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209B1 -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4209B1 KR102014209B1 KR1020190021816A KR20190021816A KR102014209B1 KR 102014209 B1 KR102014209 B1 KR 102014209B1 KR 1020190021816 A KR1020190021816 A KR 1020190021816A KR 20190021816 A KR20190021816 A KR 20190021816A KR 102014209 B1 KR102014209 B1 KR 1020142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support
- insertion hole
- plate
- bi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6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clamping the armour of the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내설된 전선을 침투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한편, 전선삽입공으로의 전선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내설된 전선을 침투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한편, 전선삽입공으로의 전선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아파트는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실내에는 각종 컴퓨터나 여러 엘이디 기구를 포함한 전기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많은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배선이 복잡하게 설치된다.
종래의 아파트를 시공할 때에는 배전선만 배선되었으나, 최근에는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아파트를 시공함에 있어서도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 층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공동주택에 사용하는 전선은 벽체에 설치되는 보호관을 통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종래의 보호관은 관리자 이외에 제3자의 접근이 쉬워 접촉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호관의 측면이 개방되기 때문에 습한 지역 예컨대, 지하실과 같은 곳에 설치할 경우 침투수의 유입이 쉬어 전기합선으로 인한 단전 또는 화재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0921호(2012.09.07.)에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전선 보호관은 관체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전선삽입공으로의 전선의 삽입이 쉽지 않은 것은 물론, 전선으로의 설치 후에는 분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내설된 전선을 침투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한편, 전선삽입공으로의 전선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되, 양단에는 전선(1)이 내부로 삽입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13)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체(10); 결합홈(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돌기(21)와, 결합공(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커버인출봉(22)을 갖추고서, 관체(10)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관체커버(20); 관체(10)의 결합홈(11)과 관체커버(20)의 결합돌기(21)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하는 실링재(30); 전선(1)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41)과, 내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42)을 갖추고서, 관체(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선지지부(40); 전선안착홈(4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돌기(51)와, 걸림턱(42)에 맞물리는 걸림홈(52)을 갖추고서, 관체커버(20)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전선고정부(50); 및 커버인출봉(22)을 가압고정하는 가압홀(61)을 갖추고서, 전선고정부(5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공(12)을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고무재질의 가압부재(6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에 있어서, 전선삽입공(13)으로의 전선(1)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유도부(100)를 더 포함하며, 관체(10)는, 양단이 각각 전선삽입공(13)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관체(10)에 일체로 고정되는 하부판(14)과, 하부판(14)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판(15)으로 분기되고, 탈착유도부(100)는, 상부판(15)의 일측을 관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110); 상부판(15)이 하부판(14)의 상부를 닫은 상태에 상부판(15)을 관체(1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120); 및 상부판(15)이 하부판(14)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관체(10)로부터 상부판(15)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30)을 포함하며, 결속수단(120)은, 하부판(14)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결속바(121); 상부판(15)의 타측에 구비되면서 제1결속바(121)와 접함에 따라 원형봉(123)을 이루는 제2결속바(122); 및 원형봉(123)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제1,2결속바(121,122)를 결속하는 한편, 상,하부판(14,15)을 결속하는 결속부재(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관체와 관체커버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하며, 관리자 이외에 제3자가 쉽게 열 수 없어 가설된 전선과 접촉으로 인한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관체와 관체커버에 의해 전선이 밀폐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먼지 및 침투수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이들과의 접촉으로 인한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로부터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전선삽입공으로의 전선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설치 및 분리 교체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에서 탈착유도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에서 탈착유도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결속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상부판이 회전되면서 하부판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도
도 9는 도 8에서 지지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에서 탈착유도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에서 탈착유도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결속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상부판이 회전되면서 하부판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도
