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 공동주택용 실내전기의 구간별 누전 감시시스템 |
-
2021
- 2021-04-05 KR KR1020210043968A patent/KR1022899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38566A (ja) * | 2000-05-30 | 2001-12-07 | Hitachi Ltd | 配線用遮断器および電気設備 |
KR20100032045A (ko) * | 2008-09-17 | 2010-03-25 | 한국 전기안전공사 |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
KR101587437B1 (ko) * | 2015-08-19 | 2016-01-21 | 주식회사 그랜드 | 자동제어반 스마트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
KR101964893B1 (ko) | 2019-03-04 | 2019-04-05 | 주식회사 이린 | 인공지능과 연계되는 구간별 공동주택 전기누전 감지시스템 |
KR102080159B1 (ko) | 2019-08-28 | 2020-05-29 |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차단 시스템 |
KR102209889B1 (ko) | 2020-08-20 | 2021-02-02 |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 공동주택용 실내전기의 구간별 누전 감시시스템 |
KR102181326B1 (ko) | 2020-08-26 | 2020-11-20 | (주)유일방재엔지니어링 |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감시시스템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3505B1 (ko) | 2022-01-24 | 2022-11-10 |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누전 차단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실내전기 배선 장치 |
KR102539611B1 (ko) | 2022-03-11 | 2023-06-05 |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 |
KR102488288B1 (ko) | 2022-03-16 | 2023-01-13 |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
KR102575918B1 (ko) | 2022-03-29 | 2023-09-08 | (주)현대이엔지 |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옥내 배전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89990B1 (ko) |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 |
KR101684374B1 (ko) |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 |
KR101993660B1 (ko) |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 |
KR100976150B1 (ko) | 능동형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긴급구조시스템 | |
KR102044883B1 (ko) | 인공지능 기반의 직접 디지털 제어기를 이용한 건물 자동 제어장치 | |
KR102385880B1 (ko)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 | |
KR102558368B1 (ko) |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누전 차단기 장치 | |
JP4887670B2 (ja) | 通信システム | |
JP4855303B2 (ja) | 緊急地震速報対応型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 |
KR20120072838A (ko) |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
KR101933672B1 (ko) | Iot 기반 온도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
KR102246812B1 (ko)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 제어 시스템 | |
KR20170079609A (ko) | 가상 물리 시스템을 이용한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 |
KR20210026128A (ko) | 소화전 기반 IoT 원격 화재 알림 시스템 | |
KR101223182B1 (ko) | 국가기준점의 지반침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계측시스템 | |
JP7285476B2 (ja) | 情報端末、インターホン玄関子機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 |
KR102080713B1 (ko) | 통신구 감시 시스템 | |
KR102014099B1 (ko) | 사물제어유닛을 이용한 IoT기반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 |
KR102039032B1 (ko) | 차단기 트립 감지 장치 및 lpwa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단기 모니터링 방법 | |
KR102011308B1 (ko) | 배전반 패널의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 |
JP5038066B2 (ja) |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 |
CN109195293B (zh) | 一种在线应急灯具监控方法及在线应急灯具监控系统 | |
KR102009108B1 (ko) |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 | |
JP4994781B2 (ja) |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連携システム | |
JP2021069190A (ja) | 分電盤システム、分電盤、及び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