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364B1 -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 - Google Patents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364B1
KR101247364B1 KR1020120129697A KR20120129697A KR101247364B1 KR 101247364 B1 KR101247364 B1 KR 101247364B1 KR 1020120129697 A KR1020120129697 A KR 1020120129697A KR 20120129697 A KR20120129697 A KR 20120129697A KR 101247364 B1 KR101247364 B1 KR 101247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aterial
underground
wire
main body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김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선 filed Critical 김종선
Priority to KR102012012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로 관통된 인입지중전선 통과홀(13a) 및 인출지중전선 통과홀(13b)을 구비하고, 상부가 하향 경사지며, 지중배관(P)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패널(13)과; 둘레부에 구비되며, 경사진 하부패널(13) 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배수홀(14a)이 형성된 둘레부패널(14)과; 힌지를 매개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11)와;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격부재(30)의 일단부와 상호 결합되는 제1결합부(12);를 갖추고서, 지상에 설치되는 본체(10):
인입지중전선 통과홀(13a)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삽입부(41a)와, 삽입부(41a)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하부패널(13)에 안착설치되는 안착부(41b)를 구비한 실링재 삽입체(41); 인입지중전선 삽입홀(42a)이 형성되며, 실링재 삽입체(41)의 삽입부(41a)에 삽입설치되는 실링재(42);를 갖춘 제1실링기구(40):
인출지중전선 통과홀(13b)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삽입부(51a)와, 삽입부(51a)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하부패널(13)에 안착설치되는 안착부(51b)를 구비한 실링재 삽입체(51); 인출지중전선 삽입홀(52a)이 형성되며, 실링재 삽입체(51)의 삽입부(51a)에 삽입설치되는 실링재(52);를 갖춘 제2실링기구(50):
도어부(11)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낙수가 메인차단기(2) 및 다수의 보조차단기(3)와 접촉하지 않도록 낙수를 유도하는 경사부(21)와, 경사부(21)에 형성되어 메인차단기(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배전선(L1)의 외면을 가압고정하여 실링하는 전선고정부(22)와, 배면에 이격부재(30)의 타단부와 상호 결합되는 제2결합부(23)를 갖추고서, 본체(10)의 내면과 일정간격 이루며 설치될 수 있도록 이격부재(30)를 매개로 본체(10)의 내면에 설치되는 차단기설치판(20):
전체적으로‘
Figure 112012094175137-pat00004
’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본체(10)의 제1결합부(12)와 차단기설치판(20)의 제2결합부(23)에 결합되어 체결부재(B)를 매개로 고정되되, 제2결합부(23)에 고정된 타단부가 제1결합부(12)에 고정된 일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곳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이격부재(3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은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전기 구성을 낙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전기합선 및 이로 인한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Distributing Board for 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본 발명은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급처에서 생산된 특고압 전력은 가공전선 또는 지중전선을 통해 각각의 수요처로 공급된다.
즉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공전선은 지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건물이 많이 배치된 도심지에는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근래에는 지중배관을 이용하여 전력을 각각의 수요처로 공급한다.
즉 지중에 메인 지중배관을 매설하고, 메인 지중배관의 일정 지점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또 다른 가지 지중배관이 매설되며, 지상으로 노출된 가지 지중배관의 상부에 배전반이 배치되어, 배전반을 통해 전력이 각각의 수요처로 공급된다.
