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981B1 -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981B1
KR100874981B1 KR1020070096355A KR20070096355A KR100874981B1 KR 100874981 B1 KR100874981 B1 KR 100874981B1 KR 1020070096355 A KR1020070096355 A KR 1020070096355A KR 20070096355 A KR20070096355 A KR 20070096355A KR 100874981 B1 KR100874981 B1 KR 100874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emperature
overheating
overcurrent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양
Priority to KR102007009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전설비 중 복수의 감시대상 기기 각각의 통전 선로에서 발생하는 온도와 전류를 측정한 결과를 순차 통신 방식(Polling)으로 확인하고 그 측정 결과와 과열 및 과전류 여부를 가시 혹은 가청 방식으로 현장에서 알리거나, 혹은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 이동전화기에 문자메시지로 전송하거나, LAN 통신 방식으로 관리자 PC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여부를 현장에서 혹은 원격지에서 모두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과열 및 과전류 발생에 따른 적절한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취하여 전기화재나 정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수전설비, 과열, 과전류, 고압, 특별고압, 경보 시스템

Description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OVERHEATING AND OVERCURRENTS WARNING SYSTEM FOR POWER RECEIVING UNITS}
본 발명은 수전설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전설비란 전력회사로부터 수전한 높은 전압의 전기를 부하설비의 운전에 적합한 낮은 전압의 전기로 변환하여 부하설비에 전기를 공급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압 개폐기, 차단기, 변압기, 컷 아웃 스위치(COS; Cut Out Switch), 피뢰기(LA; Lightening Arrester), 계기용 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 계기용 변성기(MOF; Metering Out Fit), 자동고장구간개폐기(ASS; Automatic Section Switch)등과 같은 전기기기의 총 집합체를 말하며, 그 용도에 따라 전력회사로부터 고압으로 수전하여 저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설비를 고압 수전설비라 하고, 특별고압을 수전하여 고압이나 저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설비를 특별고압 수전설비라 한다.
이러한 수전설비는 과전류로 인한 선로 자체의 온도 상승이나, 전선과 기기 간의 접속점에서 조임 이완 등에 의한 접촉 저항의 증가로 인한 과열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로 인해 전기화재나 정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전설비 중 복수의 감시대상 기기 각각의 통전 선로에서 발생하는 온도와 전류를 측정한 결과를 순차 통신 방식(Polling)으로 확인하고 그 측정 결과와 과열 및 과전류 여부를 가시 혹은 가청 방식으로 현장에서 알리거나, 혹은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 이동전화기에 문자메시지로 전송하거나, LAN 통신 방식으로 관리자 PC에 전달하는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은, 수전설비 중 복수의 감시대상 기기 각각의 통전 선로에 설치되어 온도와 전류를 측정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기식별번호(ID)와 함께 외부로 송신하는 복수의 송신기; 및 상기 복수의 송신기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를 순차 통신 방식(Polling)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고, 그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 및 기준 전류 값과 비교하여 과열 및 과전류로 판별되면 해당 송신기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가시 혹은 가청 방식으로 알리는 수신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현재 측정 온도와 측정 전류가 미리 설정된 특정 온도 값과 특정 전류 값 이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일정 시간 간격을 무시하고 현재 측정된 온도와 전류 및 그 측정 시간을 자기식별번호(ID)와 함께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여 상기 수신기가 최우선으로 과열 및 과전류 여부를 판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은 상기 수신기와 RS232, RS422, RS485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송신기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와 특정 송신기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상기 수신기로부터 전달받아 원격지에 있는 운용자 혹은 관리자 이동전화기에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문자메시지 전송용 무선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은 상기 수신기와 TCP/IP 기반의 LAN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송신기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와 특정 송신기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상기 수신기로부터 전달받는 관리자 P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에 의하면,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여부를 현장에서 혹은 원격지에서 모두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과열 및 과전류 발생에 따른 적절한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취하여 전기화재나 정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송신기(100)는 수전설비 중 복수의 감시대상 기기 각각의 통전 선로에 설치되어 온도와 전류를 측정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기식별번호(ID)와 함께 외부로 송신한다.
