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293B1 -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 - Google Patents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293B1
KR101865293B1 KR1020170165289A KR20170165289A KR101865293B1 KR 101865293 B1 KR101865293 B1 KR 101865293B1 KR 1020170165289 A KR1020170165289 A KR 1020170165289A KR 20170165289 A KR20170165289 A KR 20170165289A KR 101865293 B1 KR101865293 B1 KR 101865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spring
actuators
press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호진
Original Assignee
(주)진전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전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진전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65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다량의 전선을 적용함에 있어서 배전함의 전선인출구를 유연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외부의 이물질 침투를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제1,2조작버튼의 조작 해제에 따라 제1,2액추에이터가 원활하게 복귀되면서 다량의 전선에 대한 결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POWER DISTRIBUTION BOX FOR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CABLES I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기술 분야 중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다량의 전선을 적용함에 있어서 배전함의 전선인출구를 유연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외부의 이물질 침투를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제1,2조작버튼의 조작 해제에 따라 제1,2액추에이터가 원활하게 복귀되면서 다량의 전선에 대한 결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이 한 동에 다수의 세대 또는 상가가 입주하는 건물에는 외부로부터 단선으로 인입되는 고압의 전선을 수용하여 각 세대 또는 상가별로 배전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배전 및 배선은 외부에 드러난 배전함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각 세대 또는 상가별로 유입되는 전기를 총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전기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관리 및 유지보수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전함은 내부에 인입된 단선의 고압 전원을 분배하여 다수의 해당 세대별로 분기시키기 위한 다수의 배전판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배전판에 4~6개의 전선이 분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전판은 하나의 배전함에 수 개에서 수십 개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배전함에서 인출되는 전선은 수십에서 수백 개의 가닥으로 나뉘며 이러한 다량의 전선은 배전함 내부에서 정리되어 인출된다.
통상적으로 상술한 배전함은 다수의 배전판이 배치되는 하부케이스프레임과, 하부케이스프레임에 배치된 배전판에서 분기되는 다량의 전선을 인출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전선인출구를 갖는 상부케이스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러나, 전선인출구는 그 크기가 획일적이어서 해당 전선인출구에 적용되는 전선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경우 전선인출구와 전선들 사이의 넓은 틈으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어 내부 배전판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용되는 전선의 수가 늘어날 경우, 획일적인 전선인출구의 크기로 인해 좀더 큰 전선인출구를 갖는 상부케이스프레임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교체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99515호(2012.11.09.)에는 '다량의 전선 배선을 위한 공동 주택 전용 배전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다량의 전선 배선을 위한 공동 주택 전용 배전함은 제1,2액추에이터가 토션스프링에 의해서만 가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2조작버튼에 대한 조작 해제시 원상태로 원활하게 복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99515호(2012.11.09.) '다량의 전선 배선을 위한 공동 주택 전용 배전함'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다량의 전선을 적용함에 있어서 배전함의 전선인출구를 유연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외부의 이물질 침투를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제1,2조작버튼의 조작 해제에 따라 제1,2액추에이터가 원활하게 복귀되면서 다량의 전선에 대한 결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량의 전선(50)이 분기되는 다수의 배전판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케이스프레임(200); 외측 벽체(101)와, 상기 외측 벽체(101)와 일정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는 내측 벽체(10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상부케이스프레임(100); 상기 상부케이스프레임(10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다량의 전선(50)이 인출되는 전선인출구(103); 및 상기 상부케이스프레임(100)의 내측 벽체(102)와 외측 벽체(101)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선인출구(103)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전선단속장치(1)를 포함하되, 상기 전선단속장치(1)는, 상기 상부케이스프레임(100)의 외측 벽체(101)에서 내측 벽체(102)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회전축(15); 상기 회전축(15)을 공동축으로 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전선인출구(103)를 개방시키는 제1,2액추에이터(10,20); 상기 상부케이스프레임(100)의 외측 벽체(101)의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호 마주 보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2액추에이터(10,20)에 의해 폐쇄된 전선인출구(103)를 개방시키는 제1,2조작버튼(41,42); 및 상기 제1,2액추에이터(10,20)의 회전축(15)과 동축으로 형성되는 스프링 지지부(16)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제1,2액추에이터(10,20)에 의해 항상 상기 전선인출구(103)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토션스프링(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액추에이터(10,20)는, 