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732B1 -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732B1
KR101629732B1 KR1020150188313A KR20150188313A KR101629732B1 KR 101629732 B1 KR101629732 B1 KR 101629732B1 KR 1020150188313 A KR1020150188313 A KR 1020150188313A KR 20150188313 A KR20150188313 A KR 20150188313A KR 101629732 B1 KR101629732 B1 KR 101629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ixed
fixing
do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188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1Weather houses or other ornaments for indicating humid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3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for energy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에 관한 것으로, 접속단자인 접속부의 양단에 탄성동작 가능한 접지단자를 새롭게 구성하고, 함체 내부 적소에는 습도센서와 온도센서를 병설하여 내부 습도에 따라 일정온도까지 이를 신속히 건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내부 습도를 감지하여 신속히 건조시킴으로써 기온차에 의해 내부에서 생기는 결로로 인한 합선, 누전을 예방하며, 배전 전환시 접속불량도 없게 되어 원활하고 정확하며 안전한 배전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DISTRIBUTING PANNEL FOR UNDERGROUND WIRED ELECTRICAL LINE OF SHORT CIRCUIT}
본 발명은 지중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에 관한 것으로, 배전 접속시 접속불량을 방지하고, 내부 수분이나 습기를 완벽하게 제거하여 누전이나 합선의 문제도 완전히 배제시킨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송전선로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내 주게 된다.
상기 변전소는 대체로 지상에 설비되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의 경우 고압의 전류를 이송시켜 주어야 하는 바, 고압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외부로 노출된 고압전선은 외부간섭으로 인한 누전 및 합선이 유발되기 쉬우며, 어지럽게 가설된 고압전선으로 인해 주변의 경관을 해치 등의 문제가 있어 지하에 고압전선을 설치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지하에 고압의 전선을 설치하는 경우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아 외부간섭에 따른 문제 및 주변경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는 일부 해소되었지만, 지하의 경우 습기가 많고 지상으로부터 물이 지하로 스며들면서 상호 연결된 배전선과 접촉하게 되어 전기합선을 유발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하에 송전선을 설치하는 경우 통상 커넥터를 이용하여 배전선과 배전선을 연결하게 되는데, 연결된 배전선에 이상이 생길 경우 전력을 끊은 상태에서 점검해야하므로, 각 지역의 가정 및 공장에서 필요한 전력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였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40179호(2011. 06. 02.)에 의한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용 배선패널"이 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로 개시된 등록특허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또는 침투수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이들로 인한 전기합선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송전선을 이상이 생기더라도 즉시 다른 송전선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을 끊고 점검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이 개시된 등록특허는 구동모터와 볼스크류를 이용한 기계적 구동에 의해 배전선의 접점을 접속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오동작이나 혹은 지중배전선의 밀림 등에 의해 지중배전선과 접속단자, 즉 접속부 간의 접속불량이 유발되기 쉽다.
뿐만 아니라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나 습기가 갇혀 있는 공간 내에서 쉽게 건조되지 않기 때문에 습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누전이나 합선의 문제도 여전이 내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40179호(2011.06.02.),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용 배선패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또는 침투수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혹여 기온차에 의해 내부에서 수분이나 습기가 결로 현상에 의해 생기더라도 이를 신속히 제거하여 이들로 인한 전기합선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송전선을 이상이 생기더라도 즉시 다른 송전선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을 끊고 점검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되, 이때 단자가 접속불량의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는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며, 전면에는 도어(11)가 설치된 절연재질의 배선용 보호함체(10): 배선용 보호함체(10)의 내부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는 절연재질의 설치대(20): 설치대(20)에 고정되고, 전체적으로 T자형을 이루되, 내부가 T자형으로 관통되며 상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부(31a)가 구비된 절연재질의 케이스(31)와; 상단부에 접속부걸이공(32a)을 갖추고서, 케이스(31)에 실장되어 입력선(L1)이 연결가능하게 고정되는 전도체재질의 입력선접속구(32)와; 일단에 접속부유도면(33a)을 갖추고서,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케이스(31)의 양측으로 삽입고정되어 타단으로 배전선(L2)이 연결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배전선접속구(33)와; 케이스(31)에 내설되어 입력선접속구(32)의 상면을 일방향으로 탄발하는 탄발편(34)을 갖춘 커넥터(30): 일측에 스크류(41a)를 갖추고서, 케이스(31) 상에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41)와; 상단부가 스크류(41a)에 설치되고 하단부가 가이드부(31a)을 관통하여 케이스(3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이송블록(42)과; 일측이 이송블록(42)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접속부걸이공(32a)에 