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921B1 -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921B1
KR101180921B1 KR1020120059728A KR20120059728A KR101180921B1 KR 101180921 B1 KR101180921 B1 KR 101180921B1 KR 1020120059728 A KR1020120059728 A KR 1020120059728A KR 20120059728 A KR20120059728 A KR 20120059728A KR 101180921 B1 KR101180921 B1 KR 101180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ver
coupling
groov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규
Original Assignee
(주)삼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삼삼이엔지
Priority to KR102012005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6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clamping the armour of the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및 분리가 상당히 용이하면서도 내설된 전선을 침투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되, 양단에는 전선(1)이 내부로 삽입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13)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체(10); 결합홈(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돌기(21)와, 결합공(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커버인출봉(22)을 갖추고서, 관체(10)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관체커버(20); 관체(10)의 결합홈(11)과 관체커버(20)의 결합돌기(21)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하는 실링재(30); 전선(1)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41)과, 내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42)을 갖추고서, 관체(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선지지부(40); 전선안착홈(4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돌기(51)와, 걸림턱(42)에 맞물리는 걸림홈(52)을 갖추고서, 관체커버(20)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전선고정부(50); 커버인출봉(22)을 가압고정하는 가압홀(61)을 갖추고서, 전선고정부(5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공(12)을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고무재질의 가압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관체와 관체커버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상당히 용이하기 때문에 관리가 상당히 편리하며, 관리자 이외에 제3자가 쉽게 열 수 없어 가설된 전선과 접촉으로 인한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관체와 관체커버에 의해 전선이 밀폐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먼지 및 침투수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이들과의 접촉으로 인한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로부터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Protection Pipe For Distribution Cabl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아파트는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실내에는 각종 컴퓨터나 여러 엘이디 기구를 포함한 전기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많은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배선이 복잡하게 설치된다.
종래의 아파트를 시공할 때에는 배전선만 배선되었으나, 최근에는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아파트를 시공함에 있어서도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 층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그리고, 공동주택에 사용하는 전선은 벽체에 설치되는 보호관을 통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호관으로는 등록특허 제10-1119624호가 잘 알려져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119624호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보호관(10)과 전선지지판(20), 금속판(30), 커버(40), 고정클립(50), 누전감지기(60) 및 경보장치(70)로 구성되어 내설된 전선 간의 간섭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호관은, 고정클립만 해제하면 쉽게 보호관과 커버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관리자 이외에 제3자(예컨대, 어린아이)의 접근이 쉬워 접촉으로 인한 감전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호관의 경우 측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습한 지역 예컨대, 지하실과 같은 곳에 설치할 경우 침투수의 유입이 쉬어 전기합선으로 인한 단전 또는 화재가 종종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 및 분리가 상당히 용이하면서도 내설된 전선을 침투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되, 양단에는 전선이 내부로 삽입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체;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커버인출봉을 갖추고서, 관체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관체커버;
관체의 결합홈과 관체커버의 결합돌기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하는 실링재;
전선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과, 내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갖추고서, 관체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선지지부;
전선안착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선안착홈에 안착된 전선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돌기와, 걸림턱에 맞물리는 걸림홈을 갖추고서, 관체커버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전선고정부;
커버인출봉을 가압고정하는 가압홀을 갖추고서, 전선고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공을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고무재질의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관체와 관체커버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상당히 용이하기 때문에 관리가 상당히 편리하며, 관리자 이외에 제3자가 쉽게 열 수 없어 가설된 전선과 접촉으로 인한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관체와 관체커버에 의해 전선이 밀폐된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먼지 및 침투수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이들과의 접촉으로 인한 전기합선과 같은 사고로부터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A - A'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은, 관체(10), 관체커버(20), 실링재(30), 전선지지부(40), 전선고정부(50), 가압부재(60)로 구성되며, 공동주택 그 중에서도 매우 습한 지역인 지하실에 설치되어 내설된 전선(1)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침투수의 유입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전기합선과 같은 안전사고로부터 전선(1)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체(1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상을 이루되,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된 관(管)으로서, 양단에는 전선(1)이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타단을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13)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에는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 중앙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특히 상기 전선삽입공(13)의 내주면을 실링 처리하여 전선삽입공(13)과 전선(1) 사이로 침투수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체커버(20)는 관체(10)의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먼지 및 침투수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관체커버(20)는 전체적으로 호 형상을 이루는 플레이트로서, 양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돌기(21)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커버인출봉(2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1)는 관체(10)의 결합홈(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인출봉(22)은 관체(10)의 결합공(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커버인출봉(22)에는 스토퍼(22a)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여기서 스토퍼(22a)는 이후에 설명될 가압부재(60)의 상면에 면 접촉되어 필요 이상으로 커버인출봉(22)이 결합공(12)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체(10)의 개구부로 관체커버(20)를 밀어 넣게 되면, 관체커버(20)에 형성된 결합돌기(21)와 커버인출봉(22)은 각각 결합홈(11)과 결합공(12)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관체(10)와 관체커버(20)를 상호 결합할 경우, 둘레면에는 돌출된 부위가 없기 때문에 관체(10)로부터 관체커버(20)를 해체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제3자가 가설된 전선(1)과 접촉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접촉으로 인한 전기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체(10)와 관체커버(20)를 상호 결합하였을 때에 둘레면에 돌출된 부위가 전혀 없기 때문에 관체(10)로부터 관체커버(20)를 해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이때에는 관체(10)의 결합공(12)에 삽입된 커버인출봉(22)을 송곳과 같은 뾰족한 물건을 이용하여 강하게 밀게 되면 그 힘에 의해 결합홈(11)과 결합돌기(21)의 결합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되면서 관체커버(20)는 관체(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링재(30)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관체(10)의 결합홈(11)과 관체커버(20)의 결합돌기(21) 사이에 설치되어 침투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선지지부(40)는 전선(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포크형상의 플레이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관체(10)의 전선삽입공(13)으로 통해 삽입된 전선(1)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관체(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전선지지부(40)는 전선(1)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41)과, 내향으로 돌출되어 전선고정부(50)의 걸림홈(52)과 서로 맞물리는 걸림턱(42)을 구비한다.