도 9는 도 8에서 지지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는 관체(10), 관체커버(20), 실링재(30), 전선지지부(40), 전선고정부(50), 가압부재(60)로 구성되며, 공동주택 그 중에서도 매우 습한 지역인 지하실에 설치되어 내설된 전선(1)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침투수의 유입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전기합선과 같은 안전사고로부터 전선(1)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체(1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상을 이루되,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관(管)으로서, 양단에는 전선(1)이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타단을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13)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에는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 중앙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선삽입공(13)의 내주면을 실링 처리하여 전선삽입공(13)과 전선(1) 사이로 침투수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체커버(20)는 관체(10)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 및 침투수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체커버(20)는 전체적으로 호 형상을 이루는 플레이트로서, 양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돌기(21)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커버인출봉(2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1)는 관체(10)의 결합홈(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인출봉(22)은 관체(10)의 결합공(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인출봉(22)에는 스토퍼(22a)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여기서 스토퍼(22a)는 이후에 설명될 가압부재(60)의 상면에 면 접촉되어 필요 이상으로 커버인출봉(22)이 결합공(12)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체(10)의 개구부로 관체커버(20)를 밀어 넣게 되면, 관체커버(20)에 형성된 결합돌기(21)와 커버인출봉(22)은 각각 결합홈(11)과 결합공(12)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관체(10)와 관체커버(20)를 상호 결합할 경우, 둘레면에는 돌출된 부위가 없기 때문에 관체(10)로부터 관체커버(20)를 해체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제3자가 가설된 전선(1)과 접촉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접촉으로 인한 전기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관체(10)와 관체커버(20)를 상호 결합하였을 때에 둘레면에 돌출된 부위가 전혀 없기 때문에 관체(10)로부터 관체커버(20)를 해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이때에는 관체(10)의 결합공(12)에 삽입된 커버인출봉(22)을 송곳과 같은 뾰족한 물건을 이용하여 강하게 밀게 되면 그 힘에 의해 결합홈(11)과 결합돌기(21)의 결합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되면서 관체커버(20)는 관체(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링재(30)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관체(10)의 결합홈(11)과 관체커버(20)의 결합돌기(21) 사이에 설치되어 침투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선지지부(40)는 전선(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포크형상의 플레이트로서, 관체(10)의 전선삽입공(13)으로 통해 삽입된 전선(1)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관체(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전선지지부(40)는 전선(1)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41)과, 내향으로 돌출되어 전선고정부(50)의 걸림홈(52)과 서로 맞물리는 걸림턱(42)을 구비한다.
상기 전선고정부(50)는 전선(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포크형상의 플레이트로서, 관체커버(20)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전선지지부(40)의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선고정부(50)는 전선안착홈(4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돌기(51)와, 걸림턱(42)에 맞물리는 걸림홈(52)을 구비한다.
상기 전선고정부(50)와 전선지지부(40)는 동일 축 선상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고정부(50)는 전선지지부(4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탄성체인 고무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60)는 탄성재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관체(10)의 내부, 좀 더 명확하게는, 전선지지부(40)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인출봉(22)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압부재(60)는 가압홀(61)이 형성되며, 가압홀(61)은 관체(10)의 결합공(12)과 동일 축 선상에 배치된다.
관체커버(20)를 관체(10)의 개구부로 밀어 넣게 되면, 하방향으로 돌출된 커버인출봉(22)의 일단이 가압홀(61)로 서서히 삽입되고, 여기서 좀 더 강하게 밀어 넣게 되면, 커버인출봉(22)은 가압부재(60)의 가압홀(61)을 관통하여 결합공(12)에 삽입되며,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면 커버인출봉(22)에 형성된 스토퍼(22a)에 의해 더 이상 커버인출봉(22)은 삽입되지 않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선(1)을 관체(10)의 전선삽입공(13)으로 삽입하여 맞은편 전선삽입공(13)을 통해 인출한다.
상기 관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전선지지부(40)의 전선안착홈(41)에 전선(1)을 삽입하여 안착시켜 준 다음, 관체커버(20)를 매개로 관체(10)의 개구부를 덮어 밀폐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관체(10)의 개구부로 관체커버(20)를 삽입시켜 주게 되면, 관체커버(2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돌기(21)가 관체(10)의 결합홈(11)에 삽입되면서 상호 결합되며, 관체커버(20)에 하부에 형성된 커버인출봉(22)은 관체(10)에 내설된 가압부재(60)의 가압홀(61)을 관통하여 관체(10)의 결합공(12)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결합돌기(21)와 결합홈(11) 사이에는 실링재(30)가 설치되어 있어 결합돌기(21)와 결합홈(11) 사이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먼지, 침투수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관체커버(20)가 관체(10)에 결합될 때에 전선고정부(50) 역시 전선지지부(40)에 삽입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선고정부(50)의 가압돌기(51)가 전선지지부(40)의 전선안착홈(41)으로 삽입되는 과정에 탄성재질의 가압돌기(51)가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자연스럽게 삽입되고, 가압돌기(51)가 완전히 전선안착홈(41)에 삽입되면 복원력에 의해 서서히 복원되며, 이때 전선지지부(40)의 가압턱(42)과 전선고정부(50)의 걸림홈(52)이 서로 맞대어지면서 더 이상내려가지 않고 고정된다.
