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108B1 -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108B1
KR102009108B1 KR1020180028287A KR20180028287A KR102009108B1 KR 102009108 B1 KR102009108 B1 KR 102009108B1 KR 1020180028287 A KR1020180028287 A KR 1020180028287A KR 20180028287 A KR20180028287 A KR 20180028287A KR 102009108 B1 KR102009108 B1 KR 102009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event
solution
control serv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식
이주상
이진형
김미선
Original Assignee
이에스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에스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8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108B1/ko
Priority to PCT/KR2018/008491 priority patent/WO201917249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이벤트 발생 및 이벤트 발생에 대한 솔루션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 및 디바이스를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관제 서버의 제어 방법으로, 관제 서버에 연결된 복수의 센서 각각에 부여된 계측 속성 중 공통된 계측 속성을 포함하는 센서를 그룹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서 그룹을 상기 공통된 계측 속성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상기 계측 속성 중 이벤트 발생 판단에 이용할 계측 속성을 그룹화하여 계측 속성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계측 속성 그룹을 상기 이벤트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제 서버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CONTROL SERVER AND CONTROL SERVER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재 등의 재난은 발생하는 경우 물적/인적 피해를 발생하게 되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재난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은 사람이 직접 장소에 위치하여 관찰할 수 없는 관계로 주로 센서를 통하여 계측된 정보를 기반으로 원격으로 모니터링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 들은 관제 서버와 연결되어 관제 상황실에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데 관제 서버와 센서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 설치 엔지니어에 의해 각각의 센서 별로 초기 설정을 수행하고 있다.
종래에는 주로 하나의 건물 단위로 관제를 하거나 국소적인 지역에 대해서 관제를 했기 때문에 사용되는 센서의 수가 제한적이었으며, 이에 따라 설치 엔지니어가 수동으로 설정하더라도 소요되는 시간이 적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도시 단위의 광역 지역에 대한 통합적인 관제 시스템이 제공됨에 따라 관제 서버에 연결되는 센서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엔지니어가 직접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막대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관제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연결된 디바이스를 그룹화하여 관리함으로써 관리 방법을 개선한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이벤트 발생 및 이벤트 발생에 대한 솔루션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 및 디바이스를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관제 서버의 제어 방법으로, 관제 서버에 연결된 복수의 센서 각각에 부여된 계측 속성 중 공통된 계측 속성을 포함하는 센서를 그룹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서 그룹을 상기 공통된 계측 속성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상기 계측 속성 중 이벤트 발생 판단에 이용할 계측 속성을 그룹화하여 계측 속성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계측 속성 그룹을 상기 이벤트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제 서버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이벤트 발생 및 이벤트 발생에 대한 솔루션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 및 디바이스를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관제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연결된 복수의 센서 각각에 부여된 계측 속성 중 공통된 계측 속성을 포함하는 센서를 그룹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센서 그룹을 상기 공통된 계측 속성과 매칭하여 저장하고, 미리 저장된 상기 계측 속성 중 이벤트 발생 판단에 이용할 계측 속성을 그룹화하여 계측 속성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계측 속성 그룹을 상기 이벤트에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 기준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제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제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된 디바이스를 그룹화하여 관리함으로써 관리 방법을 개선한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환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의 이벤트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그룹화 방법을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그룹핑 G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 그룹핑 G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성 그룹핑 G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000)의 동작 상태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이벤트 발생 및 이벤트 발생에 대한 솔루션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 및 디바이스를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관제 서버의 제어 방법으로, 관제 서버에 연결된 복수의 센서 각각에 부여된 계측 속성 중 공통된 계측 속성을 포함하는 센서를 그룹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서 그룹을 상기 공통된 계측 속성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상기 계측 속성 중 이벤트 발생 판단에 이용할 계측 속성을 그룹화하여 계측 속성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계측 속성 그룹을 상기 이벤트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제 서버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서 그룹에 포함된 상기 센서에 복수의 계측 속성이 부여된 경우 상기 센서는 제1 계측 속성에 대한 제1 센서 그룹 및 제2 계측 속성에 대한 제2 계측 속성 모두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판단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측 속성 그룹에 포함된 계측 속성 각각에 대해서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판단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측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의 계측 속성의 상태가 이상 상태인 경우 상기 계측 속성 그룹에 매칭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제공할 솔루션을 그룹화하여 솔루션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솔루션 그룹을 상기 이벤트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루션 그룹에 포함된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를 그룹화하여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을 상기 솔루션 그룹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발생 여부에 따라 이벤트 솔루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솔루션을 제공하는 단계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솔루션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솔루션 그룹에 대응하는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에 포함된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솔루션 그룹에 포함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이벤트 발생 및 이벤트 발생에 대한 솔루션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 및 디바이스를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관제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연결된 복수의 센서 각각에 부여된 계측 속성 중 공통된 계측 속성을 포함하는 센서를 그룹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센서 그룹을 상기 공통된 계측 속성과 매칭하여 저장하고, 미리 저장된 상기 계측 속성 중 이벤트 발생 판단에 이용할 계측 속성을 그룹화하여 계측 속성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계측 속성 그룹을 상기 이벤트에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 기준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제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가 순차적으로 동작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가 순차적으로 동작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시간 구간에서 하나의 상기 센서가 동작 상태로 동작하는 시간은 제1 시간 구간을 상기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의 수로 분할한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상기 센서 그룹에 포함된 상기 센서에 동일한 소프트웨어를 전송하여 상기 센서 그룹에 포함된 상기 센서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의 환경도(10000)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관제 시스템(1000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000), 관제 서버(2000), 유관 기관 서버(3000) 및 사용자 단말기(40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000)는 관제 서버(2000)와 연결될 수 있다.