상기 회전축(15)에서 상방으로 각각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각 조작버튼(41,42)에서 돌출된 힌지공(412,421)이 관통된 후 고정링(14,24)에 의해 자체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제1,2가동부(11,21); 상기 회전축(15)에서 하방으로 각각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2가동부(11,21)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전선인출구(103)를 각각 개방시키는 제1,2가압부(12,22); 및 상기 각 가압부(12,22)에 부착되어 제1,2가압부(12,22)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될 때 상기 전선인출구(103)를 상호 접촉에 의해 폐쇄시키는 스폰지(13,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2조작버튼(41,42)은 상기 상부케이스프레임(100)의 외측 벽체(101)에 수평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1011,1012)에 상기 힌지공(412,421)이 관통된 후, 상기 각 가동부(11,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111,211)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링(14,2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토션스프링(30)은 상기 회전축(15)과 동축으로 형성된 스프링 지지부(16)의 지지를 받아 상기 각 가동부(11,21)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12,212)에 양단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각 가동부(11,21)를 벌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1,2조작버튼(41,42)의 상호 오므리는 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토션스프링(30)의 가압력을 저장하며 상기 제1,2가압부(12,22) 및 스폰지(13,23)가 상기 전선인출구(103)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 주택 전용 배전함에 있어서, 상기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 해제에 따라 상기 제1,2액추에이터(10,20)가 원활하게 복귀되면서 다량의 전선(50)에 대한 결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복귀유도부(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귀유도부(300)는, 상기 가동부(11,21)를 배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부가압수단(310); 상기 제1,2가압부(12,22)를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하부가압수단(32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가압수단(310)은, 양단부가 상기 가동부(11,21)를 통과하는 상부가이드바(311); 및 상기 가동부(11,21)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가이드바(31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상부스프링(312)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가압수단(320)은, 상기 제1,2가압부(12,22)에 구비되는 제1,2돌기(321,322); 양단부가 상기 제1,2돌기(321,322)를 통과하는 하부가이드바(323); 상기 하부가이드바(323)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324); 및 상기 제1,2돌기(321,322) 사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가이드바(323)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하부스프링(325)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스프링(312)은,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다 상기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에 따른 상기 가동부(11,21)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수축되는 한편, 상기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 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가동부(11,21)를 배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하부스프링(325)은,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다 상기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에 따른 상기 제1,2가압부(12,22)가 배향되는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수축되는 한편, 상기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 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제1,2가압부(12,22)를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전용 배전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인출구로 유출되는 전선의 양에 따라 배전함의 전선인출구의 크기가 유연하게 조절되기 때문에 외부 이물질이 배전함 내부로 침투되어 배전판을 오염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다량의 전선 배선에 따른 인출구의 크기가 조절되기 때문에 해당 케이스 프레임으로의 교체를 배제시켜 비용 절감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조작버튼의 조작 해제에 따라 제1,2액추에이터가 원활하게 복귀될 수 있음으로써 다량의 전선에 대한 결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에서 전선단속장치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에서 전선단속장치에 의해 전선인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전선인출구에 다량의 전선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에서 복귀유도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서 복귀유도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199515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199515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199515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제1,2조작버튼의 조작 해제에 따라 제1,2액추에이터가 원활하게 복귀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199515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배전함(110)은 일정 크기의 담지 공간을 갖는 하부케이스프레임(200)과, 하부케이스프레임(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상부케이스프레임(100)에는 다수의 전선인출구(103)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선인출구(103)로 다량의 전선(50)이 인출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하부케이스프레임(200) 내의 담지 공간에는 다수의 배전판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고압의 단선을 각 세대별로 분기하여 해당 전압에 맞도록 상술한 다량의 전선(50)에 의해 각각 인출시킨다.
