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768A -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2768A
KR20050042768A KR1020050031562A KR20050031562A KR20050042768A KR 20050042768 A KR20050042768 A KR 20050042768A KR 1020050031562 A KR1020050031562 A KR 1020050031562A KR 20050031562 A KR20050031562 A KR 20050031562A KR 20050042768 A KR20050042768 A KR 20050042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monitoring
operator
monitor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633B1 (ko
Inventor
김영간
김민구
Original Assignee
김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구 filed Critical 김민구
Priority to KR1020050031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633B1/ko
Publication of KR20050042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6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가의 전력설비에 이상이 발생되면 운용자에게 신속하게 문자 메시지 등으로 전송해 줄 수 있는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력설비를 사용하는 수용가측에 설치되어 화재, 침수 등의 현장 상태와 과부하, 누전, 전압 등의 전력설비의 상태를 감지하여 전송하기 위한 전력감시 단말기와, 전력감시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 감시 데이터를 수용가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운용자가 전력설비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고, 화재나 침수, 과부하, 누전 등과 같은 이상발생시 운용자에게 문자메시지(SMS)를 통해 신속하게 알려주는 전력감시 서버와,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폰이나 전력감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PC 등과 같은 운용자측 단말기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설비 현장의 비정상 상태가 감지되면 문자메시지를 통해 신속하게 운용자에게 알려줘 운용자가 현장에 없더라도 화재, 침수, 단전, 과부하, 누전, 저전압 등과 같은 비상상태에 대해 적절하게 조치를 취해 더 큰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POWER SUPPLY EQUIPMENT}
본 발명은 공장, 빌딩, 학교, 병원 등 일정 규모 이상의 전력설비를 갖추고 전화망이 가설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가의 전력설비에 이상이 발생되면 운용자에게 신속하게 문자 메시지 등으로 알려 줄 수 있는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빌딩, 학교, 병원 등과 같이 전력설비를 사용하는 수용가 시스템은 전력설비를 관리할 수단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전력설비마다 한대 이상의 PC 및 단말기를 부착하여 현장에서 다수의 운용자가 교대하면서 직접 점검 관리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운용자가 현장에서 직접 관리할 경우, 운용자가 현장에 상주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관리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인건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감시를 위해서는 고가의 감시설비가 필요하므로 감시설비를 설치하기 위해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용가 전력설비에 단말기를 설치하고 이를 통신망에 연결하여 전력설비에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문자메시지를 통해 운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줘 사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화재나 설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용가의 배전반에 단말기를 설치한 후 전력설비의 상태(과부하, 누전, 저전압 등)와 화재발생, 침수 등 현장의 상황을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원격지에서도 전력설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력설비를 사용하는 수용가측에 설치되어 화재, 침수 등의 현장 상태와 과부하, 누전, 전압 등의 전력설비의 상태를 감지하여 전송하기 위한 전력감시 단말기;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 감시 데이터를 수용가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운용자가 전력설비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고, 화재나 침수, 과부하, 누전 등과 같은 이상발생시 운용자에게 문자메시지(SMS)를 통해 신속하게 알려주는 전력감시 서버; 및 상기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폰이나 상기 전력감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PC 등과 같은 운용자측 단말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는 각종 감시 대상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드라이버, 감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력감시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수단, 상기 통신 드라이버를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하고, 동작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감지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감지값을 상기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전력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감시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구동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전력감시 서버는 운용자가 장소에 제한받지 않고 현장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가 전송한 데이터들을 수용가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로부터 이상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운용자의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이를 전송해주는 문자메시지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와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전력설비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감시 서버를 이용한 전력설비 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에 감시대상의 이상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가 