상기 송신기(100)는 현재 측정 온도와 측정 전류가 미리 설정된 특정 온도 값과 특정 전류 값 이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일정 시간 간격을 무시하고 측정된 온도와 전류를 자기식별번호(ID)와 함께 하기의 수신기(200)로 전송하여 수신기(200)가 최우선으로 과열 및 과전류 여부를 판별하게 한다.
상기 송신기(100)의 전원부(11O)는 수전설비 중 자신에게 할당된 감시대상 기기의 통전 선로에서 발생하는 전계를 수신하여 이를 정류회로(111)와 충전회로(112)를 통해 축전한 전원을 정전원용 레귤레이터(113)에 의해 DC-DC 변환하여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상기 송신기(100)의 온도 측정 센서(120)는 상기 감시대상 기기의 통전 선로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며, 바람직하게는 통전 선로 표피에 서미스터(TS; Thermistor) 등을 부착하여 선형의 온도를 감지하여 버퍼링한다.상기 송신기(100)의 전류 측정 센서(130)는 상기 감시대상 기기의 통전 선로에 설치되어 전류를 측정하며, 바람직하게는 통전 선로에 소형 계기용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를 부착하여 전류를 감지하여 버퍼링한다.
상기 송신기(100)의 CPU(140)는 상기 온도 측정 센서(120)의 측정 온도와 그 측정 시간 및 상기 전류 측정 센서(130)의 측정 전류와 그 측정 시간을 해당 감시대상 기기의 이력 관리용으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현재 측정 온도와 측정 전류를 자기식별번호(ID)와 함께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각 감시대상 기기의 시간별 측정 결과는 과열 및 과전류 상태가 발생한 감시대상 기기의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된다.
상기 송신기(100)의 송신부(150)는 상기 CPU(140)에서 출력되는 측정 온도와 측정 전류 및 자기식별번호(ID)를 무선(RF) 통신 방식 혹은 적외선(IR) 통신 방식으로 상기 수신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송신기(100)의 CPU(140)는 상기 전원부(110)와 온도 측정 센서(120), 전류 측정 센서(130), 및 송신부(150)의 작동 상태, 통신 상태, 통전 여부를 체크하여 현장 운영자가 상기 송신기(100)의 작동 상태, 통신 상태, 통전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상태표시부(160)에 가시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송신기(100)의 CPU(140)는 현재 측정 온도와 측정 전류가 미리 설정된 특정 온도 값과 특정 전류 값 이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일정 시간 간격을 무시하고 현재 측정된 온도와 전류 및 그 측정 시간을 자기식별번호(ID)와 함께 상기 수신기(200)로 전송하여 상기 수신기(200)가 최우선으로 과열 및 과전류 여부를 판별하게 한다. 상기 특정 온도 값과 특정 전류 값은 각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감지대상 기기가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온도와 전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기(200)는 상기 복수의 송신기(100)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를 순차 통 신 방식(Polling)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고, 그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 및 기준 전류 값과 비교하여 과열 및 과전류로 판별되면 해당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가시 혹은 가청 방식으로 알린다.
상기 수신기(200)의 수신부(210)는 상기 복수의 송신기(100)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를 무선(RF) 통신 방식 혹은 적외선(IR)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다.
상기 수신기(200)의 상태표시부(220)는 상기 각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를 표시하고, 각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판별을 위한 기준 온도 값 및 기준 전류 값을 설정하는 키패드(221)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200)의 경보출력부(230)는 경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각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가시 혹은 가청 방식으로 알린다.
상기 수신기(200)의 경보출력부(230)는 입출력(I/O) 드라이 접점(Dry contact)의 출력단을 통해 원격지의 특정 장소에 설치된 가시 혹은 가청 방식의 경보출력수단으로 상기 CPU(240)의 경보 신호를 중계한다.
상기 수신기(200)의 경보출력부(230)는 상기 입출력(I/O) 드라이 접점의 입력단을 통해 수전설비에 포함된 감시대상 기기용 계전기의 트립(Trip) 접점의 입력을 받아 상기 CPU(24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CPU(240)가 해당 감시대상 기기용 계전기의 트립 상태를 상태표시부(220)에 표시하게 한다.
