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736A - 전기안전 관리 서버,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안전 관리 서버,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736A
KR20170088736A KR1020160098780A KR20160098780A KR20170088736A KR 20170088736 A KR20170088736 A KR 20170088736A KR 1020160098780 A KR1020160098780 A KR 1020160098780A KR 20160098780 A KR20160098780 A KR 20160098780A KR 20170088736 A KR20170088736 A KR 20170088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safety
data
electrical
modul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3819B1 (ko
Inventor
이현정
안윤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7008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Abstract

전기안전 관리 서버,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장치는, 전기안전 모듈로부터 전압, 전류, 주파수, 아크, 소비전력량, 온도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상기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긴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판단부, 그리고 상기 긴급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자율 제어를 수행하는 전기안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안전 관리 서버,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ELECTRICITY-SAFETY MANAGING SERV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OF ELECTRICITY-SAFETY}
본 발명은 전기안전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인지 여부, 긴급 상황인지 여부에 따라 전기안전 모듈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기 기기가 급증함에 따라 주거 시설의 전기 안전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주택은 일반용 전기설비로 분류되어 전기사업법에 따라 정기적으로 관련 전문 인력을 통해 전기안전상태를 확인 받고 있다. 그러나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자가용 전기설비로 분류되고 있어 정부로부터 별도의 안전관리 서비스를 지원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기술을 이용하여 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그리드란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을 의미한다.
스마트 그리드 기술은 전기 공급자와 소비자간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통해 기존의 단 방향 통신의 비효율성을 해소하고, 효율적으로 전력을 관리할 뿐 아니라, 전기를 저장 및 거래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사용 기기 및 전기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그리드, 마이크로 그리드, 신재생 에너지와 같은 새로운 전기 기술이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환경에 쉽게 대응하고, 사용자에게 자율 전기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스마트 그리드 기술을 이용하여, 전력 사용량 및 과금 정보뿐 아니라 전기안전에 관련된 정보의 전송으로 전기 안전 상태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1-0059683호, 2011년 06월 03일 공개(명칭: 원격 전기안전 진단 시스템 및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상황에 따라 전기안전 모듈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전기안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긴급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모듈이 자율 제어를 수행하여 신속하게 대처함으로써, 전기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들이 주기적으로 세대의 전기안전 상태를 보고받거나, 조회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자에게 세대별, 건물별, 지역별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전기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장치는 전기안전 모듈로부터 전압, 전류, 주파수, 아크, 소비전력량, 온도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상기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긴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판단부, 그리고 상기 긴급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자율 제어를 수행하는 전기안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기안전 모듈은, 전기 기기 및 상기 전기 기기가 연결된 콘센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탑재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는, 상기 전기안전 모듈에 상응하는 것이거나, 상기 전기안전 모듈에 연결된 상기 전기 기기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긴급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 및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안전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 및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한 후,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자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 및 상기 자율 제어에 상응하는 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안전 관리 장치는, 세대 별, 건물 별 및 지역 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전기안전 모듈로부터,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전기안전 모듈을 상기 세대 별, 상기 건물 별 및 상기 지역 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분류하여, 상기 전기안전 모듈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기안전 관리 서버로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기안전 관리 서버로부터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안전 제어 신호는, 분석된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의 패턴이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전기안전 모듈을 제어하기 위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안전 관리 서버는, 기 등록된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는, 상기 전기안전 모듈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식별자,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 및 상기 전조현상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서버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를 등록받는 모듈 등록부, 상기 전기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전기안전 모듈에 상응하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된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상황 판단부, 그리고 상기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안전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는,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식별자,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 및 전조현상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상 상황 판단부는,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상기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상 상황 판단부는, 온톨로지, 회귀분석 및 기계학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상기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상 상황 판단부는,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의 전기안전 데이터를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미래의 전기안전 데이터와 상기 정상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가구별, 건물별, 지역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가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전기안전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안전 관리 방법은 상기 전기안전 관리 장치는, 전기 기기 및 상기 전기 기기가 연결된 콘센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탑재된 전기안전 모듈로부터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기안전 관리 장치는, 수신된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상기 전기안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기안전 관리 서버는,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기안전 관리 서버는, 상기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안전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기안전 관리 장치는, 상기 전기안전 