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648A -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648A
KR20140136648A KR1020130056915A KR20130056915A KR20140136648A KR 20140136648 A KR20140136648 A KR 20140136648A KR 1020130056915 A KR1020130056915 A KR 1020130056915A KR 20130056915 A KR20130056915 A KR 20130056915A KR 20140136648 A KR20140136648 A KR 20140136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urrent value
monitoring device
electric wir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7209B1 (ko
Inventor
노시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130056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209B1/ko
Priority to EP14163537.5A priority patent/EP2806434A1/en
Priority to US14/251,584 priority patent/US20140347036A1/en
Priority to CN201420255878.5U priority patent/CN203929848U/zh
Publication of KR20140136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01R15/186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using current transformers with a core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e.g. clamp-on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01R15/183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using transformers with a magnetic co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07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etec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6Arrangements for supplying operative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6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modulation of waves other than light, e.g. radio or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니터링 장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전선에 연결되고, 전선과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교류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 발생부, 및 전선에 연결되고,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를 포함하며, 전류 모니터링 장치는, 전원 발생부가 발생시킨 전원을 사용한다.

Description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APPARATUS FOR CURRENT-MONITORING AND SYSTEM FOR CURRENT-MONITOR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하의 전류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하의 전류 모니터링 동작을 하면서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이나 건물에는 다양한 부하들이 사용된다. 이때, 부하들에 이상전류가 흐르게 되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이상전류가 측정되었을 때, 이를 경고해주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전류 모니터링 장치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 경우, 상용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설치 위치에 제약이 생기고, 제품의 이동성이 저하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경우, 전류 모니터링 장치 내에 별도의 배터리를 장착하게 된다. 이때, 전류 모니터링 장치 내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공간을 구비해야 하므로, 전류 모니터링 장치의 부피는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비용이 비싸지는 단점이 생기게 된다. 또한, 배터리의 전압 수치를 수시로 확인하고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8295(2011.10.31)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하며, 부하의 전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니터링 장치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에 연결되고, 상기 전선과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교류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 발생부; 및 상기 전선에 연결되고, 상기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전원 발생부가 발생시킨 전원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전류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전선에 흐르는 전류 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전류 값을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전류 값을 설정하며, 설정한 기준전류 값을 상기 전류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주위에 생기는 자기장을 전자기 유도현상을 이용하여 전류로 변환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로 인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 위치에 대한 제약이 사라지게 되어 이동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 공급을 위한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집게형식의 고리를 이용하여 전선에 전류 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하므로, 배선을 분리하지 않고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 중 부하 차단부를 나타낸 회로도.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 및 서버(10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는 전원 발생부(12), 전류 측정부(14) 및 본체(16)를 포함한다.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는 전선(10)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 발생부(12) 및 전류 측정부(14)는 본체(16)에 형성되고, 각각 전선(10)에 연결된다. 이때, 전원 발생부(12)와 전류 측정부(14)는 집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발생부(12)와 전류 측정부(14)를 전선(1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전원 발생부(12)와 전류 측정부(14)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전원 발생부(12)는 전선(10)에 흐르는 전류로 인한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킨다. 전원 발생부(12)는 발생시킨 전력을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에 공급한다. 즉,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는 전원 발생부(12)에서 자체적으로 전원을 발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설치 위치에 대한 제약이 사라지게 되어 이동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전류 측정부(14)는 전선(1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전류 측정부(14)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 값을 측정하여 본체(16)에 전달한다.
본체(16)의 상단에는 전원 발생부(12)와 전류 측정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6)는 서버(104)에서 설정한 기준전류 값과 현재 전선(10)에 흐르고 있는 전류의 값을 비교한다. 이때, 본체(16)는 현재 전선(10)에 흐르고 있는 전류의 값이 설정된 기준전류 값을 초과할 경우, 비교 결과에 따라 부하를 차단하거나 경보(예를 들어, 경보음, 조명, 메시지 전송 등)를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부하 이상 징후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체(16)는 전류 측정부(14)가 측정한 전류 값을 서버(104)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체(16)는 측정한 전류 값을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서버(104)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류 측정부(14)가 측정한 전류 값을 서버(104)의 요청에 따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6)는 서버(104)로부터 기준전류 값을 다시 수신하여 기준전류 값을 갱신할 수 있다.
