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409B1 -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 - Google Patents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409B1
KR102310409B1 KR1020210014422A KR20210014422A KR102310409B1 KR 102310409 B1 KR102310409 B1 KR 102310409B1 KR 1020210014422 A KR1020210014422 A KR 1020210014422A KR 20210014422 A KR20210014422 A KR 20210014422A KR 102310409 B1 KR102310409 B1 KR 102310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insulator
tube
terminal
silicon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이테크
Priority to KR102021001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H01B17/30Sea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은 상단에 단자가 마련된 애자가 설치되고, 상기 단자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변전소 전력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단자 및 애자의 표면을 감싸게 설치되되, 상기 케이블의 하측 외주면을 감싸는 케이블 튜브부, 상기 단자의 외주면을 감싸는 단자 튜브부, 상기 애자의 최상측 외주면을 감싸는 애자 튜브부로 이루어진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투명한 실리콘 튜브와, 상기 실리콘 튜브의 내주면 및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유색의 물감 결정체가 매립된 다수의 물감 매립홈과, 상기 각 물감 매립홈과 연통됨과 함께 상기 실리콘 튜브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물감 매립홈에 비해 넓은 내용적을 가지고, 실리콘 튜브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했을 때 수분에 의해 물감 결정체를 녹인 물이 번지는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투명한 실리콘 튜브의 외부에서 보았을 때 물감의 번짐 현상에 의해 수분이 침투되었음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물감 번짐홈과, 상기 실리콘 튜브의 상단에 그 외주면이 외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널링부가 형성된 돌출헤드와, 상기 돌출헤드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돌출헤드 내주면과 상기 케이블 외주면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상부 모헤어와, 상기 돌출헤드의 외부를 깜싸는 마감캡과, 상기 실리콘 튜브의 최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애자 튜브부를 애자의 최상측에 끼우기 전에는 측면을 향하고 있다가 상기 애자의 최상측에 끼우면 애자의 요부 형태에 의하여 하향으로 향하게 되는 하부 모헤어, 상기 하부 모헤어가 형성된 실리콘 튜브의 외주면을 애자의 요홈을 향해 압박하여 조여줌으로써 실리콘 튜브의 탈거를 방지하는 보강 조임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Silicon tube for preventing terminal corrosion of power capacitor in substation}
본 발명은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콘덴서의 단자와 케이블의 연결부가 수분이나 먼지 등과 같은 외부 환경요인과 차단될 수 있도록 실리콘 튜브를 설치하여 상기 연결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분이 침투되는 경우 투명한 실리콘 튜브의 내벽에 매설된 물감 결정체가 수분에 의해 녹으면서 작업자가 물감번짐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한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란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선로나 배전선로를 통하여 수요자에게 보내는 과정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의 집합체를 말한다.
이렇게 전력을 발전소에서 수요자에게 수송하기 위하여는 비교적 장거리의 송전선로를 통과해야 하는데, 이 때 필연적으로 선로의 저항과 선로를 흐르는 전류의 제곱의 곱에 상당하는 손실이 발생된다. 이 송전손실을 줄이기 위하여는 전선을굵은 것으로 사용하여 저항을 작게 하거나 송전전압을 높게 하여 동일 전력 수송시 전류를 작게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한편, 발전소의 전압은 제작비용 등을 고려하여 통상 2만~3만V 사이의 값을 가지게 되며 이 전압을 송전전압으로 높여서 송전한다. 한국의 송전전압은 66,000V, 154,000V 및 345,000V 등이며 앞으로 765,000V 송전선로를 건설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높은 전압으로 일반 가정까지 전력을 수송할 수 없으므로 변전소에서는 이들 전압을 배전전압(한국의 경우 주로 22,900V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6,600V임)으로 낮추어 배전하며, 이 배전전압을 주상변압기 등을 통하여 110V 또는220V로 낮추어 가정에서 전기를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발전전압을 송전전압으로 높이는 변전소를 승압변전소라 하고, 송전전압을 배전전압이나 더 낮은 송전전압으로 낮추는 변전소를 강압변전소라 한다. 강압변전소 중에서 그 기능에 따라 송전전압을 더 낮은 송전전압으로 낮추는 변전소를 1차 변전소라 하며, 송전전압을 배전전압으로 바꾸는 변전소를 2차 변전소라고도 한다.
l차변전소에서는 일반적으로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 주목적인데,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조상기(調相機) 또는 대용량의 전력콘덴서가 설치된다.