제어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전기안전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는,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식별자,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 및 전조현상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상기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상황에 따라 전기안전 모듈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전기안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긴급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모듈이 자율 제어를 수행하여 신속하게 대처함으로써, 전기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이 주기적으로 세대의 전기안전 상태를 보고받거나, 조회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생활을 누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에게 세대별, 건물별, 지역별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전기안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안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안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안전 모듈(100)은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기안전 데이터를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기안전 모듈(100)은 콘센트 또는 전기 기기별로 탑재될 수 있으며, 전기안전 모듈(100)은 콘센트 또는 전자 기기의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전기안전 데이터는 전기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전압, 전류, 주파수, 아크, 소비전력량, 온도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안전 모듈(100)은 수집된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황에 따라 전기안전 모듈(100), 전기안전 모듈(100)에 연결된 콘센트 및 전기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율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기안전 모듈(100)은 전기안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안전 모듈(100)이 전기 기기에 탑재된 경우, 전기안전 모듈(100)은 이상 상황 발생시 해당 전기 기기를 자율제어 할 수 있다. 반면, 전기안전 모듈(100)이 콘센트에 탑재된 경우, 이상 상황 발생시 전기안전 모듈(100)은 해당 콘센트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기기를 자율 제어하거나, 콘센트를 전체적으로 자율제어 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안전 모듈(100)은 자체적으로 전기 기기 및 콘센트를 자율 제어하거나,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 및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자율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기기 및 콘센트를 자율제어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전기안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기안전 모듈(100)의 자율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자율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기안전 모듈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긴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긴급 상황인 경우에는 자율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기안전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긴급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전기안전 데이터 및 전기안전 데이터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보한 후, 전기안전 모듈(200)을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직접 전기안전 모듈(100)의 자율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로부터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안전 모듈(10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모듈(100)로부터 수신된 전기안전 데이터를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로부터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안전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가구 별, 건물 별, 지역 별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전기안전 모듈(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분전반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전기안전 모듈(100)로부터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전기안전 데이터를 세대 별, 단위 고객 별, 건물 별, 지역 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부터 전기안전 모듈(100)에 상응하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때,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기 등록된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를 기반으로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데이터가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거나, 전기안전 데이터가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모듈(100)에 상응하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관리 및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전기안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전기안전 모듈(100) 및 전기안전 장치(200)는 스마트 그리드의 전력 소비자 영역에 설치되어 동작될 수 있고, 전기안전 서버(300)는 스마트 그리드의 전력 공급자 영역에 설치되어 동작될 수 있다.
특히, 전기안전 모듈(100)은 냉장고, 세탁기 등과 같은 전기 기기에 탑재되거나, 냉장고, 세탁기 등이 플러그인(Plug in) 된 콘센트에 탑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안전 장치(200)는 가정 내의 분전반에 탑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기안전 서버(300)는 전기안전공사의 서버, 전기안전 관제 센터 등으로 구현되거나, 아파트 및 건물의 관리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전기안전 관리 서버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데이터 수신부(210), 데이터 분석부(220), 데이터 판단부(230), 전기안전 제어부(240), 제어 신호 수신부(2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 및 저장부(270)를 포함한다.
먼저, 데이터 수신부(210)는 전기안전 모듈(100)로부터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전기안전 데이터는 전기안전 모듈(100)에 상응하는 것이거나, 전기안전 모듈(100)에 연결된 전기 기기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전기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전압, 전류, 주파수, 아크, 소비전력량, 온도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분석부(220)는 수신된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안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판단부(230)는 전기안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전기안전 데이터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전기안전 제어부(240)는 긴급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모듈(100)의 자율 제어를 수행한다. 반면, 긴급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제어부(2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가 전기안전 데이터 및 전기안전 데이터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한 후에, 전기안전 모듈(100)의 자율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신호 수신부(250)는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로 전기안전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로부터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는 전기안전 데이터, 전기안전 데이터의 분석 결과 및 전기안전 모듈의 자율 제어 수행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한다. 특히, 긴급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는 사용자에게 전기안전 데이터 및 전기안전 데이터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가 사용자에게 전기안전 데이터 및 전기안전 데이터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한 후, 전기안전 제어부(240)는 전기안전 모듈(100)의 자율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저장부(270)는 전기안전 데이터 및 자율 제어에 상응하는 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270)는 전기안전 모듈(100)별로 전기안전 데이터 및 로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270)는 전기안전 모듈(100)을 세대 별, 건물 별 및 지역 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분류하여, 전기안전 모듈(100)에 상응하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모듈 등록부(310), 통신부(320), 이상 상황 판단부(330), 제어 신호 생성부(340) 및 데이터 가공부(350)를 포함한다.
