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781A - 방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781A
KR20160131781A KR1020150064829A KR20150064829A KR20160131781A KR 20160131781 A KR20160131781 A KR 20160131781A KR 1020150064829 A KR1020150064829 A KR 1020150064829A KR 20150064829 A KR20150064829 A KR 20150064829A KR 20160131781 A KR20160131781 A KR 20160131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power
speakers
power value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상훈
미야자끼 유이치
사공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to KR102015006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781A/ko
Publication of KR2016013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7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public addres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스피커와 연결된 방송장비로 이루어진 방송 장치에서, 각 스피커로 전송되는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을 계산한 후, 전체 스피커로 전송되는 전력값의 총 합과 방송 장치의 정격전력 값을 비교하여 전체 스피커로 전송되는 전력의 총 합이 더 큰 경우, 방송장비가 전력 과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각 스피커의 전력값을 기반으로 전력 과부하의 원인이 되는 이상 상태의 스피커를 판단하여 방송장비로부터 연결을 해지하도록 함으로써, 방송장비에서 전력 과부하가 발생했을 시 이를 빠르게 판단하고, 방송 장치로부터 이상 스피커로의 전류 및 방송신호를 차단하여 방송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BROADCASTING}
본 발명은 방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이상 상태의 스피커를 파악하여 방송장치와의 연결을 해지하도록 하는 방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몰, 학교, 병원 또는 아파트 단지 등에는 다수의 스피커를 사용하는 방송 장치를 통해 공지사항 및 응급신호를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방송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방송장비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방송신호를 다수의 스피커로 전달하여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방송 장치에 있어서, 방송장비는 다수의 스피커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피커 이상 발생 시, 방송장비가 감당할 수 있는 정격용량 이상의 전력이 스피커로 공급될 수 있고, 이는 방송장비의 전력 과부하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방송장비의 전력 과부하는 구성 부품들의 과열 및 고장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각 스피커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고장 진단, 유지, 보수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특정 스피커의 고장 발생시에 이를 파악하기 어렵다. 특히, 다수의 스피커가 넓은 지역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 관리자가 스피커의 고장 상태를 파악하기 어렵고, 고장 상태의 스피커가 있는 경우, 방송장치의 전력 과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방송의 효율적인 운용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349078호(등록일자: 2014년 1월 2일)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스피커와 연결된 방송장비에서 전력 과부하로 인한 고장을 방지하고, 다수의 스피커 중에서 이상 상태에 있는 스피커를 빠르게 찾아내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서, 방송장비로부터 각 스피커로 전송되는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을 계산하고, 각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의 총 합을 구하여 방송 장치의 전력 과부하 상태를 판단하여, 방송 장치가 전력 과부하 상태로 판단된 경우, 각 스피커의 전력값을 이용해 다수의 스피커 중에서 이상 상태의 스피커를 찾아내 방송 장치의 전력 과부하 발생의 원인이 되는 이상 스피커와의 연결을 해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방송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뿐 아니라 이상 스피커를 쉽게 찾아내도록 하는 방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방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송장비에서 다수의 스피커로 방송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각 스피커로 출력되는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는 전류 및 전압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각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을 계산하는 전력 계산부와, 상기 전력 계산부에서 계산한 상기 스피커들의 전력값의 총 합과 상기 방송장비의 정격전력 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피커들의 전력값의 총 합이 상기 방송장비의 정격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전력 과부하 상태로 판단하는 과부하 판단부와, 상기 과부하 판단부에 의해 전력 과부하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을 기반으로 이상 상태의 스피커를 판단하여 상기 방송 장치에서 상기 이상 상태의 스피커 사이에 연결을 해지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스피커의 전력값들 중 기 설정된 전력값 이상의 전력값을 갖는 스피커를 이상 상태의 스피커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기 설정된 전력값은 상기 방송장비와 연결된 스피커들의 정격전력값 중 최대 정격전력값을 초과하지 않는 값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상태의 스피커에 대하여, 상기 스피커가 이상 상태임을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 계산부는, 상기 각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장비에서 다수의 스피커로 방송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각 스피커로 출력되는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각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스피커들의 전력값의 총 합과 상기 방송장비의 정격전력 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피커들의 전력값의 총 합이 상기 방송장비의 정격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전력 과부하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 과부하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을 기반으로 이상 상태의 스피커를 판단하여 상기 방송 장치에서 상기 이상 상태의 스피커 사이에 연결을 해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송 신호를 차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스피커의 전력값들 중 기 설정된 전력값 이상의 전력값을 갖는 스피커를 이상 상태의 스피커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송 신호를 차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 설정된 전력값은 상기 방송장비와 연결된 스피커들의 정격전력값 중 최대 정격전력값을 초과하지 않는 값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송 신호를 차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상 상태의 스피커에 대하여, 상기 스피커가 이상 상태 임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에서 상기 각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을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스피커와 연결되는 방송장치에 대해서, 방송 장치로부터 각 스피커로 전송되는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고, 스피커 이상으로 인해 방송장치에 전력 과부하가 발생했을 시 이를 빠르게 판단하고, 방송 장치로부터 이상 스피커로의 연결을 해지하여 방송장치의 고장을 방지하도록 하고, 관리자가 다수의 스피커 중 고장 스피커를 쉽게 판단하여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방법의 동작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송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방송장비(100) 및 다수의 스피커(200)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방송장비(100)는 다수의 스피커(200)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송 신호를 전송하고, 다수의 스피커(200)를 통해 방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방송장비(100)는 방송 신호를 케이블을 통해 다수의 스피커(200)로 전송한다.
