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045A -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045A
KR20100032045A KR1020080090997A KR20080090997A KR20100032045A KR 20100032045 A KR20100032045 A KR 20100032045A KR 1020080090997 A KR1020080090997 A KR 1020080090997A KR 20080090997 A KR20080090997 A KR 20080090997A KR 20100032045 A KR20100032045 A KR 20100032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inspector
management
check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332B1 (ko
Inventor
유재근
정용욱
전정채
최명일
Original Assignee
한국 전기안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전기안전공사 filed Critical 한국 전기안전공사
Priority to KR1020080090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3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3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부재 수용가의 관리를 포함하여 전기안전 점검에 대한 체계를 확보할 수 있는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안전점검 시스템은, 지역별로 구획 관리되는 다수 수용가에 대한 피점검자의 수용가 단말기로 법규화된 전기안전 점검 통지를 위한 점검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고, 점검안내 메시지에 근거하여 해당 지역의 점검자 PDA로부터 측정된 점검자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용가별 점검자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부재 수용가의 색출 및 색출된 부재 수용가에 대한 재점검을 위한 방문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고, 방문 스케줄 정보에 대응하는 수용가 정보를 점검자 PDA로 전송하며, 전기안전 점검 결과에 대응하는 행정처리 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근거로 부재 수용가에 대한 부재 종결 처리 및 해당 관청으로의 통지를 실행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재 수용가의 관리를 포함하여 전기안전 점검에 대한 체계를 확보함으로써, 전기안전 관리 인력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Figure P1020080090997
전기, 안전, 점검, 시스템, 전폐, 거부, 부재, 방문, 점검, PDA, 통신

Description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CHECKING SAFETY OF ELECTRICITY}
본 발명은 전기안전점검 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법률적으로 규정화된 전기안전 점검에 따라 관리 감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점검 관리자의 인력 분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압 600V 이하로써 용량 75kW미만(제조업 및 심야전력은 100kW 미만)을 수전하는 수용가의 일반용 전기설비에 대한 전기안전관리는 국가가 주체가 되어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위탁 점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일반용 수용가의 전기설비 전기안전정기점검은 1, 2년 또는 3년 주기로 실시되고 있다.
더욱이 일반용 수용가에서는 맞벌이, 소년/소녀 가장가구, 전기안전점검의 거부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수 십만 호 정도의 일반용 수용가가 3회 이상의 지속적인 정기점검 방문을 유발함으로써, 이로 인한 인력 및 비용 소모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안전점검을 받지 못하고 결국 부재수용가로 종결처리됨으로써, 전기재해 가능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용 수용가의 전기화재로 인한 개인적, 국가적 및 사회적 피해 비용은 수십~수백억 정도로 추정되며 전기안전에 대한 국가신뢰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인력에 의한 수용가의 수배전반 전기설비 전기안전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IT기술을 접목하여 효율적인 전기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대규모 수용가을 대상으로 디지털 수배전반, 스마트 분전반(전력 IT 국가 연구과제의 일환) 등과 같이 IT 및 디지털 기술 기반의 수용가 전기안전요소(누전, 절연저항 등)를 감시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었거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되거나 개발된 기술들은 대부분 자가용 전기설비에 대한 전기안전관리기술이며 전기화재의 대부분이 발생하고 있는 일반용 수용가의 말단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통신 및 설치환경, 설치에 따른 제비용, 관리방안 등과 같은 많은 제약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특히, 일반용 수용가의 전기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원격전기안전점검기술은 사용주체가 일반 주택 및 사무실 등의 일반국민이 대부분 이어서 원격전기안전점검 및 관리기술에 대한 비용 지출을 꺼릴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실제 적용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일반용 수용가에 원격전기안전감시기술만을 적용할 경우 차단기 동작점검 및 무료 교체(봉사), 정기 점검시 전기안전사용에 대한 국민 홍보 등의 대국민 전기안전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된다.