또한, 각각의 전선인출구(103)의 상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단속장치(1)가 배치되어 있다. 전선단속장치(1)는 상부케이스프레임(100)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설치되는 제1,2조작버튼(41,42)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하부케이스프레임(200) 내의 배전판으로부터 인출된 전선(50)을 정리하여 전선인출구(103)로 인입시키기 위하여 제1,2조작버튼(41,42)을 도 1의 화살표 방향(상호 내측 방향)으로 오므리면 하측의 전선인출구(103)가 개방되며 이 전선인출구(103)의 개방된 부분으로 전선(50)을 인출시킨 후 제1,2조작버튼(41,42)에서 손을 떼면 전선인출구(103)가 폐쇄된다.
실질적으로 전선인출구(103)에 인출된 전선(50)의 외주면은 스폰지가 감싸고 있으며, 이러한 스폰지는 방수성 스폰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폰지는 전선의 외주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전선인출구(103)를 폐쇄시키기 때문에 전선인출구(103)는 전선 이외에 별도의 허용 공간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배전함(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전선단속장치(1)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전선단속장치(1)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선단속장치(1)는 상부케이스프레임(100) 내에 설치된다.
상부케이스프레임(100)은 외측 벽체(101)와, 외측 벽체(10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내측 벽체(102)로 구성되며, 외측 벽체(101)와 내측 벽체(102) 사이의 공간에 본 발명에 따른 전선단속장치(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술한 전선단속장치(1)가 완전히 설치되면, 상부케이스프레임(100)에는 전선단속장치(1)가 보이지 않으며, 상부케이스프레임(100)의 외측 벽체(101)의 외면에 제1,2조작버튼(41,42)만이 돌출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단속장치(1)는 외측 벽체(101)에서 내측 벽체(102)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15)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2액추에이터(10,20)가 설치된다.
제1액추에이터(10)는 회전축(15)을 중심으로 상술한 조작버튼 중 제1조작버튼(41)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방으로 제1가동부(11)가 형성되고,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하측에 전선인출구(103)를 폐쇄시키기 위한 제1가압부(12)가 설치된다.
제1가압부(12)에는 스폰지(13)가 설치되어 전선인출구(103)의 적어도 반 이상을 가리도록 구성된다.
제2액추에이터(20)는 상술한 회전축(15)을 중심으로 상술한 조작버튼 중 제2조작버튼(42)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상방으로 제2가동부(21)가 형성되고,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하측에 전선인출구(103)를 폐쇄시키기 위한 제2가압부(22)가 설치된다.
제2가압부(22) 역시 스폰지(23)가 설치되어 전선인출구(103)의 적어도 반 이상을 가리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제1액추에이터(10)와 제2액추에이터(20)는 상호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토션스프링(30)이 회전축(15)과 동심원을 갖는 스프링 지지부(16)에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제1가동부(11)와 제2가동부(21)에는 걸림돌기(112,212)가 각각 형성되어, 토션스프링(30)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토션스프링(30)은 제1,2액추에이터(10,20)의 제1,2가동부(11,21)를 상호 외측으로 가압하며, 이로 인하여 제1,2액추에이터(10,20)의 제1,2가압부(12,22)는 상호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토션스프링(30)의 가압 작용에 따라 제1가압부(12)의 스폰지(13)와 제2가압부(22)의 스폰지(23)는 서로 맞물리게 됨으로써 상부케이스프레임(100)에 형성된 전선인출구(103)를 항상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조작버튼(41)과 제2조작버튼(42)은 상부케이스프레임(100)의 외측 벽체(101)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일정 길이의 가이드홈(1011,1012)을 관통하는 일정 길이의 힌지공(412,42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힌지공(412,421)은 제1,2액추에이터(10,20)의 각 가동부(11,21)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형성된 장공(111,211)을 관통한 후 소정의 고정링(14,24)에 의해 고정된다.
제1,2조작버튼(41,42)은 각각의 가이드홈(1011,1012)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이러한 제1,2조작버튼(41,42)의 이동에 따라 제1,2액추에이터(10,20)의 각 가동부(11,21)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회전축(15)에 의한 각 가동부(11,21)의 호 운동에 의해 상술한 각 조작버튼(41,42)의 힌지공(412,421)은 각 가동부(11,21)의 장공(111,211)을 따라 유동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배전함(110) 내부에 배치된 다량의 전선(50)을 상부케이스프레임(100)의 전선인출구(103)로 인출시키기 위하여 제1,2조작버튼(41,42)을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각각 지지하여 상호 오므리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제1,2조작버튼(41,42)의 각 힌지공(412, 421)은 상부케이스프레임(100)의 외측 벽체(101)에 각각 형성된 일정 길이의 가이드홈(1011,101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각 조작버튼(41,42)의 이동에 따라 제1,2액추에이터(10 20)의 제1,2가동부(11, 21)는 상호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유동된다.