상기 감시대상으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을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력감시 서버로 이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감시 서버가 상기 이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운용자의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보드와 세팅보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전반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감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설비를 사용하는 수용가측(10)에 설치되어 화재, 침수 등의 현장 상태와 과부하, 누전, 전압 등의 전력설비의 상태를 감시하는 전력감시 단말기(100)와, 전력감시 단말기(100)가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 감시 데이터를 수용가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운용자가 전력설비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고 화재나 침수, 과부하, 누전 등과 같은 이상발생시 운용자에게 문자메시지(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신속하게 알려주는 전력감시 서버(200)와,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폰(130)과 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PC(140) 등과 같은 운용자측 단말기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용가측의 전력감시 단말기(100)는 배전반(분전함;11)에 설치되는데, 배전반(11)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변류기(CT:Current Transformer) 및 영상변류기(ZCT: Zero phase Current Transformer)와 연결됨과 아울러 화재수신반(12), 무정전전원공급기(UPS:13), 발전기(14), 수위센서(15) 등과 연결되어 화재, 침수 등과 같은 현장의 상태와, 배전반(1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의 과부하, 누전, 무정전전원공급기(13)의 전압, 발전기(배터리:14)의 전압 등과 같은 전력설비의 상태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전력감시 단말기(100)는 전력감시에 대한 주요기능을 수행하는 메인보드(110)와, 각종 기준값을 설정하거나 메인보드(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는 세팅보드(1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세팅보드(120)는 메인보드(110)와 분리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운용자가 세팅보드(120)를 배전반에 설치된 메인보드(110)와 RS232C단자로 연결한 후 기준값을 설정하거나 메인보드(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고, 이를 다시 사무실에 설치된 운용자 PC(140)의 RS232C포트와 연결하여 운용자 PC(140)에서도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력감시 단말기의 메인보드(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감시 대상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11)와, 마이크로프로세서(MCU:112),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이이피롬(EEPROM:113), 램(RAM:114), 감시대상에 설치된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릴레이 구동부(115),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6), 세팅보드(120)나 PC(140) 등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RS232C 드라이버(117), 감시데이터를 전화선로를 통해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텔콤부(118)로 구성되고, 세팅보드(120)는 RS232C방식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RS232C 드라이버(121), 운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키입력부(122), 마이크로프로세서(123),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24),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125) 등으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111)는 감시대상으로부터 릴레이 접점 등과 같은 디지털 입력이나 전류/전압과 같은 아날로그신호를 입력받는데, 아날로그신호는 디지털로 변환(A/D)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12)로 전달한다. 표시부(116)는 LED나 LCD 등으로 구현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112)의 제어에 따라 동작상태나 현재의 전압/전류/부하량 등을 표시하고, 텔콤부(118)는 ATM PPP 방식 등 통상의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전화망(102)을 매개로 전력 감시 서버(200)와의 통신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감시대상이 되는 배전반(1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상 4선의 전력선 R, S, T, N에 누전차단기(ELB)가 연결되어 있고, 삼상 R,S,T 전력선 각각에는 변류기(CT)가 설치되어 변류기(CT)의 2차측이 메인보드(110)의 입력부(111)로 연결되며, R, S, T, N 4선이 하나의 영상변류기(ZCT)를 관통하도록 한 후 영상변류기(ZCT)의 2차측이 메인보드의 입력부(111)로 연결되어 있고, 단전시 접점이 온되는 단전검출 릴레이(RL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보드(110)는 R, S, T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변류기(CT)를 통해 감지할 수 있으므로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과부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영상변류기(ZCT)의 벡터값이 0 이상으로 나올 때 검출된 데이터를 체크하여 누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단전검출 릴레이(RL1)의 접점이 온되면 단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배전반의 누전차단기(ELB)에는 다수의 릴레이 접점을 연결하여 릴레이 구동신호에 따라 누전차단기(ELB)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시에는 운용자가 통신망을 통해 전원차단명령을 보내 원격지에서 전력를 차단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망은 통상의 유선 전화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중통신망(PSTN:102)과, 문자메시지센터(SMC)에 의한 문자메시지서비스(SMS) 등과 같은 무선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전화망(106), TCP/IP 프로포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104)을 포함하고 있다.