상기 수신기(200)의 CPU(240)는 상기 수신부(210)를 통해 상기 복수의 송신 기(100)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를 순차 통신 방식(Polling)으로 수신하여 상기 상태표시부(220)에 표시하고, 그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 및 기준 전류 값과 비교하여 과열 및 과전류로 판별되면 상기 경보출력부(230)로 해당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알리는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수신기(200)의 외부통신부(250)는 상기 CPU(240)와 하기의 문자메시지 전송용 무선단말기(300)를 연결하는 RS232, RS422, RS485 중 어느 하나의 통신 포트 혹은 상기 CPU(240)와 관리자 PC(400)를 연결하는 TCP/IP 기반의 LAN 통신 포트를 포함한다.
문자메시지 전송용 무선단말기(300)는 상기 수신기(200)와 RS232, RS422, RS485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송신기(100)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와 특정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상기 수신기(200)로부터 전달받아 원격지에 있는 운용자 혹은 관리자 이동전화기(300a)에 문자메시지(예컨대, SMS)로 전송한다.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용 무선단말기(300)는 운용자 혹은 관리자 이동전화번호를 미리 등록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특정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만을 운용자 혹은 관리자 이동전화(300a)에 문자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PC(400)는 상기 수신기(200)와 TCP/IP 기반의 LAN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송신기(100)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와 특정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상기 수신기(200)로부터 전달받아 표시하며, 이에 따라서 관리자가 수전설비의 감시대상 기기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를 확인하면서 과열 및 과전류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상기 수신기(200)는 상태표시부(220)의 키패드(221)를 통해 각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판별을 위한 기준 온도 값 및 기준 전류 값을 입력받아 설정한 상태를 전제하고, 각 송신기(100)의 CPU(140)는 대응하는 감지대상 기기가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온도와 전류를 최우선 과열 및 과전류 여부 판별을 위한 특정 온도 값과 특정 전류 값으로 설정한 상태를 전제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의 송신기(100)의 CPU(140)는 상기 온도 측정 센서(120)의 측정 온도와 그 측정 시간 및 상기 전류 측정 센서(130)의 측정 전류와 그 측정 시간을 해당 감시대상 기기의 이력 관리용으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수신기(200)의 순차 통신 방식(Polling)에 따라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현재 측정 온도와 측정 전류를 자기식별번호(ID)와 함께 상기 송신부(150)를 통해 무선(RF) 통신 방식 혹은 적외선(IR) 통신 방식으로 상기 수신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만약 상기 온도 측정 센서(120)와 전류 측정 센서(130)에 의해 측정된 현재 측정 온도와 측정 전류가 미리 설정된 특정 온도 값과 특정 전류 값 이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송신기(100)의 CPU(140)는 상기 일정 시간 간격을 무시하고 현재 측정된 온도와 전류 및 그 측정 시간을 자기식별번호(ID)와 함께 상기 수신기(200)로 전송하여 상기 수신기(200)가 최우선으로 과열 및 과전류 여부를 판별하게 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수신기(200)의 CPU(240)는 상기 수신부(210)를 통해 무선(RF) 통신 방식 혹은 적외선(IR) 통신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송신기(100)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를 순차 통신 방식(Polling)으로 수신하여 상기 상태표시부(220)에 표시하고, 그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 및 기준 전류 값과 비교하여 과열 및 과전류로 판별되면 상기 경보출력부(230)로 해당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알리는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수신기(200)의 CPU(240)는 상기 송신기(100)의 CPU(140)가 일정 시간 간격을 무시하고 전송하는 현재 측정된 온도와 전류를 최우선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 및 기준 전류 값과 비교하여 과열 및 과전류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200)의 CPU(240)는 상기 송신기(100)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 및 상기 경보 신호를 상기 외부통신부(250)의 RS232, RS422, RS485 중 어느 하나의 통신 포트에 연결되는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용 무선단말기(300)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운용자 혹은 관리자 이동전화기(300a)에 문자메시지(예컨대, SMS)로 전달하거나, 상기 외부통신부(250)의 TCP/IP 기반의 LAN 통신 포트에 연결되는 상기 관리자 PC(400)로 전달하며, 이에 따라서 시스템 운용자 혹은 관리자가 해당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를 확인하거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확인하여 필요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200)의 CPU(240)는 상기 경보 신호를 상기 경보출력부(230)로 전달하는데, 이 경우 상기 경보출력부(230)는 