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074B1 -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074B1
KR101941074B1 KR1020170106941A KR20170106941A KR101941074B1 KR 101941074 B1 KR101941074 B1 KR 101941074B1 KR 1020170106941 A KR1020170106941 A KR 1020170106941A KR 20170106941 A KR20170106941 A KR 20170106941A KR 101941074 B1 KR101941074 B1 KR 101941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oard
electric
electrical
check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일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시스
Priority to KR1020170106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분전반의 누설전류, 과전류, 역률을 포함한 전기상태 신호를 측정하여,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를 분전반 아이디와 함께 외부의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로 전송하는 점검결과 통보 모드로 동작하며,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수작업에 의한 전기안전 점검을 요청하는 재점검 요청 모드로서 동작하는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 상기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한 전기상태 신호를 분전반 아이디별로 저장하며, 관리자로부터 선택되는 분전반 아이디의 전기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 및 상기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와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Smart system for remote check in electronic safety}
본 발명은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으로서, 원격에서 전기안전을 점검할 수 있는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압 600V 이하로써 용량 75kW미만(제조업 및 심야전력은 100kW 미만)을 수전하는 수용가의 일반용 전기설비에 대한 전기안전관리는 국가가 주체가 되어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위탁 점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일반용 수용가의 전기설비 전기안전정기점검은 1, 2년 또는 3년 주기로 실시되고 있다.
더욱이 일반용 수용가에서는 맞벌이, 소년/소녀 가장가구, 전기안전점검의 거부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수 십만호 정도의 일반용 수용가가 3회 이상의 지속적인 정기점검 방문을 유발함으로써, 이로 인한 인력 및 비용 소모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안전점검을 받지 못하고 결국 부재수용가로 종결처리됨으로써, 전기재해 가능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용 수용가의 전기화재로 인한 개인적, 국가적 및 사회적 피해 비용은 수십~수백억 정도로 추정되며 전기안전에 대한 국가신뢰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인력에 의한 수용가의 수배전반 전기설비 전기안전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IT기술을 접목하여 효율적인 전기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대규모 수용가을 대상으로 디지털 수배전반, 스마트 분전반(전력 IT 국가 연구과제의 일환) 등과 같이 IT 및 디지털 기술 기반의 수용가 전기안전요소(누전, 절연저항 등)를 감시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었거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되거나 개발된 기술들은 대부분 자가용 전기설비에 대한 전기안전관리기술이며 전기화재의 대부분이 발생하고 있는 일반용 수용가의 말단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통신 및 설치환경, 설치에 따른 제비용, 관리방안 등과 같은 많은 제약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특히, 일반용 수용가의 전기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원격전기안전점검기술은 사용주체가 일반 주택 및 사무실 등의 일반국민이 대부분 이어서 원격전기안전점검 및 관리기술에 대한 비용 지출을 꺼릴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실제 적용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일반용 수용가에 원격전기안전감시기술만을 적용할 경우 차단기 동작점검 및 무료 교체(봉사), 정기 점검시 전기안전사용에 대한 국민 홍보 등의 대국민 전기안전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된다.