먼저, 모듈 등록부(310)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부터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를 등록받는다.
그리고 통신부(320)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부터 전기안전 모듈에 상응하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이상 상황 판단부(330)는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된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이상 상황 판단부(330)는 전기안전 데이터가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거나, 전기안전 데이터가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상 상황 판단부(330)는 온톨로지, 회귀 분석 및 기계 학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기안전 데이터가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안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의 전기안전 데이터를 예측하고, 예측된 미래의 전기안전 데이터와 정상 범위를 비교하여, 이상 상황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 신호 생성부(340)는 전기안전 데이터가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가공부(350)는 가구별, 건물별, 지역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전기안전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전기안전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안전 관리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안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모듈(100)로부터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한다(S410).
이때,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전기안전 모듈들로부터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S410 단계를 수행하기 이전에,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를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에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수신된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안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모듈(100)로부터 수신된 전기안전 데이터와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를 비교하여, 전기안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에 기 정의되어 있는 것이며, 특히 전기안전 모듈(100)별로 정의되어 있는 것 일 수 있다.
전기안전 모듈(100)이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에 등록되어 있고, 전기안전 모듈 별로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해당 전기안전 모듈(100)에 상응하는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와 전기안전 데이터를 비교하여 S42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전기안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후술할 S470 단계를 수행하거나, S410 단계를 수행하여 전기안전 관리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전기안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은 전기안전 모듈(100)의 전기안전 상태가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모듈(100)의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기안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모듈(100)의 전기안전 데이터 및 전기안전 모듈(100)에 상응하는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반면, 전기안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긴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전기안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모듈(100)의 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S430 단계를 통하여 현재 전기안전 모듈(100)이 긴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모듈(100)에 상응하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긴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긴급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전기안전 모듈(100)을 제어한다(S440).
이때,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전기안전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공하거나, S420 단계에서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인 전기안전 데이터와 정상 범위의 비교 결과를 통보하고, 사용자로부터 전기안전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가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제어 명령에 상응하도록 전기안전 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데이터 및 전기안전 모듈(100)에 상응하는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반면, 긴급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자율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450).
그리고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모듈(100)로 생성된 자율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460).
자율 제어 신호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의 자율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자율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기안전 모듈(100)로 전송함으로써, 전기안전 모듈(100)의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모듈(100)의 자율 제어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한다(S470).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모듈(100)로 전송한 자율 제어 신호, 자율 제어 신호에 상응하도록 제어된 전기안전 모듈(100)의 자율 제어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데이터, 자율 제어 신호, 자율 제어 결과, 전기안전 모듈(100)에 상응하는 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가 전기안전 모듈(100)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기안전 모듈(100)이 자체적으로 자율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안전 모듈(10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통하여,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가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안전 모듈(100)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안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모듈(100)의 등록을 수행한다(S510).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부터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를 입력받아, 전기안전 모듈(100)을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모듈(100)의 식별자, 전기안전 모듈(100)에 상응하는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 및 전기안전 모듈(100)의 전조현상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안전 모듈(100)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부터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한다(S520).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부터 전기안전 모듈(100)의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전기안전 모듈(100)의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부터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30).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데이터가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거나, 전기안전 데이터가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 및 전조현상 패턴은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에 기 정의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특히, 전기안전 모듈(100)별로 정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온톨로지, 회귀분석 및 기계학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기안전 데이터가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의 전기안전 데이터를 예측하고, 예측된 미래의 전기안전 데이터와 정상 범위를 비교하여, 이상 상황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예측된 전기안전 데이터와 실제 측정된 전기안전 데이터를 비교하여, 전기안전 정보의 위험성을 판별할 수 도 있다. 전기안전 정보의 위험성을 기반으로 이상 상황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이상 상황이 아닌 것(정상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관리 과정을 종료하거나, S52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540).
S530 단계에서 전기안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거나, 전기안전 데이터가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기 등록된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550).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전기안전 모듈(100)을 전기안전 제어 신호에 상응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안전 관리 시스템의 전기안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S610 단계 내지 S650 단계는 전기안전 모듈 등록 과정을 나타내고, S660 단계 내지 S720 단계는 전기안전 관리 과정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와 같이 크게 두 개의 과정으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기안전 모듈(100)은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 등록을 요청한다(S610).