센서부(1000)는 관제 서버(2000)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00)는 센서부(1000)와 관제 서버(2000) 사이에 서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중계 서버(5000)를 통하여 관제 서버(20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중계 서버(5000)는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선택에 따라서는 센서부(1000)와 관제 서버(2000)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000)와 관제 서버(200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센서부(1000)는 주변 환경에 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1000)는 온도, 빛, 압력, 변위, 진동, 자계 등의 물리량이나 가스 성분, 이온 등의 화학량, 영상 등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센서부(1000)는 온도, 빛, 가스 성분 등의 계측 대상에 대한 물리적인 값, 화학적인 값 및 존재 유무 등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센서부(1000)가 출력하는 전기적인 신호는 계측 신호라 기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센서부(1000)는 적어도 하나의 계측 대상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센서부(1000)에 있어서, 하나의 센서부(1000)가 반드시 하나의 계측 대상에 계측 신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하나의 센서부(1000)가 복수의 계측 대상에 대한 계측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000)가 복수의 계측 대상에 대한 계측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계측 신호를 관제 서버(2000) 각각의 계측 대상 별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계측 신호가 복수의 계측 대상에 대한 계측 신호를 포함하되, 각각의 계측 대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계측 신호의 제공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센서에서의 다양한 계측 신호 제공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000)는 앞서 설명한 계측 대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계측 대상의 현재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공하는 센서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000)는 온도 센서, 가스 센서, CCTV 등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000)는 구동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에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미리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0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유관 기관 서버(3000) 및 사용자 단말기(4000)와 연결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센서부(1000)로부터 획득한 계측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관제 서버(2000)는 센서부(1000)로부터 획득한 계측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다양한 정보를 외부 전자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센서부(1000)로부터 획득한 계측 신호에 기초하여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200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발생한 이벤트에 따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 발생 여부의 판단 및 솔루션 제공을 위해서는 이벤트 발생 여부의 판단 및 솔루션 제공을 위한 다양한 설정이 필요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도록 한다.
유관 기관 서버(3000)는 관제 서버(2000)와 연결될 수 있다.
유관 기관 서버(3000)는 관제 서버(2000)로부터 관제 서버(2000)가 획득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유관 기관 서버(3000)는 관제 서버(2000)로부터 계측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현재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유관 기관 서버(3000)는 관제 서버(2000)로부터 이벤트 발생 여부에 대한 알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유관 기관 서버(3000)는 관제 서버(2000)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관제 서버(2000)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관 기관 서버(3000)는 관제 서버(2000)에서 필요한 지도 정보, 기상 정보, 교통 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유관 기관 서버(3000)가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관 기관 서버(3000)는 각각의 기관 별로 제공되어 복수의 유관 기관 서버(3000)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를 통합적으로 유관 기관 서버(3000)로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4000)는 관제 서버(200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0)는 관제 서버(2000)로부터 관제 서버(2000)가 획득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4000)는 관제 서버(2000)로부터 계측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현재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4000)는 관제 서버(2000)로부터 이벤트 발생 여부에 대한 알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4000)는 스마트폰, 테블릿, PDA,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노트북 등 다양한 전자기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20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제 서버(2000)는 서버 통신부(2100), 서버 디스플레이부(2200), 서버 입력부(2300), 서버 저장부(2400) 및 서버 제어부(25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0)는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통신부(2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000), 유관 기관 서버(3000) 및 사용자 단말기(400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0)는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0)는 유선 및/또는 유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0)는 연결된 외부 전자기기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연결된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 디스플레이부(2200)는 시각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스플레이부(2200)는 정보의 제공, 사용자 입력의 획득 등을 위하여 제공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서버 디스플레부(2200)는 센서부(1000)로부터 획득한 계측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디스플레이부(2200)는 상황판 등과 같이 관제 서버(2000)에 연결된 독립적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서버 입력부(23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입력부(1300)는 키패드, 키보드, 스위치, 버튼 및 터치스크린 등일 수 있다.