결국, 현재 1,700만호에 이르는 일반용 수용가의 경우, 1년, 2년, 3년 주기로 구분되어 정기점검이 되고 있지만, 매년 발생되고 있는 약 40만호 정도의 부재수용가의 경우 정기점검을 하지 못하고 부재종결 처리되어 전기화재 등의 전기재해 발생가능성이 더욱 높아져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제도 및 점검체계 등에 관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기술적 애로점이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전기안전 점검을 위한 점검체계는 점검원이 일정 지역을 관할하고, 관할 지역을 소정 단위로 구획한 후, 구획된 지역별로 설정된 시간 단위로 점검을 수행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검 중에 부재 수용가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여, 부재 수용가 관리를 위한 인력 낭비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부재 수용가 여부와 상관없이 전기안전 점검할 수 있는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등록특허 10-074150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원격에서 전기안전을 점검할 수 있는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분전반의 누설전류, 과전류, 역률을 포함한 전기상태 신호를 측정하여,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를 분전반 아이디와 함께 외부의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로 전송하는 점검결과 통보 모드로 동작하며,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수작업에 의한 전기안전 점검을 요청하는 재점검 요청 모드로서 동작하는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 상기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한 전기상태 신호를 분전반 아이디별로 저장하며, 관리자로부터 선택되는 분전반 아이디의 전기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 및 상기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와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가 재점검 요청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경고 표시와 함께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로 분전반 아이디와 함께 점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은,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점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점검 요청되는 분전반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전기안전 점검자의 현장 방문 안전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분전반의 누설전류, 과전류, 역률을 포함한 전기상태 신호를 측정하는 전기상태 신호 측정부; 및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점검결과 통보 모드로 동작하며,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재점검 요청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분전반에 테스트 전류를 흘러보내 분전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 동작 시에는 분전반 이상 여부에 대한 수작업의 전기안전 점검을 상기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재점검 요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는, 분전반에 과전류를 흘러보내 분전반의 차단기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차단기 테스트부; 및 분전반에 과전류를 흘러보낸 결과, 차단기가 동작되는 경우 차단기 정상 상태로 판단하며, 차단기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 차단기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차단기 고장 여부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기 이상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차단기의 이상 여부에 대한 수작업의 전기안전 점검을 상기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재점검 요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테스트부는, 미리 설정된 테스트 시간이 도래하면, 분전반에 과전류를 흘러보내 분전반의 차단기 동작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은, 분전반이 설치된 구내를 촬영하는 CCTV 카메라;를 구비하며, 상기 차단기 테스트부는, 상기 CCTV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사람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분전반에 과전류를 흘러보내 분전반의 차단기 동작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원격에서 전기안전을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안전 점검에 대한 원격 테스트를 진행하여 이상 발생시에 점검자가 직접 방문하여 재점검하도록 하여, 화재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기상태 신호의 임계치 초과 여부에 따른 점검결과 통보 모드 또는 재점검 요청 모드가 결정되는 흐름도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을 테스트하기 위한 추가 구성부를 가지는 전기 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테스트를 위한 구내 환경 조건의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기상태 신호의 임계치 초과 여부에 따른 점검결과 통보 모드 또는 재점검 요청 모드가 결정되는 흐름도 그림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100),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 및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와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30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 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는, 분전반의 전기 이상 여부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외부의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300)로 원격 전송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는, 셋탑박스 등의 단말기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는, 분전반의 누설전류, 과전류, 역률을 포함한 전기상태 신호를 측정하여, 측정되는 전기상태 신호에 따라서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를 분전반 아이디와 함께 외부의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300)로 전송하는 점검결과 통보 모드, 또는 수작업에 의한 전기안전 점검을 요청하는 재점검 요청 모드로서 동작한다.
이를 위해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점검결과 통보 모드로 동작한다. 반대로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재점검 요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데, 이는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가 과전류 등의 이유로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이상 상태로 판단하여, 전기안전 점검자가 방문하여 수작업으로서 2차적으로 전기상태를 측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가 재점검 요청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경고 표시와 함께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400)로 분전반 아이디와 함께 점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에 대해서는 도 4과 함께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400)는, 전기안전 점검을 수행하는 점검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400)는,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로부터 점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점검 요청되는 분전반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전기안전 점검자의 현장 방문 안전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로부터 점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전기안전 점검자는, 현장의 분배기를 방문하여 실제로 분배기에 문제가 있는지를 점검하고, 문제 있을 시에 이를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300)로 보고하게 된다.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300)는,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전기상태 신호를 분전반 아이디별로 저장하며, 관리자로부터 선택되는 분전반 아이디의 전기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300)는, 상기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을 테스트하기 위한 추가 구성부를 가지는 전기 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테스트를 위한 구내 환경 조건의 예시 그림이다.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부(210), 전기상태 신호 측정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30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210)는,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300),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400)와 각각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통신부(2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상태 신호 측정부(220)는, 분전반의 누설전류, 과전류, 역률을 포함한 전기 상태 신호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류 측정기, 전압 측정기, 오실레이터 등의 다양한 전기 측정기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측정한 전기 상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점검결과 통보 모드로 동작하며, 반대로, 측정한 전기 상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재점검 요청 모드로 동작한다.
