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427B1 - 시스템 박스 커버 - Google Patents

시스템 박스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427B1
KR101582427B1 KR1020140164331A KR20140164331A KR101582427B1 KR 101582427 B1 KR101582427 B1 KR 101582427B1 KR 1020140164331 A KR1020140164331 A KR 1020140164331A KR 20140164331 A KR20140164331 A KR 20140164331A KR 101582427 B1 KR101582427 B1 KR 101582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stem box
cover
lower cover
upper cover
rotar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옥선
Original Assignee
최옥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옥선 filed Critical 최옥선
Priority to KR1020140164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42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면에 매립되어 플러그, 랜선 등을 꼽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스템 박스의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 박스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건물 바닥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부커버는 상부커버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에서 플러그, 랜선 등을 꼽을 수 있도록 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커버를 열지 않고도 플러그, 랜선 등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시스템 박스 내부에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 박스 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스템 박스 커버{A System Box Cover}
본 발명은 건물의 바닥면에 매립되어 플러그, 랜선 등을 꼽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스템 박스의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 박스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건물 바닥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부커버는 상부커버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에서 플러그, 랜선 등을 꼽을 수 있도록 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커버를 열지 않고도 플러그, 랜선 등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시스템 박스 내부에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 박스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상업시설 등으로 사용되는 건물에서는 가정에서와 달리 컴퓨터, 복합기, 전화기 등 각종 사무기기의 전원선, 인터넷선, 전화선 등을 연결하기 위하여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바닥에 매립된 시스템 박스를 사용해왔다.
사무실 등의 환경에서 수많은 사무기기의 선을 연결하고 정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시스템 박스의 사용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 박스 내부에 형성된 콘센트에 플러그, 랜선 등을 꼽아 사용해야 하므로, 상기 시스템 박스를 덮는 커버(100)에는 전원선, 랜선 등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110)가 형성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분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쌓이게 되며, 특히 물청소 등을 할 때에는 물이 유입되어 감전, 누전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화재까지 발생할 수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시스템 박스 커버(10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전 등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개폐수단(120)이 마련되는데, 플러그, 랜선 등을 연결하거나 뺄 때마다 개폐수단(120)을 열고 작업을 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상당하였다.
따라서 물,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버를 개폐하지 않고도 플러그, 랜선 등을 연결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를 갖는 기존의 시스템 박스에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한 시스템 박스 커버의 필요성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7526호(2000. 10. 09. 등록) "플로아 매설용 시스템 박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시스템 박스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건물 바닥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부커버는 상부커버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에서 플러그, 랜선 등을 꼽을 수 있도록 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커버를 열지 않고도 플러그, 랜선 등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시스템 박스 내부에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 박스 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커버와 바닥면 사이에 삽입되어 물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누수차단부를 갖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상부커버와 바닥면 사이로 물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누전 등에 의한 재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박스 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플러그 또는 랜선의 연결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커버의 단자부와 시스템 박스의 콘센트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는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박스 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부커버가 시스템 박스에 압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압착부를 갖는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는 시스템 박스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박스 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부커버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시스템 박스의 내측면에 압착되는 회전부재와; 회전축과 회전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부재를 시스템 박스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부재가 시스템 박스의 내측면에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박스 커버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시스템 박스 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부재를 밀어 시스템 박스의 측면에 더욱 압착되도록 하는 조임부를 갖는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회전부재가 탄성부재의 복원력과 더불어 조임부에 의해 시스템 박스의 측면에 더욱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박스 커버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시스템 박스 