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413B1 -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413B1
KR101380413B1 KR1020140011349A KR20140011349A KR101380413B1 KR 101380413 B1 KR101380413 B1 KR 101380413B1 KR 1020140011349 A KR1020140011349 A KR 1020140011349A KR 20140011349 A KR20140011349 A KR 20140011349A KR 101380413 B1 KR101380413 B1 KR 10138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voltage cable
cover
high voltage
upper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제현
Original Assignee
(주)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11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16L55/17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by means of rings, bands or sleeves pressed against the outside surface of the pipe or ho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압케이블의 연결부분 상부에 배치되고 양측 날개부의 저면에는 지그재그 형상의 패킹 지지부와 결합공이 형성되는 반원 형상의 상부 보호 커버; 상기 고압케이블의 연결부분 하부에 배치되고, 양측 날개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보호 커버의 패킹 지지부 및 결합공과 대향하는 패킹 지지부와 결합공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내면 경사면을 따라 전달되는 물을 집수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이 구비되는 커버 연결부가 형성되는 반원 형상의 하부 보호 커버; 상기 상부 보호 커버와 하부 보호 커버의 날개부에 장착되는 고무 씰링;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호 커버와 하부 보호 커버의 양측에 삽입되어 상기 고압케이블이 고정되며, 끝단에는 단턱부가 돌출형성되는 측면 마감 부재; 상기 하부 보호 커버의 커버 연결부와 연결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내면 도중에는 지그재그로 안내 돌기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지면에 고정을 위한 고정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배출배관; 상기 커버 연결부에 적어도 하나 장착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원주 형상으로 절개부가 형성되는 차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압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보호하면서도 상기 고압케이블의 연결부분에 침투한 물 내지 습기를 외부로 배수하여 고압케이블 주변에 누전사고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Pipe joint distribution of high tension cable}
본 발명은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케이블의 연결부분에 발생하는 물 내지 습기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건설되어 있는 변전소로부터 380V이상의 고압이 각 건물이나 구역에 마련되어 있는 변압기를 거쳐 220V 로 변압되어 제공되고 있다.
변전소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선로나 배전선로를 통하여 수용가에게 보내는 과정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위하여 설치되는 시설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전소는 154KV와 23KV급용 현장설비로 나뉘며, 각 부하 예컨대, 가정이나 사무실로 공급되는 전기는 대부분 23KV급용 변전소를 통해 각 부하(소비자)로 공급된다.
한편, 변전소는 통상 지상 구조로 되어 있으나, 고압전선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위험성이 대두되면서 현재에는 집단 민원과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지하에 설치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변전소를 지하에 설치하게 되면, 고압케이블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지형에 따라 절단한 후 다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최초에 설계한 고압케이블의 길이가 현장여건에 따라 더 소요되므로, 고압케이블을 더 연결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고압케이블의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어 물기가 침투하여 누전이나 쇼트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030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47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압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보호하면서도 상기 고압케이블의 연결부분에 침투한 물 내지 습기를 외부로 배수하여 고압케이블 주변에 누전사고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출배관의 안내 돌기 및 여과망과 커버 연결부에 장착되는 차단판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과 열 및 곤충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는 고압케이블의 연결부분 상부에 배치되고 양측 날개부의 저면에는 지그재그 형상의 패킹 지지부와 결합공이 형성되는 반원 형상의 상부 보호 커버; 상기 고압케이블의 연결부분 하부에 배치되고, 양측 날개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보호 커버의 패킹 지지부 및 결합공과 대향하는 패킹 지지부와 결합공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내면 경사면을 따라 전달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이 구비되는 커버 