삽입관통되어 지지되며 이송블록(42)의 이동에 의해 한 쌍의 배전선접속구(3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전도체재질의 접속부(43)를 갖춘 전환장치(40): 케이스(31)의 양측 상면에 배치되며 전류의 흐름을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2전류감지센서(50a,50b): 제1·2전류감지센서(50a,50b)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확인등(70)을 동작제어하는 제어부(60): 제어부(60)에 의해 동작되어 외부로 불빛을 방출하는 확인등(70): 구동모터(4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동작제어하는 모터작동스위치(80)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부(43)의 양단면에는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접속홈(13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접속홈(130)에는 대응되는 나사산을 갖는 도전성 결합로드(100)가 나사체결되며, 상기 결합로드(100)의 단부에는 도전성 탄성스프링(110)이 고정되고, 상기 탄성스프링(110)의 단부에는 상기 배전선(L2)의 단자와 접촉되도록 반원형상의 도전성 접속편(120)이 고정되며, 상기 설치대(20)의 전면 하단부에는 히터설치홈(20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히터설치홈(200)에는 반원형 열반사판(220)이 고정되며, 상기 히터설치홈(200)에는 상기 열반사판(220)과 간격을 둔 상태로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글래스관 히터(210)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대(20)의 양단 상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60)와 연결되어 상기 글래스관 히터(210)의 발열을 제어하는 온도센서(230) 및 습도센서(240);를 포함하는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에는 시건을 위해 개폐가능한 도어(11)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11)가 설치된 함체(10)의 전면 틀 상에는 고정쇠(300)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쇠(300)와 대응되는 위치의 도어(11) 상에는 잠금쇠(400)가 설치되어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쇠(300)는 'ㅗ' 형상을 갖는 부재이며, 수직하게 세워진 부분에는 잠금구멍(31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잠금볼트공(320)이 형성되어 함체(10)의 전면 틀 상에 견고히 볼트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잠금쇠(400)는 하부 일측에 작동공간(410)이 형성되고, 선단면에는 일정깊이 설치홈(420)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을 갖는 부재이며, 상기 설치홈(420)의 개방된 전면은 선단커버(43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선단커버(430)의 일부 및 상기 설치홈(420)의 하방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공간(410)까지 연통되는 유동로(44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유동로(440)는 상기 설치홈(420)과 연통되게 구성되고, 상기 잠금쇠(400)의 일측면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다수의 고정볼트공(45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공(450)에는 고정볼트가 삽입된 후 상기 도어(11)의 표면에 견고히 고정되고, 상기 잠금쇠(400)의 선단부 상측에는 배터리(460)가 매립 설치되며, 상기 유동로(440)에는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봉 형상의 래크(470)가 삽입되고, 상기 설치홈(420)에는 피니언(48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480)은 상기 래크(470)와 치결합되게 배치되고, 상기 피니언(480)의 일측면에는 베벨기어 형태의 종동기어(490)가 일체로 더 형성되며, 상기 종동기어(490)에는 베벨기어 형태를 갖는 구동기어(500)가 치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500)는 구동모터(510)의 동력을 받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510)는 상기 설치홈(420)의 일측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배터리(46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쇠(400) 상에는 키박스(520)가 더 설치되는데 상기 키박스(520)는 삽입되는 키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510)를 정회전, 정지, 역회전시키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로 사용되며;
상기 설치대(20)의 전면 하측에는 커넥터끼움홈(60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끼움홈(600)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끼움홈(600)의 내부 일측벽을 관통하여 사각형상의 유닛설치구멍(H1)이 형성되고, 상기 유닛설치구멍(H1)에는 선단이 상기 커넥터끼움홈(600)과 일치되게 삽입되는 고정유닛(610)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고정유닛(610)에는 선택적으로 탄성 출몰되는 고정봉(620)이 조립되고, 상기 커넥터끼움홈(600)으로 노출된 고정봉(620)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커넥터끼움홈(600)의 타측벽에는 일정깊이 요입된 고정봉삽입홈(H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620)은 상기 설치대(20)의 전면에 설치된 레버(630)를 당겼을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바깥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유닛(610)의 후단 상,하면에는 결속편(640)이 돌출되고, 상기 결속편(640)은 회전가능하게 힌지고정된 결속고정편(650)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결속고정편(650)은 힌지축(HIN)이 설치대(20)의 측면에 축 고정되고, 하부 일측면에는 자석(652)이 고정되어 상기 철편(642)과 흡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30)의 배면에는 상기 커넥터끼움홈(600)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블럭(700)이 돌출되고, 상기 삽입블럭(700)에는 측방으로 관통된 블럭고정공(710)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블럭고정공(710)에는 상기 고정봉(6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럭고정공(710)의 입구측은 확경된 상태로 테이퍼 가공되며;