전력 감시 서버(200)는 전화망(PSTN:102)을 통해 ATM PPP 방식으로 접속하기 위한 라우터(202)와, 인터넷(104)에 접속되어 운용자가 장소에 제한받지 않고 현장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210), 전력감시 단말기(100)가 전송한 데이터들을 수용가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DB)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서버(220), 전력감시 단말기(100)로부터 이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동통신망(106)의 문자메시지서비스를 통해 이상 발생에 대한 경보 메시지를 운용자의 휴대폰(130)으로 전송해주는 문자메시지 서버(230)로 구성된다. 이때 문자메시지를 위해 생성되는 데이터는 HEX코드의 문자형식을 취할 수 있으며, 연월일 및 시간, 해당 단말기 아이디, 이상(경보)상태를 구분하기 위한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메인보드가 감시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메인보드가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감시 단말기(100)가 설치된 수용가 시스템(10)의 운용자는 세팅보드(120)를 메인보드(110)와 RS232C방식으로 연결한 후 각종 기준값을 설정(setting)한다(S401). 예컨대, 변류기(CT)로 감지한 각 상의 전류를 비교하여 과부하로 판단하기 위한 과부하 기준값과, 영상변류기(ZCT)로 감지한 값을 비교하여 누전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 단말기 아이디, 저전압기준값, 부하량 체크 주기 등을 세팅보드(120)를 이용하여 메인보드(110)의 비휘발성 메모리(EEPROM 등)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메인보드의 마이크로프로세서(112)는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감시대상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는다. 통상, 감지신호는 릴레이 접점의 온/오프와 같은 디지털신호와 변류기(CT)나 영상변류기(ZCT)의 전류값과 같은 아날로그 전류신호, 무정전원공급기(13)의 전압이나 발전기(14)의 전압과 같이 아날로그 전압신호 등이 있는데, 입력부(111)에서 아날로그신호는 디지털로 변환된다.
이어, 배전반의 단전검출 릴레이(RL1)의 접점과, 화재수신반(12)의 주경종(Major Alarm)접점, 수위센서(15)의 접점을 체크한다(S402).
마이크로프로세서(112)는 체크결과 단전검출 릴레이 접점의 온/오프를 판별하여 접점이 온되면 단전으로 판단하여 단말기 아이디, 경보종류, 감지시간 등으로 경보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 후 텔콤부(118)를 통해 통신망을 거쳐 서버(200)로 전송한다(S403,S414,S415).
화재수신반(12)의 주경종 접점의 온/오프를 판별하여 접점이 온되면 화재발생으로 판단하고(S404), 수위감지센서(15) 접점의 온/오프를 판별하여 접점이 온되면 침수로 판단한다(S405). 화재발생이나 침수로 판단되면, 단말기 아이디, 경보종류, 감지시간 등으로 경보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 후 텔콤부(118)를 통해 통신망을 거쳐 서버(200)로 전송한다(S414,S415).
이어 배전반의 각 상의 변류기(CT)로부터 감지된 전류에 의한 전압값으로 각 상의 전류값을 산출한 후 미리 설정된 과부하 기준값과 비교하여 과부하 기준값보다 크면 과부하로 판단하고(S406,S407), 배전반의 영상변류기(ZCT)로부터 감지된 전류에 의한 전압값으로 각 상의 위상벡터를 산출한 후 벡터값이 0 이상으로 나올 때 검출된 출력값을 미리 설정된 누전 기준값과 비교하여 누전 기준값보다 크면 누전으로 판단한다(S408,S409). 과부하나 누전으로 판단되면, 단말기 아이디, 경보종류, 감지시간 등으로 경보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 후 텔콤부(118)를 통해 통신망을 거쳐 서버(200)로 전송한다(S414,S415).
이어 무정전전원공급장치(13)와 발전기(14)의 배터리 전압값을 체크하여 감지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값을 벗어나면,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경보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 후 서버(200)로 전송한다(S410,S411).