내설된 전선(1)을 교체 및 보수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문제는 관체(10)와 관체커버(20)를 상호 결합하였을 때에 둘레면에 돌출된 부위가 전혀 없기 때문에 관체(10)로부터 관체커버(20)를 해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이때는 관체(10)의 결합공(12)에 삽입된 커버인출봉(22)을 송곳과 같은 뾰족한 물건을 이용하여 강하게 밀게 되면 그 힘에 의해 결합홈(11)과 결합돌기(21)의 결합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되면서 관체커버(20)를 관체(10)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삽입공(13)으로의 전선(1)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유도부(100)를 더 포함한다.
탈착유도부(100)는 전선(1)이 관체(1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전선삽입공(13)을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 또는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결합 또는 분리됨이 없이 관체(10)의 상하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전선삽입공(13)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탈착유도부(100)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에 대한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분리 교체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체(10)는 양단이 각각 전선삽입공(13)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관체(10)에 일체로 고정되는 하부판(14)과, 하부판(14)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판(15)으로 분기된다.
전선삽입공(13)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부가 상부판(15)에 형성되고, 하부가 하부판(14)에 형성되면서 상,하부판(15,14)이 상호 접함에 따라 원형 형태를 이룬다.
상부판(15)은 양측이 관체(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하부판(14)으로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탈착유도부(100)는 상부판(15)의 일측을 관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110), 상부판(15)이 하부판(14)의 상부를 닫은 상태에 상부판(15)을 관체(1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120)을 포함한다.
절첩부재(110)는 경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판(15)의 일측을 관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부판(15)은 절첩부재(110)를 중심으로 타측이 하부판(14)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선삽입공(13)이 개방되도록 하는 한편, 하부판(14)으로 회전되면서 전선삽입공(13)이 닫히도록 한다.
전선(1)은 전선삽입공(13)이 개방됨에 따라 하부판(14)에 형성되는 전선삽입공(13)의 일부 즉, 하부 부분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는, 전선(1)은 전선삽입공(13)이 개방됨에 따라 전선삽입공(13)의 하부 부분에 안착된 상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결속수단(120)은 전선(10)이 전선삽입공(13)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부판(15,14)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부판(15)을 관체(10)에 결속한다.
결속수단(120)은 하부판(14)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결속바(121), 상부판(15)의 타측에 구비되면서 제1결속바(121)와 접함에 따라 원형봉(123)을 이루는 제2결속바(122) 및 원형봉(123)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제1,2결속바(121,122)를 결속하는 한편, 상,하부판(14,15)을 결속하는 결속부재(124)를 포함한다.
제1결속바(121)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반원 형태를 이루며, 제2결속바(122)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반원 형태를 이루면서 상호 접함에 따라 원형봉(123)을 이룬다.
원형봉(123)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속부재(124)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원형봉(123)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제1,2결속바(121,122)는 상호 접하는 면에 자석(미도시)이 구비되면서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다.
탈착유도부(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15)이 하부판(14)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관체(10)로부터 상부판(15)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수단(130)은 관체(1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판(131), 상부판(15)이 안착되는 지지부재(132), 상부가 지지부재(132)에 연결되고 하부가 지지판(131)을 통과하는 지지바(133), 지지부재(132)외 지지판(131) 간에 위치되도록 지지바(133)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134), 지지바(133)의 하부로 나사결합되면서 지지판(131)으로부터 지지바(13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35)를 포함한다.