상기 결속편(640)은 상부커버(C1)와 하부커버(C2) 각각에서 돌출되고 전면 일부에는 요입된 상태에서 철편(642)이 매립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커버(C1)와 하부커버(C2)는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고정유닛(610)을 구성하며, 상부커버(C1)의 하단 둘레에는 후크구멍(HV)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C2)의 둘레 일부인 상기 후크구멍(HV)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후크(HK)가 형성되어 상호 후크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봉(620)은 길이방향으로 분절된 상태에서 서로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봉(620)의 일단부에는 출몰을 제한하는 제1턱(622)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제2턱(624)이 형성되고, 제2턱(624)과 하부커버(C2)의 내벽면 사이에는 작동스프링(626)이 상기 고정봉(620)에 끼워진 채 배치되며, 상기 작동스프링(626)이 설치된 지점과 반대쪽 고정봉(620) 상에는 원추형상의 스토핑홈(628)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홈(628)에는 대응되는 형상이 스토퍼(632)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632)는 레버(630)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레버(630)는 상기 상부커버(C1)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632)와 상기 상부커버(C1)의 내벽면 사이에는 상기 레버(630)에 끼워진 채 유동스프링(634)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함체의 내부에 커넥터와 전환장치 및 제1·2전류감지센서, 제어부, 확인등, 모터작동스위치을 설치하여 줌으로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또는 침투수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이들과의 접촉으로 인한 전기합선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전력공급을 실현할 수 있음은 물론, 외력으로부터 이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송전선을 이상이 생기더라도 전환장치를 통해 전력의 공급방향을 즉시 변환되도록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전력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송전선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나아가 송전선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전력공급을 차단할 필요 없이 전력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내부 습도를 감지하여 신속히 건조시킴으로써 기온차에 의해 내부에서 생기는 결로로 인한 합선, 누전을 예방하며, 배전 전환시 접속불량도 없게 되어 원활하고 정확하며 안전한 배전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에서 커넥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의 작동관계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의 개량된 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을 구성하는 도어 잠금수단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을 구성하는 커넥터의 설치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은 함체(10), 설치대(20), 커넥터(30), 전환장치(40), 제1·2전류감지센서(50a,50b), 제어부(60), 확인등(70), 모터작동스위치(80)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되,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이러한 수납공간을 외부와 격리될 수 있도록 도어(11)가 힌지를 매개로 설치된다. 상기 함체(10)는 절연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아니하였지만, 도어(11)에는 후술되는 잠금수단을 설치하여 관리자 이외에 제3자가 임의로 열어볼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함체(10)를 통해 내부에 설치되는 커넥터(30), 전환장치(40), 제1·2전류감지센서(50a,50b), 제어부(60), 확인등(70), 모터작동스위치(80)를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또는 침투수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이들로 인한 합선으로부터 안정된 전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대(20)는 함체(10)의 수납공간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설치되며, 재질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재이다.
또한, 상기 설치대(20)에는 이후에 설명될 커넥터(30)와 제어부(60) 및 확인등(70), 모터작동스위치(8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0)는 케이스(31)와 입력선접속구(32) 및 배전선접속구(33), 탄발편(34)으로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31)는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통상 플레이트(1)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31)는 전체 형상이 T자형을 이루고 있고, 재질은 합성수지재의 절연체이며, 한 쌍의 구조체가 열융착을 매개로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31)의 내부는 T자형으로 관통되어 있는데,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1)에서 하방향으로 관통된 부분에는 입력선(L1)이 고정되는 입력선접속구(32)가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양단부에는 배전선(L2)이 고정되는 배전선접속구(33)가 각각 설치되며, 마지막으로 케이스(31)의 내면과 입력선접속구(32)의 상면 사이에는 입력선접속구(32)를 일방향으로 탄발하는 탄발편(34)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1)의 상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부(3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1a)는 이송블록(42)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입력선접속구(32)와 한 쌍의 배전선접속구(33)에는 입력선(L1) 및 배전선(L2)이 고정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아니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내측으로 삽입된 전선을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해 고정하거나 또는 내주면에 돌기를 두어 한번 삽입되면 잘 빠지지 않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력선접속구(32)와 한 쌍의 배전선접속구(33)는 전기가 잘 흐를 수 있도록 금속과 같은 도전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선접속구(32)의 상단부에 형성된 접속부걸이공(32a)으로 전환장치(40)의 접속부(43)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항상 입력선(L1)이 고정된 입력선접속구(32)가 배전선(L2)이 고정된 한 쌍의 배전선접속구(33)와 접속부(43)를 매개로 연결되기 때문에 안정된 전기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탄발편(34)은 통상의 판스프링이다.