그리고 미리 설정된 부하량 체크주기가 되면, 변류기(CT)와 영상변류기(ZCT)의 감지신호에 의해 부하량을 산출한 후 시간정보와 함께 부하량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함과 아울러 통신망을 통해 서버(200)로 전송한다(S412,S413). 따라서 메인보드의 메모리에 저장된 부하량 데이터를 세팅보드(120)를 통해 다운받아 현장 사무실의 운용자 PC를 통해 관리함과 아울러 운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격지에서 PC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여 전력설비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메인보드의 마이크로프로세서(11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콤부(118)와 통신망을 통해 서버(20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수신된 명령을 디코딩하여 전원차단 명령이면 해당 릴레이를 구동하여 누전차단기(ELB)를 작동시켜 전원을 차단하고, 다른 명령이면 해당 명령을 실행한다(S421~425).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도 누전차단기(ELB)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용자가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보고, 과부하나 누전 등을 파악한 후 현장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조치를 취할 수 있어 화재 등과 같은 더 큰 재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서버가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200)는 웹서버(210)와 DB서버(220), SMS서버(230) 등을 구비하여 서비스 가입자 혹은 전력감시 단말기 구매 고객에게 원격지에서도 현장의 전력설비를 감시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수용가 시스템의 운용자는 웹서버(210)에 접속하여 아이디, 비밀번호, 문자메시지를 수신받기 위한 전화번호 등 운용자 개인정보를 등록하여 감시환경을 설정한다(S501). 그리고 각 수용가 시스템에 설치된 전력감시 단말기(100)는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수용자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운용자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면, 정당한 운용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밀번호 입력과 같은 인증절차를 처리한다(S502,S503). 인증에 성공하면 로그인한 운용자에게 해당 운용자가 관리하는 전력설비의 각종 감시 데이터 및 부하량 데이터를 가공하여 그래프나 문자, 그래픽 등으로 보여준다(S504~S506). 이와 같이 현장에 설치된 전력감시 단말기(100)와 전력감시 서버(200)를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는 앞서 설명한 서비스 외에 현장에 화재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거리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용자가 화재의 이상 유무를 문자 메시지(SMS)를 통하여, 알 수 있으며 휴대폰의 무선이나, 유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통해 화재 진압용 스프링클러의 모터를 구동 하고, 누전 차단기(ELB)를 작동하여, 전력을 차단하는 등의 매우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한편, 전력감시 서버(200)는 각 현장에 설치된 전력감시 단말기(100)로부터 수시 혹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현장의 감시 데이터를 수신 받아 단말기 아이디에 따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전력감시 단말기(100)로부터 경보데이터를 수신하면, 경보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미리 설정된 해당 운용자의 휴대폰 번호로 이를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S507~S509). 이에 따라 운용자는 현장에 없더라도 전력설비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화재, 침수, 단전, 과부하, 누전, 저전압 등과 같은 비상상태가 발생되면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절차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전력감시 단말기(100)로부터 서버(200)로 감시데이터를 전송하는 절차와 운용자가 로그인하여 처리하는 절차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감시 단말기(100)는 감시대상으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는 각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면서 운용자가 접속하면 해당 데이터를 가공/분석 및 통계 처리하여 그래픽으로 웹상에서 보여줌으로서 운용자가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전력설비를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설비를 갖춘 수용가 시스템의 배전반 등에 전력감시 단말기를 설치한 후 통신망을 통해 서버시스템과 연결하여 운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력설비를 감시할 수 있어 편리함과 아울러 소수의 인력으로 전력설비를 관리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력설비 현장의 비정상 상태가 감지되면 문자메시지를 통해 신속하게 운용자에게 알려줘 운용자가 현장에 없더라도 화재, 침수, 단전, 과부하, 누전, 저전압 등과 같은 비상상태에 대해 적절하게 조치를 취해 더 큰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인보드와 세팅보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전반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메인보드가 감시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메인보드가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서버가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절차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배전반 12: 화재수신반
13: 무정전공급장치(UPS) 14: 발전기
15: 수위센서 10: 수용가 시스템
102: 공중전화망 104: 유/무선 인터넷
106: 이동전화망 100: 전력감시 단말기
110: 메인보드 120: 세팅보드
130: 운용자 휴대폰 140: 운용자 PC
200: 전력감시 서버 202: 라우터
210: 웹서버 220: DB서버
230: SMS서버

Claims (10)

  1. 전력설비를 사용하는 수용가측에 설치되어 화재, 침수 등의 현장 상태와 과부하, 누전, 전압 등의 전력설비의 상태를 감지하여 전송하기 위한 전력감시 단말기;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 감시 데이터를 수용가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운용자가 전력설비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고, 화재나 침수, 과부하, 누전 등과 같은 이상발생시 운용자에게 문자메시지(SMS)를 통해 신속하게 알려주는 전력감시 서버; 및
    상기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폰이나 상기 전력감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PC 등과 같은 운용자측 단말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는
    각종 감시 대상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외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드라이버,