결국, 현재 1,700만호에 이르는 일반용 수용가의 경우, 1년, 2년, 3년 주기로 구분되어 정기점검이 되고 있지만, 매년 발생되고 있는 약 40만호 정도의 부재수용가의 경우 정기점검을 하지 못하고 부재종결 처리되어 전기화재 등의 전기재해 발생가능성이 더욱 높아져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제도 및 점검체계 등에 관한 문제 점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기술적 애로점이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전기안전 점검을 위한 점검체계는 점검원이 일정 지역을 관할하고, 관할 지역을 소정 단위로 구획한 후, 구획된 지역별로 설정된 시간 단위로 점검을 수행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검 중에 부재 수용가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여, 부재 수용가 관리를 위한 인력 낭비가 발생하는 것이다. 부재 수용가 관리는 법률에서 정하는 절차에 따라 점검 방문을 해야 하는 것으로, 각 부재 수용가에 대한 법률적 진행 단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는 일반용 수용가에 대한 전기안전점검체계 및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 기본모델의 개발, 비용문제 해결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선행되고 있지 않아, 전기안전관련 국가 연구개발사업 및 민간투자가 중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법률적 근거하에 부재 수용가의 관리를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실현토록 하여, 관리 인력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재 수용가의 관리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전기 안전 관리의 효율성과 더불어, 효율적 관리를 토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은, 수용가의 전기안전에 대한 정기점검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안전 점검을 위한 수용가 정보를 접수하고, 해당 수용가별 전기안전 점검 상태를 측정한 후, 측정된 결과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점검자 PDA; 지역별로 구획 관리되는 다수 수용가에 대한 피점검자의 수용가 단말기로 법규화된 전기안전 점검 통지를 위한 점검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점검안내 메시지에 근거하여 해당 지역의 상기 점검자 PDA로부터 측정된 점검자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용가별 점검자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부재 수용가의 색출 및 색출된 부재 수용가에 대한 재점검을 위한 방문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방문 스케줄 정보에 대응하는 수용가 정보를 상기 점검자 PDA로 전송하며, 전기안전 점검 결과에 대응하는 행정처리 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근거로 부재 수용가에 대한 부재 종결 처리 및 해당 관청으로의 통지를 실행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점검자 PDA로부터 측정된 점검자 측정 데이터, 상기 점검자 PDA에 대한 고유 정보, 점검자 개인정보, 점검자에 대한 관리 지역별 수용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점검안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정보를 법률적 단계별 또는 점검 상황별로 등록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은, 부재 수용가의 관리를 포함하여 전기안전 점검에 대한 체계를 확보함으로써, 전기안전 관리 인력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산업자원부훈령 제112호(제정:2002.11.9, 개정:2006.9.) 일반용 전기설비의 점검업무처리규정의 제4조에 의거 일반용 전기설비의 점검범위는 한전측의 전선로 또는 인입선과 전기사용자의 전기설비와의 연결점부터 분전반의 2차측 전기설비까지로 하며 제5조의 의한 점검 항목은 절연저항 측정, 인입구 배선 점검, 옥내배선 점검, 누전차단기 점검, 개폐기 점검, 접지저항 측정, 기타 항목을 포함한다.