여기에서, 상기 배전선(L2)에 대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배전선(L2)은 한 몸체로서, 일측의 전선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선을 이루고, 타측의 전선은 분기되어 한 쌍의 배전선접속구(33)에 각각 삽입되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환장치(40)는 구동모터(41)와 이송블록(42) 및 접속부(43)로 구성되며, 통상 회전운동이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41)는 모터작동스위치(80)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통상의 서보모터(Servomotor)로서, 구동모터(41)의 일측에는 스크류(41a)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41a)는 공지의 볼스크류(Ballscrew)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블록(42)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체로서, 케이스(31)의 가이드부(31a)에 상단부가 돌출되게 삽입되어 상단부가 스크류(4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접속부(43)는 금속재질의 도전체로서, 일단부는 이송블록(42)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입력선접속구(32)의 접속부걸이공(3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제1·2전류감지센서(50a,50b)는 케이스(31)의 양측 상면에 배치되며 전류의 흐름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1·2전류감지센서(50a,50b)는 통상의 전류계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60)는 플레이트(1)에 설치되며, 제1·2전류감지센서(50a,50b)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를 플레이트(1)에 설치된 확인등(70)을 동작제어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전류감지센서(50a)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60)는 확인등(70) 즉, A부분에 전구를 켜게 되고, 그 반대로 제2전류감지센서(50b)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60)는 확인등(70) 즉, B부분에 전구를 켜 작업자에게 현재 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확인등(70)의 A와 B전구 둘 다 불이 들어와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는 플레이트(1)에 설치된 모터작동스위치(8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눌러 전환장치(40)의 구동모터(41) 동작시켜 주므로서, 전기연결을 전환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선접속구(32)와 한 쌍의 배전선접속구(33)에 입력선(L1)과 배전선(L2)을 각각 연결한다.
입력선(L1)을 따라 흐르는 전기는 접속부(43)를 매개로 좌측에 위치한 배전선접속구(33)와 연결되어 배전선(L2)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때, 케이스(31)의 상부 좌측면에 위치한 제1전류감지센서(50a)는 좌측에 위치한 배전선접속구(33)를 통해 흐르는 전기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전달한다. 제어부(60)는 제1전류감지센서(50a)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확인등(70)의 A전구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를 통해 전기가 원활하게 흐르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확인등(70)의 A와 B전구 둘 다 불이 들어와 있지 않을 경우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플레이트(1)에 설치된 모터작동스위치(8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눌러 전환장치(40)의 구동모터(41) 동작시켜 준다.
모터작동스위치(80)에 의해 작동된 구동모터(41)는 일측에 연결된 스크류(41a)를 강제로 회전시키게 되고, 스크류(41a)에 연결된 이송블록(42)는 가이드부(31a)를 따라 좌에서 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블록(42)의 하단부에 고정된 접속부(43)이 좌에서 우로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우측에 삽입 고정된 배전선접속구(33)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됨으로서, 입력선(L1)을 따라 흐르는 전기가 우측에 위치한 배전선접속구(33)와 연결되고, 최종적으로 우측 배전선접속구(33)에 삽입고정된 배전선(L2)을 따라 전기가 흐르게 된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때, 케이스(31)의 상부 우측면에 위치한 제2전류감지센서(50b)는 우측에 위치한 배전선접속구(33)를 통해 흐르는 전기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60)로 전달한다.
제어부(60)는 제2전류감지센서(50b)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확인등(70)의 B전구를 동작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를 통해 전기가 원활하게 흐르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술한 구성을 기본전제로 하고, 접속부(43)의 접속불량을 해소하고 안전하고 원활하며 정확한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속부(43)의 양단에는 접속유도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접속유도수단은 도 5의 (a)와 같이, 볼트 형태를 갖는 도전성 결합로드(100)와, 상기 결합로드(100)와 일체로 연결된 탄성스프링(110)과, 상기 탄성스프링(110)의 일단에 고정되고 디스크 형상의 도전성 접속편(120)을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상기 접속유도수단은 상기 접속부(43)의 양단에 동일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유도수단을 접속부(43)에 접속하기 위해 상기 접속부(43)의 양단면에는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접속홈(130)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로드(100), 탄성스프링(110), 접속편(120)은 모두 도전성을 가져야 하고, 통전시 저항이 낮아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은 혹은 동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기 결합로드(100), 탄성스프링(110), 접속편(120)은 상기 접속구(43)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야 하는데, 이는 상기 접속구(43) 이동시 상기 결합로드(100), 탄성스프링(110), 접속편(120)이 배전선접속구(33)로 삽입될 때 간섭되거나 동작 불량이 유발되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정확한 접속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접속편(120)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반달 모양을 갖도록 하여 약간의 탄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접촉불량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함체(10) 내부에 고정된 설치대(20)의 전면 하측에는 도 5의 (b)와 같은 형태로 히터설치홈(200)이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설치홈(200)에는 비교적 저렴한 글래스관 히터(210)가 장입 설치되는데, 열손실을 줄이고 건조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기 히터설치홈(200)에는 반원형상의 열반사판(220)이 먼저 설치된 후 상기 글래스관 히터(210)가 상기 열반사판(220)과 간격을 두고 설치 고정된다.
