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797B1 -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797B1
KR102076797B1 KR1020190104893A KR20190104893A KR102076797B1 KR 102076797 B1 KR102076797 B1 KR 102076797B1 KR 1020190104893 A KR1020190104893 A KR 1020190104893A KR 20190104893 A KR20190104893 A KR 20190104893A KR 102076797 B1 KR102076797 B1 KR 102076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rotective
closing
close contact
ba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웅
김근환
Original Assignee
(주)웅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웅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웅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04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의 유입으로 인한 전류의 누설을 막을 수 있는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나전선에 씌운 상태로 마주 접하는 두 개의 방호관에 양쪽으로 벌려서 씌우기 위해 상기 방호관의 외형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의 가운데 부분에 상기 방호관의 끝부분과 접촉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중공형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한쪽 하부에 연장하여 형성된 개폐부, 상기 개폐부가 밀착되기 위해 상기 커버부의 다른 쪽 하부에 연장하여 형성된 밀착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방호관에 씌워진 상태로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밀착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밀착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잠금부, 상기 나전선의 전류가 직하방향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해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밀착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형성된 절연공간부를 포함하는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CONNECTOR FOR INSULATION COVER OF BARE CONDUCTOR}
본 발명은 수목 또는 활선작업 시 등 외물 접촉에 의한 선로고장 및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배전선로용 방호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의 유입으로 인한 전류 누설 및 감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송전선(가공배전선)은 도시 근교의 변전소에서 가정, 빌딩, 공장 등 전기를 사용하는 수용가에 전기를 안전하게 전달(송전)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철탑이나 전주에 가설하고 있다.
이러한 송전선은 산지 및 산악지대와 같이 수목이 우거진 곳이나 가로수가 심어져 있는 도로의 경우 수목이 성장하여 접촉 시 수시로 정전, 배선장애 및 설비고장 등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유지 보수 및 관리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수 있다.
또한, 활선작업이나 활선근접 작업 시 고압전기가 흐르는 송전선에 대부분 절연시트만 씌운 채 작업이 이뤄지는 관계로 자칫 절연시트가 벗겨지면 작업자의 감전에 따른 사고 위험성이 매우 높고, 아울러 건축공사 시 외물 접촉 및 충격으로 인한 선로고장과 같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송전선의 일부를 덮어씌워 보호하는 방호관(절연방호구)가 알려져 있다.
아울러 방호관은 현장 여건 및 상황에 따라 여러 개를 별도의 연결구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 기술의 일례로, 방호관 결속구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송전선이 일반 전선과 달리 비닐, 고무 등으로 절연 및 피복되어 있지 않은 나전선으로 이루어진 경우 방호관끼리 맞닿는 부분의 틈새와, 결속구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의 틈을 통해 내부로 빗물이 침투하면, 그 빗물을 통로로 하여 흐르는 누설전류에 의해 감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큰 데다 열화 및 변형 등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절연성, 즉 절연내력이 점차 저하되어 절연불량 및 절연파괴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20-0428570 Y1(2006.10.04) KR 10-0974093 B1(2010.07.29) KR 10-1322706 B1(2013.10.23) KR 10-2014-0145416 A(2014.12.23) KR 10-1557465 B1(2015.09.25) KR 10-1761602 B1(2017.07.20) KR 20-0149509 Y1(1999.03.26) KR 10-2016-0010044 A(2016.01.27)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방호관 연결구가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착안하여, 빗물의 유입으로 인한 전류 누설 및 감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고, 아울러 내부를 통해서 흐르는 누설전류와 열화 및 변형 등 스트레스로 인한 절연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나전선에 흐르는 전류가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통로로 하여 누설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내부를 통해서 흐르는 누설전류로 인한 절연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나전선에 씌운 상태로 마주 접하는 두 개의 방호관에 양쪽으로 벌려서 씌우기 위해 상기 방호관의 외형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의 가운데 부분에 상기 방호관의 끝부분과 접촉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중공형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한쪽 하부에 연장하여 형성된 개폐부, 상기 개폐부가 밀착되기 위해 상기 커버부의 다른 쪽 하부에 연장하여 형성된 밀착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방호관에 씌워진 상태로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밀착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밀착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잠금부 및 상기 나전선의 전류가 직하방향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해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밀착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형성된 절연공간부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절연공간부가 내부로 빗물이나 수분 등이 침투하더라도 이를 통로로 나전선의 누설전류가 직하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절연하여 높은 전기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절연공간부의 가운데 상부 양쪽에, 외부에서 상기 나전선 및 상기 방호관을 타고 유입되는 빗물과, 상기 나전선의 누설전류가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통해서 직하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유도 