한편 지중전선 방식을 이용할 경우, 상기 변전소에서 상용전력으로 변환된 전력선(지중전선)은 지중배관을 통해 통상 각 수요처로 전원을 분기시키는 배전 시설에 연결되는데, 이 경우 배전 시설의 하부로 인입된 지중전선은 배전반에 설치된 차단기에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배전 시설 내부에 낙수가 발생할 경우, 차단기와 같은 배전 시설의 구성요소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어, 낙수가 차단기 및 전력선과 직접 접촉될 경우 전기합선과 같은 전기안전사고에 그대로 노출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0859863 등록특허 10-102275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내부로 떨어지는 낙수를 유도하여 메인차단기와 보조차단기 및 버스바와의 접촉으로 인한 전기합선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관통된 인입지중전선 통과홀(13a) 및 인출지중전선 통과홀(13b)을 구비하고, 상부가 하향 경사지며, 지중배관(P)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패널(13)과; 둘레부에 구비되며, 경사진 하부패널(13) 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배수홀(14a)이 형성된 둘레부패널(14)과; 힌지를 매개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11)와;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격부재(30)의 일단부와 상호 결합되는 제1결합부(12);를 갖추고서, 지상에 설치되는 본체(10):
인입지중전선 통과홀(13a)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삽입부(41a)와, 삽입부(41a)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하부패널(13)에 안착설치되는 안착부(41b)를 구비한 실링재 삽입체(41); 인입지중전선 삽입홀(42a)이 형성되며, 실링재 삽입체(41)의 삽입부(41a)에 삽입설치되는 실링재(42);를 갖춘 제1실링기구(40):
인출지중전선 통과홀(13b)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삽입부(51a)와, 삽입부(51a)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하부패널(13)에 안착설치되는 안착부(51b)를 구비한 실링재 삽입체(51); 인출지중전선 삽입홀(52a)이 형성되며, 실링재 삽입체(51)의 삽입부(51a)에 삽입설치되는 실링재(52);를 갖춘 제2실링기구(50):
도어부(11)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낙수가 메인차단기(2) 및 다수의 보조차단기(3)와 접촉하지 않도록 낙수를 유도하는 경사부(21)와, 경사부(21)에 형성되어 메인차단기(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배전선(L1)의 외면을 가압고정하여 실링하는 전선고정부(22)와, 배면에 이격부재(30)의 타단부와 상호 결합되는 제2결합부(23)를 갖추고서, 본체(10)의 내면과 일정간격 이루며 설치될 수 있도록 이격부재(30)를 매개로 본체(10)의 내면에 설치되는 차단기설치판(20):
전체적으로‘
Figure 112012094175137-pat00001
’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본체(10)의 제1결합부(12)와 차단기설치판(20)의 제2결합부(23)에 결합되어 체결부재(B)를 매개로 고정되되, 제2결합부(23)에 고정된 타단부가 제1결합부(12)에 고정된 일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곳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이격부재(3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전기 구성을 낙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전기합선 및 이로 인한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에서 차단기설치판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X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은 본체(10), 제1실링기구(40), 제2실링기구(50), 차단기설치판(20) 및, 이격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하부패널(13)과, 둘레부패널(14)을 갖추고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태를 이루되,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되고, 개구된 전방에는 힌지를 매개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11)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패널(13)은 인입지중전선(L1)이 통과하는 인입지중전선 통과홀(13a) 및 인출지중전선(L2)이 통과하는 인출지중전선 통과홀(13b)을 구비하고, 상부가 하향 경사지며, 지중배관(P)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둘레부패널(14)은 본체(10)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경사진 하부패널(13) 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배수홀(14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이격부재(30)의 일단부와 체결부재(B)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다수의 제1결합부(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12)에 대한 기능은 추후에 제2결합부(23)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경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도어부(11)에는 개방하지 않도록 내부를 쉽게 파악 및 개폐할 수 있도록 투명창 및 손잡이를 설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도어부(11)와 서로 맞닿는 본체(10)의 전면에는 외부로부터의 침투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실링재를 설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실링기구(40)는 실링재 삽입체(41)와 실링재(42)를 갖추고서, 하부패널(13)의 인입지중전선 통과홀(13a)에 설치된다.
상기 삽입체(41)는 인입지중전선 통과홀(13a)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삽입부(41a)와, 삽입부(41a)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하부패널(13)에 안착설치되는 안착부(41b)를 갖춘다.
상기 실링재(42)는 인입지중전선 삽입홀(42a)이 형성되며, 실링재 삽입체(41)의 삽입부(41a)에 삽입설치된다.