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조임에 따라 회전부재를 시스템 박스 측으로 미는 조임볼트와; 하부커버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조임볼트를 가이드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조임부를 포함하여, 조임볼트를 조여 회전부재를 시스템 박스 측으로 밀도록 함으로써 회전부재가 시스템 박스 내측면에 더욱 압착되도록 하는 시스템 박스 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상부커버의 내부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선공유기, 방향장치, 음향장치 등의 추가기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박스 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박스의 커버는 시스템 박스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건물 바닥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에서 플러그, 랜선 등을 꼽을 수 있도록 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커버를 열지 않고도 플러그, 랜선 등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박스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와 바닥면 사이에 삽입되어 물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누수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박스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플러그 또는 랜선의 연결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박스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하부커버가 시스템 박스에 압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박스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하부커버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시스템 박스의 내측면에 압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축과 회전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시스템 박스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박스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회전부재를 밀어 시스템 박스의 측면에 더욱 압착되도록 하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박스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조임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를 시스템 박스 측으로 미는 조임볼트와; 상기 하부커버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를 가이드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박스의 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커버의 내부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스템 박스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건물 바닥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부커버는 상부커버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에서 플러그, 랜선 등을 꼽을 수 있도록 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커버를 열지 않고도 플러그, 랜선 등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시스템 박스 내부에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커버와 바닥면 사이에 삽입되어 물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누수차단부를 갖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상부커버와 바닥면 사이로 물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누전 등에 의한 재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플러그 또는 랜선의 연결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커버의 단자부와 시스템 박스의 콘센트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는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부커버가 시스템 박스에 압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압착부를 갖는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는 시스템 박스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부커버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시스템 박스의 내측면에 압착되는 회전부재와; 회전축과 회전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회전부재를 시스템 박스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부재가 시스템 박스의 내측면에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박스 커버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부재를 밀어 시스템 박스의 측면에 더욱 압착되도록 하는 조임부를 갖는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회전부재가 탄성부재의 복원력과 더불어 조임부에 의해 시스템 박스의 측면에 더욱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박스 커버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임에 따라 회전부재를 시스템 박스 측으로 미는 조임볼트와; 하부커버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조임볼트를 가이드하는 지지부재;를 갖는 조임부를 포함하여, 조임볼트를 조여 회전부재를 시스템 박스 측으로 밀도록 함으로써 회전부재가 시스템 박스 내측면에 더욱 압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상부커버의 내부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선공유기, 방향장치, 음향장치 등의 추가기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시스템 박스 커버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박스 커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시스템 박스 커버가 시스템 박스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박스 커버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박스 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박스 커버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시스템 박스 커버는 기존에 건물 등의 바닥(B)에 매립되어 플러그, 랜선 등을 꼽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스템 박스(S)를 덮는 것으로, 시스템 박스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커버(1)와; 상기 하부커버(1)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건물 바닥면(B)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커버(3);를 포함한다. 