상기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벨이나 램프, 스피커 등을 통해 가시 혹은 가청 방식으로 알려 현장 운영자가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확인하여 필요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수신기(200)의 경보출력부(230)는 입출력(I/O) 드라이 접점(Dry contact)의 출력단을 통해 원격지의 특정 장소, 예컨대 하기의 관리자 PC(400)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관리자 PC(400)를 설치할 수 없는 또 다른 장소에 설치된 가시 혹은 가청 방식의 경보출력수단(예컨대, 벨, 램프, 스피커 등)으로 상기 CPU(240)의 경보 신호를 중계하며, 이에 따라서 운영자 또는 관리자는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을 다양한 장소에서 용이하게 확장하여 운영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수신기(200)의 경보출력부(230)는 수전설비 내의 감시대상 기기에 대한 과열 및 과전류 상태 경보 표시와는 별개로, 상기 입출력(I/O) 드라이 접점의 입력단을 통해 수전설비에 포함된 감시대상 기기용 계전기의 트립(Trip) 접점의 입력을 받아 상기 CPU(24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CPU(240)가 해당 감시대상 기기용 계전기의 트립 상태를 상태표시부(220)에 표시하게 하며, 이에 따라서 시스 템 운영자 혹은 관리자가 수전설비에 포함된 감시대상 기기용 계전기의 트립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필요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의 실시예.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송신기의 실시예.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수신기의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송신기 110: 전원부
111: 정류회로 112: 충전회로
113: 레귤레이터 120: 온도 측정 센서
130: 전류 측정 센서 140: CPU
150: 송신부 160: 상태표시부
200: 수신기 210: 수신부
220: 상태표시부 221: 키패드
230: 경보출력부 240: CPU
250: 외부통신부 300: 문자메시지 전송용 무선단말기
300a: 관리자 이동전화기 400: 관리자 PC

Claims (10)

  1. 수전설비 중 복수의 감시대상 기기 각각의 통전 선로에 설치되어 온도와 전류를 측정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기식별번호(ID)와 함께 외부로 송신하고, 수전설비 중 자신에게 할당된 감시대상 기기의 통전 선로에서 발생하는 전계를 수신하여 이를 정류회로(111)와 충전회로(112)를 통해 축전한 전원을 정전원용 레귤레이터(113)에 의해 DC-DC 변환하여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전원부(110)와; 상기 감시대상 기기의 통전 선로에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120); 상기 감시대상 기기의 통전 선로에 설치되어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센서(130); 상기 온도 측정 센서(120)의 측정 온도와 그 측정 시간 및 상기 전류 측정 센서(130)의 측정 전류와 그 측정 시간을 해당 감시대상 기기의 이력 관리용으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값과 현재 측정 온도와 측정 전류를 자기식별번호(ID)와 함께 외부로 출력하는 CPU(140); 및 상기 CPU(140)에서 출력되는 측정 온도와 측정 전류 및 자기식별번호(ID)를 무선(RF) 통신 방식 혹은 적외선(IR) 통신 방식으로 상기 수신기(200)로 전송하는 송신부(150);로 구성되는 복수의 송신기(100); 및
    상기 복수의 송신기(100)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를 순차 통신 방식(Polling)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고, 그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 및 기준 전류 값과 비교하여 과열 및 과전류로 판별되면 해당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가시 혹은 가청 방식으로 알리는 수신기(2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100)의 CPU(140)는 현재 측정 온도와 측정 전류가 미리 설정된 특정 온도 값과 특정 전류 값 이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일정 시간 간격을 무시하고 측정된 온도와 전류를 자기식별번호(ID)와 함께 상기 수신기(200)로 전송하여 상기 수신기(200)가 최우선으로 과열 및 과전류 여부를 판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100)의 CPU(140)는 상기 전원부(110)와 온도 측정 센서(120), 전류 측정 센서(130), 및 송신부(150)의 작동 상태, 통신 상태, 통전 여부를 체크하여 현장 운영자가 상기 송신기(100)의 작동 상태, 통신 상태, 통전 여부를 알 수 있도록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상태표시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200)는
    상기 복수의 송신기(100)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를 무선(RF) 통신 방식 혹은 적외선(IR)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상기 각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를 표시하고, 각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판별을 위한 기준 온도 값 및 기준 전류 값을 설정하는 키패드(221)를 포함하는 상태표시부(220);
    경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각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가시 혹은 가청 방식으로 알리는 경보출력부(230); 및