또한, 다수의 스피커(200)는 신호 성분을 음성 신호로 출력한다.
이때, 다수의 스피커(200)는 음성 신호 출력을 위한 장치로 건물 내의 각 방과 복도 혹은 건물의 외각에 나누어져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다수의 스피커와 연결된 방송장비에 있어서, 종래에는 스피커 이상에 의한 방송장비의 전력 과부하를 감지하고, 전력 과부하의 원인이 되는 이상 스피커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방송장비의 구성 부품들은 전력 과부하에 의해 과열 및 고장이 발생하고, 관리자는 다수의 스피커 중 고장 스피커를 찾아내는데 불편함이 있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송장비(100)와 연결된 다수의 스피커(200) 중 이상 상태의 스피커 발생 시, 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여 관리자가 다수의 스피커(200)를 일일이 점검하지 않고도 방송장비(100)를 통해 이상 상태의 스피커를 찾아낼 수 있고, 방송장비(100)의 전력 과부하를 빠르게 판단하여 전력 과부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방송장비(100)와 연결된 다수의 스피커(200)로 방송신호가 전송될 때, 전송되는 방송신호의 전류 및 전압을 각각 측정하여, 각 스피커로 전송되는 전력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력값의 총 합이 방송장비(100)의 정격전력을 초과하면 전력 과부하 상태로 판단한다. 그리고 방송장비(100)가 전력 과부하 상태로 판단된 경우, 계산된 스피커들(200)의 전력값을 이용하여 이상 스피커를 판단하고, 이상 스피커와 방송장비(100)와의 연결을 해지하도록 함으로써 중앙의 방송장비(100)의 전력 과부하를 빠르게 판단하고 전력 과부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다수의 스피커(200)와 연결된 방송장비(100)는 전류 및 전압 측정부(110), 전력 계산부(120), 과부하 판단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및 전압 측정부(110)는 방송장비(100)로부터 다수의 스피커(200)로 방송신호가 전송될 때 방송신호의 전류 및 전압을 각 스피커 별로 측정한다.
이때, 전류는 분류기(Shunt)저항을 이용하거나, 전자기 유도를 이용한 변류계(CT: Current Trans)를 사용하거나, 홀(Hall) 효과 등을 통해 측정할 수 있고, 전압은 전위차계 등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전력 계산부(120)는 전류 및 전압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 및 전압값을 통해 다수의 스피커(200)의 전력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력값은 저장부(122)에 저장한다.
이때, 전력값은 전류값과 전압값의 곱을 통해 계산할 수 있고, 단위 시간 동안 방송장비(100)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의미한다.
과부하 판단부(130)는 전력 계산부(120)에서 계산된 다수의 전력값의 총 합을 구하고, 스피커들(200)의 전력값의 총 합이 방송장비(100)의 정격전력 값을 초과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스피커들(200)의 전력값의 총 합이 정격전력 값보다 크면 전력 과부하로 판단하고, 만약 방송장비의 정격전력보다 작으면 전력 과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과부하 판단부(130)에 의해 전력 과부하 상태로 판단된 경우, 다수의 스피커(200)의 전력값을 기반으로 이상 상태의 스피커를 판단하여 방송장비(100)로부터 이상 상태의 스피커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차단하고, 방송장비(100)와의 연결을 해지한다.