서버 저장부(24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2400)는 관제 서버(20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2400)는 관제 서버(2000)가 센서부(1000) 등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500)는 관제 서버(20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500)는 센서부(1000)로부터 획득한 계측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2500)는 관제 서버(2000)에 포함된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의 이벤트와 속성 및 디바이스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10000)의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제 시스템(10000)은 이벤트 레이어, 속성 레이어 및 디바이스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레이어는 관제 서버(2000)가 모니터링하는 목적 대상일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의 감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벤트 레이어는 화재, 정전, 붕괴, 홍수, 지진, 폭설, 교통사고, 시설물 고장 등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상 상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이상 상황을 이벤트로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이벤트는 화재, 정전, 붕괴, 홍수, 지진, 폭설, 교통사고, 시설물 고장 등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상 상황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벤트의 발생은 이러한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성 레이어는 이벤트 발생과 일차적으로 연관된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속성 레이어는 이벤트 발생의 판단에 필요한 데이터에 대한 계측 속성 및 이벤트 발생 시 솔루션에 대한 솔루션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계측 속성은 이벤트 발생의 판단에 필요한 데이터로 예를 들어 영상, 온도, 진동, 수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솔루션 속성은 이벤트 발생 시 필요한 동작에 관한 것으로 경고 방송, SMS 발송, 유관 기관 신고, 정보의 시각적 출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속성 레이어는 이상에서 설명한 계측 속성 및 솔루션 속성 외에도 디바이스의 부가적인 속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부가적인 속성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설치 위치, 계측 방식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레이어는 물리적인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에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계측 속성 별로 이에 대한 계측 신호를 제공하는 계측 디바이스들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계측 디바이스는 온도센서, 습도 센서, 가스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센서부(1000)가 계측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2000)에서 이벤트 발생시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솔루션 디바이스들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솔루션 디바이스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의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솔루션 속성에 포함된 솔루션의 제공을 위한 메시지 전송 알고리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등 소프트웨어 적인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벤트 레이어와 속성 레이어 및 디바이스 레이어는 상호 종속적인 관계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 레이어는 속성 레이어에 종속된 관계일 수 있다. 또한 속성 레이어는 이벤트 레이어에 종속된 관계일 수 있다.
이러한 종속관계에서 하위 레이어를 그룹화하여 관리 함으로써 보다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시스템 구조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관제 서버(2000)는 이러한 속성 레이어 및 디바이스 레이어를 그룹화 하여 관리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속성 레이어에 포함된 계측 속성, 이벤트 속성, 디바이스 레이어에 포함된 계측 디바이스, 솔루션 디바이스에 포함된 구성들을 그룹화하여 관리함으로써 관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1. 이벤트 설정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2000)의 이벤트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제 서버(2000)의 장치 설정 방법은 연결된 센서부(1000)를 그룹화하는 단계(S110), 속성을 그룹화 하는 단계(S120), 이벤트 판단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S130), 이벤트에 대한 솔루션을 설정하는 단계(S140) 및 이벤트 솔루션 별 사용 디바이스를 설정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된 센서부(1000)를 그룹화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10).
관제 서버(2000)는 연결된 센서부(1000)을 그룹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 그룹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연결된 센서부(1000)를 센서부(1000)에 부여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화할 수 있다.
속성 정보는 계측 신호에 따른 계측 속성, 설치 위치에 따른 위치 속성, 감지 방법 속성, 모델명 속성, 소프트웨어 버전 속성 및 제조사 속성 등의 다양한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계측 속성 별로 센서부(1000)를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2000)는 제1 센서부(1000a)가 온도 및 습도에 대한 계측 신호를 제공하고, 제2 센서부(1000b)가 온도 및 진동에 대한 계측 신호를 제공하고, 제2 센서부(1000c)가 가스의 유무에 대한 계측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 관제 서버(2000)는 제1 센서부(1000a) 및 제2 센서부(1000b)를 온도 속성의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설치 위치 별로 센서부(1000)를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2000)는 제1 센서부(1000a) 및 제2 센서부(1000b)의 설치 위치가 A 동에 대한 센서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제 서버(2000)는 공통된 속성이 부여된 센서부(1000)를 그룹화하여 센서 그룹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센서 그룹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화에 있어서 하나의 센서부(1000)가 반드시 하나의 센서 그룹에만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센서부(1000)에 복수의 속성이 부여된 경우 다양한 센서 그룹에 중복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센서부(1000)에 계측 속성이 온도로 부여되어 있고, 위치 속성이 A동으로 부여된 경우 센서부(1000)는 계측 속성에 온도가 포함된 센서부(1000)들을 그룹화한 제1 센서 그룹에 포함되는 동시에 위치 속성이 A동으로 부여된 센서부(1000)들을 그룹화한 제2 센서 그룹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센서부(1000)의 그룹화는 관제 서버(2000)에 미리 알고리즘화 되어 관제 서버(2000)는 연결된 센서부(1000)에 대해 자동적으로 그룹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그룹화 방법을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그룹화 방법은 속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1), 그룹핑 룰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2), 부가 기준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획득하는 단계(S113),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획득하는 단계(S114), 그룹 획득 및 저장 단계(S1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속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11).
관제 서버(2000)는 연결된 디바이스에 대한 속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연결된 센서부(1000)에 대한 속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에 연결된 센서부(1000)가 복수인 경우 관제 서버(2000)는 복수의 센서부(1000) 각각에 대한 속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센서부(1000)에 대한 계측 속성 및 부가 속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룹핑 룰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12).