이때, 회전축(15)의 스프링 지지부(16)의 지지를 받으며 상술한 각 가동부(11,21)를 외측으로 벌리려는 탄성력을 보유한 토션스프링(30)이 오므라들면서 제1,2액추에이터(10,20)의 제1,2가압부(12,22)는 상호 벌어지게 된다.
각 가동부(11,21)에 부착된 스폰지(13,23) 역시 벌어지며, 이러한 벌어진 공간에 의해 전선인출구(103)가 개방되는 것이다.
제1,2가동부(11,21)는 회전축(15)을 중심으로 상호 오므라들기 때문에 호 운동으로 인하여 각 조작버튼(41,42)의 힌지공(412,421)은 각 가동부(11,21)의 장공(111,211)을 타고 하측으로 내려오게 된다.
그 후, 각 가압부(12,22)의 동작에 의해 벌어진 틈, 즉 개방된 전선인출구(103)로 다량의 전선(50)을 인출시킨 뒤, 작업자는 각 조작버튼(41,42)에서 손을 떼게 된다.
손을 떼면, 각 조작버튼(41,42)은 토션스프링(30)에 의하여 제1,2액추에이터(10,20)의 가동부(11,21)가 상호 벌어지려는 가압력을 받게 되고, 회전축(15)을 중심으로 각 가압부(12,22)는 서로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된 다량의 전선(50)을 제외한 제1,2가압부(12,22)의 스폰지(13,23)에 의해 전선인출구(103)는 폐쇄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어떠한 양의 전선이 인출되더라도 해당 전선의 외주면에 스폰지가 긴밀히 밀착되면서 불필요한 전선인출구의 공간을 폐쇄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제품의 신뢰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 해제에 따라 제1,2액추에이터(10,20)가 원활하게 복귀되면서 다량의 전선(50)에 대한 결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복귀유도부(3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복귀유도부(300)는 다량의 전선(50)에 대한 안정적인 결속을 통해 전선인출구(103)를 통한 외부의 이물질 침투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복귀유도부(300)는 가동부(11,21)를 배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부가압수단(310) 및 제1,2가압부(12,22)를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하부가압수단(320)을 포함한다.
상부가압수단(310)은 스프링 지지부(16)를 중심으로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가압수단(320)은 스프링 지지부(16)를 중심으로 하부에 배치된다.
상부가압수단(310)은 토션스프링(30)이 제1,2액추에이터(10,20)의 중앙부에 배치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가동부(11,21)에 대한 불안전한 가압력을 보조한다.
하부가압수단(320)은 토션스프링(30)이 제1,2액추에이터(10,20)의 중앙부에 배치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제1,2가압부(12,22)에 대한 불안전한 가압력을 보조한다.
이에 따라, 상,하부가압수단(310,320)은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 해제에 따라 제1,2액추에이터(10,20)가 원활하게 복귀되면서 다량의 전선(50)에 대한 결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2조작버튼(41,42)에 대한 조작 해제는 제1,2조작버튼(41,42)을 가압하여 전선인출구(103)가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압 해제를 통해 전선인출구(103)가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하부가압수단(310,320)은 제1,2조작버튼(41,42)에 대한 인위적인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으로 가동부(11,21) 및 제1,2가압부(12,22)를 가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부가압수단(310)은 양단부가 가동부(11,21)를 통과하는 상부가이드바(311) 및 가동부(11,21) 간에 위치되도록 상부가이드바(31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상부스프링(312)을 포함한다.
상부가이드바(311)는 원형봉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 사이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곡선 형태를 이루면서 스프링 지지부(16)를 중심으로 제1,2액추에이터(10,2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가동부(11,21)에는 상부가이드바(311)가 통과하는 상부가이드공(11a,21a)이 형성된다.