상기 전력콘덴서의 상단에는 송전선이나 전기기기의 나선 부분을 절연하고 동시에 기계적으로 유지 또는 지지하기 위하여 자기로 만든 애자가 설치되고, 상기 애자에는 케이블과 연결되는 단자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변전소 전력콘덴서는 케이블과 단자의 연결부분에 수분이나 먼지가 침투하여 그 연결부에 쉽게 녹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 1 : 특허등록공보 제10-0735910호(2007.6.28 등록) 문헌 2 : 특허등록공보 제10-0860268호(2008.9.19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콘덴서의 단자와 케이블의 연결부가 수분이나 먼지 등과 같은 외부 환경요인과 차단될 수 있도록 실리콘 튜브를 설치하여 상기 연결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분이 침투된 경우 투명한 실리콘 튜브의 내벽에 매설된 물감 결정체가 수분에 의해 녹으면서 작업자가 물감번짐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한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에 단자가 마련된 애자가 설치되고, 상기 단자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변전소 전력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단자 및 애자의 표면을 감싸게 설치되되, 상기 케이블의 하측 외주면을 감싸는 케이블 튜브부, 상기 단자의 외주면을 감싸는 단자 튜브부, 상기 애자의 최상측 외주면을 감싸는 애자 튜브부로 이루어진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투명한 실리콘 튜브와, 상기 실리콘 튜브의 내주면 및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유색의 물감 결정체가 매립된 다수의 물감 매립홈과, 상기 각 물감 매립홈과 연통됨과 함께 상기 실리콘 튜브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물감 매립홈에 비해 넓은 내용적을 가지고, 실리콘 튜브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했을 때 수분에 의해 물감 결정체를 녹인 물이 번지는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투명한 실리콘 튜브의 외부에서 보았을 때 물감의 번짐 현상에 의해 수분이 침투되었음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물감 번짐홈과, 상기 실리콘 튜브의 상단에 그 외주면이 외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널링부가 형성된 돌출헤드와, 상기 돌출헤드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돌출헤드 내주면과 상기 케이블 외주면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상부 모헤어와, 상기 돌출헤드의 외부를 깜싸는 마감캡과, 상기 실리콘 튜브의 최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애자 튜브부를 애자의 최상측에 끼우기 전에는 측면을 향하고 있다가 상기 애자의 최상측에 끼우면 애자의 요부 형태에 의하여 하향으로 향하게 되는 하부 모헤어, 상기 하부 모헤어가 형성된 실리콘 튜브의 외주면을 애자의 요홈을 향해 압박하여 조여줌으로써 실리콘 튜브의 탈거를 방지하는 보강 조임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력을 갖는 실리콘 튜브를 이용하여 케이블, 단자의 외부에 밀착 설치함으로써 수분이나 먼지 등이 단자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콘 튜브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 및 단자의 형태에 관계없이 호환적인 끼움이 가능하고, 끼움 작업도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콘 튜브는 투명체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유색의 물감 결정체와 수분에 의해 물감이 녹아서 번지는 번짐공간이 마련되어 있어서, 수분이 침투했을 때 외부에서 물감의 번짐현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빠른 후속조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콘 튜브는 아래위에 모헤어가 마련되어 있어서 수분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수밀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튜브가 적용된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튜브의 상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5는 A부 확대도,
도 6은 B부 확대도,
도 7은 C부 확대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전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튜브가 적용된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튜브의 상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5는 A부 확대도, 도 6은 B부 확대도, 도 7은 C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튜브(이하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라 약칭함)(100)는 도 1 및 4에서와 같이,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에 씌움 결합된 채, 외부로부터의 수분을 차단함으로써 단자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변전소 전력콘덴서의 단자부는 상단에 단자(2)가 마련된 애자(1)가 설치되고, 상기 단자(2)에 케이블(3)이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100)는, 실리콘 튜브(110)와, 물감 매립홈(120)과, 물감 번짐홈(130)과, 돌출헤드(140)와, 상부 모헤어(150)와, 마감캡(160)과, 하부 모헤어(170)와, 보강 조임밴드(1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튜브(100)는 케이블(3), 단자(2) 및 애자(1)의 표면을 감싸게 설치되는 것으로, 감싸는 부위에 따라 상기 케이블(3)의 하측 외주면을 감싸는 케이블 튜브부(111)와, 상기 단자(2)의 외주면을 감싸는 단자 튜브부(112)와, 상기 애자(1)의 최상측 외주면을 감싸는 애자 튜브부(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리콘 튜브(100)는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한 탄성(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케이블(3)의 직경, 단자(2)의 모양이나 크기, 애자(1)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넓히거나 좁혀서 밀착하여 뒤집어 씌울 수 있고, 탄성에 의한 밀착도가 높아서 수분차단의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실리콘 튜브(110)는 투명하므로 후술된 물감의 번짐 현상을 외부에서 가시적으로 볼 수 있으므로 수분이 침투되었음을 쉽게 발견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빠른 후속조치가 가능하다. 