상기한 점검항목은 점검 관리자에 의해 의무적으로 측정해야 하는 항목으로, 측정 결과는 PDA를 통해 중앙 관리 시스템(미도시함)으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전기안전 점검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구현하는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안전 점검을 위한 수용가 정보를 접수하고, 해당 수용가별 전기안전 점검 상태를 측정한 후, 측정된 결과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점검자 PDA(103)와, 지역별로 구획 관리되는 다수 수용가(111)에 대한 피점검자의 수용가 단말기(109)로 법규화된 전기안전 점검 통지를 위한 점검안내 메시지(121)를 제공하고, 상기 점검안내 메시지(121)에 근거하여 해당 지역의 상기 점검자 PDA(103)로부터 측정된 점검자 측정 데이터(129)를 수집하며, 수용가별 점검자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부재 수용가의 색출 및 색출된 부재 수용가에 대한 재점검을 위한 방문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방문 스케줄 정보에 대응하는 수용가 정보를 상기 점검자 PDA(103)로 전송하며, 전기안전 점검 결과에 대응하는 행정처리 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근거로 부재 수용가에 대한 부재 종결 처리 및 해당 관청으로의 통지를 실행하는 관리서버(101)와, 상기 점검자 PDA(103)로부터 측정된 점검자 측정 데이터, 상기 점검자 PDA(103)에 대한 고유 정보, 점검자 개인정보, 점검자에 대한 관리 지역별 수용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점검안내 메시지(121)에 해당하는 메시지 정보를 법률적 단계별 또는 점검 상황별로 등록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105)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가 단말기(109)는 피점검자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가정내 비치되는 개인용 컴퓨터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점검 안내 메시지는 단문메시지(SMS), 장문 메시지(LMS), 컬러 메일, 이메일 등을 총칭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점검자 PDA(103)는 전기안전 점검을 위한 관리용 브라우져가 탑재된 것으로, PDA에 대한 고유 코드를 보유한다. 또한 점검자는 기 설정된 점검 지역을 할당받아 해당 지역의 수용가를 대상으로 방문 점검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관리서버(101)에서 접속 가능한 망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 인터넷 접속 시스템 등의 통신 네트워크는 별도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전기안전 점검은 절연저항 측정, 인입구 배선 점검, 옥내배선 점검, 누전차단기 점검, 개폐기 점검, 접지저항 측정, 기타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저항 측정은 대지전압 150V이하에서 0.1MΩ, 대지전압 150V초과 300V이하에서 0.2MΩ이상, 사용전압 300V초과 400V미만(비접지 계통)에서 0.3MΩ이상, 사용전압 400V이상에서 0.4MΩ 이상이 검출되어야 한다. 또한, 인입구 배선 점검은 규격전선 사용여부, 전선접속상태, 전선피복 손상여부, 배전공사방법의 적합여부, 기타 기술기준에 적합여부를 판단하며, 옥내배선 점검은 규격전선 사용여부, 전선피복 손상여부, 배전공사방법의 적합여부, 기타 기술기준에 적합여부를 판단한다.
전술된 누전차단기 점검 내역은 설치여부, 작동여부, 열화 및 손상여부를 판 단하고, 개폐기 점검은 개폐기 설치여부, 개폐기 설치위치 적합여부, 개폐기 열화 및 손상여부, 정격퓨즈 사용여부, 개폐기 결선상태, 다선식 전로의 각극 개폐장치여부, 기타 기술기준에 적합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접지저항 측정 항목은 전기기계기구의 금속제 외함 및 금속제배/분전함과 대지간의 접지저항이 제3종접지에서 100Ω이하, 특별 제3종 접지에서 10Ω이하로 규정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점검자는 수용가 방문을 통해 전술된 항목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고, 점검 결과를 상기 점검자 PDA(103)를 통해 관리서버(101)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서버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통해 수용가 단말기(109)에 대한 메시지 전송 및 점검자 PDA(103)로부터의 점검자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203)과, 지역별, 수용가별, 점검자별 점검 데이터를 포함하여, 점검자 지역 정보, 점검안내 메시지, 점검자 개인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05)에 대한 데이터 등록 및 입출력 제어를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213)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5)로 등록된 점검안내 메시지를 점검 단계별, 부재 상황별로 추출하여 전송 지시하는 메시지 관리모듈(205)과,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점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점검자 PDA(103)의 ID별 또는 점검자별로 분리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5)로 제공하는 데이터 관리모듈(207)과, 수용가별 점검 상황을 분석하여 법률적 조항에 근거한 점검 상황별 관리 단계를 생성하는 수용가 점검모듈(209)과, 상기 점검 상황별 관리 단계에 근거 하여 해당 수용가에 대한 행정 통지 정보를 생성한 후, 해당 행정관청으로 전송 제어하는 행정 통지모듈(211)과, 상기 점검 상황별 관리 단계에 기초하여 지역별 해당 점검자 PDA(103)로 수용가에 대한 방문 스케줄을 제공하는 스케줄 생성모듈(2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문 스케줄은 전기안전 점검에 대한 부적합 판단에 따른 재방문 스케줄이거나, 수용가의 형태별 점검 주기에 따른 방문 스케줄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점검 상황별 관리 단계는 현재의 관리 수준 예컨대, 재방문을 해야 하는지, 전폐 처리를 해야 하는지, 최종 부재 처리를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관리 단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301 단계에서 점검자 PDA(103)는 점검자에게 할당된 해당 지역의 수용가에 대한 주기적인 전기안전 점검을 수행하고, 상기 관리서버(101)는 점검 수행에 따른 점검자 측정 데이터(129)를 수집 관리한다. 상기 관리서버(101)는 점검자 PDA(103)에 대한 고유 코드별, 점검자별, 지역별 등으로 분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5)로 저장한다.