상부가이드공(11a,21a)은 곡선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프링 지지부(16)를 중심으로 한 제1,2액추에이터(10,20)의 회동시, 가동부(11,21)가 상부가이드바(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회동되면서 상부가이드공(11a,21a)에 접촉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회동제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부가이드바(311)는 양단부에 결합부재(313)가 구비된다.
결합부재(313)는 상부가이드바(311)의 양단부에 구비되면서 상부가이드바(311)가 가동부(11,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가이드바(311)는 양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부재(31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져 상부가이드바(311)의 양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가이드바(311)는 전선인출구(103)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가동부(11,21) 간에 위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단부가 일직선 형태를 이루면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부스프링(312)은 일반적인 형태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가동부(11,21)간에 위치되도록 상부가이드바(311)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상부스프링(312)은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다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에 따른 가동부(11,21)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수축되는 한편,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 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가동부(11,21)를 배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부가압수단(310)은 상부스프링(312)의 단부와 가동부(11,21)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부가이드바(31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가압링(3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링(314)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스프링(3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상부스프링(312)의 가압에 따른 가동부(11,21)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부스프링(312)이 가동부(11,21)에 직접 접촉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가동부(11,21)의 파손 등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부스프링(312)은 스프링 지지부(16)를 중심으로 제1,2액추에이터(10,20)의 상부 즉, 가동부(11,21)를 가압함으로써 제1,2조작버튼(41,42)에 대한 조작 해제에 따라 원상태로의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하부가압수단(320)은 제1,2가압부(12,22)에 구비되는 제1,2돌기(321,322), 양단부가 제1,2돌기(321,322)를 통과하는 하부가이드바(323), 하부가이드바(323)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324) 및 제1,2돌기(321,322) 사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부가이드바(323)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하부스프링(325)을 포함한다.
하부가이드바(323)는 필요에 따라 스프링 지지부(16)와 연결되면서 일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2돌기(321,322)는 사각 형태를 이루며 제1,2가압부(12,22)에 대향되도록 연결된다.
하부가이드바(323)는 원형봉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 사이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곡선 형태를 이룬다.
제1,2돌기(321,322)에는 하부가이드바(323)가 통과하는 하부가이드공(321a,322a)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는, 스프링 지지부(16)를 중심으로 한 제1,2액추에이터(10,20)의 회동시, 제1,2가압부(12,22)가 하부가이드바(3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회동되면서 하부가이드공(321a,322a)에 접촉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회동제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하부가이드바(323)는 양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탈방지부재(324)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져 하부가이드바(323)의 양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하부스프링(325)은 일반적인 형태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제1돌기(321)와 일측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재 및 제2돌기(322)와 타측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재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부가이드바(323)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하부스프링(325)은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다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에 따른 제1,2가압부(12,22)가 배향되는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수축되는 한편,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 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제1,2가압부(12,22)를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탈방지부재(324)는 회전에 따라 하부가이드바(32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부스프링(325)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324)는 회전에 따라 하부가이드바(32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2액추에이터(10,20)의 회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하부가압수단(320)은 하부스프링(325)과 이탈방지부재(324)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부가이드바(323)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외측지지링(326) 및 하부스프링(325)과 제1,2돌기(321,322)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부가이드바(323)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내측지지링(327)을 더 포함한다.