즉, 수분이 침투되었음이 감지되면, 기존 실리콘 튜브를 벗겨내고 물기를 제거한 후 새로운 실리콘 튜브를 씌움으로써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물감 매립홈(120)은 상기 실리콘 튜브(110)의 내주면 반경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음각홈으로, 그 내부에는 유색의 물감 결정체(121)가 매립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응고된 물감은 수분과 접촉되지 않으면 고체상태이나, 수분과 접촉되면 쉽게 녹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수분이 침투되었음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감 번짐홈(130)은 상기 물감 매립홈(120) 내의 물감 결정체(121)에 수분이 닿은 경우 물감 결정체를 녹인 물이 번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상기 각 물감 매립홈(120)과 연통됨과 함께 상기 실리콘 튜브(110)의 내부와도 연통되어 있어서, 물감물이 번질 수 있는 넓은 공간을 제공함으로 사용자가 투명한 실리콘 튜브(110)의 외부에서도 수분이 침투되었음을 가시적으로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감물의 발생한 위치를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그 부위를 집중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어서 효율적인 건조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돌출헤드(140)는 상기 실리콘 튜브(110)의 상단에 그 외주면이 외향으로 환형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널링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헤드(140)의 외부에는 상기 마감캡(160)이 씌움 결합된다. 상기 마감캡(160)의 내주면에도 상기 널링부(141)와 상대되는 상대 널링부(161)가 마련되어 결합의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마감캡(160)은 돌출헤드를 통과하는 케이블(3)과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돌출헤드(140)를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모헤어(150)는 상기 돌출헤드(14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돌출헤드 내주면과 상기 케이블(3) 외주면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간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모헤어(170)는 상기 실리콘 튜브(110)의 최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며, 도 3과 같이 상기 애자 튜브부(113)를 애자의 최상측에 끼우기 전에는 측면을 향하고 있다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애자의 최상측에 끼우면 애자의 요부 형태에 의하여 하향으로 향하게 되면서, 최상층 애자와 실리콘 튜브 사이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보강 조임밴드(180)는 상기 하부 모헤어(170)가 형성된 실리콘 튜브(110)의 외주면을 애자(1)의 요홈(1a)을 향해 압박하여 조여줌으로써 실리콘 튜브(110)의 탈거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 조임밴드(180)의 실리콘 튜브(110)와 접하는 내주면에는 실리콘 튜브를 다단으로 압박하기 위한 널링부(181)가 형성되어 실리콘 튜브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0 :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
110 : 실리콘 튜브
120 : 물감 매립홈
130 : 물감 번짐홈
140 : 돌출헤드
150 : 상부 모헤어
160 : 마감캡
170 : 하부 모헤어
180 : 보강 조임밴드

Claims (1)

  1. 상단에 단자(2)가 마련된 애자(1)가 설치되고, 상기 단자(2) 및 애자(1)의 표면을 감싸게 설치되되, 내측으로 유입되어 단자(2)에 통전연결되는 케이블(3)의 하측 외주면을 감싸는 케이블 튜브부(111), 상기 단자(2)의 외주면을 감싸는 단자 튜브부(112), 상기 애자(1)의 최상측 외주면을 감싸는 애자 튜브부(113)로 이루어진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투명한 실리콘 튜브(110)와, 상기 실리콘 튜브(110)의 상단에 그 외주면이 외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널링부(141)가 형성된 돌출헤드(140)와, 상기 돌출헤드(140)의 외부를 깜싸는 마감캡(160)을 구비하는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튜브(110)의 내주면 및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유색의 물감 결정체(121)가 매립된 다수의 물감 매립홈(120);
    상기 각 물감 매립홈(120)과 연통됨과 함께 상기 실리콘 튜브(110)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물감 매립홈(120)에 비해 넓은 내용적을 가지고, 실리콘 튜브(110)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했을 때 수분에 의해 물감 결정체(121)를 녹인 물이 번지는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투명한 실리콘 튜브의 외부에서 보았을 때 물감의 번짐 현상에 의해 수분이 침투되었음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물감 번짐홈(130);