그런 다음, 상기 글래스관 히터(210)로부터 인출된 전선은 제어부(60)와 연결되어 그 발열동작이 제어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설치대(20)의 양측단 상부측에는 각각 온도센서(230)와 습도센서(240)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온도센서(230)와 습도센서(240)는 각각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들이 더 포함됨으로써, 배전선(L2)과의 연결을 전환하기 위해 접속부(43)가 볼스크류에 의해 이송될 때 상기 접속편(120)과 탄성스프링(110)의 탄성 변형력을 이용한 가압 접촉 구조로 인해 접속 불량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함체(10) 내부에서 기온차에 의해 결로 현상이 발생되거나 미세한 틈새를 통해 유입된 수분, 습기 등에 의해 함체(10) 내부 습도가 일정 이상 높아지면 상기 제어부(60)는 습도센서(240)로부터 계측된 신호를 송신한 후 글래스관 히터(210)를 가동시켜 내부 온도, 즉 온도센서(230)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정해진 온도 이상이 될 때 까지 내부를 신속히 건조하며, 건조가 완료되면서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글래스관 히터(210)를 오프시켜 함체(10) 내부가 항상 일정한 건조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를 통해, 함체(10) 내부에서의 누전이나 합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은 상술한 도어 잠금수단을 도 6과 같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함체(10)에 구비되는 개폐형 도어(11)의 시건성을 증대시킴으로써 허가되지 않은 자가 임의로 함체(10)를 열고 조작하는 행위를 원천 봉쇄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더 증대시킨 구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도어(11)가 설치된 함체(10)의 전면 틀 상에는 고정쇠(300)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쇠(300)와 대응되는 위치의 도어(11) 상에는 잠금쇠(400)가 설치되어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쇠(300)는 도 6의 (a)에서와 같이, 'ㅗ' 형상을 갖는 부재이며, 수직하게 세워진 부분에는 잠금구멍(31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잠금볼트공(320)이 형성되어 함체(10)의 전면 틀 상에 견고히 볼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쇠(400)는 하부 일측에 작동공간(410)이 형성되고, 선단면에는 일정깊이 설치홈(420)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아울러, 상기 설치홈(420)의 개방된 전면은 선단커버(430)에 의해 밀폐된다.
여기에서, 상기 선단커버(430)의 일부 및 상기 설치홈(420)의 하방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공간(410)까지 연통되는 유동로(440)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유동로(440)는 또한 상기 설치홈(420)과 연통되게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잠금쇠(400)의 일측면에는 이를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다수의 고정볼트공(45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공(450)에는 고정볼트(미도시)가 삽입된 후 상기 도어(11)의 표면에 견고히 고정된다.
나아가, 상기 잠금쇠(400)의 선단부 상측에는 배터리(460)가 매립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460)는 축전지는 물론 건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동로(440)에는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봉 형상의 래크(470)가 삽입되며, 상기 설치홈(420)에는 피니언(48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피니언(480)은 상기 래크(470)와 치결합되게 배치된다.
아울러, 도 6의 (b)에서와 같이, 상기 피니언(480)의 일측면에는 베벨기어 형태의 종동기어(490)가 일체로 더 형성되고, 상기 종동기어(490)에는 마찬가지로 베벨기어 형태를 갖는 구동기어(500)가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500)는 구동모터(510)의 동력을 받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510)는 상기 설치홈(420)의 일측 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배터리(46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모터(510)는 키박스(520)를 경유하여 스위칭 가능하게 배터리(460)와 배선되는데, 키박스(520)는 통상의 구조이나 3개의 단자를 가지고 있어 키를 꽂고 중립에 두면 커먼단자(common terminal)와 접속되어 전기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고,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전기가 통전되면서 구동모터(51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전기가 통하면서 구동모터(5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기능을 수행한다.
