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350B1 -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350B1
KR102064350B1 KR1020190091727A KR20190091727A KR102064350B1 KR 102064350 B1 KR102064350 B1 KR 102064350B1 KR 1020190091727 A KR1020190091727 A KR 1020190091727A KR 20190091727 A KR20190091727 A KR 20190091727A KR 102064350 B1 KR102064350 B1 KR 102064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re
hole
coupling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
문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Priority to KR102019009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내설된 전선을 침투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한편, 관체 커버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관체 내부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Protection Pipe For Distribution Cabl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내설된 전선을 침투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한편, 관체 커버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관체 내부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아파트는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실내에는 각종 컴퓨터나 여러 조명 기구를 포함한 전기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많은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배선이 복잡하게 설치된다.
종래의 아파트를 시공할 때에는 배전선만 배선되었으나, 최근에는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아파트를 시공함에 있어서도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 층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공동주택에 사용하는 전선은 벽체에 설치되는 보호관을 통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종래의 보호관은 관리자 이외에 제 3 자의 접근이 쉬워 접촉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호관의 측면이 개방되기 때문에 습한 지역 예컨대, 지하실과 같은 곳에 설치할 경우 침투수의 유입이 쉬어 전기합선으로 인한 단전 또는 화재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0921호(2012.09.07.)에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전선 보호관은 커버 인출봉이 가압홀로 인입되며 가압 고정되는 등 관체 커버에 대한 개방이 어렵기 때문에 관체 내부에 대한 점검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80921호(2012.09.07.)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설치 및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내설된 전선을 침투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한편, 관체 커버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관체 내부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되, 양단에는 전선이 내부로 삽입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체;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커버인출봉을 갖추고서, 관체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관체커버; 관체의 결합홈과 관체커버의 결합돌기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하는 실링재; 전선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과, 내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갖추고서, 관체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선지지부; 전선안착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선안착홈에 안착된 전선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돌기와, 걸림턱에 맞물리는 걸림홈을 갖추고서, 관체커버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전선고정부; 및 커버인출봉을 가압고정하는 가압홀을 갖추고서, 전선고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공을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고무재질의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에 있어서, 관체커버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관체 내부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점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점검부는, 관체의 양측에 구비되고 단부에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고정바; 상기 고정바와 대향되도록 관체커버의 양측에 구비되고 단부에는 암나사공에 대향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가압바; 상기 통공에 삽입된 후 단부는 암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 상기 고정바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분리캠; 상기 고정바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게 설치된 안내관; 및 상기 안내관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게 가압바의 저면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안내핀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관체와 관체 커버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하며, 관리자 이외에 제 3 자가 쉽게 열 수 없어 가설된 전선과 접촉으로 인한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관체와 관체 커버에 의해 전선이 밀폐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먼지 및 침투수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이들과의 접촉으로 인한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로부터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관체 커버에 대한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관체 내부에 대한 점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에 점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에서 점검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180921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180921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180921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은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로 대체하고, 관체 커버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180921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는 