전기안전 모듈(100)은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를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 전송하여,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 등록을 요청한다. 여기서,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는 전기안전 모듈(100)의 식별자,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 전조현상 패턴, 전기안전 모듈(100)에 접속된 전기 디바이스의 정보 및 전기안전 모듈(100)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로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 등록을 요청한다(S620).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모듈(100)로부터 수신된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를 그대로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재가공하여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관리 모듈(100)의 정보를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 내에 등록한 후,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로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 등록을 요청할 수도 있다.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 등록을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부터 요청받은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를 등록한다(S630).
그리고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 등록을 응답하고(S640),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를 전기안전 모듈(100)로 응답한다(S650).
이와 같이, S610 단계 내지 S650 단계를 통하여,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모듈(100)은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 및 전기안전 관리 서버(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안전 모듈(100)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전기안전 모듈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난 후, 전기안전 모듈(100),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 및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후술할 S660 단계 내지 S720 단계를 통하여 전기안전 관리 과정을 수행한다.
전기안전 모듈(100)은 전기안전 데이터를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S660).
여기서, 전기안전 데이터는 전기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전압, 전류, 주파수, 아크, 소비전력량, 온도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안전 모듈(100)이 전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집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수신된 전기안전 데이터를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S670).
설명의 편의상,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가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로 전기안전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안전 모듈(100)을 제어할 수도 있다.
특히,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도 4의 S420 단계에서 전기안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도 6의 S670 단계를 수행하거나, 도 4의 S430 단계에서 긴급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도 6의 S67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도 4의 S430 단계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모듈(100)의 자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기안전 모듈(100)의 자율 제어를 수행한 후,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S670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고(S680),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690).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 및 저장하여 관리하고, 전기안전 모듈(100)이 이상상황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사용자에게 통보하며, 전기안전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가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고,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S680 단계 및 S690 단계는, 도 5의 S530 단계 및 S54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는 생성한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S700).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가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로 전송하는 S700 단계는, 도 5의 S55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는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전기안전 모듈(100)로 전송한다(S710).
마지막으로 전기안전 모듈(100)은 수신된 전기안전 제어 신호에 상응하도록 전기안전 제어를 수행한다(S720).
이와 같이, 전기안전 모듈(100)은 전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전기안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율 전기안전 제어를 직접 수행하거나, 전기안전 관리 장치(200)의 전기안전 모듈의 자율 제어 수행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전기안전 모듈(100)은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로부터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안전 관리 시스템은 전기안전 모듈(400), 전기안전 관리 장치(500) 및 전기안전 관리 서버(600)를 포함한다.
먼저, 전기안전 모듈(400)은 전기안전 디바이스 및 전기안전 제어기를 포함하거나, IoT 기반 전기안전 디바이스 및 접속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안전 모듈(400)은 이상 상황 및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 경우, 전기안전 관리 장치(50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되거나, 자체적으로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기안전 모듈(400)의 전기안전 디바이스는 기존의 전기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으며, 내장형 또는 외장형의 전기안전 제어기를 통하여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IoT 기반 전기안전 디바이스는 전기안전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디바이스로, 전기안전 제어기를 구비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기안전 관리 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IoT 기반 전기안전 디바이스는 접속 장치를 통하여 전기안전 관리 장치(500)와 통신하거나, 직접 전기안전 관리 장치(5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기안전 데이터는 전기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전압, 전류, 주파수, 아크, 소비전력량, 온도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안전 관리 장치(5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기안전 제어부, 전기안전 데이터 분석부, 데이터 수집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전기안전 관리 장치(5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에게 주기적으로 또는 이상 상황 발생 시, 전기안전 데이터를 전송 및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각 가정 및 사무실 등 자율 전기안전 단위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기안전 제어부는 이상 상황 및 전조현상 패턴 감지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기안전 모듈(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기안전 제어부는 도 2에 도시된 전기안전 제어부(2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기안전 데이터 분석부는 전기안전 모듈(400)로부터 수집된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전기안전 데이터 분석부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분석부(220) 및 데이터 판단부(2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부는 전기안전 모듈(400)로부터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집하며, 인터페이스부는 전기안전 모듈(400) 및 전기안전 관리 서버(6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데이터 수집부는 도 2의 데이터 수신부(210)의 기능을 수행하고, 인터페이스부는 제어 신호 수신부(25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기안전 관리 서버(600)는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정보 관리 및 운용 관리부, 정보 및 패턴 분석부, 수집 및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전기안전 관리 서버(600)의 인터페이스부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5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수집 및 모니터링부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전기안전 데이터를 감시한다. 