    감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력감시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수단,
    상기 통신 드라이버를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하고, 동작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감지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감지값을 상기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전력감시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는
    감시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구동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이를 디코딩한 후 상기 릴레이 구동부를 구동하여 감시대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는
    상기 통신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여 상기 기준값을 미리 설정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감지값을 다운로드받기 위한 세팅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대상에 대한 감지값은 과부하를 판단하기 위해 배전반의 변류기(CT)를 통해 감지된 R,S,T 삼상전류의 크기값과, 누전을 판단하기 위해 배전반의 영상변류기(ZCT)를 통해 감지된 위상벡터값과, 화재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값, 수위센서의 감지값, 단전을 검출하기 위한 감지값, 비상전원 공급장치의 전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감시 서버는
    운용자가 장소에 제한받지 않고 현장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가 전송한 데이터들을 수용가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로부터 이상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운용자의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이를 전송해주는 문자메시지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감시 서버는
    운용자가 단말기로 접속하면, 소정의 인증절차에 따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운용자의 요구에 따라 운용자가 관리하는 전력설비에 대한 감시 데이터을 그래픽이나 문자 등으로 표시해주고, 운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통신망을 통해 해당 전력감시 단말기로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8. 수용가 시스템에 설치되어 감시대상을 감시하기 위한 전력감시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와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전력설비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감시 서버를 이용한 전력설비 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에 감시대상의 이상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가 상기 감시대상으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을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력감시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력감시 서버로 이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감시 서버가 상기 이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운용자의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서비스(SMS)를 이용하여 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력감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감시 방법은,
    운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면, 인증한 후 운용자의 요구에 따라 운용자가 관리하는 전력설비의 현장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운용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해당 전력감시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력감시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대상은
    전력설비의 과전류, 누전, 단전, 저전압, 현장의 화재발생 여부, 침수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전력감시 방법.
KR1020050031562A 2005-04-15 2005-04-15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0702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562A KR100702633B1 (ko) 2005-04-15 2005-04-15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562A KR100702633B1 (ko) 2005-04-15 2005-04-15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768A true KR20050042768A (ko) 2005-05-10
KR100702633B1 KR100702633B1 (ko) 2007-04-02

Family

ID=3724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562A KR100702633B1 (ko) 2005-04-15 2005-04-15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633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16B1 (ko) * 2005-10-17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자동차단 방법 및 시스템
KR100741507B1 (ko) * 2005-12-27 2007-07-20 주식회사 케이이피 피디에이를 이용한 전기안전점검 시스템
KR100815208B1 (ko) * 2006-07-19 2008-03-19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무인화 변전소 경보시스템 및 무인화 변전소 경보제어방법
KR100828485B1 (ko) * 2007-07-12 2008-05-1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전자태그를 갖는 배선용차단기 및 그의 원격 관리시스템
KR100836813B1 (ko) * 2006-09-26 2008-06-10 (주)케이디티 웹미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887746B1 (ko) * 2007-10-29 2009-03-12 (주)엠파워 전력설비용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01332B1 (ko) * 2006-11-14 2009-06-09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열차차량용 전력설비 감시시스템
KR100902346B1 (ko) * 2007-06-08 2009-06-12 조상희 공동주택의 세대 내 전력 공급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0984246B1 (ko) * 2008-07-23 2010-09-3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지그비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화재를감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146299B1 (ko) * 2011-10-26 2012-05-21 주식회사 해피전자 가입자 단말기의 전원부 알람표시 장치