상기 제2실링기구(50)는 실링재 삽입체(51)와 실링재(52)를 갖추고서, 하부패널(13)의 인입지중전선 통과홀(13a)에 설치된다.
상기 삽입체(51)는 인출지중전선 통과홀(13b)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삽입부(51a)와, 삽입부(51a)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하부패널(13)에 안착설치되는 안착부(51b)를 갖춘다.
상기 실링재(52)는 인출지중전선 삽입홀(52a)이 형성되며, 실링재 삽입체(51)의 삽입부(51a)에 삽입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2실링기구(40,50)는 하부패널(13)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실링재(42,52)는 고무 재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기설치판(20)은 메인차단기(2)와 보조차단기(3) 및 버스바(4)가 설치되는 합성수지재질의 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이격부재(30)를 매개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되, 본체(10)의 내부면과는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차단기설치판(20)의 상단에는 도어부(11)를 향해 하향경사지는 경사부(21)가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과 경사부(21)에 전선고정부(22)가 설치된다는 점 및 배면에 제2결합부(23)가 설치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21)는 도어부(11)를 향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본체(10)의 내부에서 낙수가 떨어진다 하더라고 경사부(21)가 낙수를 유도하여 메인차단기(2)와 보조차단기(3) 및 버스바(4)와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므로 전기합선 및 이로 인한 화재발생으로부터 메인차단기(2)와 보조차단기(3) 및 버스바(4)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고정부(22)는 내부에 실리콘 또는 고무가 구비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10)을 통해 삽입된 분배전선(L3)을 전선고정부(22)로 삽입관통시키게 되면, 전선고정부(22)에 형성된 구멍이 확장되면서 분배전선(L3)의 외면을 강하게 압박하여 고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분배전선(L3)의 외면이 기밀하게 압박되면서 밀착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실링까지 가능해 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능을 통해 분배전선(L3)을 타고 우수가 흘러내린다 하더라도 전선고정부(22)로 침투되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우수는 경사부(21)를 통해 유도되어 본체(10)의 내부에 고여 배출된다.
한편, 상기 차단기설치판(20)의 배면에는 제2결합부(23)가 형성되며,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제1결합부(12)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우선 상기 제1결합부(12)에 이격부재(30)의 일단부를 압입고정하게 되면, 제1결합부(12)의 내면과 이격부재(30)의 일단부 외면이 강하게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작업자는 본체(10)의 배면을 통해 체결부재(B)를 삽입하여 상호 결합시켜 주면 된다.
상기 제2결합부(23)의 경우 이격부재(30)의 타단부 외면으로 제2결합부(23)를 압입하게 되면 앞서 언급한 작용에 의해 제2결합부(23)는 이격부재(30)의 타단부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작업자는 차단기설치판(20)의 전면을 통해 체결부재(B)를 삽입하여 상호 결합시켜 주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용을 통하여 작업자는 매우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배전반이 대형인 경우에는 작업자 혼자서도 편리하게 일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능률 및 인건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결합부(12,23)의 내부가 각형(본 실시 예의 경우 사각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격부재(30)의 회전으로 인한 차단기설치판(20)와 본체(10)가 상호 접촉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2결합부(12,23)와 이격부재(30) 사이에는 고무패드와 같은 실링재를 보강 구비하여 낙수의 유입을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실시 예로서, 제1·2결합부(12,23)의 내부와 이격부재(30)를 사각형으로 기재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에에 불과하며, 예컨대 삼각형 및 다면체와 같이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30)는 전체적으로‘
Figure 112012094175137-pat00002
’ 형상을 이루며, 외면에 고무가 도포된 합성수지재질의 연결구로서, 본체(10)와 차단기설치판(20) 사이에 설치되어 차단기설치판(20)이 본체(10)의 공간부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이격부재(3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본체(10)의 제1결합부(12)와 차단기설치판(20)의 제2결합부(23)에 결합되어 체결부재(B)를 매개로 고정된다.