상기 관리서버(101)의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213)은 S303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5)로부터 수용가별 점검시기를 인지한다. 이는 각 수용가 예컨대, 일반 휴게 음식점, 유흥단람주점, 노래연습장, 게임제공 및 PC방, 비디오감 상실, 체력단련시설, 숙박시설, 목욕찜질방, 청소년수련시설, 호텔, 의료기관, 사회복지시설, 영유아보육시설, 유치원, 산업용, 문화재, 시장, 대규모점포, 공연집회장, 영화상영관, 가로등, 신호등, 위험물시설, 고시원업, 전화방업, 화상대화방 업, 수면방업, 콜라텍업 등으로 신고된 업종은 1년 주기의 점검 시기를 갖고, 초중고등 학교는 2년 주기, 일반주택, 상가주택, 아파트, 읍면동사무소, 경찰서, 행정관청, 공공기관, 보안등, 경관조명, 농사용, 공중전화, 중계기, 군부대, 신종자유업, 이외 시설은 3년 주기의 점검시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213)은 각종 수용가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상기 제어모듈(201)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모듈(201)의 전기안전 점검 관리 운영에 따라 점검시기를 판단한다. 임의의 수용가에 대한 점검시기가 도래하지 않았을 경우,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며 반면, 임의의 수용가에 대한 점검시기가 도래하였을 경우, 제어모듈(201)은 S305 단계로 진입하여 메시지 관리모듈(205)을 인에이블 시킨다. 메시지 관리모듈(205)은 점검 안내 메시지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5)로부터 추출하여 제어모듈(201)로 반환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201)은 데이터베이스 서버(105)로 등록된 해당 수용가에 대한 관리정보 즉, 수용가 단말기(109) 정보 예컨대, 단말기 번호정보, 이메일 정보 등을 추출한다. 이러한 수용가 정보 및 점검 안내 메시지(121)는 상기 통신모듈(203)로 제공되며, 통신모듈(203)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용가 단말기(109)로 전송된다. 상기 점검 안내 메시지(121)는 설정된 날짜 및 시간대에 방문하여 전기안전 점검을 하겠다는 안내 메시지이며, 피점검자는 수용가 단말기(109)를 통해 점 검 날짜를 연기할 수 있을 것이다.
즉 S307 단계와 같이, 상기 수용가 단말기(109)는 점검 안내 메시지(121)를 수신한 후, 점검 날짜에 대한 순응 여부를 결정하여 콜백 메시지로 답신을 제공하며, 답신에 해당하는 답신 메시지(123)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05)로 등록된다. 상기 답신 메시지(123)는 피점검자가 입력한 문자 메시지이거나, 모바일 웹상으로 제공되는 선택 버튼 신호일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수신모듈(207)은 이와 같이 수용가 단말기(109)로부터 답신 메시지(123)를 수신하며, S309 단계로 진입하여 수신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점검 요청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된 점검 안내 메시지(121)는 점검 연기를 위한 모바일 웹상의 클릭 버튼이 마련되거나, 연기하고자 하는 날짜 및 시간을 입력 요청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피점검자로부터 점검을 연기하기 위해서는 연기 날짜 및 시간을 안내에 따라 입력하며, 데이터 수신모듈(207)은 S323 단계에서 이를 토대로 점검일정을 조정한다. 상기한 점검 연기에 대한 기준은 전술된 정기점검 즉, 1년, 2년, 3년 중 해당하는 점검 주기이거나, 정기점검 과정에서 부재 수용가에 대한 재점검일 수 있다. 또는, 거부 수용가에 대한 재점검 이거나 정기점검 과정에서 부적합 판정되어 재점검이 요구된 점검 주기일 수 있다. 따라서, 점검 연기에 대한 판단은 데이터베이스화된 과거 점검 결과에 따른 것이다.
