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373U -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373U
KR20170003373U KR2020170004891U KR20170004891U KR20170003373U KR 20170003373 U KR20170003373 U KR 20170003373U KR 2020170004891 U KR2020170004891 U KR 2020170004891U KR 20170004891 U KR20170004891 U KR 20170004891U KR 20170003373 U KR20170003373 U KR 201700033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ranch
foreign matter
prevention plate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철
이현정
고희동
Original Assignee
(주)대림엠이씨
태형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림엠이씨, 태형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대림엠이씨
Priority to KR2020170004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373U/ko
Publication of KR201700033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3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9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having lapped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Landscapes

  • Insulating Bodi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공배전선로에 사용되는 분기 슬리브를 보호할 수 있는 절연커버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는 일측에 절개면을 가지며 내부에 전선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몸체, 몸체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전선이 배출되는 전선 배출부, 몸체와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의 내측 경계면에 제공된 제1 이물질 방지판과 제2 이물질 방지판, 몸체의 절개면 양측단에 형성된 잠금부, 제2 연장부에 절개선으로 형성되어 분기전선이 배출되는 분기선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Cover for insulating branch connector for overhead distribution line}
본 고안은 가공배전선로에 사용되는 분기 슬리브를 보호할 수 있는 절연커버에 관한 것이다.
가공배전선로는 전주 등의 지지물과 가공전선을 사용하여 지상에 설치한 일정한 키로볼트(kv, 예를 들면 22.9kv) 미만의 가공전선('전선로'로 라고도 함)과 부속설비를 의미한다. 이러한 가공배전선로는 가공전선을 직선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y형으로 분기할 때 분기 슬리브가 사용된다. 이러한 분기 슬리브는 별도의 커버로 감싸서 외부의 수분으로부터 접속 개소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분기 슬리브의 접속개소를 절연시키기 위한 커버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98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는 버튼식 분기슬리브 커버에 관한 것으로, 분기 슬리브 커버의 절개면의 결합수단을 누름 버튼식으로 형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분기 슬리브 커버는 분기 슬리브를 내부 공간에 삽입하고 커버 양단의 전선 배출부로 가공전선을 빼낸 후 절연 테이프로 마감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공전선을 y형으로 분기할 때는 일측 절개면의 단부를 가공전선의 형태에 맞게 칼로 도려내어서 분기선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상술한 공보에 개시된 절연커버로 고공에서 작업할 경우는 작업이 번거로워 절개면 단부를 분기 가공전선에 맞게 칼로 도려내지 않고 분기 가공전선을 방수절연커버의 절개면의 갈라진 틈으로 인출하여 외부로 빼냄으로써 방수절연커버의 결합부분이 벌어져 방수절연커버가 방수 역할을 충분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커버 양단 전선 배출부의 절연테이프 마감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시공한 절연테이프가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력 약화 및 절연성능이 저하되어 수분 및 이물질이 커버 내부 공간으로 용이하게 침투한다.
또한, 상술한 공보에 개시된 절연커버를 이용하여 분기 슬리브를 감쌀 때 바람 등의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절연커버의 가운데로 가공전선이 위치하지 않고 방수절연커버의 일측으로 편중 이동되어 절연 불량이 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가공배전선로의 가공전선을 직선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y형으로 분기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한 종류를 이용하여 직선 분기접속과 y형 분기접속에 적용할 수 있는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력에 의해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가 밀리거나 편중 이동되지 않고 가공전선과 분기 슬리브가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의 중앙으로 항상 위치되게 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목적은 가공전선의 도체의 단면적의 굵기가 다른 경우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외부의 수분 및 이물질이 분기 슬리브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능이 향상된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절개면을 가지며 내부에 전선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전선이 배출되는 전선 배출부, 상기 몸체와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내측 경계면에 제공된 제1 이물질 방지판과 제2 이물질 방지판, 상기 몸체의 절개면 양측단에 형성된 잠금부, 상기 제2 연장부에 절개선으로 형성되어 분기전선이 배출되는 분기선 배출부를 포함하는 가공배전선로용 분기슬리브 절연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이물질 방지판과 상기 제2 이물질 방지판에는 제1 전선 지지구와 제2 전선 지지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전선 지지구는 상기 제1 전선 지지구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전선 지지구와 상기 제2 전선 지지구에는 중심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기선 배출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절개면 상측에 다수의 절개선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절개면의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용 끼움홈부로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의 타측에 다수개의 고정용 끼움돌출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용 끼움홈부에는 일부가 연장된 손잡이부가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깔주기면 또는 미끄럼 방지돌기들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의 절개면의 양측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 리브와 장홈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리브에는 수분 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한 종류의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이용하여 가공배전선로의 가공전선을 직선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y형으로 분기하여 접속할 수 있어 범용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자가 고공에서 가공전선을 y형으로 분기 접속한 후 절연커버로 감쌀 때 분기선 배출부를 통해 분기 가공전선을 밀어내어 손쉽게 커버 외측으로 배출가능하므로 고공에서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용이한 접속 작업으로 인해 작업공수를 줄이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가공전선 또는 분기 슬리브가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공전선의 도체의 단면적의 굵기가 다른 경우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외부의 수분 및 이 물질로부터 분기 슬리브의 접속 개소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y형 분기접속을 구현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이용하여 가공전선의 직선접속을 구현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사용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는 몸체(1), 제1 연장부(3), 제2 연장부(5), 전선배출부(7, 9), 제1 이물질 방지판(11), 제2 이물질 방지판(13), 잠금부(15), 그리고 분기선 배출부(17)를 포함한다.