이때, 이상 상태의 스피커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스피커(200)의 전력값들 중 기 설정된 전력값보다 큰 전력값을 갖는 스피커를 선택하여 이상 스피커로 판단한다.
또한, 기 설정된 전력값은 방송장비(100)와 연결된 스피커들(200)의 정격전력값 중 최대 정격전력값을 초과하지 않는 값으로 설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이상 상태의 스피커가 이상 상태 임을 알리는 알림부(142)를 포함하고 있어, 관리자에게 스피커의 이상여부를 판단 즉시 알리도록 하여 스피커의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알림부(142)는 청각신호 또는 시각신호를 통해 관리자에게 이상 상태의 스피커를 알리거나, 유·무선통신을 통해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상 스피커에 대한 알림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방법의 동작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방송장비(100)의 전류 및 전압 측정부(110)는 방송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스피커(200)로 방송신호를 전송하고, 이때 방송신호와 함께 각 스피커로 전송되는 전류 및 전압을 측정(S300)한다
이에 따라, 전류 및 전압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다수의 스피커(200)의 전류 및 전압값을 이용하여, 전력 계산부(120)는 각 스피커로 전송되는 전력값을 계산(S302)하고, 계산된 스피커들(200)의 전력값을 저장부(112)에 저장한다.
이어, 과부하 판단부(130)에서는 전력 계산부(120)에 의해 계산된 스피커들(200)로 전송되는 전력값의 총 합을 구하고, 스피커들(200)로 전송되는 전력값의 총 합이 방송장비(100)의 정격전력값을 초과하는 경우, 전력 과부하 상태로 판단하고, 스피커들(200)로 전송되는 전력값의 총 합이 방송장비(100)의 정격전력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전력 과부하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S304)한다.
이때, 방송장비(100)의 정격전력은 방송장비(100)가 무리 없이 사용하기 위해 정해진 전력의 한계값으로 정격전력 이상의 값을 사용하였을 시 방송장비(100)내 구성 부품 등이 과열되어 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정격전력 이상의 전력값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일반적인 기기 및 장치 등은 보편적으로 그 정격전력의 값을 얼마간 초과하여도 이상을 발생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는 약간의 과부하 용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제어부(140)는 과부하 판단부(130)에 의해 방송장비(100)가 전력 과부하 상태로 판단된 경우, 과부하의 원인이 되는 이상 상태의 스피커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다수의 스피커(200) 중 이상 상태의 스피커를 판단하기 위해, 전력 계산부(120)의 저장부(122)에 저장된 각 스피커의 전력값이 기 설정된 전력값보다 큰 값인지 아닌지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전력값보다 더 큰 전력값을 갖는 스피커를 이상 상태의 스피커로 판단(S306)한다.
이에 따라, 이상 상태로 판단된 스피커는 제어부(140)에 의해 방송장비(100)로부터 출력되는 방송 신호를 차단하고, 방송장비(100)와의 연결을 해지(S308)한다.
제어부(140)에서는 이상 상태의 스피커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차단하기 위해 OFF 신호를 발행하고, OFF 신호는 방송장비(100)에서 해당 스피커로 방송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과 연결된 스위칭 회로의 상태를 꺼짐 상태로 변경한다. 따라서, 방송장비(100)와 이상 상태의 스피커 사이의 연결이 해지된다.
추가적으로, 이상 상태의 스피커가 정상 상태로 회복된 경우, 제어부(140)는 ON 신호를 발행하여, 해당 스피커와 방송장비(100)가 다시 연결되고, 방송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스피커와 연결된 방송장비에 있어서, 각 스피커로 전송되는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여 각 스피커의 전력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력값들의 총 합이 방송장비의 정격전력보다 더 큰 값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방송장비가 전력 과부하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방송장비가 전력 과부하 상태인 경우, 전력 과부하의 원인이 되는 스피커를 찾아 연결을 해지하도록 하여 방송장비에서 전력 과부하가 발생했을 시 이를 빠르게 판단하고, 방송 장치로부터 이상 스피커로의 전류 및 방송신호를 차단하여 방송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100: 방송장비
200: 스피커
110: 전류 및 전압 측정부
120: 전력 계산부
122: 저장부
130: 과부하 판단부
140: 제어부
142: 알림부

Claims (10)

  1. 방송장비에서 다수의 스피커로 방송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각 스피커로 출력되는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는 전류 및 전압 측정부와,
    상기 전류 및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각 스피커의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각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을 계산하는 전력 계산부와,
    상기 전력 계산부에서 계산한 상기 각 스피커들의 전력값의 총 합과 상기 방송장비의 정격전력 값을 비교하여 상기 각 스피커들의 상기 전력값의 총 합이 상기 방송장비의 정격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전력 과부하 상태로 판단하는 과부하 판단부와,
    상기 과부하 판단부에 의해 전력 과부하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각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을 기반으로 이상 상태의 스피커를 판단하여 상기 방송 장치에서 상기 이상 상태의 스피커 사이에 연결을 해지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방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스피커의 상기 전력값들 중 각 스피커 별로 기 설정된 전력값 이상의 전력값을 갖는 스피커를 이상 상태의 스피커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기 설정된 전력값은 상기 방송장비와 연결된 스피커들의 정격전력값 중 최대 정격전력값을 초과하지 않는 값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상태의 스피커에 대하여, 상기 스피커가 이상 상태 임을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방송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계산부는,
    상기 각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방송 장치.