즉, 제어부(230)는, 분전반에 테스트 전류를 흘러보내 분전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 동작 시에는 분전반 이상 여부에 대한 수작업의 전기안전 점검을 상기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400)로 요청하는 재점검 요청 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분전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고장이 날 확률이 많다. 이에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는, 분전반을 주기적으로 테스트하여 고장 여부를 선제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화재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분전반에 테스트 전류를 흘러보내 분전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 동작 시에는 분전반 이상 여부에 대한 수작업의 전기안전 점검을 상기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400)로 요청하는 재점검 요청 모드로 동작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분전반의 차단기의 고장 여부를 테스트하는 예를 설명하겠으나, 다른 전기 부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것이다.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부(210), 전기상태 신호 측정부(220), 및 제어부(230) 이외에도, 차단기 테스트부(240), 차단기 고장 여부 판단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 테스트부(240)는, 분전반에 과전류를 흘러보내 분전반의 차단기 동작 여부를 테스트한다. 즉, 테스트용으로 생성한 과전류를 분전반에 흘러보내 분전반의 차단기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테스트 하는 것이다.
차단기 고장 여부 판단부(250)는, 분전반에 과전류를 흘러보낸 결과, 차단기가 동작되는 경우 차단기 정상 상태로 판단하며, 차단기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 차단기 이상 상태로 판단한다.
제어부(230)는, 차단기 이상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차단기의 이상 여부에 대한 수작업의 전기안전 점검을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400)로 요청하는 재점검 요청 모드로 동작한다. 따라서 차단기 이상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전기안전 점검자는, 현장에 있는 분배기를 방문하여 실제로 차단기에 문제가 있는지 파악하여, 문제 있을 시에 고장 수리 및 서버에 보고한다.
한편, 이러한 차단기 테스트는, 차단기가 동작되어 전기가 끊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전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피해가 최소가 되는 한도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으로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나의 방식은, 차단기 테스트부(240)는, 미리 설정된 테스트 시간이 도래하면, 분전반에 과전류를 흘러보내 분전반의 차단기 동작 여부를 테스트한다. 예를 들어, 새벽 3시 등과 같이 전기 사용량이 최소일 때 일시적으로 차단기 테스트를 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방식은, 분전반이 설치된 구내를 촬영하는 CCTV 카메라(10)를 구비하여, 차단기 테스트부(240)는, CCTV 카메라(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사람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분전반에 과전류를 흘러보내 분전반의 차단기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 차단기 테스트를 진행하지 않으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CCTV를 통하여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차단기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유무선 통신망
200: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
300: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
400: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분전반의 누설전류, 과전류, 역률을 포함한 전기상태 신호를 측정하여,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를 분전반 아이디와 함께 외부의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로 전송하는 점검결과 통보 모드로 동작하며,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이상 상태로 판단하여 수작업에 의해 2차적으로 전기 상태를 측정하는 전기안전 점검을 요청하는 재점검 요청 모드로서 동작하는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
    상기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로부터 수신한 전기상태 신호를 분전반 아이디별로 저장하며, 관리자로부터 선택되는 분전반 아이디의 전기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 및
    상기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와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
    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가 재점검 요청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경고 표시와 함께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로 분전반 아이디와 함께 점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은,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로부터 상기 점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점검 요청되는 분전반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전기안전 점검자의 현장의 분배기를 방문한 후 분배기에 문제가 있는지 점검하는 현장 방문 안전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 원격 전기안전 점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분전반의 누설전류, 과전류, 역률을 포함한 전기상태 신호를 측정하는 전기상태 신호 측정부; 및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점검결과 통보 모드로 동작하며, 측정한 전기상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재점검 요청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분전반에 테스트 전류를 흘러보내 분전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 동작 시에는 분전반 이상 여부에 대한 수작업의 전기안전 점검을 상기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재점검 요청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전기안전 점검 스마트 기기는,
    분전반에 과전류를 흘러보내 분전반의 차단기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차단기 테스트부; 및