관제 서버(2000)는 서버 저장부(2400)에 미리 저장된 그룹핑 룰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그룹핑 룰은 부가 조건 그룹핑 룰 및 속성 조건 그룹핑 룰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조건 그룹핑 룰은 부가 속성에 대한 그룹핑 조건에 관한 것일 수 있으며, 속성 조건 그룹핑 룰은 계측 속성에 대한 그룹핑 룰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부가 조건 그룹핑 룰은 부가 속성에 대한 그룹핑 조건인 부가 조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속성 조건 그룹핑 룰은 계측 속성에 대한 그룹핑 조건인 속성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획득한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핑 룰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2000)는 계측 속성 및 부가 속성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그룹핑 룰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그룹핑 룰은 디바이스 및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화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가 조건에 기초하여 1차 후보 디바이스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13).
관제 서버(2000)는 부가 기준에 기초하여 1차 후보 디바이스를 획득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그룹화 대상 디바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부가 조건에 기초하여 선별한 1차 후보 디바이스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그룹화 대상 디바이스는 관제 서버(2000)에 연결된 센서부(1000), 그룹핑 룰이 존재하는 속성이 부여된 센서부(1000), 그룹에 속하지 않은 센서부(1000) 및 속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1)에서 속성 정보를 획득한 센서부(10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그룹화 대상 디바이스 각각에 부여된 부가 속성 중 부가 조건 그룹핑 룰에 포함된 부가 조건을 만족하는 디바이스를 1차 후보 디바이스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속성이 미리 정해진 위치로부터의 거리인 경우 관제 서버(2000)는 그룹화 대상 디바이스 각각에 부여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한 디바이스를 1차 후보 디바이스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위치는 관제 영역의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영역이 건물인 경우 관제 대상의 위치는 관제 대상 건물의 주소, GPS 좌표 위치 등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관제 대상이 일정 지역인 경우 관제 대상의 위치는 지역의 중심 위치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부가 속성이 건물, 행정 구역 등의 미리 정해진 공간인 경우 관제 서버(2000)는 그룹화 대상 디바이스 각각에 부여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공간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를 1차 후보 디바이스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2차 후보 디바이스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14).
관제 서버(2000)는 1차 후보 디바이스 중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2차 후보 디바이스를 획득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1차 후보 디바이스 각각에 부여된 계측 속성 중 속성 조건 그룹핑 룰에 포함된 속성 조건을 만족하는 디바이스를 2차 후보 디바이스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2000)는 속성 조건이 온도인 경우 1차 후보 디바이스 중 계측 속성에 온도를 포함하는 센서부(1000)를 2차 후보 디바이스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룹 획득 및 저장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15).
관제 서버(2000)는 2차 후보 디바이스를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2차 후보 디바이스를 그룹화 하여 부가 조건 및 속성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그룹명을 설정하여 그룹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2000)는 속성 조건이 온도 인 경우 2차 후보 디바이스의 그룹명을 '온도'로 설정하여 그룹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관제 서버(2000)는 부가 조건이 '성남시'이고, 속성 조건이 온도인 경우 2차 후보 디바이스의 그룹명을 '성남시 온도'로 설정하여 그룹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디바이스 그룹핑 GUI를 이용하여 센서부(1000)를 그룹화할 수 있다.
디바이스 그룹핑 GUI는 디바이스 레이어에 포함된 구성들의 그룹화에 사용되는 GUI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디바이스 그룹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그룹핑 GUI 및 이용한 그룹화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그룹핑 G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그룹핑 GUI에는 관제 서버(200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디바이스 별로 부여된 디바이스 속성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동일 속성 별로 그룹화된 디바이스의 속성명이 제공될 수 있다.
디바이스 그룹핑 GUI에는 부가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부가 조건 입력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부가 조건 입력 영역은 그룹핑에 사용할 부가 조건을 입력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그룹핑 GUI에는 '거리 반경'의 부가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부가 조건 입력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6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디바이스 그룹핑 GUI에는 부가 조건에 대한 세부 기준 수치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그룹핑 GUI에는 '거리 반경'의 부가 조건에 대해서 '500m 이내'라는 세부 기준 수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부가 조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디바이스 그룹화 방법 및 그 밖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부가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 그룹핑 GUI에는 속성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속성 조건 입력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속성 조건은 디바이스에서 속성에 대한 출력 조건 및 출력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성 조건이 온도인 경우 온도에 대한 출력 조건 및 출력 값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그룹핑 GUI에는 그룹 명칭을 설정하는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그룹핑 GUI에는 그룹화된 가상 디바이스의 장치 명(그룹명)을 입력하는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룹명이 반드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관제 서버(2000)는 앞서 설명한 디바이스 그룹핑 방법에서와 같이 그룹화된 디바이스의 공통된 속성 중 적어도 일부를 자동으로 그룹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디바이스 그룹핑 GUI를 이용한 센서부(1000)의 그룹화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바이스 그룹핑 G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디바이스 그룹핑 GUI는 센서 그룹에 포함할 대상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제1 리스트 영역(L1), 센서 그룹에 포함시킬 센서부(1000)를 위치 시키기 위한 제1 그룹 영역(A1), 센서 그룹을 대표하는 센서 그룹명에 대한 제1 타이틀 영역(T1),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제1 옵션 영역(O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스트 영역(L1)은 관제 서버(2000)와 연결된 센서부(1000)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서버(2000)는 제1 센서부(1000a), 제2 센서부(1000b) 및 제3 센서부(1000c) 등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리스트 영역에는 관제 서버(2000)와 연결된 센서부(1000) 각각을 나타내는 센서 오브젝트가 출력될 수 있다.