때문에, 키박스(520)에 꽂힐 수 있는 키를 소유한 허가된 자만이 도어(11)를 열 수 있어 보안성이 강화되며, 자동 잠금 기능이 수행되므로 안전성도 향상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커넥터(30)의 설치를 좀 더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7에서는 커넥터(30)의 주요 부분만을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설치대(20)의 전면 하측에 커넥터끼움홈(600)이 요입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끼움홈(600)은 사각형상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넥터끼움홈(600)의 내부 일측벽을 관통하여 사각형상의 유닛설치구멍(H1)이 형성되고, 상기 유닛설치구멍(H1)에는 선단이 상기 커넥터끼움홈(600)과 일치되게 삽입되는 고정유닛(610)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고정유닛(610)에는 선택적으로 탄성 출몰되는 고정봉(620)이 조립되고, 상기 커넥터끼움홈(600)으로 노출된 고정봉(620)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커넥터끼움홈(600)의 타측벽에는 일정깊이 요입된 고정봉삽입홈(H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봉(620)은 상기 설치대(20)의 전면에 설치된 레버(630)를 당겼을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바깥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유닛(610)의 후단 상,하면에는 결속편(640)이 돌출되고, 상기 결속편(640)은 회전가능하게 힌지고정된 결속고정편(650)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결속편(640)은 도 8의 (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부커버(C1)와 하부커버(C2) 각각에서 돌출되고, 전면 일부에는 요입된 상태에서 철편(642)이 매립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속고정편(650)은 도 8의 (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힌지축(HIN)이 설치대(20)의 측면에 축 고정되고, 하부 일측면에는 자석(652)이 고정되어 상기 철편(642)과 흡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커넥터(30)의 배면에는 상기 커넥터끼움홈(600)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블럭(700)이 돌출되고, 상기 삽입블럭(700)에는 측방으로 관통된 블럭고정공(710)이 천공 형성되는데, 상기 블럭고정공(710)에는 상기 고정봉(6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블럭고정공(710)의 입구측은 확경된 상태로 테이퍼 가공됨으로써 상기 고정봉(620)의 삽입을 원활하게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C1)와 하부커버(C2)는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고정유닛(610)을 구성하며, 조립의 용이성과 견고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부커버(C1)의 하단 둘레에는 후크구멍(HV)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C2)의 둘레 일부, 더 정확하게는 상기 후크구멍(HV)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후크(HK)가 형성되어 상호 후크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커버 조립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유닛(610)의 내부에는 고정봉(620)이 삽입된 상태에서 끼워져야 하므로 상기 고정봉(620)은 길이방향으로 분절된 상태에서 서로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분절시킨 상태에서 각각 하부커버(C1)의 내부에서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관통시켜 끼운 다음 하부커버(C1) 내부에서 상호 나사체결함으로써 하나의 고정봉(620)을 쉽게 조립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봉(620)의 일단부에는 출몰을 제한하는 제1턱(622)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2턱(624)이 형성되되, 제2턱(624)과 하부커버(C2)의 내벽면 사이에는 작동스프링(626)이 상기 고정봉(620)에 끼워진 채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고정봉(620)은 항상 도시상 좌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스프링(626)이 설치된 지점과 반대쪽 고정봉(620) 상에는 원추형상의 스토핑홈(628)이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핑홈(628)에는 대응되는 형상이 스토퍼(632)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632)는 레버(630)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레버(630)도 조립상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분절되고, 분절된 것들이 서로 나사체결되어 하나의 몸체로 된 레버(630)를 구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레버(630)는 상기 상부커버(C1)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632)와 상기 상부커버(C1)의 내벽면 사이에는 상기 레버(630)에 끼워진 채 유동스프링(634)이 개재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토퍼(632)의 설치위치는 상기 고정봉(620)이 최대한 깊숙히 삽입되었을 때 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30)를 조립하기 위해 삽입블럭(700)을 커넥터끼움홈(600)에 끼운 다음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봉(620)의 단부에 힘을 가해 누른다.
그러면, 고정봉(620)이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작동스프링(626)을 압축하게 되며,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커넥터끼움홈(600)으로 노출되면서 동시에 커넥터끼움홈(600)에 끼워져 있는 삽입블럭(700)의 블럭고정공(710)을 관통하여 고정봉삽입홈(H2) 속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봉(620)이 최대로 이동하게 되면, 스토핑홈(628)은 스토퍼(632)의 직하방에 놓이게 되고, 동시에 유동스프링(634)의 미는 힘에 의해 스토퍼(632)는 스토핑홈(628)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스토핑하게 된다.
때문에, 상기 고정봉(620)은 전진된 상태로 위치고정되게 되며, 이에 따라 커넥터(30)는 끼움과 동시에 걸림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대(20) 상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해체시에는 레버(630)를 살짝 당겨 들어 올리면 스토퍼(632)가 스토핑홈(628)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이때에는 압축되었던 작동스프링(626)이 신장되므로 고정봉(620)은 원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유닛(610)은 커넥터(30)의 설치를 매우 편리하게 하여 준다.