서버(104)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로부터 전선(10)에 흐르는 현재 전류의 전류 값을 수신한다. 서버(104)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서버(104)는 소정 기간 동안 수신한 전류 값을 분석하여 기준전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4)는 수신한 전류 값으로 부하의 평균 소모전류 값을 측정하고, 평균 소모전류 값에 마진전류 값을 더하여 다양한 기준전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전류 값의 일 예로, 평균 소모 전류 값을 초과하지만 부하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정도의 과전류 값을 경보전류 값이라고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경보전류 값의 마진전류 값은 평균 소모전류 값의 10%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경보전류 값은 평균 소모전류 값에 평균 소모전류 값의 10%인 마진전류 값을 더한 전류 값이 된다. 그리고, 기준전류 값의 다른 예로, 평균 소모전류 값을 초과하고 부하를 차단해야 하는 과전류 값을 차단전류 값이라고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차단전류 값의 마진전류 값은 평균 소모전류 값의 20%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전류 값은 평균 소모전류 값에 평균 소모전류 값의 20%인 마진전류 값을 더한 전류의 값이 된다. 이처럼 서버(104)는 평균 소모전류 값, 경보전류 값 및 차단전류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준전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경보전류 값의 마진 전류값을 10%로 설정하고, 차단전류 값을 마진전류 값을 20%로 설정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진전류값은 부하 종류 및 평균 소모전류값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버(104)는 설정된 기준전류 값을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신하여 현재 전류 값과 비교하여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상태를 확인하고, 부하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서버(104)는 부하의 이상 여부를 모니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발생부(12)와 전류 측정부(14)는 각각 반원 고리 형상의 집게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집게부(18)는 상호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 지지부(18a) 및 제2 지지부(18b)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18b)의 일측은 제1 지지부(18a)에 힌지부(20)를 통해 힌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18b)의 타측은 제1 지지부(18a)와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2 지지부(18b)를 통해 집게부(18)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집게부(18)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집게부(18)의 중앙에는 공간(S)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S)에 전선(10)이 삽입된다. 이 경우, 집게부(18)를 이용하여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를 전선(1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제1 지지부(18a) 및 제2 지지부(18b)가 힌지부(20)를 통해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지지부(18b)의 일측 일부가 제1 지지부(18a)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전류 측정부(14)와 전원 발생부(12)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원 발생부(12)와 전류 측정부(1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는 전원 발생부(12), 전류 측정부(14), 정류회로(34), 전원 공급부(36), 통신부(38), 비교부(40), 경보부(42) 및 부하 차단부(44)를 포함한다.
전원 발생부(12)는 코어(30) 및 코일(32)을 각각 포함한다. 코어(30) 및 코일(32)은 각각의 집게부(18)에 수납될 수 있다. 코일(32)은 코어(30)에 한 번 이상 권취된다. 여기서는 코일(32)이 코어(30)에 권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일(32)이 코어(30) 없이 집게부(18)에 권취될 수도 있다. 전원 발생부(12)는 전선(10)에 흐르는 전류로 인한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전원 발생부(12)에서는 교류 전원이 발생되게 된다.
전류 측정부(14)는 전선(1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 전류 측정부(14)는 코어(30) 및 코일(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 발생부(12)의 코어(30) 및 코일(32)과 전류 측정부(14)의 코어(30) 및 코일(32)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정류회로(34)는 전원 발생부(12)의 코일(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정류회로(34)는 전원 발생부(12)가 발생시킨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전선(10)에 상용 교류전원이 공급되면, 전선(10)에는 교류 전류가 흘러 전선(10)을 따라 교류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는 자기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전선(10)의 주변에는 교류 전류의 극성 변화에 따라 자기장의 변화가 생기게 된다. 그러면, 전선(10)의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코일(32)에 전류가 유도되어 코일(32)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의 전류는 교류전원이므로, 정류회로(34)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게 된다. 여기서, 정류회로(34)가 변환한 직류전원을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내에서 사용되는 직류전원값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6)는 정류회로(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 공급부(36)는 정류회로(34)에서 변환한 직류전원을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의 각 구성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는 외부 상용전원이나 별도의 배터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원 공급부(36)를 통해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부(38)는 전류 측정부(14)의 코일(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38)는 전류 측정부(14)가 측정한 전류 값을 서버(104)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부(38)는 측정된 전류 값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4)의 요청에 따라 측정된 전류 값을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38)는 서버(104)로부터 기준전류 값을 수신하여 비교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비교부(40)는 통신부(38)에서 전달받은 기준전류 값과 현재 전선(10)에 흐르는 전류 값(즉, 전류 측정부(14)가 측정한 전류 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부하 이상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부(40)는 현재 전류 값이 기준전류 값 중 경보전류 값을 초과(즉, 평균 소모전류 값을 10% 초과)할 경우, 경보 동작 신호를 경보부(42)로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교부(40)는 현재 전류 값이 기준전류 값 중 차단전류 값을 초과(평균 소모전류 값을 20% 초과)할 경우, 부하 차단동작 신호를 부하 차단부(44)로 발생시킬 수 있다.