제1 그룹 영역(A1)은 그룹에 포함시킬 센서부(1000)에 대응하는 센서 오브젝트를 위치 시키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제1 그룹 영역(A1)에는 제1 리스트 영역(A1)에 출력되는 센서 오브젝트 중 그룹에 추가를 원하는 센서 오브젝트, 그룹에 포함된 센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타이틀 영역(T1)은 해당 그룹을 다른 그룹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에 대한 영역할 수 있다.
해당 그룹을 다른 그룹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는 해당 그룹에 포함된 센서부(1000)의 속성 중 공통되는 속성의 명칭일 수 있다.
옵션 영역(O1)에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오브젝트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옵션 영역(O1)에는 선택된 센서부(1000)간의 그룹화에 대한 승인을 선택 받기 위한 설정 저장 오브젝트, 디바이스 그룹핑 GUI를 초기 상태로 복귀 시킴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초기화 오브젝트, 선택된 센서부(1000)의 그룹화를 선택할 수 있는 '추가' 오브젝트 및 디바이스 그룹핑 GUI의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나가기' 오브젝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그룹 내 센서부(1000)의 추가는 터치 패널,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이용한 센서 오브젝트의 드래그 앤 드롭, 선택적 추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200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클릭 등의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센서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으며, 터치 또는 클릭이 유지된 상태에서 드래그 하여 제1 그룹 영역(A1)에 드롭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관제 서버(2000)는 제1 리스트 영역(L1)에 제공되는 복수의 센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2000)는 선택된 센서부(1000)의 그룹 내 추가에 대한 선택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2000)는 그룹 내 추가에 대한 선택을 획득한 경우 선택된 센서 오브젝트를 제1 그룹 영역(A1)에 추가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제1 그룹 영역(A1)에 위치한 센서 오브젝트를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1 그룹 영역(A1)에 위치한 센서 오브젝트를 그룹화 하여 저장 함으로써, 센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센서부(1000)들이 그룹화 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디바이스 그룹핑 GUI를 이용한 센서부(1000)의 그룹화는 관제 서버(2000)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는 실시예에 중 하나로 본 발명의 센서부(1000)의 그룹화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있어서 센서부(1000)의 그룹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속성을 그룹화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20).
관제 서버(2000)는 이벤트 발생 판단에 사용할 속성을 그룹화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2000)는 이벤트 발생 판단에 사용할 속성을 그룹화한 속성 그룹을 획득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이벤트 발생 판단에 사용할 속성을 그룹화 하여 획득한 속성 그룹을 해당 이벤트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속성 그룹은 이벤트에 종속될 수 있으며, 속성 그룹에 포함된 속성에 종속된 센서 그룹 역시 해당 이벤트에 종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계측 속성을 예시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이벤트 별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할 계측 속성을 그룹화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에는 온도 및 가스 속성을 그룹화하여 화재에 대한 이벤트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속성 그룹핑 GUI를 이용하여 속성을 그룹화할 수 있다.
속성 그룹핑 GUI는 속성 레이어에 포함된 구성들의 그룹화에 사용되는 GUI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벤트 발생 판단에 필요한 계측 속성의 그룹화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성 그룹핑 G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속성 그룹핑 GUI는 속성 그룹에 포함할 대상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제2 리스트 영역(L2), 속성 그룹에 포함시킬 속성을 위치 시키기 위한 제2 그룹 영역(A2), 속성 그룹을 대표하는 속성 그룹명에 대한 제2 타이틀 영역(T2),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제2 옵션 영역(O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스트 영역(L2)은 관제 서버(2000)에 미리 저장된 속성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서버(2000)에는 '온도', '일산화탄소', '탄산가스' 속성이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제1 리스트 영역에는 관제 서버(2000) 각각의 속성에 대응하는 속성 오브젝트가 출력될 수 있다.
제2 그룹 영역(A2)은 속성 그룹에 포함시킬 속성 오브젝트를 위치 시키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제2 그룹 영역(A2)에는 제2 리스트 영역(A2)에 출력되는 속성 오브젝트 중 속성 그룹에 추가를 원하는 속성 오브젝트 및 속성 그룹에 포함된 속성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타이틀 영역(T2)은 해당 속성 그룹을 다른 속성 그룹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에 대한 영역할 수 있다. 또는 제2 타이틀 영역(T2)은 해당 속성 그룹이 종속될 이벤트를 다른 이벤트와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에 대한 영역일 수 있다.