및 차단하는 누설방지턱이 형성됨으로써 전류의 누설을 이중으로 확실하게 차단함은 물론 열화 및 변형 등의 스트레스로 인한 절연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절연공간부의 하부에 외부로 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됨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신속하게 배수함은 물론 공기의 원활한 유통으로 절연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은, 절연공간부가 공기 절연(air insulation)하고 누설방지턱이 연면 거리(creeping distance)를 연장하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내부로 빗물이나 수분 등이 침투하더라도 이를 통로로 나전선의 누설전류가 직하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절연 및 차단하여 높은 전기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빗물을 통로로 하여 누설되는 전류에 의한 감전사고나 내부를 통해서 흐르는 누설전류로 인한 절연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은 배출구를 통해 신속하게 배수함은 물론 공기의 원활한 유통으로 절연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양쪽에 두 개의 방호관을 서로 마주 접하도록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국부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10)는 나전선(1)에 씌운 상태로 마주 접하는 두 개의 방호관(2)(3)에 씌워서 연결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와 탄성을 갖는 고분자 절연재 또는 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분자 절연재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를 비롯하여 비가교 폴리프로필렌(Non-crossing link polypropylene),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olyisocyanurate),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불소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구(10)는 커버부(11), 개폐부(13), 밀착부(14), 잠금부(15), 절연공간부(16), 누설방지턱(17) 및 배출구(18)를 포함하고 있다.
커버부(11)는 나전선(1)에 씌운 상태로 마주 접하는 두 개의 방호관(2)(3)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를 양쪽으로 벌려서 감싸듯이 씌우기 위해 내부의 중공 형상이 방호관(2)(3)의 외형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방호관(2)(3)의 끝부분과 접촉되어 위치를 잡아주고 밀림을 방지하는 스토퍼(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부(11)는 방호관(2)(3)과 사이의 간격이나 벌어진 틈으로 인해 긴밀하고 안정적으로 밀착되지 않고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호관(2)(3)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11)는 방호관(2)(3)에 밀착할 수 있도록 내부지름이 방호관(2)(3)의 외부지름보다 약간 더 큰 관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양쪽으로 벌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커버부(11)는 방호관(2)(3)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고, 혹은 방호관(2)(3)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할 수도 있다.
개폐부(13)는 커버부(11)의 하부를 양쪽으로 벌리고 오므릴 수 있도록 커버부(11)의 한쪽 하부에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개폐부(13)는 커버부(11)의 한쪽 하부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일정한 길이와 넓이를 가지며 형성되어 있다.
밀착부(14)는 개폐부(13)가 밀착될 수 있도록 커버부(11)의 다른 쪽 하부에 연장하여 개폐부(13)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밀착부(14)는 커버부(11)의 다른 쪽 하부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일정한 길이와 넓이를 가지며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15)는 커버부(11)가 방호관(2)(3)에 씌워진 상태로 개폐부(13)와 밀착부(14) 간의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개폐부(13)와 밀착부(14)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암수 결합 방식으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잠금부(15)는 개폐부(13)와 밀착부(14) 간의 닫힌 상태를 유지 및 차폐하면서 방호관(2)(3)에 씌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암수 형태의 끼움 수단이 서로 대응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잠금부(15)는 예를 들면, 마치 화살촉 형상의 단면을 갖는 후크형 돌기가 개폐부(13)의 한쪽 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그 후크형 돌기가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끼워져 밀착되고, 그 끼워지고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후크형 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밀착부(14)의 마주하는 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잠금부(15)는 개폐부(13)와 밀착부(14) 사이의 틈을 통해 절연공간부(16) 내로 빗물이나 먼지 등의 각종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고, 틈새 없이 한층 더 견고하고 기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기 위해 이중 또는 삼중 잠금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절연공간부(16)는 나전선(1)에 흐르는 전류가 직하방향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보호 및 차단하기 위해 개폐부(13)와 밀착부(14)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절연공간부(16)는 공기층을 형성하여 절연 내력과 공기 절연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아울러 재료를 줄여 원가절감 및 경량화는 물론이고, 유연성을 높여 곡선으로 휘어진 구간에도 설치할 수 있는 등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절연공간부(16)는 고온 시 팽창 또는 저온 시 수축에 따른 체적변화를 원활하게 하여 연결구(10)가 계절(온도) 변화에 따른 반복적인 팽창 및 수축 작용으로 인해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누설방지턱(17)은 외부에서 나전선(1) 및 방호관(2)(3)을 타고 유입되는 빗물과, 나전선(1)의 누설전류가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통해서 직하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유도 및 차단하기 위해 절연공간부(16) 내의 가운데 천장면에서 양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누설방지턱(17)은 절연공간부(16) 내의 방호관(2)과 방호관(3)이 서로 마주하는 사이 양쪽에 마치 직육면체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면 거리(creeping distance)가 증대시키고, 방호관(2)과 방호관(3) 사이의 틈을 통해 직하방향으로 흘러내리는 빗물이 절연공간부(16)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막아 전류의 통로가 자연스럽게 차단될 수 있다.