관체(10), 관체커버(20), 실링재(30), 전선지지부(40), 전선고정부(50), 가압부재(60)로 구성되며, 공동주택 그 중에서도 매우 습한 지역인 지하실에 설치되어 내설된 전선(1)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침투수의 유입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전기합선과 같은 안전사고로부터 전선(1)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체(1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상을 이루되,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관(管)으로서, 양단에는 전선(1)이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타단을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13)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에는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 중앙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선삽입공(13)의 내주면을 실링 처리하여 전선삽입공(13)과 전선(1) 사이로 침투수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체 커버(20)는 관체(10)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 및 침투수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체 커버(20)는 전체적으로 호 형상을 이루는 플레이트로서, 양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돌기(21)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커버인출봉(2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1)는 관체(10)의 결합홈(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인출봉(22)은 관체(10)의 결합공(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커버인출봉(22)에는 스토퍼(22a)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여기서 스토퍼(22a)는 이후에 설명될 가압부재(60)의 상면에 면 접촉되어 필요 이상으로 커버인출봉(22)이 결합공(12)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체(10)의 개구부로 관체 커버(20)를 밀어 넣게 되면, 관체 커버(20)에 형성된 결합돌기(21)와 커버인출봉(22)은 각각 결합홈(11)과 결합공(12)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관체(10)와 관체 커버(20)를 상호 결합할 경우, 둘레면에는 돌출된 부위가 없기 때문에 관체(10)로부터 관체 커버(20)를 해체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제3자가 가설된 전선(1)과 접촉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접촉으로 인한 전기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관체(10)와 관체 커버(20)를 상호 결합하였을 때에 둘레면에 돌출된 부위가 전혀 없기 때문에 관체(10)로부터 관체 커버(20)를 해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이때에는 관체(10)의 결합공(12)에 삽입된 커버인출봉(22)을 송곳과 같은 뾰족한 물건을 이용하여 강하게 밀게 되면 그 힘에 의해 결합홈(11)과 결합돌기(21)의 결합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되면서 관체 커버(20)는 관체(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링재(30)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관체(10)의 결합홈(11)과 관체 커버(20)의 결합돌기(21) 사이에 설치되어 침투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선지지부(40)는 전선(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포크형상의 플레이트로서, 관체(10)의 전선삽입공(13)으로 통해 삽입된 전선(1)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관체(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전선지지부(40)는 전선(1)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41)과, 내향으로 돌출되어 전선고정부(50)의 걸림홈(52)과 서로 맞물리는 걸림턱(42)을 구비한다.
상기 전선고정부(50)는 전선(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포크형상의 플레이트로서, 관체 커버(20)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전선지지부(40)의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선고정부(50)는 전선안착홈(4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돌기(51)와, 걸림턱(42)에 맞물리는 걸림홈(52)을 구비한다.
상기 전선고정부(50)와 전선지지부(40)는 동일 축 선상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고정부(50)는 전선지지부(4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탄성체인 고무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60)는 탄성재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관체(10)의 내부, 좀 더 명확하게는, 전선지지부(40)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인출봉(22)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압부재(60)는 가압홀(61)이 형성되며, 가압홀(61)은 관체(10)의 결합공(12)과 동일 축 선상에 배치된다.
관체 커버(20)를 관체(10)의 개구부로 밀어 넣게 되면, 하방향으로 돌출된 커버인출봉(22)의 일단이 가압홀(61)로 서서히 삽입되고, 여기서 좀 더 강하게 밀어 넣게 되면, 커버인출봉(22)은 가압부재(60)의 가압홀(61)을 관통하여 결합공(12)에 삽입되며,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면 커버인출봉(22)에 형성된 스토퍼(22a)에 의해 더 이상 커버인출봉(22)은 삽입되지 않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선(1)을 관체(10)의 전선삽입공(13)으로 삽입하여 맞은편 전선삽입공(13)을 통해 인출한다.
상기 관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전선지지부(40)의 전선안착홈(41)에 전선(1)을 삽입하여 안착시켜 준 다음, 관체커버(20)를 매개로 관체(10)의 개구부를 덮어 밀폐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관체(10)의 개구부로 관체 커버(20)를 삽입시켜 주게 되면, 관체 커버(2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돌기(21)가 관체(10)의 결합홈(11)에 삽입되면서 상호 결합되며, 관체 커버(20)에 하부에 형성된 커버인출봉(22)은 관체(10)에 내설된 가압부재(60)의 가압홀(61)을 관통하여 관체(10)의 결합공(12)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결합돌기(21)와 결합홈(11) 사이에는 실링재(30)가 설치되어 있어 결합돌기(21)와 결합홈(11) 사이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먼지, 침투수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관체 커버(20)가 관체(10)에 결합될 때에 전선고정부(50) 역시 전선지지부(40)에 삽입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선고정부(50)의 가압돌기(51)가 전선지지부(40)의 전선안착홈(41)으로 삽입되는 과정에 탄성재질의 가압돌기(51)가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자연스럽게 삽입되고, 가압돌기(51)가 완전히 전선안착홈(41)에 삽입되면 복원력에 의해 서서히 복원되며, 이때 전선지지부(40)의 가압턱(42)과 전선고정부(50)의 걸림홈(52)이 서로 맞대어지면서 더 이상내려가지 않고 고정된다.