S309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해당 수용가에 대한 점검 연기 요청이 없을 경우 S311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수용가 점검모듈(209)은 수용가별 관리 단계를 판단한다. 이는 S313 단계 내지 S319 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먼저 S313 단계와 같이 해당 수용가가 전폐 처리된 수용가인지를 판단한다. 전폐 처리되지 않았을 경우 S315 단계에서 해당 수용가가 거부 수용가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또한, 거부 수용가가 아닐 경우, S317 단계에서 해당 수용가가 부재 수용가인지를 판단한다.
S317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부재 수용가가 아닐 경우, S319 단계에서 점검과정에서 부적합 판정된 수용가인지를 판단한다. S319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부적합 판정된 수용가가 아닐 경우, S333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스케줄 생성모듈(215)은 점검자 방문을 위한 방문 스케줄을 생성한다. 한편, 앞서 설명된 S315 단계에서 거부 수용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거부 횟수가 법률적 근거에 기반하여 2회 인지를 판단할 것이고, S317 단계에서도 부재 수용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때 부재 횟수가 법률적 근거에 기반하여 3회 인지를 판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정상적인 정기점검에 따른 점검자의 방문 스케줄은 상기 점검 안내 메시지(121)로 포함된 방문 날짜로서, S335 단계에서 해당 점검자 PDA(103)로 방문 스케줄을 통보한다. 이는 상기 메시지 관리모듈(205)에 의해 이루어지며, 점검자별 또는 PDA의 고유 코드별로 분리된다. 상기 방문 스케줄은 지역별로 설정된 수용가에 대한 방문 정보로서 상기 과정의 반복을 통해 방문 날짜별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것이다.
한편, S313 단계 내지 S319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해당 수용가가 전폐 상태이거나, 거부 수용가이거나, 부재 수용가 이거나, 부적합 판정된 수용가일 경우, S325 단계로 진입한다. 이는 관리단계별 상황을 등록 관리하는 과정으로, 수용가 점검모듈(209)은 해당 수용가가 전폐 상태일 경우, 전폐 상태로 등록하고 소정의 전폐 처리절차를 수행한다. 반면, 해당 수용가가 거부 수용가일 경우, 예컨대 1회 거부일 경우 S327 단계에서 거부 안내 메시지를 생성한다. 거부 안내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 관리모듈(205)에서 생성되며, 통신모듈(203)을 통해 해당 점검자 PDA(103)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PDA의 프린터 기능을 통해 거부 안내 메시지를 페이퍼화된 형태로 해당 수용가에게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거부 회수가 2회일 경우, 상기 S327 단계에서는 거부 종결에 따른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5)에 설정되어 있으며, 메시지 관리모듈(205)에 의해 상황별 단계별로 추출되는 것이다. 이후, S329 단계 및 S331 단계와 같이 거부 종결에 따른 메시지를 법률적 근거를 토대로 해당 관청으로 통지된다.
한편, 현재 수용가가 부재 수용가일 경우, 예컨대, 1회 내지 2회 부재일 경우 S325 단계에서 부재 상황을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S333 단계 및 S335 단계를 거쳐 해당 점검자가 재방문을 수행토록 한다. 그러나, 3회 부재일 경우, 이는 부재 종결을 해야 하는 것으로, S327 단계에서 부재 종결에 따른 안내 메시지, 통지 메시지 등을 생성하고, 상기 행정 통지모듈(211)은 S329 단계 및 S333 단계를 거쳐 해당 관청으로 부재종결을 통지한다. 또한, S319 단계에서 해당 수용가에 대한 부적합 판정이 발생될 경우, S325 단계에서 부적합 판정 사항을 등록하고, S327 단계를 거쳐 부적합 사항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생성한다. 부적합 판정이 1회일 경우, S329 단계에서는 해당 관청으로 통지될 사항이 아니므로, S333 단계 및 S335 단계를 거쳐 재방문을 수행토록 한다.