제2 옵션 영역(O2)에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오브젝트가 제공될 수 있다. 제2 옵션 영역(O2)에는 제1 옵션 영역(O1)와 동일한 오브젝트 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선택에 따라 제1 옵션 영역(O1)와 일부 오브젝트는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속성 그룹 내 속성 오브젝트의 추가는 터치 패널,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이용한 드래그 앤 드롭, 선택적 추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센서 그룹 내 센서 오브젝트의 추가 방식과 동일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판단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30).
관제 서버(2000)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계측 속성 그룹에 포함된 계측 속성 각각에 대해서 속성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이벤트인 경우 화제 이벤트에 대한 계측 속성 그룹에는 온도, 일산화탄소, 탄산가스의 계측 속성이 포함된 경우 관제 서버(2000)는 온도, 일산화탄소 및 탄산가스 각각에 대한 속성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관제 서버는 온도의 속성 기준을 50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일산화탄소의 속성 기준을 60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탄산가스의 속성 기준을 검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속성 기준은 각 속성 별로 속성 상태가 변경 되는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000) 중 온도에 대한 센서부(1000)로부터 획득한 값이 50도 미만인 경우 속성 상태는 '정상'일 수 있으며, 온도 센서로부터 획득한 값이 50도 이상인 경우 속성 상태는 '이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탄산가스에 대한 센서부(1000)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값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으로 나타나 탄산가스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속성 상태는 '정상'일 수 있으며, 탄산가스에 대한 센서부(1000)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값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으로 나타나 탄산가스가 검출된 경우 속성 상태는 '이상'일 수 있으며,
관제 서버(2000)는 이벤트 별로 이벤트 판단 기준을 획득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각각의 계측 속성의 상태에 따라 어떠한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지에 대한 이벤트 판단 기준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판단 기준은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대한 속성 상태가 '이상'인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이벤트 판단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판단 기준은 특정 속성에 대한 속성 상태가 '이상'인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이벤트 판단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이밖에도 이벤트 판단 기준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에 대한 솔루션을 설정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40).
관제 서버(2000)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에 대한 솔루션 그룹을 획득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각각의 이벤트 별로 이벤트 발생 시 제공할 솔루션의 그룹을 획득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미리 정해진 솔루션 중 해당 이벤트 발생 시 사용할 솔루션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벤트 발생 시 사용할 솔루션을 그룹화 하여 해당 이벤트에 대한 솔루션 그룹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화재 이벤트 발생 시 사용할 솔루션으로 유관 기관 중 소방서로 알림, 사용자 단말기로 SMS 메시지 전송 및 디스플레이 정보 출력을 획득한 경우 소방서로 알림, SMS 메시지 전송 및 디스플레이 정보 출력을 화재 이벤트에 대한 솔루션 그룹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솔루션 별 사용 디바이스를 설정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50).
관제 서버(2000)는 솔루션 그룹에 포함된 각각의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대한 설정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정보 출력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 서버 디스플레이부(2200)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정보 출력 솔루션에 대해서 서버 디스플레이부(2200)를 통하여 제공되어야 하는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각각의 솔루션 그룹에 포함된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제어 할 디바이스를 그룹화한 솔루션 디바이스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2000)는 솔루션 디바이스를 솔루션 그룹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이벤트 설정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예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2. 이벤트 발생 시 동작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시 동작은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0), 솔루션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S220),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S230) 및 솔루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S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10).
관제 서버(2000)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 판단 기준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미리 저장된 계측 속성 그룹에 포함된 계측 속성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화재 이벤트에 대응하는 계측 속성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계측 속성의 상태가 이상인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솔루션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20).
관제 서버(2000)는 미리 저장된 그룹 중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솔루션 그룹을 획득할 수 있다.
이벤트 솔루션 그룹은 이벤트 발생 시 솔루션에 따라 제어해야 할 제어 대상의 그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화재에 대응하는 솔루션 그룹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30).
관제 서버(2000)는 미리 저장된 그룹 중 솔루션 그룹에 대응하는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소방서로 알림, SMS 메시지 전송 및 디스플레이 정보 출력을 화재 이벤트에 대한 솔루션 그룹을 획득한 경우 관제 서버(2000)는 획득한 솔루션 그룹에 대응되어 저장된 서버 디스플레이부(2200), 서버 통신부(2100)를 포함하는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솔루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40).