    상기 돌출헤드(14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돌출헤드 내주면과 상기 케이블 (3) 외주면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상부 모헤어(150);
    상기 실리콘 튜브(110)의 최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애자 튜브부(113)를 애자(1)의 최상측에 끼우기 전에는 측면을 향하고 있다가 상기 애자(1)의 최상측에 끼우면 애자의 요부 형태에 의하여 하향으로 향하게 되는 하부 모헤어(170); 및
    상기 하부 모헤어(170)가 형성된 실리콘 튜브(110)의 외주면을 애자의 요홈을 향해 압박하여 조여줌으로써 실리콘 튜브(110)의 탈거를 방지하는 보강 조임밴드(1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
KR1020210014422A 2021-02-01 2021-02-01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 KR102310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422A KR102310409B1 (ko) 2021-02-01 2021-02-01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422A KR102310409B1 (ko) 2021-02-01 2021-02-01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409B1 true KR102310409B1 (ko) 2021-10-08

Family

ID=7811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422A KR102310409B1 (ko) 2021-02-01 2021-02-01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4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8217A (ja) * 2003-08-14 2007-07-05 エレクトリック パワー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ファイバーガラス製ロッドの露出による不良の可能性を早期に検出する化学ドープされた複合がいし
KR100735910B1 (ko) 2007-05-26 2007-07-10 (주)선진전력기술단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튜브설치구조
KR100860268B1 (ko) 2008-04-07 2008-09-25 (유)전일기술단 변전소 전력 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튜브
KR101963854B1 (ko) * 2018-12-14 2019-04-01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송전 배전 변전 전력구 케이블 접속부 단자 부식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8217A (ja) * 2003-08-14 2007-07-05 エレクトリック パワー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ファイバーガラス製ロッドの露出による不良の可能性を早期に検出する化学ドープされた複合がいし
KR100735910B1 (ko) 2007-05-26 2007-07-10 (주)선진전력기술단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튜브설치구조
KR100860268B1 (ko) 2008-04-07 2008-09-25 (유)전일기술단 변전소 전력 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튜브
KR101963854B1 (ko) * 2018-12-14 2019-04-01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송전 배전 변전 전력구 케이블 접속부 단자 부식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178Y1 (ko)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US8889989B2 (en) Elastomeric cable adapters for power transmission cables and cover assemblie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US11837854B2 (en) Sleeve protector for wires
US3307137A (en) Conductor termination
RU25181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ста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US5725396A (en) Connection device for the poles of electric accumulators
KR102310409B1 (ko)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
KR20170003373U (ko)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KR101995893B1 (ko) 전선 방호용 절연커버
US20100200292A1 (en) Secondary cap
KR102092052B1 (ko) 전선 방호용 절연커버
KR102143128B1 (ko) 피뢰기 삽입형 종단접속재
KR100941474B1 (ko) 도선용 절연 고정구
KR20200063432A (ko)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KR20170103302A (ko)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CN205692974U (zh) 配电台架接地线绝缘接地装置
KR200461136Y1 (ko)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CN211208713U (zh) 线缆连接装置
KR200219458Y1 (ko) 변압기 인하선 접속용 분기고리
KR102311369B1 (ko) 주상변압기 저압부싱 절연커버 구조체
KR100735910B1 (ko)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튜브설치구조
CN219591844U (zh) 一种变电站电缆防护装置
KR100925040B1 (ko) 도선용 절연커버
KR102639223B1 (ko) 간접활선 바이패스케이블의 단말장치
CN117175228A (zh) 一种快接线耳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