    상기 수신부(210)를 통해 상기 복수의 송신기(100)의 온도와 전류 측정 결과를 순차 통신 방식(Polling)으로 수신하여 상기 상태표시부(220)에 표시하고, 그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 및 기준 전류 값과 비교하여 과열 및 과전류로 판별되면 상기 경보출력부(230)로 해당 송신기(100)에 대응하는 감시대상 기기의 과열 및 과전류 상태를 알리는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CPU(2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출력부(230)는 입출력(I/O) 드라이 접점의 출력단을 통해 원격지의 특정 장소에 설치된 가시 혹은 가청 방식의 경보출력수단으로 상기 CPU(240)의 경보 신호를 중계하거나, 상기 입출력(I/O) 드라이 접점의 입력단을 통해 수전설비에 포함된 감시대상 기기용 계전기의 트립(Trip) 접점의 입력을 받아 상기 CPU(24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CPU(240)가 해당 감시대상 기기용 계전기의 트립 상태를 상태표시부(220)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KR1020070096355A 2007-09-21 2007-09-21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KR100874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355A KR100874981B1 (ko) 2007-09-21 2007-09-21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355A KR100874981B1 (ko) 2007-09-21 2007-09-21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981B1 true KR100874981B1 (ko) 2008-12-19

Family

ID=4037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355A KR100874981B1 (ko) 2007-09-21 2007-09-21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9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6026A (zh) * 2011-12-22 2013-06-26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避雷器无线监测能源管理系统
KR101404102B1 (ko) 2012-07-26 2014-06-0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활선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부스바의 복합 센서
WO2023195652A1 (ko) * 2022-04-06 2023-10-12 엘에스일렉트릭 (주) 보호 계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9731A (ja) 2001-08-29 2003-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機器状態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4265317A (ja) 2003-03-04 2004-09-24 Daikin Ind Ltd 設備機器及びその故障診断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9731A (ja) 2001-08-29 2003-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機器状態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4265317A (ja) 2003-03-04 2004-09-24 Daikin Ind Ltd 設備機器及びその故障診断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6026A (zh) * 2011-12-22 2013-06-26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避雷器无线监测能源管理系统
KR101404102B1 (ko) 2012-07-26 2014-06-0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활선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배전반 및 이에 이용되는 부스바의 복합 센서
WO2023195652A1 (ko) * 2022-04-06 2023-10-12 엘에스일렉트릭 (주) 보호 계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633B1 (ko) 원격 전력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US20170131117A1 (en) Method and appartus for monitoring a condition of a meter
US84824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electrical cable monitoring
CN105186227A (zh) 一种智能插座
US20050151659A1 (en) Transmission/distribution line fault indicator with remote polling and current sensing and reporting capability
KR20190051225A (ko)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관리시스템
KR102308420B1 (ko) 수배전반용 온도센서를 포함한 모니터링시스템(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20140136648A (ko)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KR20080098950A (ko) 분전장치용 화재감시시스템
CN109193943A (zh) 一种环网柜监测系统
KR20100126874A (ko) 수배전반 원격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KR100874981B1 (ko)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KR102308421B1 (ko) 모니터링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708762B1 (ko) 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CN110932402A (zh) 配电箱监控装置及系统
KR101300523B1 (ko) 배전반 화재감시제어기
KR101320785B1 (ko)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
JP6220922B1 (ja) 電力監視処理システム
CN109347068A (zh) 一种开关柜电缆头防爆保护装置
KR102336205B1 (ko) 랙 화재 방지장치를 이용한 이상온도 감지방법
CN104458022A (zh) 低压交流电路温度监测系统
CN115171326A (zh) 一种配电柜火灾和电缆过热的联动保护方法及装置
JP2018142836A (ja) 電力監視処理システム
KR101672368B1 (ko)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콘센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멀티탭
KR20080003282U (ko) 배전반 통합 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