KR101308237B1 (ko) * 2013-03-26 2013-10-04 (주)넥스챌 통합 일체형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65374B1 (ko) * 2019-04-22 2020-01-13 설진길 전원 자동 복구시스템의 자동전원 복구 방법
KR20200128691A (ko) * 2020-07-21 2020-11-16 난징 즈진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서비스 센터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CN112016813A (zh) * 2020-08-07 2020-12-01 国家电网有限公司客户服务中心 一种定向重要电力客户供用电服务状态监测方法
KR102317883B1 (ko) * 2021-06-07 2021-10-27 이앤에이치(주) 인공지능을 활용한 열화상 감시 수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840B1 (ko) 2010-09-17 2011-12-2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저항성누설전류검출 및 표시장치, 저항성누설전류검출, 표시 및 누전경보기능을 갖는 배선회로 일체형 조명등기구와, 조명등기구를 적용한 저항성누설전류관리시스템
KR101403042B1 (ko) * 2012-09-26 2014-06-12 올라이트라이프주식회사 화재 예방 시스템
KR20210082581A (ko) 2019-12-26 2021-07-0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전력설비 원격감시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2879A (ko) 2020-01-17 2021-07-2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전력설비의 계측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872A (ko) * 2001-07-27 2003-02-06 김상철 와이리어스 통신기기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다목적원격 감시 관리 시스템
KR100577346B1 (ko) * 2003-10-04 2006-05-10 한국 전기안전공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전설비의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553032B1 (ko) * 2004-06-01 2006-02-15 안종율 소수력발전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0688321B1 (ko) * 2004-09-24 2007-02-28 한빛이디에스(주)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감시 시스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16B1 (ko) * 2005-10-17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자동차단 방법 및 시스템
KR100741507B1 (ko) * 2005-12-27 2007-07-20 주식회사 케이이피 피디에이를 이용한 전기안전점검 시스템
KR100815208B1 (ko) * 2006-07-19 2008-03-19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무인화 변전소 경보시스템 및 무인화 변전소 경보제어방법
KR100836813B1 (ko) * 2006-09-26 2008-06-10 (주)케이디티 웹미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901332B1 (ko) * 2006-11-14 2009-06-09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열차차량용 전력설비 감시시스템
KR100902346B1 (ko) * 2007-06-08 2009-06-12 조상희 공동주택의 세대 내 전력 공급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0828485B1 (ko) * 2007-07-12 2008-05-1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전자태그를 갖는 배선용차단기 및 그의 원격 관리시스템
KR100887746B1 (ko) * 2007-10-29 2009-03-12 (주)엠파워 전력설비용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84246B1 (ko) * 2008-07-23 2010-09-3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지그비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화재를감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146299B1 (ko) * 2011-10-26 2012-05-21 주식회사 해피전자 가입자 단말기의 전원부 알람표시 장치
KR101308237B1 (ko) * 2013-03-26 2013-10-04 (주)넥스챌 통합 일체형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65374B1 (ko) * 2019-04-22 2020-01-13 설진길 전원 자동 복구시스템의 자동전원 복구 방법
KR20200128691A (ko) * 2020-07-21 2020-11-16 난징 즈진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서비스 센터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CN112016813A (zh) * 2020-08-07 2020-12-01 国家电网有限公司客户服务中心 一种定向重要电力客户供用电服务状态监测方法
KR102317883B1 (ko) * 2021-06-07 2021-10-27 이앤에이치(주) 인공지능을 활용한 열화상 감시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633B1 (ko) 2007-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633B1 (ko)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US78556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upling an alarm system to an external network
WO2006025041A2 (en) A control apparatus
KR20100138248A (ko) 지역별로 설비된 분전반과 수배전반의 상태를 관리하는 전기안전감시시스템
KR100892604B1 (ko) 소방 복합 관제 모듈
KR20140073043A (ko) 변전설비 감시를 위한 스마트 단말기의 앱 서비스 시스템
KR20080098950A (ko) 분전장치용 화재감시시스템
US6288637B1 (en) Fire protection system
KR100820936B1 (ko) 유/무인 변전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유/무인 변전소 통합제어방법
KR101794580B1 (ko) 지능형 세대 분전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01515A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0815208B1 (ko) 무인화 변전소 경보시스템 및 무인화 변전소 경보제어방법
KR200426642Y1 (ko) 인터넷 망을 이용한 실시간 이상 발생 자동 감지 및 원격제어용 부스터 펌프 제어장치
KR100874981B1 (ko)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KR100341061B1 (ko) 가정 및 사무실 전기관리 시스템
KR20130036560A (ko) 고장구간자동개폐기 원격 제어 및 상태감시 장치
KR101020038B1 (ko) 전기적 이상상태 감지기능을 구비한 모터 제어반
KR20200136295A (ko) 누전차단기의 원격제어관리 시스템
KR102415465B1 (ko) 스마트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KR100923006B1 (ko) 지능형 누전 차단 경보 시스템
KR100564321B1 (ko) 분전반 제어를 통한 실내 전력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1941074B1 (ko) 스마트 원격 전기안전 점검 시스템
KR200350414Y1 (ko) 이에스에스를 이용한 배전반 모니터 시스템
KR20040079583A (ko) 다중건물의 고장감시 및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