10: 함체 20: 설치대 30: 커넥터
31: 케이스 32: 입력선접속구 33: 배전선접속구
34: 탄발편 40: 전환장치 41: 구동모터
42: 이송블록 43: 접속부 50a: 제1전류감지센서
50b: 제2전류감지센서 60: 제어부 70: 확인등
80: 모터작동스위치 100: 결합로드 110: 탄성스프링
120: 접속편 200: 히터설치홈 210: 글래스관 히터
220: 열반사판 230: 온도센서 240: 습도센서

Claims (1)

  1.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며, 전면에는 도어(11)가 설치된 절연재질의 배선용 보호함체(10): 배선용 보호함체(10)의 내부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는 절연재질의 설치대(20): 설치대(20)에 고정되고, 전체적으로 T자형을 이루되, 내부가 T자형으로 관통되며 상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가이드부(31a)가 구비된 절연재질의 케이스(31)와; 상단부에 접속부걸이공(32a)을 갖추고서, 케이스(31)에 실장되어 입력선(L1)이 연결가능하게 고정되는 전도체재질의 입력선접속구(32)와; 일단에 접속부유도면(33a)을 갖추고서,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케이스(31)의 양측으로 삽입고정되어 타단으로 배전선(L2)이 연결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배전선접속구(33)와; 케이스(31)에 내설되어 입력선접속구(32)의 상면을 일방향으로 탄발하는 탄발편(34)을 갖춘 커넥터(30): 일측에 스크류(41a)를 갖추고서, 케이스(31) 상에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모터(41)와; 상단부가 스크류(41a)에 설치되고 하단부가 가이드부(31a)을 관통하여 케이스(3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이송블록(42)과; 일측이 이송블록(42)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접속부걸이공(32a)에 삽입관통되어 지지되며 이송블록(42)의 이동에 의해 한 쌍의 배전선접속구(33)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전도체재질의 접속부(43)를 갖춘 전환장치(40): 케이스(31)의 양측 상면에 배치되며 전류의 흐름을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2전류감지센서(50a,50b): 제1·2전류감지센서(50a,50b)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확인등(70)을 동작제어하는 제어부(60): 제어부(60)에 의해 동작되어 외부로 불빛을 방출하는 확인등(70): 구동모터(4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동작제어하는 모터작동스위치(80)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부(43)의 양단면에는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접속홈(13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접속홈(130)에는 대응되는 나사산을 갖는 도전성 결합로드(100)가 나사체결되며, 상기 결합로드(100)의 단부에는 도전성 탄성스프링(110)이 고정되고, 상기 탄성스프링(110)의 단부에는 상기 배전선(L2)의 단자와 접촉되도록 반원형상의 도전성 접속편(120)이 고정되며, 상기 설치대(20)의 전면 하단부에는 히터설치홈(20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히터설치홈(200)에는 반원형 열반사판(220)이 고정되며, 상기 히터설치홈(200)에는 상기 열반사판(220)과 간격을 둔 상태로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글래스관 히터(210)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대(20)의 양단 상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60)와 연결되어 상기 글래스관 히터(210)의 발열을 제어하는 온도센서(230) 및 습도센서(240);를 포함하는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에는 시건을 위해 개폐가능한 도어(11)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11)가 설치된 함체(10)의 전면 틀 상에는 고정쇠(300)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쇠(300)와 대응되는 위치의 도어(11) 상에는 잠금쇠(400)가 설치되어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쇠(300)는 'ㅗ' 형상을 갖는 부재이며, 수직하게 세워진 부분에는 잠금구멍(31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잠금볼트공(320)이 형성되어 함체(10)의 전면 틀 상에 견고히 볼트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잠금쇠(400)는 하부 일측에 작동공간(410)이 형성되고, 선단면에는 일정깊이 설치홈(420)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을 갖는 부재이며, 상기 설치홈(420)의 개방된 전면은 선단커버(430)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선단커버(430)의 일부 및 상기 설치홈(420)의 하방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공간(410)까지 연통되는 유동로(44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유동로(440)는 상기 설치홈(420)과 연통되게 구성되고, 상기 잠금쇠(400)의 일측면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다수의 고정볼트공(45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공(450)에는 고정볼트가 삽입된 후 상기 도어(11)의 표면에 견고히 고정되고, 상기 잠금쇠(400)의 선단부 상측에는 배터리(460)가 매립 설치되며, 상기 유동로(440)에는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된 봉 형상의 래크(470)가 삽입되고, 상기 설치홈(420)에는 피니언(48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480)은 상기 래크(470)와 치결합되게 배치되고, 상기 피니언(480)의 일측면에는 베벨기어 형태의 종동기어(490)가 일체로 더 형성되며, 상기 종동기어(490)에는 베벨기어 형태를 갖는 구동기어(500)가 치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500)는 구동모터(510)의 동력을 받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510)는 상기 설치홈(420)의 일측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배터리(46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쇠(400) 상에는 키박스(520)가 더 설치되는데 상기 키박스(520)는 삽입되는 키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510)를 정회전, 정지, 역회전시키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로 사용되며;
    상기 설치대(20)의 전면 하측에는 커넥터끼움홈(60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끼움홈(600)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끼움홈(600)의 내부 일측벽을 관통하여 사각형상의 유닛설치구멍(H1)이 형성되고, 상기 유닛설치구멍(H1)에는 선단이 상기 커넥터끼움홈(600)과 일치되게 삽입되는 고정유닛(610)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고정유닛(610)에는 선택적으로 탄성 출몰되는 고정봉(620)이 조립되고, 상기 커넥터끼움홈(600)으로 노출된 고정봉(620)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커넥터끼움홈(600)의 타측벽에는 일정깊이 요입된 고정봉삽입홈(H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620)은 상기 설치대(20)의 전면에 설치된 레버(630)를 당겼을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바깥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유닛(610)의 후단 상,하면에는 결속편(640)이 돌출되고, 상기 결속편(640)은 회전가능하게 힌지고정된 결속고정편(650)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결속고정편(650)은 힌지축(HIN)이 설치대(20)의 측면에 축 고정되고, 하부 일측면에는 자석(652)이 고정되어 철편(642)과 흡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30)의 배면에는 상기 커넥터끼움홈(600)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블럭(700)이 돌출되고, 상기 삽입블럭(700)에는 측방으로 관통된 블럭고정공(710)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블럭고정공(710)에는 상기 고정봉(6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럭고정공(710)의 입구측은 확경된 상태로 테이퍼 가공되며;