스프링(134)은 상부판(15)이 지지부재(132)에 안착됨에 따라 수축되는 한편, 상부판(15)이 지지부재(132)와 이격됨에 따라 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한편, 상부판(15)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지지바(13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탈방지부재(135)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지지바(133)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이탈방지부재(135)는 회전에 따라 지지바(133)가 승,하강되도록 하여 지지판(131)으로부터 지지부재(13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탈착유도부(100)는 전선(1)이 관체(10)의 상하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전선삽입공(13)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빠르고 간편한 설치와 함께 분리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 전선 10: 관체 20: 관체커버
30: 실링재 40: 전선지지부 50: 전선고정부
60: 가압부재 100: 탈착유도부 110: 절첩부재
120: 결속수단 121: 제1결속바 122: 제2결속바
123 : 원형봉 124: 결속부재 130: 지지수단
30: 실링재 40: 전선지지부 50: 전선고정부
60: 가압부재 100: 탈착유도부 110: 절첩부재
120: 결속수단 121: 제1결속바 122: 제2결속바
123 : 원형봉 124: 결속부재 130: 지지수단
Claims (1)
-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되, 양단에는 전선(1)이 내부로 삽입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13)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체(10);
결합홈(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돌기(21)와, 결합공(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커버인출봉(22)을 갖추고서, 관체(10)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관체커버(20);
관체(10)의 결합홈(11)과 관체커버(20)의 결합돌기(21)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하는 실링재(30);
전선(1)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41)과, 내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42)을 갖추고서, 관체(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선지지부(40);
전선안착홈(4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돌기(51)와, 걸림턱(42)에 맞물리는 걸림홈(52)을 갖추고서, 관체커버(20)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전선고정부(50); 및
커버인출봉(22)을 가압고정하는 가압홀(61)을 갖추고서, 전선고정부(5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공(12)을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고무재질의 가압부재(6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에 있어서,
전선(1)이 관체(10)의 상하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전선삽입공(13)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전선삽입공(13)으로의 전선(1)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착유도부(100)를 더 포함하며,
관체(10)는,
양단이 각각 전선삽입공(13)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관체(10)에 일체로 고정되는 하부판(14)과, 하부판(14)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판(15)으로 분기되고,
탈착유도부(100)는,
상부판(15)의 일측을 관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110);
전선(10)이 전선삽입공(13)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부판(15,14)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부판(15)을 관체(10)에 결속하는 결속수단(120); 및
상부판(15)이 상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선삽입공(13)을 개방한 상태에서 관체(10)로부터 상부판(15)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30)을 포함하며,
상부판(15)은,
절첩부재(110)를 중심으로 타측이 하부판(14)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선삽입공(13)이 개방되도록 하는 한편, 하부판(14)으로 회전되면서 전선삽입공(13)의 닫히도록 하고,
전선(1)은,
전선삽입공(13)이 개방됨에 따라 하부판(14)에 형성되는 전선삽입공(13)의 하부 부분으로 안착되거나, 전선삽입공(13)의 하부 부분에 안착된 상태로부터 분리 되며,
결속수단(120)은,
하부판(14)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결속바(121);
상부판(15)의 타측에 구비되면서 제1결속바(121)와 접함에 따라 원형봉(123)을 이루는 제2결속바(122); 및
원형봉(123)으로 나사결합되면서 제1,2결속바(121,122)를 결속하는 한편, 상,하부판(14,15)을 결속하는 결속부재(124)를 포함하고,
제1,2결속바(121,122)는,
상호 접하는 면에 자석이 구비되면서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며,
지지수단(130)은,
관체(1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판(131);
상부판(15)이 안착되는 지지부재(132);
상부가 지지부재(132)에 연결되고 하부가 지지판(131)을 통과하는 지지바(133);
지지부재(132)외 지지판(131) 간에 위치되도록 지지바(133)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스프링(134);
지지바(133)의 하부로 나사결합되면서 지지판(131)으로부터 지지바(13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35)를 포함하고,
스프링(134)은,
상부판(15)이 지지부재(132)에 안착됨에 따라 수축되는 한편, 상부판(15)이 지지부재(132)와 이격됨에 따라 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한편, 상부판(15)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탈방지부재(135)는,