경보부(42)는 비교부(40)에서 경보동작 신호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부하의 전류상태에 대해 경고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부하에 흐르는 전류 값은 경보전류 값으로 평균 소모전류 값을 초과하였지만, 부하에서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전류 값이기 때문에 부하에는 계속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하지만 경보전류 값은 이미 평균 소모전류 값을 초과하였을 뿐만 아니라, 부하의 변화에 따라 차단전류 값으로 변화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경보부(42)는 이러한 위험을 미리 경고할 수 있다. 이때, 경보부(42)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관리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경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조기 경고할 수 있다.
부하 차단부(44)는 비교부(40)에서 부하 차단동작 신호가 발생된 경우, 부하에 더 이상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부하 차단부(44)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10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외부에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 중 부하 차단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부하 차단부(44)는 a접점(46), b접점(48), 버튼부(50), 차단기(52) 및 자기코일(54)을 포함한다. a접점(46), b접점(48), 버튼부(50) 및 자기코일(54)은 제1 전선(56) 및 제2 전선(58) 사이에 형성되며, 차단기(52)는 제1 전선(56) 및 제2 전선(58)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차단기(52)는 자기접점 차단기를 사용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차단기를 사용할 수 있다.
평상시에 부하 차단부(44)의 a접점(46)은 열린 상태이고, b접점(48)은 닫힌 상태이다. 이 경우, 부하 차단부(44)의 제1 전선(56)과 제2 전선(58)은 개방된 상태이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때, 버튼부(50)를 누르면, a접점(46)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가 되고, b접점(48)은 닫힌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제1 전선(56)과 제2 전선(58)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이때, 차단기(52)는 자기코일(54)에 의해 제1 전선(56)과 제2 전선(58)에 각각 연결되어 부하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한다.
이 상태에서, 부하 차단동작 신호가 발생된 경우(즉, 부하에 차단 전류값을 초과하는 전류가 흐르는 경우), 부하 차단부(44)가 b접점(48)을 열린 상태로 만들고, 이에 따라 a접점(46) 또한 열린 상태가 되어 제1 전선(56)과 제2 전선(58)이 개방된다. 이때, 차단기(52)는 자기코일(54)에 의해 열리게 되어 부하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한다. 이처럼 부하에 차단 전류값을 초과하는 전류가 흐를 경우, 부하 차단부(44)가 부하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차단기(52)를 개방하여 전류를 차단하므로 신속하게 화재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102 : 전류 모니터링 장치
104 : 서버
10 : 전선 12 : 전원 발생부
14 : 전류 측정부 16 : 본체
18 : 집게부 18a : 제1 지지부
18b : 제2 지지부
20 : 힌지부
30 : 코어 32 : 코일
34 : 정류회로 36 : 전원 공급부
38 : 통신부
40 : 비교부 42 : 경보부
44 : 부하 차단부 46 : a접점
48 : b접점
50 : 버튼부 52 : 차단기
54 : 자기코일 56 : 제1 전선
58 : 제2 전선

Claims (10)

  1.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에 연결되고, 상기 전선과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교류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 발생부; 및
    상기 전선에 연결되고, 상기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전원 발생부가 발생시킨 전원을 사용하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전원 발생부가 발생시킨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회로; 및
    정류된 상기 직류 전원을 상기 전류 모니터링 장치의 각 구성 요소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전류 측정부가 측정한 전류 값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기준 전류값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전류 측정부가 측정한 전류 값과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기 기준전류 값을 초과하는 경우, 부하 이상 알림신호를 발생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류 값은, 경보전류 값 및 차단전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전류 측정부가 측정한 전류값이 상기 경보전류 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류 측정부가 측정한 전류값이 상기 차단전류 값을 초과하는 경우, 차단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경보 동작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선에 흐르는 전류 상태를 경고하는 경보부; 및
    상기 차단 동작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시키는 부하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발생부 및 상기 전류 측정부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선에 연결되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발생부 및 상기 전류 측정부는,
    상기 전류 모니터링 장치의 본체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에 연결되는, 전류 모니터링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전류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전선에 흐르는 전류 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전류 값을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전류 값을 설정하며, 설정한 기준전류 값을 상기 전류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류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된 전류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전선에 흐르는 평균 소모전류 값을 측정하고, 상기 평균 소모 전류값에 마진 전류값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 전류 값을 설정하는,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30056915A 2013-05-21 2013-05-21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77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915A KR101477209B1 (ko) 2013-05-21 2013-05-21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EP14163537.5A EP2806434A1 (en) 2013-05-21 2014-04-04 Apparatus for current-monitoring and system for current-monitoring using the same