연결부가 형성되는 반원 형상의 하부 보호 커버; 상기 상부 보호 커버와 하부 보호 커버의 날개부에 장착되는 고무 씰링;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호 커버와 하부 보호 커버의 양측에 삽입되어 상기 고압케이블이 고정되며, 끝단에는 단턱부가 돌출형성되는 측면 마감 부재; 상기 하부 보호 커버의 커버 연결부와 연결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내면 도중에는 지그재그로 안내 돌기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지면에 고정을 위한 고정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배출배관; 상기 커버 연결부에 적어도 하나 장착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절개부가 형성되는 차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호 커버에는 RFID 수신기를 통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RFID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배관의 끝단에는 여과망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압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보호하면서도 상기 고압케이블의 연결부분에 침투한 물 내지 습기를 외부로 배수하여 고압케이블 주변에 누전사고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배관의 안내 돌기 및 여과망과 커버 연결부에 장착되는 차단판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과 열 및 곤충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를 구성하는 보호 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를 구성하는 배출배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차단판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를 구성하는 보호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를 구성하는 배출배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를 구성하는 차단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인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10)는 고압케이블(C)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상부 보호 커버(20) 및 하부 보호 커버(30)와, 상기 상부 보호 커버(20) 및 하부 보호 커버(30)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고무 씰링(40)과, 상기 상부 보호 커버 (20) 및 하부 보호 커버(30)의 양측에 삽입되는 측면 마감 부재(50)와, 상기 하부 보호 커버(30)와 결합되는 배출배관(60)과, 상기 하부 보호 커버(30)를 구성하는 커버 연결부에 장착되는 차단판(70) 등으로 구성된다.
고압케이블(C)의 연결부분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보호 커버(20)는 반원 형상으로 양측에 날개부(21)가 대칭형성되고 상기 날개부(21)의 저면에는 지그재그 형상의 패킹 지지부(22)와 결합공(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보호 커버(20)는 고압케이블(C)의 상부를 수용하면서 양측에 장착되는 날개부(21)를 통해 하부 보호 커버(30)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날개부(21)의 패킹 지지부(22)를 지그재그로 형성한 것은, 상기 상부 보호 커버(20) 및 하부 보호 커버(30)의 결합시 사이에 장착되는 고무 씰링(40)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보호 커버(20)에는 외부에서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10)의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RFID(80)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보호 커버(20)의 상부에 RFID(80)를 장착하여 외부에서 작업자가 RFID 수신기를 통해 신속하게 상기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10)와 고압케이블(C)의 연결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압케이블(C)의 연결부분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보호 커버(30)는 반원 형상으로 양측에 날개부(31)가 대칭형성되고, 상기 날개부(31)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보호 커버(20)의 패킹 지지부(22) 및 결합공(23)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패킹 지지부(32) 및 결합공(33)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내면 경사면(34)을 따라 전달되는 물을 배출공(36)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커버 연결부(35)가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보호 커버(30)는 고압케이블(C)의 하부를 수용하면서 양측에 장착되는 날개부(31)를 통해 상부 보호 커버(20)와 고정되고, 일 측에 장착되는 커버 연결부(35)의 배출공(36)을 통해 내면 경사면(34)을 따라 전달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날개부(31)의 패킹 지지부(32)를 지그재그로 형성한 것은, 상기 상부 보호 커버(20) 및 하부 보호 커버(30)의 결합시 사이에 장착되는 고무 씰링(40)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면 경사면(34)은 물이 흘러 내려갈 수 있는 경사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연결부(35)를 구성하는 배출공(36)의 도중에는 차단판(7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단턱부(36a)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보호 커버(20) 및 하부 보호 커버(30)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고무 씰링(4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된다.