관제 서버(2000)는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에 포함된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화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앞서 설명한 화제 발생에 대한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에 포함된 서버 디스플레이부(2200)를 통하여 화재 발생 위치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서버 통신부(2100)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화재 발생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40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밖에도 관제 서버(2000)는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3. 그룹화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3.1 그룹별 슬립핑/웨이크업
관제 서버(2000)는 그룹별로 센서부(1000)를 슬립 또는 동작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립 상태는 센서부(1000)가 계측을 중단한 상태일 수 있으며, 동작 상태는 센서부(1000)가 계측을 수행하는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000)는 설치된 위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화 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건물의 동일 층에 설치된 센서부(1000)가 그룹화 되어 저장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부(1000)를 순차적으로 슬립 또는 동작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000)의 동작 상태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센서 그룹은 제1 센서부(1000a), 제2 센서부(1000b) 및 제3센서부(1000c)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제1 시점(T1)부터 제2 시점(T2)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에는 제1 센서부(1000a)는 동작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2 센서부(1000b) 및 제3센서부(1000c)는 슬립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시점(T2)부터 제3 시점(T3)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에는 제2 센서부(1000b)는 동작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센서부(1000a) 및 제3센서부(1000c)는 슬립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3 시점(T3)부터 제4 시점(T4)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에는 제3센서부(1000c)는 동작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센서부(1000a) 및 제2 센서부(1000b)는 슬립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제 서버(2000)는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부(1000)가 순차적으로 동작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그룹화 된 센서 그룹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부(1000)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동작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3.2 그룹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2000)는 연결된 센서부(1000)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0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2000)는 연결된 센서부(1000)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10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센서부(1000)에 전송할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획득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네트워크, 이동식 저장장치 등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센서부(1000)에 전송할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2000)는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 별 그룹을 획득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센서부(1000) 그룹 중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그룹에 대한 선택을 획득할 수 있으며, 선택된 그룹을 업데이트 대상 그룹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는 관제 서버(2000)는 센서부(1000) 그룹 중 이전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그룹을 업데이트 대상 그룹으로 획득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업데이트 대상 그룹에 포함된 센서부(1000)에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2000)는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수신한 센서부(1000)로 수신한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업데이트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그룹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관제 서버(2000)는 제1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부(1000) 및 제2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부(10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부(1000)는 1.0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CCTV일 수 있으며, 제2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부(1000)는 1.0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화재 경보기일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CCTV의 버전을 2.0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줄 것에 대한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제1 센서 그룹 및 제2 센서 그룹 중 CCVT에 대한 그룹인 제1 센서 그룹을 일차적인 업데이트 대상 그룹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2000)는 제1 센서 그룹이 1.0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CCTV의 그룹인 경우 제1 센서 그룹을 최종적인 업데이트 대상 그룹으로 획득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제1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부(1000)를 식별하여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 서버는 제1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부(1000) 각각의 ip 주소, 포트 번호 등 제1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부(1000) 각각을 식별하여 연결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서버 저장부(24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부(1000)에 2.0 버전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하는데 필요한 제1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2000)는 센서부(1000)로 2.0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업데이트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화재 경보기의 버전을 2.0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줄 것에 대한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관제 서버(20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0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화재 경보기의 그룹인 제2 센서 그룹을 업데이트 대상 그룹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제2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부(1000)에 제2 업데이트 데이터를 전송하여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3.3 출력 정보의 그룹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 서버(2000)는 이벤트 별로 출력하는 정보를 그룹화 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이벤트 별로 서버 디스플레이부(2200)를 통하여 출력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제 서버(2000)는 이벤트 별로 출력할 정보를 그룹화하여 이벤트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 서버(2000)는 화재 발생 시 출력되어야 할 정보로 화재 발생 위치, 인근 소방서 위치, 출동 소방차 위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위치, 인근 소방서 위치, 출동 소방차 위치의 정보를 그룹화한 정보 그룹을 획득할 수 있으며, 화재에 대한 정보 그룹을 화재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제 서버(2000)는 화재 발생 시 화재와 매칭되어 저장된 화재에 대한 정보 그룹을 획득할 수 있으며, 화재에 대한 정보 그룹에 포함된 정보가 서버 디스플레이부(220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0 센서부
2000 관제 서버
3000 유관 기관 서버
4000 단말기
5000 중계 서버

Claims (12)

  1. 이벤트 발생 및 이벤트 발생에 대한 솔루션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 및 디바이스를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관제 서버의 제어 방법으로,
    관제 서버에 연결된 복수의 센서 각각에 부여된 계측 속성 중 공통된 계측 속성을 포함하는 센서를 그룹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서 그룹을 상기 공통된 계측 속성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상기 계측 속성 중 이벤트 발생 판단에 이용할 계측 속성을 그룹화하여 계측 속성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계측 속성 그룹을 상기 이벤트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에 부여된 부가 속성을 더 고려하여 센서 그룹을 획득하되,