배출구(18)는 절연공간부(16) 내의 가운데 바닥에 외부로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배출구(18)는 연결구(10)의 절연 내력은 유지하면서 경량화하고, 아울러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 수분 등의 이물질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함은 물론 공기의 원활한 유통을 유도하여 절연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18)는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10)는 개폐부(13)와 밀착부(14)를 양쪽으로 벌려서 커버부(11)를 나전선(1)에 씌운 상태로 마주 접하는 두 개의 방호관(2)(3)에 덮어씌운 후, 개폐부(13)와 밀착부(14)를 서로 밀착시킴과 동시에 잠금부(15)를 잠금으로써 개폐부(13)와 밀착부(14)가 폐쇄되고 외부와 차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11)는 외력을 가하면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대로 오므라들기 때문에 두 개의 방호관(2)(3)에 자연스럽게 감싸서 씌울 수 있고, 또 잠금부(15)의 잠금 작용에 의해 나전선(1)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공간부(16)가 공기 절연(air insulation)하고 누설방지턱(17)이 연면 거리(creeping distance)를 연장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부로 빗물이나 수분 등이 침투하더라도 이를 통로로 나전선의 누설전류가 직하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유도 및 차단하여 높은 전기절연성을 유지함은 물론이고, 작업자 등이 부주의로 연결구(10)와 접촉되더라도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10)는 외부에서 빗물이 나전선(1) 또는 양쪽의 방호관(2)(3)을 타고 들어와 중앙부에서 합류하여 방호관(2)과 다른 방호관(3)이 서로 마주하는 사이의 틈을 통해 직하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흘러내리더라도 누설방지턱(17)에 막혀서 그 끝부분에 맺혀 있다가 아래로 떨어져 배출구(18)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기 때문에 전류의 통로가 자연스럽게 차단될 수 있다.
아울러 절연공간부(16)로 인한 공기 절연(air insulation) 기능 향상과, 누설방지턱(17)으로 인한 연면 거리(creeping distance)가 늘어남으로써 나전선(1)에 흐르는 전류는 개폐부(13)와 밀착부(14)를 타고 흐르지 못하고 우회되기 때문에 전기절연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수분의 침투 및 누설전류로 인한 열화나 소손 또는 절연파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연결구 11: 커버부
12: 스토퍼 13: 개폐부
14: 밀착부 15: 잠금부
16: 절연공간부 17: 누설방지턱
18: 배출구

Claims (3)

  1. 나전선에 씌운 상태로 마주 접하는 두 개의 방호관에 양쪽으로 벌려서 씌우기 위해 상기 방호관의 외형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의 가운데 부분에 상기 방호관의 끝부분과 접촉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중공형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한쪽 하부에 연장하여 형성된 개폐부;
    상기 개폐부가 밀착되기 위해 상기 커버부의 다른 쪽 하부에 연장하여 형성된 밀착부;
    상기 커버부가 상기 방호관에 씌워진 상태로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밀착부가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밀착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잠금부; 및
    상기 나전선의 전류가 직하방향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해 상기 개폐부와 상기 밀착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형성된 절연공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공간부의 가운데 상부 양쪽에, 외부에서 상기 나전선 및 상기 방호관을 타고 유입되는 빗물과, 상기 나전선의 누설전류가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통해서 직하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유도 및 차단하는 누설방지턱이 형성된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공간부의 하부에 외부로 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KR1020190104893A 2019-08-27 2019-08-27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KR102076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893A KR102076797B1 (ko) 2019-08-27 2019-08-27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893A KR102076797B1 (ko) 2019-08-27 2019-08-27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797B1 true KR102076797B1 (ko) 2020-02-12

Family

ID=69569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893A KR102076797B1 (ko) 2019-08-27 2019-08-27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7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1183A (zh) * 2020-05-08 2020-08-1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带电操作辅助装置
KR102450938B1 (ko) 2022-05-12 2022-10-06 주식회사 삼송이엔지 간접 활선작업용 방호관 연결구