이때, 인터페이스부, 수집 및 모니터링부는 도 3에 도시된 전기안전 관리 서버(300)의 모듈 등록부(310) 및 통신부(3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에게 주기적으로 또는 이상 상황 발생시, 전기안전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가구별, 건물별, 지역별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전기안전 관리 서버(600)의 관리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 및 운용 관리부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관리하고, 서버 관리자의 운용 관리를 지원한다. 이때, 정보 관리 및 운용 관리부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가공부(3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 및 패턴 분석부는 수집된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을 감지하거나 전조현상 패턴을 분석하며, 도 2에 도시된 이상 상황 판단부(3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안전 관리 서버,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전기안전 모듈
200: 전기안전 관리 장치
210: 데이터 수신부
220: 데이터 분석부
230: 데이터 판단부
240: 전기안전 제어부
250: 제어 신호 수신부
2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70: 저장부
300: 전기안전 관리 서버
310: 모듈 등록부
320: 통신부
330: 이상 상황 판단부
340: 제어 신호 생성부
350: 데이터 가공부
400: 전기안전 모듈
500: 전기안전 관리 장치
600: 전기안전 관리 서버

Claims (20)

  1. 전기안전 모듈로부터 전압, 전류, 주파수, 아크, 소비전력량, 온도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정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상기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긴급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판단부, 그리고
    상기 긴급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자율 제어를 수행하는 전기안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안전 모듈은,
    전기 기기 및 상기 전기 기기가 연결된 콘센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는,
    상기 전기안전 모듈에 상응하는 것이거나, 상기 전기안전 모듈에 연결된 상기 전기 기기에 상응하는 것인 전기안전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 및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안전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 및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의 분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한 후,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자율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 및 상기 자율 제어에 상응하는 로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안전 관리 장치는,
    세대 별, 건물 별 및 지역 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전기안전 모듈로부터,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전기안전 모듈을 상기 세대 별, 상기 건물 별 및 상기 지역 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분류하여, 상기 전기안전 모듈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전기안전 관리 서버로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전기안전 관리 서버로부터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안전 제어 신호는,
    분석된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의 패턴이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전기안전 모듈을 제어하기 위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안전 관리 서버는,
    기 등록된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는,
    상기 전기안전 모듈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식별자,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 및 상기 전조현상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장치.
  13. 전기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를 등록받는 모듈 등록부,
    상기 전기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전기안전 모듈에 상응하는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된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상황 판단부, 그리고
    상기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안전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전기안전 관리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는,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식별자,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 및 전조현상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황 판단부는,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상기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황 판단부는,
    온톨로지, 회귀분석 및 기계학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상기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서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황 판단부는,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의 전기안전 데이터를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미래의 전기안전 데이터와 상기 정상 범위를 비교하여, 상기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서버.
  18. 제13항에 있어서,
    가구별, 건물별, 지역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가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서버.
  19.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전기안전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안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안전 관리 장치는, 전기 기기 및 상기 전기 기기가 연결된 콘센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탑재된 전기안전 모듈로부터 전기안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기안전 관리 장치는, 수신된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상기 전기안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기안전 관리 서버는,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기안전 관리 서버는, 상기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기안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안전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기안전 관리 장치는, 상기 전기안전 제어 신호에 상응하도록 상기 전기안전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안전 관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정보는,
    상기 전기안전 모듈의 식별자,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 및 전조현상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안전 관리 서버가, 상기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의 정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전기안전 데이터가 상기 전조현상 패턴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안전 관리 방법.