종래 시스템 박스 커버(100)는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도 1 참조) 바닥에 매립된 시스템 박스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개구부(110)를 형성하여 전원선, 랜선 등이 통과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개구부(110)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어 고장을 일으키게 되고, 특히 물이 유입되면 누전, 감전과 이에 따른 화재 발생 등의 재해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또한, 동전 등을 이용한 개폐 방식으로 인해 랜선, 플러그 등을 연결하기 위해 시스템 박스 커버(100)를 여닫는 일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박스 커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1)를 바닥면(B)에 매립된 시스템 박스(S)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커버(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상부커버(3)가 바닥면(B)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시스템 박스(S)를 밀폐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박스(S) 내부로 분진, 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바닥면(B)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부커버(3)의 상면에 플러그, 랜선 등을 꼽을 수 있는 단자부(31)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박스 커버를 열지 않고도 플러그 랜선 등의 손쉬운 연결 및 해제가 가능하며, 상기 단자부(31)가 바닥면(B)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물 청소시에도 상기 단자부(31)를 통해 상기 시스템 박스(S) 내부로 물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는 바닥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시스템 박스(S)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커버(1)의 상측으로는 상부커버(3)가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B)의 상부에 밀착되어 안착되며, 이를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 박스(S) 내부가 밀폐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1)는 하부커버(1)가 시스템 박스(S)의 내측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압착부(11)와, 상기 압착부(11)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조임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압착부(11)는 상기 하부커버(1)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하부커버(1)를 시스템 박스(S)의 내측면에 압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통 4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시스템 박스(S)에 압착될 수 있도록 서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4개의 압착부(1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커버(1)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시스템 박스(S)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압착부(11)에 의하여 시스템 박스(S)의 내측면에 압착됨으로써 시스템 박스 커버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압착부(11)는 상기 하부커버(11)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111)과; 상기 회전축(111)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시스템 박스(S)의 내측면에 압착되는 회전부재(113)와; 상기 회전축(111)과 회전부재(11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113)를 시스템 박스(S) 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1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11)은 상기 하부커버(1)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부재(113)의 회전 중심이 되며, 상기 회전축(111)은 상기 회전부재(113)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111)과 회전부재(113) 사이에는 상기 탄성부재(115)가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111)과 회전부재(113)가 탄성부재(115)의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회전부재(113)는 상기 회전축(111)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탄성부재(115)의 복원력을 제공받아 시스템 박스(S)의 내측면에 압착된다. 상기 회전부재(113)는 상기 하부커버(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위치 @에서 상기 시스템 박스(S) 내부로 삽입되며, ⓑ 방향으로 회전하여 ⓒ 상태에서 상기 시스템 박스(S)의 내측면과 압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15)는 ⓑ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부재(113)가 시스템 박스(S)의 내측면을 미는 방향의 힘을 받아 압착, 고정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11)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서로 마주보는 회전부재(113)는 양측의 시스템 박스(S) 내측면을 미는 방향의 힘을 받아 압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재(115)는 상기 회전축(111)과 회전부재(113) 사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113)의 회전에 따라 비틀림 탄성을 받을 수 있도록 토션 스프링(비틀림 스프링)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하부커버(1)가 시스템 박스(S) 내부에 삽입되기 전의 @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115)는 아무런 힘을 받지 않으며, 상기 하부커버(1)가 상기 시스템 박스(S) 내부로 삽입되어 ⓑ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에 따라 ⓑ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 즉 @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113)는 상기 탄성부재(11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시스템 박스(S)의 내측면을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하부커버(1)가 상기 시스템 박스(S)의 내부에 압착, 고정된다.
상기 조임부(13)는 상기 압착부(11)에 더하여 상기 하부커버(1)가 상기 시스템 박스(S) 내부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15)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부재(113)가 시스템 박스(S)의 내측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나, 이에 더하여 상기 회전부재(113)를 시스템 박스(S)의 내측면 방향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임부(13)는 조임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113)를 시스템 박스(S) 측으로 미는 조임볼트(131)와; 상기 하부커버(1)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131)를 가이드하는 지지부재(133);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볼트(131)는 상기 회전부재(113)를 시스템 박스(S) 측으로 미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부재(133)에 의해 가이드되어 조임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113)를 시스템 박스(S) 측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착부(11)에 의하여 하부커버(1)가 시스템 박스(S) 내측면에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볼트(131)를 상기 상부커버(3)의 외측에서 조여 상기 회전부재(113)를 누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커버(1)는 상기 시스템 박스(S)의 내측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3)를 하부커버(1)에 안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부커버(1)를 시스템 박스(S)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조임볼트(131)를 조여 상기 하부커버(1)를 시스템 박스(S)의 내측에 강하게 압착되도록 한 후, 상기 상부커버(3)를 하부커버(1)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물론 상기 하부커버(1)와 