    상기 결속편(640)은 상부커버(C1)와 하부커버(C2) 각각에서 돌출되고 전면 일부에는 요입된 상태에서 철편(642)이 매립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커버(C1)와 하부커버(C2)는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고정유닛(610)을 구성하며, 상부커버(C1)의 하단 둘레에는 후크구멍(HV)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C2)의 둘레 일부인 상기 후크구멍(HV)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후크(HK)가 형성되어 상호 후크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봉(620)은 길이방향으로 분절된 상태에서 서로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봉(620)의 일단부에는 출몰을 제한하는 제1턱(622)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제2턱(624)이 형성되고, 제2턱(624)과 하부커버(C2)의 내벽면 사이에는 작동스프링(626)이 상기 고정봉(620)에 끼워진 채 배치되며, 상기 작동스프링(626)이 설치된 지점과 반대쪽 고정봉(620) 상에는 원추형상의 스토핑홈(628)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홈(628)에는 대응되는 형상이 스토퍼(632)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632)는 레버(630)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레버(630)는 상기 상부커버(C1)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632)와 상기 상부커버(C1)의 내벽면 사이에는 상기 레버(630)에 끼워진 채 유동스프링(634)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KR1020150188313A 2015-12-29 2015-12-29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KR101629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313A KR101629732B1 (ko) 2015-12-29 2015-12-29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313A KR101629732B1 (ko) 2015-12-29 2015-12-29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732B1 true KR101629732B1 (ko) 2016-06-24

Family

ID=5634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313A KR101629732B1 (ko) 2015-12-29 2015-12-29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7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9888A (zh) * 2018-01-30 2018-06-01 余姚市嘉荣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漏电保护器
KR101865293B1 (ko) * 2017-12-04 2018-06-07 (주)진전기엔지니어링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
CN117783709A (zh) * 2023-10-30 2024-03-29 西安梦源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电气自动化设备的检测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805A (ko) * 1995-12-28 1997-07-26 김태구 도어중앙잠금장치
KR19990036546A (ko) * 1998-06-30 1999-05-25 이월용 도어 잠금 장치
KR101040179B1 (ko) 2010-11-18 2011-06-16 김종선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용 배선패널
KR101219136B1 (ko) * 2012-07-30 2013-01-09 (주)선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전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805A (ko) * 1995-12-28 1997-07-26 김태구 도어중앙잠금장치
KR19990036546A (ko) * 1998-06-30 1999-05-25 이월용 도어 잠금 장치
KR101040179B1 (ko) 2010-11-18 2011-06-16 김종선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용 배선패널
KR101219136B1 (ko) * 2012-07-30 2013-01-09 (주)선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전패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293B1 (ko) * 2017-12-04 2018-06-07 (주)진전기엔지니어링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
CN108109888A (zh) * 2018-01-30 2018-06-01 余姚市嘉荣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漏电保护器
CN108109888B (zh) * 2018-01-30 2023-10-03 余姚市嘉荣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漏电保护器
CN117783709A (zh) * 2023-10-30 2024-03-29 西安梦源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电气自动化设备的检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6248B2 (ja) 電気コネクタシステム
KR101629732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KR100679600B1 (ko) 건축물에 설치하는 자동 전기차단 안전콘센트
JP5389026B2 (ja) リニア駆動装置を組み付ける装置
US10236681B2 (en) Power cable assembly having a circuit protection device
KR101152865B1 (ko) 안전콘센트
CN106936030B (zh) 用于电子设备的接地端子
KR101040179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용 배선패널
US10916905B2 (en) External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KR101219136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전패널
JP2011008947A5 (ko)
CN105375229A (zh) 配线管道连接装置
KR101190175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2486729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CN207795004U (zh) 一种智能门
WO2015190827A2 (ko) 안전 콘센트
US20170194901A1 (en)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olar Cell Module
EP3617429B1 (en) Electric striker unit
KR10195995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
US11309157B2 (en) “SAVUS” a simple, low cost emergency home power connection
CN206004096U (zh) 一种防漏电安全地插
KR101468506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CN211238021U (zh) 一种用电模块联锁结构
CN219697954U (zh) 一种led电源保护装置及led灯具
CN106252951B (zh) 一种防触电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