회전에 따라 지지바(133)가 승,하강되도록 하여 지지판(131)으로부터 지지부재(132)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1816A KR102014209B1 (ko) | 2019-02-25 | 2019-02-25 |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1816A KR102014209B1 (ko) | 2019-02-25 | 2019-02-25 |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4209B1 true KR102014209B1 (ko) | 2019-08-27 |
Family
ID=6780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1816A KR102014209B1 (ko) | 2019-02-25 | 2019-02-25 |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4209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78954A (zh) * | 2019-09-21 | 2019-12-17 | 上海暖虫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暖器隔热结构 |
CN111664298A (zh) * | 2020-06-25 | 2020-09-15 | 杭州市电力设计院有限公司 | 一种用于装配式变电站墙体的可拆卸减震穿线管 |
KR102191319B1 (ko) * | 2020-02-04 | 2020-12-16 |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 공동주택 통신케이블의 설치장치 |
KR102303982B1 (ko) * | 2021-01-26 | 2021-09-24 | 주식회사 코담엔지니어링 |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
KR102640868B1 (ko) * | 2023-01-09 | 2024-02-27 | 주식회사 정인엔지니어링 | 배전선로의 누전 차단 시스템 설치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0973Y1 (ko) * | 2004-09-15 | 2004-12-23 | 김장성 |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
KR101180921B1 (ko) | 2012-06-04 | 2012-09-07 | (주)삼삼이엔지 |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
KR101879771B1 (ko) * | 2016-12-01 | 2018-07-18 | 주식회사 포스코 | 구동롤 축 지지장치 |
KR101885536B1 (ko) * | 2018-02-05 | 2018-08-06 | 주식회사 이린 |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
-
2019
- 2019-02-25 KR KR1020190021816A patent/KR1020142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0973Y1 (ko) * | 2004-09-15 | 2004-12-23 | 김장성 |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
KR101180921B1 (ko) | 2012-06-04 | 2012-09-07 | (주)삼삼이엔지 |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
KR101879771B1 (ko) * | 2016-12-01 | 2018-07-18 | 주식회사 포스코 | 구동롤 축 지지장치 |
KR101885536B1 (ko) * | 2018-02-05 | 2018-08-06 | 주식회사 이린 |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78954A (zh) * | 2019-09-21 | 2019-12-17 | 上海暖虫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暖器隔热结构 |
KR102191319B1 (ko) * | 2020-02-04 | 2020-12-16 |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 공동주택 통신케이블의 설치장치 |
CN111664298A (zh) * | 2020-06-25 | 2020-09-15 | 杭州市电力设计院有限公司 | 一种用于装配式变电站墙体的可拆卸减震穿线管 |
KR102303982B1 (ko) * | 2021-01-26 | 2021-09-24 | 주식회사 코담엔지니어링 |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
KR102640868B1 (ko) * | 2023-01-09 | 2024-02-27 | 주식회사 정인엔지니어링 | 배전선로의 누전 차단 시스템 설치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4209B1 (ko) |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 |
KR101180921B1 (ko) |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 |
KR102064350B1 (ko) |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 |
KR101885536B1 (ko) |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 |
KR101592525B1 (ko) |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 |
KR101983995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 |
KR101301250B1 (ko) |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 |
KR100924603B1 (ko) |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 |
KR101123909B1 (ko) | 지중전선과 인입전선 간 배전을 위한 실외배전반 | |
KR102230141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보호시스템 | |
KR101180920B1 (ko) |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 |
KR101170887B1 (ko) | 배전 선로의 분리 배선 가능한 전기 배선관 | |
KR100640712B1 (ko) |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 |
KR100670691B1 (ko) | 공동주택의 배전을 위한 스위치박스의 전선 단말 고정장치 | |
KR102303982B1 (ko) |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 |
KR101558521B1 (ko) | 투명 라벨창이 구비되는 배선 닥트 | |
CN109586221B (zh) | 电气电缆穿墙保护管 | |
CN109586218B (zh) | 具有防水结构的电力电缆保护套管 | |
KR100870705B1 (ko) | 공동주택용 전선 단자함 구조. | |
KR100744466B1 (ko) |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 |
KR200415692Y1 (ko) | 책상의 수직전선 안내장치 | |
KR100648102B1 (ko) | 벽면매입형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 |
KR101621351B1 (ko) |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 |
KR101582427B1 (ko) | 시스템 박스 커버 | |
KR20180043562A (ko) | 콘센트 안전 커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