상부커버(3)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입볼트(131)를 상기 상부커버(3)의 외측으로 관통시켜 상부커버(3)의 외측에서 조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133)는 상기 하부커버(3)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13)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131)가 상기 회전부재(113)를 정확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133)의 내측면에는 상기 조임볼트(131)가 삽입, 관통되고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131)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조임볼트(131)는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33)를 따라 움직이며, 상기 회전부재(113)를 눌러 상기 시스템 박스(S) 내측면에 압착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커버(3)는 상기 하부커버(1)의 상측에 형성되며, 바닥면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하부커버(1)보다 큰 직경을 갖는 버섯 머리 모양으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3)는 시스템 박스(S)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커버(1)보다 큰 직경을 갖고, 바닥면(B)의 상부에 안착되므로, 상기 시스템 박스(S) 내부로 물, 분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3)는 상기 하부커버(1)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하부커버(1)에 안착될 수 있도록 탈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1)를 시스템 박스(S) 내부에 삽입한 후 상기 압착부(11)에 의해 상기 하부커버(1)가 시스템 박스(S)의 내측면에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볼트(131)를 조여 더욱 강하게 압착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커버(3)를 상기 하부커버(1)에 압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볼트(131)가 상기 상부커버(3)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부커버(3)의 외측에서 조임볼트(131)가 조여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커버(3)는 상기 상부커버(3)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에서 플러그, 랜선 등을 꼽을 수 있도록 하는 단자부(31)와, 상기 상부커버(3)와 바닥면(B) 사이에 삽입되어 물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누수차단부(33), 플러그 또는 랜선의 연결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35)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부(31)는 상기 상부커버(3)의 상측 외측면에 형성되어 랜선, 플러그 등을 꼽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시스템 박스(S) 내부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선을 꼽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박스 커버를 열지 않고도 외부에서 플러그, 랜선 등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 동전 등을 이용하여 시스템 박스 커버를 열어야 했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으며,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스템 박스(S) 내부로 물,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상기 단자부(31)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부커버(3)의 상측에 형성되어 물 청소시에도 물이 닿거나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누전 등에 의한 화재 등의 재해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각종 전원선의 플러그와 랜선 등의 네트워크 연결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선 등의 네트워크 연결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단자부(311)와, 각종 전원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단자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단자부(311)는 랜선 등의 네트워크 연결선이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랜선 등이 꼽아지는 네트워크콘센트(311a)와, 상기 네트워크콘센트(311a)와 시스템 박스(S)에 형성된 네트워크콘센트(N)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라인(311b)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 박스 커버를 열지 않고 상기 상부커버(3)의 상측 외측면에 형성된 네트워크콘센트(311a)에 랜선 등의 네트워크 연결선을 꼽는 것만으로 네트워크의 연결이 가능해진다.
상기 전원단자부(313)는 각종 전원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각종 전원선의 플러그가 꼽아지는 전원콘센트(313a)와, 상기 전원콘센트(313a)와 시스템 박스(S)에 형성된 전원콘센트(P)를 연결하는 전원라인(313b)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 박스 커버를 열지 않고 상기 상부커버(3)의 상측 외측면에 형성된 전원콘센트(313a)에 플러그를 꼽는 것만으로 전원의 연결이 가능해진다.
상기 누수차단부(33)는 상기 상부커버(3)와 바닥면(B) 사이에 원형으로 삽입되어 물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된 방수패킹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실리콘,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커버(3)는 상기 하부커버(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B)에 안착되므로, 상기 시스템 박스(S) 내부를 밀폐하게 되나, 상기 상부커버(3)와 바닥면(B) 사이로 물이 새어들어갈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누수차단부(33)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커버(3)와 바닥면(B) 사이 공간으로 물이 새어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박스(S)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표시부(35)는 플러그 또는 랜선의 연결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3)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플러그 또는 랜선의 연결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네크워크라인(311b), 전원라인(313b)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전원 또는 네트워크 연결선이 제대로 연결되어 작동하고 있는지를 측정하도록 하여 상기 표시부(35)를 통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35)는 전원선 등의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전원표시부(351)와, 네트워크의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네트워크표시부(353)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동작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박스 커버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시스템 박스 커버는 하부커버(1)와 상부커버(3)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커버(1)와 상부커버(3) 사이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높이조절부(5)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박스 커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박스 커버의 하부커버(1) 및 상부커버(3)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3)는 네트워크 중계기가 장착되는 네트워크중계기 장착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1)와 