즉 상기 고무 씰링(40)은 상부 보호 커버(20) 및 하부 보호 커버(30)의 날개부(21, 31)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3, 33)에 장착되는 볼트의 결합시 상기 날개부(21, 31)에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보호 커버(20) 및 하부 보호 커버(30)의 양측에 삽입되는 측면 마감 부재(50)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끝단에는 단턱부(52)가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 마감 부재(50)는 상부 보호 커버(20) 및 하부 보호 커버(30)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고압케이블(C)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보호 커버(20, 30)의 측면으로 공기의 유입을 최대한 차단한 것이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측면 마감 부재(50)는 보호 커버(20, 30)의 측면에 원활하게 삽입하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분할형성되면서 끝단에 필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턱부(52)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하부 보호 커버(30)와 결합되는 배출배관(6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면 도중에는 지그재그로 안내 돌기(62)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고정 돌기(64)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배관(60)은 커버 연결부(35)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공(36)을 통해 전달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배관(60)의 내면에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안내 돌기(62)는 외부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 곤충, 열 등이 보호 커버(20, 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배출배관(60)의 외면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64)는 지면에 배출배관(6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배관(60)의 끝단에는 외부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 곤충, 열 등을 더욱더 감소시킬 수 있도록 여과망(66)이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하부 보호 커버(30)를 구성하는 커버 연결부(35)에 장착되는 차단판(7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절개부(7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 연결부(35)를 구성하는 배출공(36)의 단턱부(36a)에 장착되어 상기 절개부(72)를 통해 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보호 커버(20, 30)의 내부로 외부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 곤충, 열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압케이스(C)가 설치되는 연결부분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면 도중에는 지그재그로 안내 돌기(62)가 형성되고, 외면에는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고정 돌기(64)가 형성되는 배출배관(6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고압케이스(C)의 연결부분 하부와 배출배관(60)에 반원 형상으로 양측에 날개부(31)가 대칭형성되고, 상기 날개부(31)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보호 커버(20)의 패킹 지지부(22) 및 결합공(23)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패킹 지지부(32) 및 결합공(33)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내면 경사면(34)을 따라 전달되는 물을 배출공(36)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커버 연결부(35)가 형성되는 하부 보호 커버(3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배출공(36)을 구성하는 단턱부(36a)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절개부(72)가 형성되는 차단판(70)을 먼저 삽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보호 커버(30)의 날개부(31)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무 씰링(40)을 장착한 후, 상기 하부 보호 커버(30)의 상부에 반원 형상으로 양측에 날개부(21)가 대칭형성되고 상기 날개부(21)의 저면에는 지그재그 형상의 패킹 지지부(22)와 결합공(23)이 형성되는 상부 보호 커버(20)를 배치한 다음, 상기 결합공(23, 33)에 볼트를 결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 커버(20, 30)의 양측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끝단에 단턱부(52)가 돌출형성되는 측면 마감 부재(50)를 장착하면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1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10)는 고압케이블(C)의 연결부분을 보호 커버(20, 30)의 측면 마감 부재(50)와 고무 씰링(40)을 통해 내부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케이블(C)의 연결부분으로 기온차 등에 의한 물이 발생되면, 상기 물은 하부 보호 커버(30)의 내면 경사면(34)을 따라 커버 연결부(35)에 전달되고, 상기 커버 연결부(35)에 전달되는 물은 배출공(36)을 따라 하부에 장착되는 차단판(70)의 절개부(72)를 따라 배출배관(60)으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배관(60)을 따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과 열 및 곤충 등을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배출배관(60)의 안내 돌기(62)와 차단판(70)을 통해 차단함으로써 외부 영향에 따라 보호 커버(20, 30)에 수증기 및 물이 생기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20 : 상부 보호 커버,
21 : 날개부, 22 : 패킹 지지부,
23 : 결합공, 30 : 하부 보호 커버,
31 : 날개부, 32 : 패킹 지지부,
33 : 결합공, 34 : 내면 경사면,
35 : 커버 연결부, 36 : 배출공,
40 : 고무 씰링, 50 : 측면 마감 부재,
52 : 단턱부, 60 : 배출배관,
62 : 안내 돌기, 64 : 고정 돌기,
66 : 여과망, 70 : 차단판,
72 : 절개부.