반면, 현재의 수용가가 2차 부적합 판정된 경우 즉, S325 단계에서 등록된 해당 수용가의 관리단계가 2차 부적합 판정일 경우, S327 단계를 통해 해당 관청으로 통지하기 위한 관련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행정 통지모듈(211)은 S329, S331 단계에서 해당 관청으로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안전을 구축하기 위한 전기점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연간 소모되는 막대한 인력 및 관리 비용, 그리고 화재발생 시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시키고, 산업 사회의 전반에 걸쳐 전기관리의 효율성을 부여할 수 있음에 따라 산업적 이용 가치가 극히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관리서버 103 : 점검자 PDA
105 : 데이터베이스 서버 107 : 측정기
109 : 수용가 단말기 111 : 수용가
201 : 제어모듈 203 : 통신모듈
205 : 메시지 관리모듈 207 : 데이터 수신모듈
209 : 수용가 점검모듈 211 : 행정 통지모듈
213 :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 215 : 스케줄 생성모듈

Claims (7)

  1. 수용가의 전기안전에 대한 정기점검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안전 점검을 위한 수용가 정보를 접수하고, 해당 수용가별 전기안전 점검 상태를 측정한 후, 측정된 결과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점검자 PDA;
    지역별로 구획 관리되는 다수 수용가에 대한 피점검자의 수용가 단말기로 법규화된 전기안전 점검 통지를 위한 점검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점검안내 메시지에 근거하여 해당 지역의 상기 점검자 PDA로부터 측정된 점검자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용가별 점검자 측정 데이터를 토대로 부재 수용가의 색출 및 색출된 부재 수용가에 대한 재점검을 위한 방문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방문 스케줄 정보에 대응하는 수용가 정보를 상기 점검자 PDA로 전송하며, 전기안전 점검 결과에 대응하는 행정처리 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근거로 부재 수용가에 대한 부재 종결 처리 및 해당 관청으로의 통지를 실행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점검자 PDA로부터 측정된 점검자 측정 데이터, 상기 점검자 PDA에 대한 고유 정보, 점검자 개인정보, 점검자에 대한 관리 지역별 수용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점검안내 메시지에 해당하는 메시지 정보를 법률적 단계별 또는 점검 상황별로 등록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가 단말기는 피점검자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가정내 비치되는 개인용 컴퓨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점검 안내 메시지는 단문메시지(SMS), 장문 메시지(LMS), 컬러 메일, 이메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자 PDA는 전기안전 점검을 위한 관리용 브라우져가 탑재된 것으로, PDA에 대한 고유 코드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안전 점검은 절연저항 측정, 인입구 배선 점검, 옥내배선 점검, 누전차단기 점검, 개폐기 점검, 접지저항 측정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통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통해 수용가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 및 점검자 PDA로부터의 점검자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지역별, 수용가별, 점검자별 점검 데이터를 포함하여, 점검자 지역 정보, 점검안내 메시지, 점검자 개인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대한 데이터 등록 및 입출력 제어를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등록된 점검안내 메시지를 점검 단계별, 부재 상황별로 추출하여 전송 지시하는 메시지 관리모듈;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점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점검자 PDA의 ID별 또는 점검자별로 분리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제공하는 데이터 관리모듈;
    수용가별 점검 상황을 분석하여 법률적 조항에 근거한 점검 상황별 관리 단계를 생성하는 수용가 점검모듈;
    상기 점검 상황별 관리 단계에 근거하여 해당 수용가에 대한 행정 통지 정보를 생성한 후, 해당 행정관청으로 전송 제어하는 행정 통지모듈; 및
    상기 점검 상황별 관리 단계에 기초하여 지역별 해당 점검자 PDA로 수용가에 대한 방문 스케줄을 제공하는 스케줄 생성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 스케줄은 전기안전 점검에 대한 부적합 판단에 따른 재방문 스케줄이거나, 수용가의 형태별 점검 주기에 따른 방문 스케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상황별 관리 단계는 현재 수용가에 대한 관리 수준으로서, 재방문 을 해야 하는지, 전폐 처리를 해야 하는지, 최종 부재 처리를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관리 단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KR1020080090997A 2008-09-17 2008-09-17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KR100974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997A KR100974332B1 (ko) 2008-09-17 2008-09-17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997A KR100974332B1 (ko) 2008-09-17 2008-09-17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045A true KR20100032045A (ko) 2010-03-25
KR100974332B1 KR100974332B1 (ko) 2010-08-05

Family