내,외측지지링(327,326)은 하부스프링(325)의 양단부에 위치되도록 하부가이드바(323)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하부스프링(325)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복귀유도부(300)는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 해제에 따라 제1,2액추에이터(10,20)가 원활하게 복귀되면서 다량의 전선(50)에 대한 결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1: 전선단속장치 10: 제1액추에이터
11: 제1가동부 12: 제1가압부
13, 23: 스폰지 14, 24: 고정링
15: 회전축 16: 스프링 지지부
20: 제2액추에이터 30: 토션스프링
41: 제1조작버튼 42: 제2조작버튼
100: 상부케이스프레임 103: 전선인출구
300: 복귀유도부 310: 상부가압수단
311: 상부가이드바 312: 상부스프링
313: 결합부재 314: 가압링
320: 하부가압수단 321: 제1돌기
322: 제2돌기 323: 하부가이드바
324: 이탈방지부재 325: 하부스프링
326: 외측지지링 327: 내측지지링

Claims (1)

  1. 다량의 전선(50)이 분기되는 다수의 배전판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케이스프레임(200);
    외측 벽체(101)와, 상기 외측 벽체(101)와 일정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는 내측 벽체(10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프레임(200)과 결합되는 상부케이스프레임(100);
    상기 상부케이스프레임(10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다량의 전선(50)이 인출되는 전선인출구(103); 및
    상기 상부케이스프레임(100)의 내측 벽체(102)와 외측 벽체(101)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선인출구(103)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전선단속장치(1)를 포함하되,
    상기 전선단속장치(1)는,
    상기 상부케이스프레임(100)의 외측 벽체(101)에서 내측 벽체(102)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회전축(15);
    상기 회전축(15)을 공동축으로 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전선인출구(103)를 개방시키는 제1,2액추에이터(10,20);
    상기 상부케이스프레임(100)의 외측 벽체(101)의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호 마주 보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2액추에이터(10,20)에 의해 폐쇄된 전선인출구(103)를 개방시키는 제1,2조작버튼(41,42); 및
    상기 제1,2액추에이터(10,20)의 회전축(15)과 동축으로 형성되는 스프링 지지부(16)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제1,2액추에이터(10,20)에 의해 항상 상기 전선인출구(103)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토션스프링(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액추에이터(10,20)는,
    상기 회전축(15)에서 상방으로 각각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각 조작버튼(41,42)에서 돌출된 힌지공(412,421)이 관통된 후 고정링(14,24)에 의해 자체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제1,2가동부(11,21);
    상기 회전축(15)에서 하방으로 각각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2가동부(11,21)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전선인출구(103)를 각각 개방시키는 제1,2가압부(12,22); 및
    상기 각 가압부(12,22)에 부착되어 제1,2가압부(12,22)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될 때 상기 전선인출구(103)를 상호 접촉에 의해 폐쇄시키는 스폰지(13,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2조작버튼(41,42)은 상기 상부케이스프레임(100)의 외측 벽체(101)에 수평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1011,1012)에 상기 힌지공(412,421)이 관통된 후, 상기 각 가동부(11,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111,211)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링(14,2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토션스프링(30)은 상기 회전축(15)과 동축으로 형성된 스프링 지지부(16)의 지지를 받아 상기 각 가동부(11,21)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12,212)에 양단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각 가동부(11,21)를 벌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1,2조작버튼(41,42)의 상호 오므리는 방향으로의 조작에 의해 상기 토션스프링(30)의 가압력을 저장하며 상기 제1,2가압부(12,22) 및 스폰지(13,23)가 상기 전선인출구(103)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 주택 전용 배전함에 있어서,
    상기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 해제에 따라 상기 제1,2액추에이터(10,20)가 원활하게 복귀되면서 다량의 전선(50)에 대한 결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다량의 전선(50)에 대한 안정적인 결속을 통해 상기 전선인출구(103)를 통한 외부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복귀유도부(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귀유도부(300)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16)를 중심으로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부(11,21)를 배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토션스프링(30)이 상기 제1,2액추에이터(10,20)의 중앙부에 배치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가동부(11,21)에 대한 불안전한 가압력을 보조하는 상부가압수단(310);
    상기 스프링 지지부(16)를 중심으로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2가압부(12,22)를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토션스프링(30)이 상기 제1,2액추에이터(10,20)의 중앙부에 배치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제1,2가압부(12,22)에 대한 불안전한 가압력을 보조하는 하부가압수단(3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압수단(310)은,
    양단부가 상기 가동부(11,21)를 통과하는 상부가이드바(311);
    상기 가동부(11,21)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가이드바(31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상부스프링(312);
    상부가이드바(311)의 양단부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상부가이드바(311)가 상기 가동부(11,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재(313); 및
    상기 상부스프링(312)의 단부와 상기 가동부(11,21)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가이드바(31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가압링(314)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이드바(311)는,
    양단부 사이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곡선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제1,2액추에이터(10,2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압링(314)은,
    상기 상부스프링(31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스프링(312)의 가압에 따른 상기 가동부(11,21)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상부스프링(312)이 상기 가동부(11,21)에 직접 접촉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가동부(11,21)의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하부가압수단(320)은,
    상기 제1,2가압부(12,22)에 구비되는 제1,2돌기(321,322);
    양단부가 상기 제1,2돌기(321,322)를 통과하는 하부가이드바(323);
    상기 하부가이드바(323)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324);
    상기 제1,2돌기(321,322) 사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가이드바(323)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하부스프링(325);
    하부스프링(325)과 이탈방지부재(324)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부가이드바(323)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외측지지링(326); 및
    하부스프링(325)과 제1,2돌기(321,322)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부가이드바(323)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내측지지링(327)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가이드바(323)는,
    양단부 사이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곡선 형태를 이루며, 양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324)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가이드바(323)의 양단부에 나사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가이드바(32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하부스프링(325)의 탄성력을 조절하며,
    상기 상부스프링(312)은,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다 상기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에 따른 상기 가동부(11,21)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수축되는 한편, 상기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 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가동부(11,21)를 배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하부스프링(325)은,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다 상기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에 따른 상기 제1,2가압부(12,22)가 배향되는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수축되는 한편, 상기 제1,2조작버튼(41,42)의 조작 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제1,2가압부(12,22)를 대향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전용 배전함.