    상기 센서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서 그룹에 포함된 상기 센서에 복수의 계측 속성이 부여된 경우 상기 센서는 계측 속성에 해당하는 센서 그룹 모두에 포함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제공할 솔루션을 그룹화하여 솔루션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솔루션 그룹을 상기 이벤트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솔루션 그룹에 포함된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를 그룹화하여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을 상기 솔루션 그룹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벤트 발생 여부에 따라 이벤트 솔루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솔루션을 제공하는 단계는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솔루션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솔루션 그룹에 대응하는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에 포함된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솔루션 그룹에 포함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제 서버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판단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측 속성 그룹에 포함된 계측 속성 각각에 대해서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인
    관제 서버 제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판단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측 속성 중 적어도 하나의 계측 속성의 상태가 이상 상태인 경우 상기 계측 속성 그룹에 매칭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인
    관제 서버 제어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3 및 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9. 이벤트 발생 및 이벤트 발생에 대한 솔루션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속성 및 디바이스를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관제 서버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연결된 복수의 센서 각각에 부여된 계측 속성 중 공통된 계측 속성을 포함하는 센서를 그룹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센서 그룹을 상기 공통된 계측 속성과 매칭하여 저장하고, 미리 저장된 상기 계측 속성 중 이벤트 발생 판단에 이용할 계측 속성을 그룹화하여 계측 속성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계측 속성 그룹을 상기 이벤트에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이벤트 판단 기준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에 부여된 부가 속성을 더 고려하여 센서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센서 그룹에 포함된 상기 센서에 복수의 계측 속성이 부여된 경우 상기 센서는 계측 속성에 해당하는 센서 그룹 모두에 포함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시 제공할 솔루션을 그룹화하여 솔루션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솔루션 그룹을 상기 이벤트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솔루션 그룹에 포함된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를 그룹화하여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을 상기 솔루션 그룹과 매칭하여 저장하고,
    이벤트 발생 여부에 따라 이벤트 솔루션을 제공하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솔루션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솔루션 그룹에 대응하는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솔루션 디바이스 그룹에 포함된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솔루션 그룹에 포함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관제 서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가 순차적으로 동작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관제 서버.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가 순차적으로 동작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시간 구간에서 하나의 상기 센서가 동작 상태로 동작하는 시간은 제1 시간 구간을 상기 센서 그룹에 포함된 센서의 수로 분할한 시간인
    관제 서버.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상기 센서 그룹에 포함된 상기 센서에 동일한 소프트웨어를 전송하여 상기 센서 그룹에 포함된 상기 센서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하는
    관제 서버.
KR1020180028287A 2018-03-09 2018-03-09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 KR102009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287A KR102009108B1 (ko) 2018-03-09 2018-03-09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
PCT/KR2018/008491 WO2019172490A1 (ko) 2018-03-09 2018-07-26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287A KR102009108B1 (ko) 2018-03-09 2018-03-09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123A Division KR20190106835A (ko) 2019-08-02 2019-08-02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108B1 true KR102009108B1 (ko) 2019-08-08

Family

ID=6761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287A KR102009108B1 (ko) 2018-03-09 2018-03-09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9108B1 (ko)
WO (1) WO20191724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272B1 (ko) * 2020-11-04 2022-05-10 (주)세미솔루션 다수의 센서 장치와의 연결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910A (ko) * 2008-08-01 2010-0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벤트 룰 기반의 도시 통합 관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이용한 상황 모니터링 방법
KR20130129767A (ko) * 2012-05-21 2013-1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로파일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20160073754A (ko) * 2014-12-17 2016-06-27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질 평가 장치, 공기질 평가 시스템 및 공기질 평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246B1 (ko) * 2008-07-23 2010-09-3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지그비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화재를감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128917A (ko) *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그렉터 이벤트에 대한 설정 및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910A (ko) * 2008-08-01 2010-0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벤트 룰 기반의 도시 통합 관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이용한 상황 모니터링 방법
KR20130129767A (ko) * 2012-05-21 2013-1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로파일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20160073754A (ko) * 2014-12-17 2016-06-27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질 평가 장치, 공기질 평가 시스템 및 공기질 평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272B1 (ko) * 2020-11-04 2022-05-10 (주)세미솔루션 다수의 센서 장치와의 연결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2490A1 (ko)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3929B2 (en) Security system using visual floor plan
CN103680083B (zh) 事件通知
CN102870144B (zh) 采用网络服务器和电子邮件通知的抽吸环境传感器
EP2128834A1 (en) Inexpensive mass market alarm system with alarm monitoring and reporting
US1059319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in a smart home security detection system
US102760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back wireless fire system history events
US20060012472A1 (en) Method for remotely changing the sensitivity of a wireless sensor
US10616181B2 (en) Security panel gateway system and method
CN103093279A (zh) 紧急应变指挥系统及方法
US10482757B1 (en) Actions and communications responsive to real-time events incorporating local, remote and learned information
US201900870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Devices by Using Posted Maps
KR101976194B1 (ko) 마을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메시지 전송 방법
US11924797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enrollment
KR102009108B1 (ko)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
KR20190106835A (ko) 관제 서버 및 관제 서버 제어 방법
JP2009104619A (ja) 自動火災報知設備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9188689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その通報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セキュリィティ装置
JP6810616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KR20190116955A (ko) 마을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메시지 전송 방법
JP7486303B2 (ja) 火災警報器および火災報知システムおよび通信モジュール
KR20090024858A (ko)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노드모듈 및 이의 시스템
JP6184449B2 (ja) 通報システム、管理サーバー、端末装置、および通報方法
KR102228265B1 (ko) 불법 송신기 탐지 시스템
KR20110108038A (ko) 현장 설정 관리가 가능한 p형 수신기를 이용한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86411B1 (ko) 피감시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