ID=4218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997A KR100974332B1 (ko) 2008-09-17 2008-09-17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3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404A (ko) * 2013-05-14 2014-11-24 주식회사 유비마이크로 Hart통신을 이용한 원격 검교정 시스템, 검교정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289990B1 (ko) * 2021-04-05 2021-08-18 주식회사 부윤엔지니어링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CN114663050A (zh) * 2022-03-09 2022-06-24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大连电厂 电力企业问题闭环智能管控系统
CN115514099A (zh) * 2022-11-23 2022-12-23 国网山东省电力公司荣成市供电公司 电力用电安全检查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698B1 (ko) 2022-02-09 2022-12-29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KR102484153B1 (ko) 2022-02-11 2023-01-04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 전기의 자동 통합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267B1 (ko) 2000-08-02 2003-05-16 주식회사 한강기전 무정전 전원장치의 이상상태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96394B1 (ko) * 2000-08-24 2003-09-02 김병두 전기설비의 원격감시 방법
KR100741507B1 (ko) * 2005-12-27 2007-07-20 주식회사 케이이피 피디에이를 이용한 전기안전점검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404A (ko) * 2013-05-14 2014-11-24 주식회사 유비마이크로 Hart통신을 이용한 원격 검교정 시스템, 검교정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289990B1 (ko) * 2021-04-05 2021-08-18 주식회사 부윤엔지니어링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CN114663050A (zh) * 2022-03-09 2022-06-24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大连电厂 电力企业问题闭环智能管控系统
CN115514099A (zh) * 2022-11-23 2022-12-23 国网山东省电力公司荣成市供电公司 电力用电安全检查系统及方法
CN115514099B (zh) * 2022-11-23 2023-11-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荣成市供电公司 电力用电安全检查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332B1 (ko)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332B1 (ko) 전기안전점검 관리 시스템
CN111563833A (zh) 一种智慧社区的云平台服务系统
Oliver et al. The energy trilemma and the smart grid: implications beyond the United States
CN108765187A (zh) 一种停电故障辅助研判方法、装置及系统
KR100974333B1 (ko)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
CN103179212A (zh) 智慧社区管理服务方法和网络构架
Noga et al. Active consumers in smart grid systems-applications of the building automation technologies
Li et al. Ranking the risks from multiple hazards in a small community
Nagarajan et al. A behavioural simulation study of allocating evacuees to public emergency shelters
Palm Emergency management in the Swedish electricity grid from a household perspective
Talebiyan et al. Congestion and observability across interdependent power and telecommunication networks under seismic hazard
Sankaranarayanan et al. Smart home monitoring using android and wireless sensors
Ercan et al. Smart cities critical infrastructure recommendations and solutions
CN116308895A (zh) 一种楼宇智能管理系统
Rizwan et al. Development of Web Based Laboratory Prototype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Electrical Appliances
Bauman et al. Virtual power outage detection using social sensors
KR101155867B1 (ko) 정전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Narayanan The emerging smart grid: Opportunities for increased system reliability and potential security risks
Tong et al. Smart management services for high-rise apartments in Beijing, China
KR20150125770A (ko) 공동주택 하자코드 분류를 이용한 입주민-관리자-시공사간 연계 관리 기능
Millán Anglés et al. Determination of the influence of specific building regulations in smart buildings
Winterfeldt et al. Managing electromagnetic fields from residential electrode grounding systems: a predecision analysis
Falk et al. Solar+ Storage: A Guide for Local Governments
Dąbrowski Smart metering systems: Digitalisation of energy as an element of the im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the energy union and digital market
Jacob et al. IOT Based Last Meter Smart Grid With Energy Theft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