KR1020170165289A 2017-12-04 2017-12-04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 KR101865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89A KR101865293B1 (ko) 2017-12-04 2017-12-04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89A KR101865293B1 (ko) 2017-12-04 2017-12-04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293B1 true KR101865293B1 (ko) 2018-06-07

Family

ID=6262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289A KR101865293B1 (ko) 2017-12-04 2017-12-04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2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911B1 (ko) * 2010-03-18 2010-07-14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공동주택의 전기배선라인 연결용 접속자
KR101199515B1 (ko) 2012-06-12 2012-11-09 주식회사 다산전기기술사사무소 다량의 전선 배선을 위한 공동 주택 전용 배전함
KR101540112B1 (ko) * 2015-04-09 2015-07-30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구간 배전선로 차단 장치
KR101629732B1 (ko) * 2015-12-29 2016-06-24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911B1 (ko) * 2010-03-18 2010-07-14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공동주택의 전기배선라인 연결용 접속자
KR101199515B1 (ko) 2012-06-12 2012-11-09 주식회사 다산전기기술사사무소 다량의 전선 배선을 위한 공동 주택 전용 배전함
KR101540112B1 (ko) * 2015-04-09 2015-07-30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구간 배전선로 차단 장치
KR101629732B1 (ko) * 2015-12-29 2016-06-24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지중배전선의 합선 방지용 배선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9235B2 (en) Modular device control unit
US20140226286A1 (en) Wall-mounted controller with a removable portion
US20190267821A1 (en) Led light having added-on or built-in arrangement to hold wires and prevent them from dangling
US10249455B2 (en) In-wall electrical control unit with openable switch cover
US9331436B2 (en) Multi-outlet capable of conveniently organizing cables connected to electric appliances
KR102014209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KR101199515B1 (ko) 다량의 전선 배선을 위한 공동 주택 전용 배전함
KR200328542Y1 (ko) 전선수집상자
KR101865293B1 (ko)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
KR101263748B1 (ko) 다량의 전선 배선을 위한 공동 주택 전용 배전함
KR100924603B1 (ko)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US6424060B1 (en) Power transfer system having a lockout plate
KR101885602B1 (ko) 다량의 전선배선을 위한 공동주택 전용 배전함
MX2007003752A (es) Ensamble de recinto de bajo trabajo.
CN210900044U (zh) 一种机房用网络机柜
KR101094166B1 (ko) 이미용 전기기구 수납 및 전원공급장치
CN105826101B (zh) 环网柜的联锁装置
KR200441726Y1 (ko) 케이블 안전장치
CA2852256C (en) Deconta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electrical apparatus
ZA200501728B (en) Apparatus for distributing electrical power and/orcommunication signals
JP4981657B2 (ja) 分電盤
KR200258703Y1 (ko) 멀티탭
US10746388B2 (en) Light source with integrated cable management system
KR20160020092A (ko) 벽면 매입방식 콤팩트 분전반
KR102241648B1 (ko) 멀티탭 설치용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