KR20220161925A (ko) * 2021-05-31 2022-12-07 한국전력공사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 이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509Y1 (ko) 1997-05-06 1999-06-15 이득광 전선절연 호스
KR200187193Y1 (ko) * 1998-04-02 2000-07-01 이득광 고압송전선절연커버
KR200428570Y1 (ko) 2006-07-05 2006-10-16 신재식 방호관 결속구
KR100974093B1 (ko) 2009-10-30 2010-08-04 한국전력공사 전선 절연 커버
KR101322706B1 (ko) 2012-05-24 2013-10-29 한국전력공사 전선 보호 커버
KR20140145416A (ko) 2013-06-13 2014-12-23 한국전력공사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KR101557465B1 (ko) 2015-02-06 2015-10-06 (주)에스시 가공배전선의 보호커버
KR20160000168U (ko) * 2014-07-08 2016-01-18 (주) 진흥이엔지 45㎸급 건축용 방호관
KR20160010044A (ko) 2014-07-18 2016-01-27 전익배 고압선 방호용 절연커버
KR101761602B1 (ko) 2017-03-20 2017-08-04 주식회사 거성에코 전선 보호용 절연커버
KR101995893B1 (ko) * 2019-01-09 2019-07-04 (주)웅진엔지니어링 전선 방호용 절연커버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509Y1 (ko) 1997-05-06 1999-06-15 이득광 전선절연 호스
KR200187193Y1 (ko) * 1998-04-02 2000-07-01 이득광 고압송전선절연커버
KR200428570Y1 (ko) 2006-07-05 2006-10-16 신재식 방호관 결속구
KR100974093B1 (ko) 2009-10-30 2010-08-04 한국전력공사 전선 절연 커버
KR101322706B1 (ko) 2012-05-24 2013-10-29 한국전력공사 전선 보호 커버
KR20140145416A (ko) 2013-06-13 2014-12-23 한국전력공사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KR20160000168U (ko) * 2014-07-08 2016-01-18 (주) 진흥이엔지 45㎸급 건축용 방호관
KR20160010044A (ko) 2014-07-18 2016-01-27 전익배 고압선 방호용 절연커버
KR101557465B1 (ko) 2015-02-06 2015-10-06 (주)에스시 가공배전선의 보호커버
KR101761602B1 (ko) 2017-03-20 2017-08-04 주식회사 거성에코 전선 보호용 절연커버
KR101995893B1 (ko) * 2019-01-09 2019-07-04 (주)웅진엔지니어링 전선 방호용 절연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1183A (zh) * 2020-05-08 2020-08-1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东莞供电局 带电操作辅助装置
KR20220161925A (ko) * 2021-05-31 2022-12-07 한국전력공사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 이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
KR102626125B1 (ko) * 2021-05-31 2024-01-18 한국전력공사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 이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
KR102450938B1 (ko) 2022-05-12 2022-10-06 주식회사 삼송이엔지 간접 활선작업용 방호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797B1 (ko)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US11837854B2 (en) Sleeve protector for wires
RU2456729C2 (ru)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герметизации кабелей, содержащих жидкость
US8889989B2 (en) Elastomeric cable adapters for power transmission cables and cover assemblie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US9224520B2 (en) Cover assemblies and methods for covering electrical cables and connections
US20060169475A1 (en) Cable fluid injection sleeve
US6281431B1 (en) Multi-core cable and cable joint
US10109992B2 (en) Methods for installing a riser glove onto cables extending form a riser conduit
KR101995893B1 (ko) 전선 방호용 절연커버
KR102092052B1 (ko) 전선 방호용 절연커버
KR101380413B1 (ko) 배전 고압케이블 관로 이음장치
KR100521612B1 (ko) 케이블 유체 분사 슬리브
RU170477U1 (ru) Кабель силовой
KR102630787B1 (ko) 전선방호관
KR102310409B1 (ko)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
RU2700570C9 (ru) Гофрированная труба для кабелепровода (варианты), муфт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гофрированных труб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кабелепровода
KR102450938B1 (ko) 간접 활선작업용 방호관 연결구
KR102549348B1 (ko) 안전 설계가 강화된 지중 송전선로 연결장치
Dmitriev Fire hazard of 6-500 kV cable lines in polymer pipes
US10431917B2 (en) Connection device and electrical tunnel installation
KR101830033B1 (ko) 직류 전력케이블 중간접속 시스템
Barber et al. Reliable undergrounding of electricity supply in Asia
KR0116313Y1 (ko) 고압 배전선로용 케이블 다발
KR20240012933A (ko) 전선용 방호관
KR101839725B1 (ko) 직류 전력케이블 중간접속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