KR1020160098780A 2016-01-25 2016-08-03 전기안전 관리 서버,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33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829 2016-01-25
KR20160008829 2016-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736A true KR20170088736A (ko) 2017-08-02
KR102433819B1 KR102433819B1 (ko) 2022-08-19

Family

ID=5965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780A KR102433819B1 (ko) 2016-01-25 2016-08-03 전기안전 관리 서버,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81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198A1 (ko) * 2017-09-04 2019-03-07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에너지 사용 밀집 지역용 융합형 안전 관리 장치
KR101941074B1 (ko) * 2017-08-23 2019-04-12 주식회사 케이시스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
CN112749861A (zh) * 2019-10-31 2021-05-04 西安西电高压开关有限责任公司 一种泛在电力物联网边缘计算方法及系统
KR102481698B1 (ko) 2022-02-09 2022-12-29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KR102484153B1 (ko) 2022-02-11 2023-01-04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 전기의 자동 통합 관리 시스템
CN116469058A (zh) * 2023-06-19 2023-07-21 安徽省国家电投和新电力技术研究有限公司 基于计算机视觉的光伏电站火灾隐患监测方法及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921A (ko) * 2005-04-25 2006-10-31 고윤석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전기안전관리 방법
KR20090077096A (ko) * 2008-01-10 2009-07-15 서종완 알에프아이디 리더기를 구비한 콘센트 장치
KR20110059683A (ko) 2009-11-28 2011-06-03 한국전기안전공사 원격 전기안전 진단 시스템 및 장치
KR20130048358A (ko) * 2011-11-02 2013-05-10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36317B1 (ko) * 2012-11-06 2013-12-05 한국 전기안전공사 유시티(U-city) 등 대규모 도시의 전기설비를 실시간으로 관리 및 운영을 하는 웹감시 기반 유시티 전기안전 통합관리시스템
KR101553005B1 (ko) * 2015-04-20 2015-10-01 지투파워 (주)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감시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921A (ko) * 2005-04-25 2006-10-31 고윤석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전기안전관리 방법
KR20090077096A (ko) * 2008-01-10 2009-07-15 서종완 알에프아이디 리더기를 구비한 콘센트 장치
KR20110059683A (ko) 2009-11-28 2011-06-03 한국전기안전공사 원격 전기안전 진단 시스템 및 장치
KR20130048358A (ko) * 2011-11-02 2013-05-10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36317B1 (ko) * 2012-11-06 2013-12-05 한국 전기안전공사 유시티(U-city) 등 대규모 도시의 전기설비를 실시간으로 관리 및 운영을 하는 웹감시 기반 유시티 전기안전 통합관리시스템
KR101553005B1 (ko) * 2015-04-20 2015-10-01 지투파워 (주) 전력설비의 부분방전 감시진단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074B1 (ko) * 2017-08-23 2019-04-12 주식회사 케이시스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
WO2019045198A1 (ko) * 2017-09-04 2019-03-07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에너지 사용 밀집 지역용 융합형 안전 관리 장치
CN112749861A (zh) * 2019-10-31 2021-05-04 西安西电高压开关有限责任公司 一种泛在电力物联网边缘计算方法及系统
KR102481698B1 (ko) 2022-02-09 2022-12-29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전원공급 자동제어 시스템
KR102484153B1 (ko) 2022-02-11 2023-01-04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 전기의 자동 통합 관리 시스템
CN116469058A (zh) * 2023-06-19 2023-07-21 安徽省国家电投和新电力技术研究有限公司 基于计算机视觉的光伏电站火灾隐患监测方法及系统
CN116469058B (zh) * 2023-06-19 2023-09-26 安徽省国家电投和新电力技术研究有限公司 基于计算机视觉的光伏电站火灾隐患监测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819B1 (ko) 202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819B1 (ko) 전기안전 관리 서버,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338113B2 (en)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or accounting of power-consuming devices
US20160111920A1 (en)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its associated method
KR101224324B1 (ko)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289790A1 (en) Smart grid interacting apparatus
US20130113302A1 (en) Solar Panel as Infrared Signal Receiver and Processor
KR20150048205A (ko) 가전 기기 원격 감시 시스템
KR20130035577A (ko) 상황 인지 기반의 건물 에너지 소비 최적화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1129085A (ja) 電力消費を制御するスマートエネルギー管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10070654A (ko)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스마트 에너지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4168151A1 (ja)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情報機器及び制御方法
WO2014168150A1 (ja) 情報機器、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167585B1 (ko)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5074715B (zh) 消费者设施设备、控制装置和控制方法
JP6145312B2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2053424B1 (ko) 스마트그리드를 이용한 효율적 배전 방법 및 시스템
WO2014119420A1 (ja)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装置及び機器管理方法
US201401390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lf-power consumption
KR102291325B1 (ko) Open adr 표준에 기반한 adr 시스템
US9829943B2 (en) Remote monitoring method, remote monitoring system, first communication apparatus, secon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erver apparatus
US9979228B2 (e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239035B2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および機器制御プログラム
JP6162872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制御装置、機器及び電力管理方法
KR20140094885A (ko) 에너지 저장 장치의 문열림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90026274A (ko) 공동주택용 자율전기안전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