내설된 전선(1)을 교체 및 보수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문제는 관체(10)와 관체 커버(20)를 상호 결합하였을 때에 둘레면에 돌출된 부위가 전혀 없기 때문에 관체(10)로부터 관체 커버(20)를 해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이때는 관체(10)의 결합공(12)에 삽입된 커버인출봉(22)을 송곳과 같은 뾰족한 물건을 이용하여 강하게 밀게 되면 그 힘에 의해 결합홈(11)과 결합돌기(21)의 결합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되면서 관체 커버(20)를 관체(10)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 커버(20)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관체(10) 내부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점검부(1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점검부(100)는 커버인출봉(22)이 가압홀(61)로 인입되는 등에 따른 관체 커버(20)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여 관체 커버(20)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체(10) 내부에 대한 점검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점검부(100)는 커버(10)의 양측에 구비되는 고정바(110), 고정바(110)와 대향되도록 관체 커버(20)의 양측에 구비되는 가압바(120), 상기 고정바(110)에 설치된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캠(15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바(110)는 관체(10)의 중앙부보다 상부에 위치되면서 단부에는 암나사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관체(1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중앙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압바(120)는 고정바(110)와 대향되도록 관체 커버(20)에 구비되고, 단부에는 상기 암나사공(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바(110) 및 가압바(120)는 일단부가 관체(10) 및 관체 커버(2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타단부는 서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압바(120)에 형성된 통공(121)과 고정바(110)에 형성된 암나사공(111)의 중심이 일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통공(121)을 통하여 고정볼트(130)를 삽입하고 단부를 암나사공(111)에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서, 가압바(120)를 하부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바(110)의 내부에는 분리캠(15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리캠(150)은 회전축(14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캠(150)은 작업자 등의 인위적인 회전에 의한 조작이 용이하도록 고정바(110)로부터 일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바(110)의 상면에 안내관(160)이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압바(120)의 저면에는 안내관(160)에 끼워진 상태로 승하강 되는 안내핀(161)이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체(10)와 관체 커버(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점검부(100)에 의해 관체 커버(20)의 개방할 때에는 고정볼트(130)를 회전시켜 고정볼트(130)의 단부를 암나사공(111)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캠(150)을 회전시키는 것이고, 상기 분리캠(150)의 외측 둘레면은 가압바(120)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분리캠(150)이 더욱 회전되면 가압바(120)는 상승하게 되므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압바(120)가 설치된 관체 커버(20)가 상승되어 커버인출봉(22)이 가압홀(61)로부터 인출되는 것이다.
이때 안내핀(161)은 안내관(16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압바(120)와 함께 상승하게 되므로 관체 커버(2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커버인출봉(22)이 가압홀(61)로부터 인출된 후에는 가압바(120)와 함께 관체 커버(20)를 분리하면, 관체(10)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관체(10)에 대한 점검이 완료된 후에는 관체 커버(20)가 관체(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 고정볼트(130)의 단부를 암나사공(111)에 나사 결합하년 가압바(120)는 관체 커버(20)를 하부로 가압하게 되므로 커버인출봉(22)이 가압홀(61)로 인인되어 관체 커버(20)는 닫혀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점검부(100)에 의해서 관체 커버(20)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개방될 수 있게 되어 관체(10) 내부에 대한 점검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11 : 전선 10 : 관체
20 : 관체 커버 30 : 실링재
40 : 전선지지부 50 : 전선고정부
60 : 가압부재 100 : 점검부
110 : 고정바 120 : 가압바
130 : 고정볼트 140 : 회전축
150 : 분리캠 160 : 안내관
161 : 안내핀

Claims (1)

  1.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되, 양단에는 전선(1)이 내부로 삽입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13)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체(10);
    결합홈(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돌기(21)와, 결합공(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커버인출봉(22)을 갖추고서, 관체(10)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관체커버(20);
    관체(10)의 결합홈(11)과 관체커버(20)의 결합돌기(21)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하는 실링재(30);
    전선(1)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41)과, 내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42)을 갖추고서, 관체(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선지지부(40);
    전선안착홈(4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돌기(51)와, 걸림턱(42)에 맞물리는 걸림홈(52)을 갖추고서, 관체커버(20)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전선고정부(50); 및 커버인출봉(22)을 가압고정하는 가압홀(61)을 갖추고서, 전선고정부(5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공(12)을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고무재질의 가압부재(6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에 있어서,