  6. 방송장비에서 다수의 스피커로 방송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각 스피커로 출력되는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각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각 스피커들의 전력값의 총 합과 상기 방송장비의 정격전력 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피커들의 전력값의 총 합이 상기 방송장비의 정격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전력 과부하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과부하 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을 기반으로 이상 상태의 스피커를 판단하여 상기 방송 장치에서 상기 이상 상태의 스피커 사이에 연결을 해지하여 방송 신호를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차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각 스피커의 전력값들 중 기 설정된 전력값 이상의 전력값을 갖는 스피커를 이상 상태의 스피커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차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 설정된 전력값은 상기 방송장비와 연결된 스피커들의 정격전력값 중 최대 정격전력값을 초과하지 않는 값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차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이상 상태의 스피커에 대하여, 상기 스피커가 이상 상태 임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값을 계산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각 스피커로 공급되는 전력값을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방법.

KR1020150064829A 2015-05-08 2015-05-08 방송 장치 및 방법 KR20160131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829A KR20160131781A (ko) 2015-05-08 2015-05-08 방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829A KR20160131781A (ko) 2015-05-08 2015-05-08 방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781A true KR20160131781A (ko) 2016-11-16

Family

ID=5754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829A KR20160131781A (ko) 2015-05-08 2015-05-08 방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7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434A (ko) * 2018-05-25 2019-12-04 (주)유비아이사운드 차동 오디오 앰프와 스피커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장치
KR102181353B1 (ko) * 2019-05-17 2020-11-20 허정 부하검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078B1 (ko) 2012-01-30 2014-01-10 (주)디라직 스피커의 고장 진단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078B1 (ko) 2012-01-30 2014-01-10 (주)디라직 스피커의 고장 진단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434A (ko) * 2018-05-25 2019-12-04 (주)유비아이사운드 차동 오디오 앰프와 스피커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장치
KR102181353B1 (ko) * 2019-05-17 2020-11-20 허정 부하검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711B1 (ko) 구내방송장치용 이상부하분석 처리방법 및 장치
US9978239B2 (en) Electric shock warning distribution board system including wearable device for warning electric shock and distribution board linked thereto
KR102032406B1 (ko) 재난 경보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77209B1 (ko) 전류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US20170040838A1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with remote monitoring and standby power mechanism
US11374395B2 (en) Remote power unit, direct current power system and direct current power system fault detection method
CN104459367A (zh) 电控和保护设备
KR101773897B1 (ko) 전류 감시 및 경보 시스템
US920961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rc flashes
KR20100126874A (ko) 수배전반 원격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KR20160131781A (ko) 방송 장치 및 방법
JP6509029B2 (ja) 分電盤
KR101931232B1 (ko) 음성 알림 기능을 포함하는 콘센트 장치
KR101320785B1 (ko)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
JP5858236B2 (ja) 蓄電池システム
KR20100000592U (ko) 변압기의 누설전류 통합 감시장치
JP6840426B2 (ja) 電源監視システム
JP2005278267A (ja) 電流監視装置
JP2021015047A (ja) 放電検出装置及び分電盤
KR101686039B1 (ko) 블랙박스가 구비된 분전반
JP6206806B2 (ja) 遮断警告システム
KR102286948B1 (ko) 수배전반 또는 가스 누출 위험 구역을 포함한 위험 구역에 설치되는 음성 알림 장치
CN102938584A (zh) 测控一体化开关装置及控制方法
JP2013135609A (ja) 電源部及び負荷部保護システム
WO2022085045A1 (ja) デジタルエレクトリックセフティ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