    분전반에 과전류를 흘러보낸 결과, 차단기가 동작되는 경우 차단기 정상 상태로 판단하며, 차단기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 차단기 이상 상태로 판단하는 차단기 고장 여부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기 이상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차단기의 이상 여부에 대한 수작업의 전기안전 점검을 상기 전기안전 점검자 단말기로 요청하는 재점검 요청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차단기 테스트부는,
    미리 설정된 테스트 시간이 도래하면, 분전반에 과전류를 흘러보내 분전반의 차단기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되, 전기 사용량이 최소일 때 일시적으로 차단기 테스트를 실시하며,
    상기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은, 분전반이 설치된 구내를 촬영하는 CCTV 카메라;를 구비하며,
    상기 차단기 테스트부는, 상기 CCTV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사람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분전반에 과전류를 흘러보내 분전반의 차단기 동작 여부를 테스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
KR1020170106941A 2017-08-23 2017-08-23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 KR101941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941A KR101941074B1 (ko) 2017-08-23 2017-08-23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941A KR101941074B1 (ko) 2017-08-23 2017-08-23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074B1 true KR101941074B1 (ko) 2019-04-12

Family

ID=6616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941A KR101941074B1 (ko) 2017-08-23 2017-08-23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07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507B1 (ko) 2005-12-27 2007-07-20 주식회사 케이이피 피디에이를 이용한 전기안전점검 시스템
KR20100032046A (ko) * 2008-09-17 2010-03-25 한국 전기안전공사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
KR20110058281A (ko) * 2009-11-26 2011-06-01 부창진 지능형 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통합관리 방법
KR20110086392A (ko) * 2010-01-22 2011-07-28 한국공항공사 공항 전력시설의 장애관리 시스템
KR20110104375A (ko) * 2010-03-16 2011-09-22 박중제 듀얼 시퀀스 모니터링에 의한 개보수 및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배전반
KR20170080873A (ko) * 2015-12-30 2017-07-11 한국 전기안전공사 분전반 전기사고 모의 발생장치
KR20170088736A (ko) * 2016-01-25 2017-08-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안전 관리 서버,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507B1 (ko) 2005-12-27 2007-07-20 주식회사 케이이피 피디에이를 이용한 전기안전점검 시스템
KR20100032046A (ko) * 2008-09-17 2010-03-25 한국 전기안전공사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
KR20110058281A (ko) * 2009-11-26 2011-06-01 부창진 지능형 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통합관리 방법
KR20110086392A (ko) * 2010-01-22 2011-07-28 한국공항공사 공항 전력시설의 장애관리 시스템
KR20110104375A (ko) * 2010-03-16 2011-09-22 박중제 듀얼 시퀀스 모니터링에 의한 개보수 및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배전반
KR20170080873A (ko) * 2015-12-30 2017-07-11 한국 전기안전공사 분전반 전기사고 모의 발생장치
KR20170088736A (ko) * 2016-01-25 2017-08-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안전 관리 서버, 전기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775B1 (ko) 지능형 사전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화재 분석 및 예측 시스템
KR101336317B1 (ko) 유시티(U-city) 등 대규모 도시의 전기설비를 실시간으로 관리 및 운영을 하는 웹감시 기반 유시티 전기안전 통합관리시스템
TWI487235B (zh) 通訊故障線路指示器設備及其使用方法
KR101824718B1 (ko) 지능형 통합 사전 전기재해 분석 및 안전 자가진단기능이 내장된 원격 자동제어감시반
US10381869B2 (en) Remote power outage and restoration notification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021628B1 (ko) 지역별로 설비된 분전반과 수배전반의 상태를 관리하는 전기안전감시시스템
KR101336571B1 (ko) 전기재해 취약장소의 전기안전관리 시스템을 관리 및 운영하는 계층구조 기반 단체 건물의 배전반 감시 시스템
KR20050042768A (ko)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US10761129B2 (en) Electrical power supply panel with increased safety through monitoring and control
Sankaranarayanan et al. ABASH—Android based smart home monitoring using wireless sensors
CA2703142C (en) Communicating faulted circuit indicato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90120653A (ko) 웹기반 수변전설비 원격감시시스템
JP2012050210A (ja) 停電復旧支援システム及び停電復旧支援方法
CN104777398A (zh) 包括警报诊断显示器的绝缘监测的方法及设备
JP2012189539A (ja) 絶縁測定システム
KR102274929B1 (ko)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Sankaranarayanan et al. Smart home monitoring using android and wireless sensors
JP2017123705A (ja) 分電盤監視システム、分電盤およびそれらに設置可能な分電盤監視装置
JP2023518190A (ja) 停電および電力品質の検出および通知を行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268557B2 (ja) 停電情報通報システム
KR101941074B1 (ko)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
JP5431417B2 (ja) 停電検出システムおよび停電範囲判定方法
KR101488183B1 (ko) Lps를 이용한 지중용 변압기 및 개폐기의 활선상태 및 전압 감시시스템
KR101323139B1 (ko)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