특히, 상기 이격부재(30)를 본체(10)와 차단기설치판(20) 사이에 설치할 때에는 제2결합부(23)에 고정된 타단부가 제1결합부(12)에 고정된 일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곳에 위치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낙수가 이격부재(30)로 떨어지더라도 타단부를 통해 차단기설치판(20)에 설치된 메인차단기(2)와 보조차단기(3) 및 버스바(4)로 이동하여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0)의 도어부(11)를 개방한 상태에서 내부에 이격부재(30)를 매개로 메인차단기(2)와 보조차단기(3) 및 이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버스바(4)가 설치된 차단기설치판(20)를 설치해 준다.
상기 이격부재(30)를 매개로 차단기설치판(20)을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본체(10)의 내부 어떠한 면과도 차단시설치판(20)이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중배관(P)으로부터의 인입지중전선(L1)이 제1실링기구(40)를 통과하도록 하고, 인입지중전선(L1)을 메인차단기(2)에 연결한다. 이후 메인차단기(2)로부터 다시 인출되는 인출지중전선(L2)을 제2실링기구(50)를 통과하도록 하여 지중배관(P)로 인출한다.
또한 상기 전신주 등에 연결되는 가공전선용 분배전선(L3)을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한 다음 분배전선(L3)을 차단기설치판(20)의 전선고정부(22)에 삽입관통시켜 주고, 관통된 분배전선(L3)을 보조차단기(3)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준다. 그러면 보조차단기(3)로부터의 전력은 가공전선라인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보조차단기(3)에는 각 수요처로 연결되는 분기전선을 연결시켜 주면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된 경우 상면으로부터 낙수가 떨어지게 되는데, 본체(10)의 내부에서 낙수가 떨어진다 하더라고 경사부(21)가 낙수를 유도하여 메인차단기(2)와 보조차단기(3) 및 버스바(4)와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므로 전기합선 및 이로 인한 화재발생으로부터 메인차단기(2)와 보조차단기(3) 및 버스바(4)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를 도 6과 같이 도시하였다. 이때 낙수는 본체 하부패널(13)로 낙하한 후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둘레부패널(14)의 배수홀(14a)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전기 구성을 낙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전기합선 및 이로 인한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2: 메인차단기 3: 보조차단기 4: 버스바
10: 본체 11: 도어부 12: 제1결합부
20: 차단기설치판 21: 경사부 22: 전선고정부
23: 제2결합부 30: 이격부재 B: 체결부재
40,50: 제1,2실링기구

Claims (1)

  1. 상하로 관통된 인입지중전선 통과홀(13a) 및 인출지중전선 통과홀(13b)을 구비하고, 상부가 하향 경사지며, 지중배관(P)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패널(13)과; 둘레부에 구비되며, 경사진 하부패널(13) 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배수홀(14a)이 형성된 둘레부패널(14)과; 힌지를 매개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부(11)와;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격부재(30)의 일단부와 상호 결합되는 제1결합부(12);를 갖추고서, 지상에 설치되는 본체(10):
    인입지중전선 통과홀(13a)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삽입부(41a)와, 삽입부(41a)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하부패널(13)에 안착설치되는 안착부(41b)를 구비한 실링재 삽입체(41); 인입지중전선 삽입홀(42a)이 형성되며, 실링재 삽입체(41)의 삽입부(41a)에 삽입설치되는 실링재(42);를 갖춘 제1실링기구(40):
    인출지중전선 통과홀(13b)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삽입부(51a)와, 삽입부(51a)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하부패널(13)에 안착설치되는 안착부(51b)를 구비한 실링재 삽입체(51); 인출지중전선 삽입홀(52a)이 형성되며, 실링재 삽입체(51)의 삽입부(51a)에 삽입설치되는 실링재(52);를 갖춘 제2실링기구(50):
    도어부(11)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낙수가 메인차단기(2) 및 다수의 보조차단기(3)와 접촉하지 않도록 낙수를 유도하는 경사부(21)와, 경사부(21)에 형성되어 보조차단기(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배전선(L1)의 외면을 가압고정하여 실링하는 전선고정부(22)와, 배면에 이격부재(30)의 타단부와 상호 결합되는 제2결합부(23)를 갖추고서, 본체(10)의 내면과 일정간격 이루며 설치될 수 있도록 이격부재(30)를 매개로 본체(10)의 내면에 설치되는 차단기설치판(20):
    전체적으로‘
    Figure 112012094175137-pat00003