상기 전선고정부(50)는 전선(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포크형상의 플레이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관체커버(20)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전선지지부(40)의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전선고정부(50)는 전선안착홈(4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돌기(51)와, 걸림턱(42)에 맞물리는 걸림홈(52)을 구비한다.
상기 전선고정부(50)와 전선지지부(40)는 동일 축 선상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선고정부(50)는 전선지지부(4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탄성체인 고무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60)는 탄성재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관체(10)의 내부, 좀 더 명확하게는, 전선지지부(40)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인출봉(22)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압부재(60)는 가압홀(61)이 형성되며, 가압홀(61)은 관체(10)의 결합공(12)과 동일 축 선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관체커버(20)를 관체(10)의 개구부로 밀어 넣게 되면, 하방향으로 돌출된 커버인출봉(22)의 일단이 가압홀(61)로 서서히 삽입되고, 여기서 좀 더 강하게 밀어 넣게 되면, 커버인출봉(22)은 가압부재(60)의 가압홀(61)을 관통하여 결합공(12)에 삽입되며,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면 커버인출봉(22)에 형성된 스토퍼(22a)에 의해 더 이상 커버인출봉(22)은 삽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전선(1)을 관체(10)의 전선삽입공(13)으로 삽입하여 맞은편 전선삽입공(13)을 통해 인출한다.
그리고, 상기 관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전선지지부(40)의 전선안착홈(41)에 전선(1)을 삽입하여 안착시켜 준 다음, 관체커버(20)를 매개로 관체(10)의 개구부를 덮어 밀폐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관체(10)의 개구부로 관체커버(20)를 삽입시켜 주게 되면, 관체커버(2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돌기(21)가 관체(10)의 결합홈(11)에 삽입되면서 상호 결합되며, 관체커버(20)에 하부에 형성된 커버인출봉(22)은 관체(10)에 내설된 가압부재(60)의 가압홀(61)을 관통하여 관체(10)의 결합공(12)에 삽입 고정된다.
특히, 상기 결합돌기(21)와 결합홈(11) 사이에는 실링재(30)가 설치되어 있어 결합돌기(21)와 결합홈(11) 사이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먼지, 침투수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체커버(20)가 관체(10)에 결합될 때에 전선고정부(50) 역시 전선지지부(40)에 삽입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선고정부(50)의 가압돌기(51)가 전선지지부(40)의 전선안착홈(41)으로 삽입되는 과정에 탄성재질의 가압돌기(51)가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자연스럽게 삽입되고, 가압돌기(51)가 완전히 전선안착홈(41)에 삽입되면 복원력에 의해 서서히 복원되며, 이때 전선지지부(40)의 가압턱(42)과 전선고정부(50)의 걸림홈(52)이 서로 맞대어지면서 더 이상내려가지 않고 고정된다.