US14/251,584 US20140347036A1 (en) 2013-05-21 2014-04-12 Current monitoring apparatus and current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CN201420255878.5U CN203929848U (zh) 2013-05-21 2014-05-19 电流监测仪及利用其的电流监测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915A KR101477209B1 (ko) 2013-05-21 2013-05-21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648A true KR20140136648A (ko) 2014-12-01
KR101477209B1 KR101477209B1 (ko) 2014-12-29

Family

ID=50439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915A KR101477209B1 (ko) 2013-05-21 2013-05-21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347036A1 (ko)
EP (1) EP2806434A1 (ko)
KR (1) KR101477209B1 (ko)
CN (1) CN20392984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988A (ko) * 2013-10-01 2015-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센서
US9689903B2 (en) * 2014-08-12 2017-06-27 Analog De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measuring current
US9698609B2 (en) * 2015-01-13 2017-07-04 Fluke Corporation Testing device power induced by current transformer
EP3489697B1 (en) * 2016-07-22 2022-08-24 Asahi Kasei Microdevices Corporation Current sensor
DE102017122283B3 (de) 2017-09-26 2018-09-20 EnBW Energie Baden-Württemberg AG Überwachung eines Energieparameters in einer Verteilstation
US10788517B2 (en) 2017-11-14 2020-09-29 Analog Devices Global Unlimited Company Current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s
US10712369B2 (en) 2018-03-23 2020-07-14 Analog Devices Global Unlimted Company Current measurement using magnetic sensors and contour intervals
NL2021408B1 (en) * 2018-07-27 2020-01-31 Tryst B V Monitoring system of a medium-voltage electric power network, and method thereto
WO2022264680A1 (ja) * 2021-06-15 2022-12-2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監視装置および起動方法
JP7173417B1 (ja) * 2021-06-15 2022-11-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監視装置および起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9752A (en) * 1983-04-13 1987-08-25 Niagara Mohawk Power Corpor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a bulk electric power delivery system
US5502374A (en) * 1994-09-02 1996-03-26 Veris Industries, Inc. Current sensors
US5656931A (en) * 1995-01-20 1997-08-12 Pacific Gas And Electric Company Fault current sensor device with radio transceiver
US6018700A (en) * 1998-02-19 2000-01-25 Edel; Thomas G. Self-powered current monitor
US7174261B2 (en) * 2003-03-19 2007-02-06 Power Measurement Ltd. Power line sensors and systems incorporating same
KR100977169B1 (ko) * 2006-07-10 2010-08-20 주식회사 필룩스 부하의 전류 제어장치 및 방법
JP5661231B2 (ja) * 2008-01-17 2015-01-28 中国電力株式会社 クランプメータおよび直流地絡回線探査方法
KR101166419B1 (ko) * 2009-12-15 2012-07-19 주식회사 신성엔지니어링 냉동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제어 방법
WO2011103593A1 (en) * 2010-02-22 2011-08-25 Panoramic Power Ltd. Circuit tracer
MX2013001641A (es) * 2010-08-10 2013-07-29 Cooper Technologies Co Aparato y metodo para el montaje de un dispositivo de sobrecarga.
CN102611071B (zh) * 2011-01-25 2015-05-20 黄华道 带有磁锁定机构的漏电检测保护电路
KR101230420B1 (ko) * 2012-10-31 2013-02-06 주식회사 한산테크 배전반의 안전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209B1 (ko) 2014-12-29
US20140347036A1 (en) 2014-11-27
EP2806434A1 (en) 2014-11-26
CN203929848U (zh)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209B1 (ko)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US11374395B2 (en) Remote power unit, direct current power system and direct current power system fault detection method
CA3035227C (en) Arc detection in electric meter systems
KR101082141B1 (ko) 전력기기 온도 감시용 측정 장치
SE537691C2 (sv) Trådlös sensoranordning för en högspänningsmiljö och systeminnefattande sådan
KR20100126874A (ko) 수배전반 원격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KR101208579B1 (ko) 배전반 감시 및 알림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감시 및 알림 방법
KR101865609B1 (ko) 누전표시장치
KR20120086558A (ko) 감시 및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274929B1 (ko) 변압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87426B1 (ko) 분전반의 전기화재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유비쿼터스형 분전반
US11614498B2 (en) Wireless neutral current sensor (WNCS)
US20060235632A1 (en) Device for the management of electrical sockets
KR101287173B1 (ko) 절연 감시 장치
RU178299U1 (ru) Устройство непрерывного контрол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изоляции погружного электрокабеля и непрерывного контрол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обмоток погруж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электропогружной насосной установки
KR20100000592U (ko) 변압기의 누설전류 통합 감시장치
KR101303316B1 (ko)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KR101030925B1 (ko) 감시 및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0874981B1 (ko)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AU2016200603B2 (en) Current sensor and electric network comprising such a current sensor
CN207424155U (zh) 电力故障检测装置
KR20160131781A (ko) 방송 장치 및 방법
JP2009159732A (ja) 直流配電システム
CN109947036A (zh) 用于修改由控制面板接收的输入电压的系统和方法
KR101686039B1 (ko) 블랙박스가 구비된 분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