상부커버(3) 사이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커버(3)의 높이를 높임으로써 상부커버(3)의 내부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상부커버(3) 내부에 무선공유기와 같은 네트워크중계기, 방향을 표시할 수 있는 방향장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장치 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높이조절부(5)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시스템 박스 커버의 내부에 장착되는 장치의 크기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중계기 장착부(37)는 상기 상부커버(3)의 내부에 네트워크중계기(W)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상부커버(3)의 내측에 지지되어 일정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무선공유기와 같은 네트워크중계기는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향장치, 음향장치 등 다양한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박스의 네트워크 콘센트(N)에 무선공유기 등의 네트워크중계기를 연결하고, 상기 네트워크중계기 장착부(37)에 네트워크중계기를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시스템 박스 커버에 네트워크중계기가 위치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고, 네트워크중계기의 오염 또한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방향장치, 음향장치 등의 전원을 전원 콘센트(P)에 연결하고 상기 네트워크중계기 장착부(37)에 올려놓음으로써 방향안내, 음성안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하부커버
11: 압착부
111: 회전축 113: 회전부재 115: 탄성부재
13: 조임부
131: 조임볼트 133: 지지부재
3: 상부커버
31: 단자부
311: 네트워크단자부 313: 전원단자부
33: 누수차단부
35: 표시부
351: 전원표시부 353: 네트워크표시부
37: 네트워크중계기 장착부
5: 높이조절부
* 종래기술에 관한 부호
100: 종래 시스템 박스 커버
110: 개구부 120: 개폐수단

Claims (8)

  1. 건물의 바닥면에 매립되어 플러그, 랜선을 꼽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스템 박스의 커버에 있어서,
    시스템 박스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건물 바닥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외측에서 플러그, 랜선을 꼽을 수 있도록 하는 단자부를 포함하여, 커버를 열지 않고도 플러그, 랜선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하부커버를 시스템 박스에 고정시키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의 고정력을 보강하는 조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부는,
    상기 하부커버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하부커버의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시스템 박스 내로 삽입시 시스템 박스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회전하고, 하부커버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축과 회전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며, 비틀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커버를 시스템 박스에 삽입시 회전부재가 시스템 박스 내측면에 압착되어 하부커버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조임부는,
    조임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를 하부커버의 외측으로 밀어 회전부재가 시스템 박스의 내측면에 더욱 강하게 압착되도록 하는 조임볼트와, 상기 조임볼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박스 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164331A 2014-11-24 2014-11-24 시스템 박스 커버 KR101582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331A KR101582427B1 (ko) 2014-11-24 2014-11-24 시스템 박스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331A KR101582427B1 (ko) 2014-11-24 2014-11-24 시스템 박스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427B1 true KR101582427B1 (ko) 2016-01-05

Family

ID=5516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331A KR101582427B1 (ko) 2014-11-24 2014-11-24 시스템 박스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4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517A (ja) * 1991-11-18 1994-02-04 Setsuyou Kogyo Kk フロアコンセント
KR20100020072A (ko) * 2008-08-12 2010-02-22 (주) 천우티이엠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KR101392514B1 (ko) * 2012-12-14 2014-05-07 (주)경진이엠씨 매설자리의 깊이에 따른 높이조정이 가능한 전원선 인출복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517A (ja) * 1991-11-18 1994-02-04 Setsuyou Kogyo Kk フロアコンセント
KR20100020072A (ko) * 2008-08-12 2010-02-22 (주) 천우티이엠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콘센트
KR101392514B1 (ko) * 2012-12-14 2014-05-07 (주)경진이엠씨 매설자리의 깊이에 따른 높이조정이 가능한 전원선 인출복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209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US9318886B1 (en) Electrical fixture mounting system
US20120111597A1 (en) Weatherproof cover having bidirectional hinge
US20190040610A1 (en) Water detection and shut-off system and methods
US8455759B2 (en) Inlet cover and adapter assembly for electrical components
KR101592525B1 (ko)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2064350B1 (ko)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US11817689B2 (en) Watertight box and adapter
KR101885536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KR101301250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US9634421B2 (en) While-in-use deck box
US5879184A (en) Outdoor electrical outlet protector
KR101360778B1 (ko)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KR101440799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KR101582427B1 (ko) 시스템 박스 커버
KR10201718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콘센트함
KR101638939B1 (ko)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775717B1 (ko) 바닥 매립형 콘센트 박스장치
KR101641667B1 (ko)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박스
US11710953B2 (en) Outdoor electrical outlet cover
KR101398450B1 (ko) 물침투 방지 매립형 콘센트 박스
KR20080003766U (ko) 방우 및 이탈방지형 콘센트와 플러그
KR20150120707A (ko) 물침투 방지 신발
KR20180043562A (ko) 콘센트 안전 커버
US10634252B2 (en) Dual gasket retainers for mating electrical device enclos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