한편, 내설된 전선(1)을 교체 및 보수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문제는 관체(10)와 관체커버(20)를 상호 결합하였을 때에 둘레면에 돌출된 부위가 전혀 없기 때문에 관체(10)로부터 관체커버(20)를 해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이때는 관체(10)의 결합공(12)에 삽입된 커버인출봉(22)을 송곳과 같은 뾰족한 물건을 이용하여 강하게 밀게 되면 그 힘에 의해 결합홈(11)과 결합돌기(21)의 결합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되면서 관체커버(20)를 관체(10)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전선 10: 관체 11: 결합홈
12: 결합공 13: 전선삽입공 20: 관체커버
21: 결합돌기 22: 커버인출봉 22a: 스토퍼
30: 실링재 40: 전선지지부 41: 전선안착홈
42: 걸림턱 50: 전선고정부 51: 가압돌기
52: 걸림홈 60: 가압부재 61: 가압홀

Claims (1)

  1. 내부가 상방으로 개구되되, 양단에는 전선(1)이 내부로 삽입관통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13)이 형성되고, 개구된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공(1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관체(10);
    결합홈(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돌기(21)와, 결합공(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커버인출봉(22)을 갖추고서, 관체(10)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관체커버(20);
    관체(10)의 결합홈(11)과 관체커버(20)의 결합돌기(21)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하는 실링재(30);
    전선(1)이 안착되는 전선안착홈(41)과, 내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42)을 갖추고서, 관체(1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선지지부(40);
    전선안착홈(4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선안착홈(41)에 안착된 전선(1)을 가압고정하는 가압돌기(51)와, 걸림턱(42)에 맞물리는 걸림홈(52)을 갖추고서, 관체커버(20)의 하부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전선고정부(50);
    커버인출봉(22)을 가압고정하는 가압홀(61)을 갖추고서, 전선고정부(5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공(12)을 통해 유입되는 침투수를 차단하는 고무재질의 가압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20120059728A 2012-06-04 2012-06-04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180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728A KR101180921B1 (ko) 2012-06-04 2012-06-04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728A KR101180921B1 (ko) 2012-06-04 2012-06-04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921B1 true KR101180921B1 (ko) 2012-09-07

Family

ID=4707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728A KR101180921B1 (ko) 2012-06-04 2012-06-04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92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167B1 (ko) 2013-01-22 2013-04-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259168B1 (ko) 2013-01-22 2013-04-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엘이디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638939B1 (ko) * 2016-03-08 2016-07-12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N105914675A (zh) * 2016-06-16 2016-08-31 无锡虹业自动化工程有限公司 电缆线束紧器
KR101885536B1 (ko) 2018-02-05 2018-08-06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KR101954108B1 (ko) * 2018-10-16 2019-03-05 손영대 배선가이드부재
KR102014209B1 (ko) 2019-02-25 2019-08-27 주식회사 호성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KR102064350B1 (ko) 2019-07-29 2020-01-10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KR102230141B1 (ko) * 2020-07-17 2021-03-22 홍성우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보호시스템
KR102303982B1 (ko) * 2021-01-26 2021-09-24 주식회사 코담엔지니어링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9326A (ja) 2002-09-30 2004-04-22 Mirai Ind Co Ltd エントランスキャップ、及びターミナルキャップ
JP2010112511A (ja) 2008-11-08 2010-05-20 Mirai Ind Co Ltd 波付保護管の接続構造及び接続具
KR101119624B1 (ko) 2012-01-13 2012-03-06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9326A (ja) 2002-09-30 2004-04-22 Mirai Ind Co Ltd エントランスキャップ、及びターミナルキャップ
JP2010112511A (ja) 2008-11-08 2010-05-20 Mirai Ind Co Ltd 波付保護管の接続構造及び接続具
KR101119624B1 (ko) 2012-01-13 2012-03-06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167B1 (ko) 2013-01-22 2013-04-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259168B1 (ko) 2013-01-22 2013-04-30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엘이디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638939B1 (ko) * 2016-03-08 2016-07-12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N105914675A (zh) * 2016-06-16 2016-08-31 无锡虹业自动化工程有限公司 电缆线束紧器
KR101885536B1 (ko) 2018-02-05 2018-08-06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KR101954108B1 (ko) * 2018-10-16 2019-03-05 손영대 배선가이드부재
KR102014209B1 (ko) 2019-02-25 2019-08-27 주식회사 호성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KR102064350B1 (ko) 2019-07-29 2020-01-10 주식회사 나래디엔에이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KR102230141B1 (ko) * 2020-07-17 2021-03-22 홍성우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보호시스템
KR102303982B1 (ko) * 2021-01-26 2021-09-24 주식회사 코담엔지니어링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921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2064350B1 (ko)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전선 보호 장치
KR102014209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장치
KR101119624B1 (ko) 공동주택 엘이디 기구의 배전선 보호관
KR101885536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기능장치
KR101247348B1 (ko)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 선로용 감전방지형 커넥터
JP2011525695A (ja) 電気通信ケーブル入線装置
US6495753B1 (en) Large capacity fire rated poke through fitting
KR100817930B1 (ko)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방화 보호관
JP2016072253A (ja) Rj45型ジャック及びこれを用いる離脱式rj45型ケーブルアセンブリ
KR101638939B1 (ko) 공동주택의 누전차단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329800B1 (ko)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KR101330205B1 (ko)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형 분전함
KR101256629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
KR200423507Y1 (ko) 실내용 파워트랙 콘센트
KR101259167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2361873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전선 보호커버
US20150136915A1 (en) Riser glove, enclosure glove and strain releasing connectors
KR10223014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보호시스템
KR101336112B1 (ko) 공동주택의 엘이디(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KR101247364B1 (ko)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
KR101170887B1 (ko) 배전 선로의 분리 배선 가능한 전기 배선관
KR101266228B1 (ko) 접지구조를 갖는 옥내용 아웃렛박스
KR102150076B1 (ko) 소방전기기구용 플렉시블 커넥터
KR101193117B1 (ko) 공동주택의 led 통전 배전선 보호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