    ’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본체(10)의 제1결합부(12)와 차단기설치판(20)의 제2결합부(23)에 결합되어 체결부재(B)를 매개로 고정되되, 제2결합부(23)에 고정된 타단부가 제1결합부(12)에 고정된 일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곳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이격부재(3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
KR1020120129697A 2012-11-15 2012-11-15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 KR101247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697A KR101247364B1 (ko) 2012-11-15 2012-11-15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697A KR101247364B1 (ko) 2012-11-15 2012-11-15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364B1 true KR101247364B1 (ko) 2013-03-26

Family

ID=4818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697A KR101247364B1 (ko) 2012-11-15 2012-11-15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3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025B1 (ko) 2020-01-03 2020-03-30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송전용 전선로 보호수단 설치방법
KR102095023B1 (ko) 2020-01-03 2020-03-30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송전용 전선로 보호관
KR102588186B1 (ko) * 2022-11-03 2023-10-12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455B1 (ko) 2007-08-02 2007-10-12 (주)럭키기술단 누전 방지용 분전반
KR100780081B1 (ko) 2007-08-22 2007-12-03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KR100873745B1 (ko) 2008-09-12 2008-12-12 최성락 송배전단자 누전방지 보호장치
KR101022752B1 (ko) 2010-07-28 2011-03-17 (주)세진전기연구소 공동주택의 외부인입전선 보호용 절연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455B1 (ko) 2007-08-02 2007-10-12 (주)럭키기술단 누전 방지용 분전반
KR100780081B1 (ko) 2007-08-22 2007-12-03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송배전 변전소 부식방지를 위한 분전반
KR100873745B1 (ko) 2008-09-12 2008-12-12 최성락 송배전단자 누전방지 보호장치
KR101022752B1 (ko) 2010-07-28 2011-03-17 (주)세진전기연구소 공동주택의 외부인입전선 보호용 절연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025B1 (ko) 2020-01-03 2020-03-30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송전용 전선로 보호수단 설치방법
KR102095023B1 (ko) 2020-01-03 2020-03-30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송전용 전선로 보호관
KR102588186B1 (ko) * 2022-11-03 2023-10-12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348B1 (ko)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 선로용 감전방지형 커넥터
US8625257B2 (en) Plug-in system
US7508653B2 (en) Load center with plug in neutral connections
US7672115B2 (en) Inverter
KR100873745B1 (ko) 송배전단자 누전방지 보호장치
CN201041925Y (zh) 铁路信号防雷分线柜
US9293903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247364B1 (ko)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
KR101007896B1 (ko) 통신케이블 단자함 구조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KR100815166B1 (ko) 전주용 접지판
US5587554A (en) Cable directing device
US10109992B2 (en) Methods for installing a riser glove onto cables extending form a riser conduit
KR100746787B1 (ko) 안전 잠금 장치를 구비한 분전함
KR101364164B1 (ko) 배전반 용 대용량 적층 모선 분기 커넥터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CN203871255U (zh) 防雨型隔离开关
KR101247349B1 (ko) 특고압 송전 및 배전 전용 지중전선 설치대
KR101247366B1 (ko)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지중송전 및 배전선 전용 보호관 조립체
KR20030047909A (ko) 전주용 접지판 구조
KR101380413B1 (ko)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KR101171059B1 (ko) 배전선 접지장치
KR100708295B1 (ko) 전주용 배전선 접지판
KR101150438B1 (ko)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879304B1 (ko) 배전선 접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