Claims (3)

  1. 고압케이블의 연결부분 상부에 배치되고 양측 날개부의 저면에는 지그재그 형상의 패킹 지지부와 결합공이 형성되는 반원 형상의 상부 보호 커버;
    상기 고압케이블의 연결부분 하부에 배치되고, 양측 날개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보호 커버의 패킹 지지부 및 결합공과 대향하는 패킹 지지부와 결합공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내면 경사면을 따라 전달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이 구비되는 커버 연결부가 형성되는 반원 형상의 하부 보호 커버;
    상기 상부 보호 커버와 하부 보호 커버의 날개부에 장착되는 고무 씰링;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호 커버와 하부 보호 커버의 양측에 삽입되어 상기 고압케이블이 고정되며, 끝단에는 단턱부가 돌출형성되는 측면 마감 부재;
    상기 하부 보호 커버의 커버 연결부와 연결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내면 도중에는 지그재그로 안내 돌기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지면에 고정을 위한 고정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배출배관;
    상기 커버 연결부에 적어도 하나 장착되고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절개부가 형성되는 차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호 커버에는 RFID 수신기를 통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RFID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의 끝단에는 여과망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KR1020140011349A 2014-01-29 2014-01-29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KR10138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349A KR101380413B1 (ko) 2014-01-29 2014-01-29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349A KR101380413B1 (ko) 2014-01-29 2014-01-29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413B1 true KR101380413B1 (ko) 2014-04-02

Family

ID=5065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349A KR101380413B1 (ko) 2014-01-29 2014-01-29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395B1 (ko) * 2017-12-08 2018-04-06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전력구 케이블 접속부 단자 부식 방지 장치
KR101996303B1 (ko) * 2019-05-13 2019-07-05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선로 누수차단용 배관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773B1 (ko) 2009-06-17 2009-08-31 주식회사 시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JP2010281359A (ja) 2009-06-03 2010-12-16 Bridgestone Corp 管継手
KR101190837B1 (ko) 2010-06-30 2012-10-12 지원건설(주) 배관 이음부 누수 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015373A (ko) * 2011-08-03 2013-02-14 최현하 공용 전기자동차 충전과금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1359A (ja) 2009-06-03 2010-12-16 Bridgestone Corp 管継手
KR100914773B1 (ko) 2009-06-17 2009-08-31 주식회사 시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KR101190837B1 (ko) 2010-06-30 2012-10-12 지원건설(주) 배관 이음부 누수 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015373A (ko) * 2011-08-03 2013-02-14 최현하 공용 전기자동차 충전과금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395B1 (ko) * 2017-12-08 2018-04-06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전력구 케이블 접속부 단자 부식 방지 장치
KR101996303B1 (ko) * 2019-05-13 2019-07-05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선로 누수차단용 배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7854B2 (en) Sleeve protector for wires
KR100873745B1 (ko) 송배전단자 누전방지 보호장치
CN105322479A (zh) 导管容纳器
CA2702906C (en) Integrated insulator seal and shield assemblies
KR101380413B1 (ko)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KR100777263B1 (ko) 변전소의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2076797B1 (ko)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KR101873957B1 (ko) 변전소의 절연용 방호구 설비
US10109992B2 (en) Methods for installing a riser glove onto cables extending form a riser conduit
KR102315996B1 (ko) 변전소의 송배전 선로 연결장치
KR100907677B1 (ko) 배전 전력구 케이블 접속부 단자 부식방지 장치
KR100899498B1 (ko) 전선관용 매설 보호블럭
KR100673388B1 (ko) 지중 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1509122B1 (ko) 전자파 차단 송전 전력구
KR101046397B1 (ko)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1275193B1 (ko) 지중용 또는 지상형 개폐기 및 변압기의 야생동물 및 습기침투 방지용 차폐막
KR101247364B1 (ko)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
KR101835591B1 (ko)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
US10910772B2 (en) Electrical safety system for wet areas
KR101759737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US5505027A (en) Service conduit drain
KR101030351B1 (ko)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새 누수처리 장치
KR101124965B1 (ko) 접지일체형 맨홀
KR102153395B1 (ko) 지중 배전선로와 배전반 간 배전선로 연결구조
KR200318230Y1 (ko) 케이블관의 밀폐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