    관체커버(20)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관체(10) 내부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점검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점검부(100)는,
    관체(10)의 양측에 구비되고 단부에는 암나사공(111)이 형성된 고정바(110);
    상기 고정바(110)와 대향되도록 관체커버(20)의 양측에 구비되고 단부에는 암나사공(111)에 대향되도록 통공(121)이 형성된 가압바(120);
    상기 통공(121)에 삽입된 후 단부는 암나사공(111)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130);
    상기 고정바(110)에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분리캠(150);
    상기 고정바(110)의 상면에 상향 돌출되게 설치된 안내관(160); 및
    상기 안내관(160)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게 가압바(120)의 저면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안내핀(161)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KR1020190091727A 2019-07-29 2019-07-29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KR102064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27A KR102064350B1 (ko) 2019-07-29 2019-07-29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27A KR102064350B1 (ko) 2019-07-29 2019-07-29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350B1 true KR102064350B1 (ko) 2020-01-10

Family

ID=6915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727A KR102064350B1 (ko) 2019-07-29 2019-07-29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3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280B1 (ko) * 2020-02-06 2020-05-19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전선 트레이
KR102230141B1 (ko) * 2020-07-17 2021-03-22 홍성우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보호시스템
KR102303982B1 (ko) * 2021-01-26 2021-09-24 주식회사 코담엔지니어링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KR102426764B1 (ko) * 2021-10-01 2022-07-29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전선충돌방지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서포팅기구
KR102426766B1 (ko) * 2021-10-01 2022-07-29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감전사고방지용 건축물의 배전선 행거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24B1 (ko) 2012-01-13 2012-03-06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KR101180921B1 (ko) 2012-06-04 2012-09-07 (주)삼삼이엔지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638939B1 (ko) 2016-03-08 2016-07-12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885536B1 (ko) 2018-02-05 2018-08-06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624B1 (ko) 2012-01-13 2012-03-06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KR101180921B1 (ko) 2012-06-04 2012-09-07 (주)삼삼이엔지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638939B1 (ko) 2016-03-08 2016-07-12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885536B1 (ko) 2018-02-05 2018-08-06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280B1 (ko) * 2020-02-06 2020-05-19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전선 트레이
KR102230141B1 (ko) * 2020-07-17 2021-03-22 홍성우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보호시스템
KR102303982B1 (ko) * 2021-01-26 2021-09-24 주식회사 코담엔지니어링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KR102426764B1 (ko) * 2021-10-01 2022-07-29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전선충돌방지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서포팅기구
KR102426766B1 (ko) * 2021-10-01 2022-07-29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감전사고방지용 건축물의 배전선 행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350B1 (ko)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KR101180921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2014209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KR101885536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KR100889498B1 (ko) 벽면에 매입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US2811575A (en) Adjustable electric floor receptacle
KR200394099Y1 (ko) 인출이 가능한 벽설치용 콘센트
KR101360778B1 (ko)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KR10201718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콘센트함
KR101256629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
KR100679931B1 (ko) 건축물 내부벽체 전선보호관
KR10223014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보호시스템
KR101180920B1 (ko)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전기단자함
KR102303982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KR10064071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101170887B1 (ko) 배전 선로의 분리 배선 가능한 전기 배선관
US8802979B2 (en) Tamper-resistant self-contained receptacle
KR101911333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케이스
CN109586221B (zh) 电气电缆穿墙保护管
KR20180043562A (ko) 콘센트 안전 커버
CN109586218B (zh) 具有防水结构的电力电缆保护套管
KR100637605B1 (ko) 건축, 주방, 목욕탕용 전기 콘센트의 누수 방지 구조
KR102104552B1 (ko) 공동주택 전선배선의 보호덕트 구조
KR100651075B1 (ko) 공동주택의 벽면에 매입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KR200462933Y1 (ko) 벽체 매입형 아웃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