몸체(1)는 길이 방향으로 일부가 잘라진 절개면(1a, 1b, 도 2 참조)이 제공된다. 몸체(1)는 일부가 서로 연결되어 중심선(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가운데 부분을 가상으로 연결한 선)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자른 단면이 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몸체(1)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공간이 제공된다. 몸체(1)에 제공된 공간에는 분기 슬리브(S)가 수용될 수 있다.
즉, 몸체(1)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모양을 이루고 중심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측이 서로 결합되고 그의 반대측은 갈라져서 분기 슬리브(S)와 가공배전선로용 가공전선(C, 이하, '가공전선'이라고도 함)을 삽입할 수 있다.
제1 연장부(3)와 제2 연장부(5) 는 몸체(1)의 양측이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제1 연장부(3)는 갈라진 부분이 서로 결합된 상태가 될 때 내부에 공간이 제공된 콘 모양 또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장부(5)는 제1 연장부(3)의 반대측 몸체(1)에 제공되며, 몸체(1)의 일측이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제2 연장부(5)는 갈라진 부분이 서로 결합된 상태가 될 때 내부에 공간이 제공된 콘 모양 또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선배출부(7, 9)는 제1 연장부(3)와 제2 연장부(5)에서 연장되어 가공전선(C)이 삽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제1 이물질 방지판(11)과 제2 이물질 방지판(13)은 몸체(1)의 내주면을 따라 중심선측으로 연장된다. 제1 이물질 방지판(11)과 제2 이물질 방지판(13)은 일정한 거리가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물질 방지판(11)과 제2 이물질 방지판(13)은 몸체(1)와 제1 연장부(3)와 제2 연장부(5)의 내측 경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물질 방지판(11)과 제2 이물질 방지판(13)은 중심선과 직각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댐(dam) 모양 또는 도넛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물질 방지판(11)과 제2 이물질 방지판(13) 사이에 분기 슬리브(S)가 배치될 수 있다. 분기 슬리브(S)는 가공전선(C)과 분기 가공전선(BC, 이하, '분기전선'이라고도 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이물질 방지판(11)과 제2 이물질 방지판(13)은 가공전선(C)을 고정하는 부분으로 가운데 부분에 제1 전선 지지구(11a)와 제2 전선 지지구(13a)가 제공된다.
제2 전선 지지구(13a)는 제1 전선 지지구(11a)에 비해 그의 크기가 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전선 지지구(11a)는 가공전선(C)이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전선 지지구(13a)는 가공전선(C)와 분기전선(BC)이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선 지지구(11a)와 제2 전선 지지구(13a)는 몸체(1)의 대략 중심선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몸체(1)의 가운데 부분에 가공전선(C)과 분기전선(BC)이 결합되고 이들을 고정하는 분기 슬리브(S)가 몸체(1)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분기 슬리브(S)가 제공된 접속 개소 부분이 바람과 같은 외력에 대해 영향을 덜 받게 되어 안전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선 지지구(11a)와 제2 전선 지지구(13a)에는 중심 방향을 향해 끝부분이 뾰죽한 형태 또는 뾰죽한 모서리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의 돌기부(11b, 13b)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11b, 13b)들은 가공전선(C)과 분기전선(BC)에 밀착되어 눌려질 수 있다.
따라서 가공전선(C)과 분기전선(BC)의 직경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돌기부(11b, 13b)가 단지 가공전선(C) 또는 분기전선(BC)에 접촉될 수 있고, 가공전선(C)의 직경과 분기전선(BC)의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돌기부(11b, 13b)가 눌려지면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가공전선(C) 또는 분기전선(BC)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도 하나의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이용하여 분기 슬리브(S)가 설치된 접속 개소를 감싸서 보호할 수 있다.
잠금부(15)는 몸체(1)의 절개면(1a, 1b)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부(15)는 절개면(1b)의 일측에 다수의 고정용 끼움홈부(15a)가 제공되고, 또 다른 절개면(1a)의 일측에 다수의 고정용 돌출부(15b)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용 끼움홈부(15a)와 고정용 돌출부(15b)가 서로 끼움결합되어 몸체(1)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용 끼움홈부(15a)에는 일부가 연장되어 손잡이부(15c)가 제공된다. 그리고 손잡이부(15c)에는 고공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 편리한 깔주기면 또는 미끄럼 방지돌기들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제1 연장부(3) 또는 제2 연장부(5)에는 분기전선(BC)이 통과하는 분기선 배출부(17)가 제공된다. 분기선 배출부(17)는 칼선과 같은 절개선(17a)이 방사상 방향으로 제공된다. 즉, 분기선 배출부(17)는 사용하지 않을 때, 즉 직선접속을 할 때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절개선(17a)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수분을 차단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분기선 배출부(17)에 단지 분기전선(BC)을 삽입시키면 절개선(17a)이 갈라지면서 분기전선(BC)이 몸체(1)에 삽입될 수 있다(도 1에 도시한 상태).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고공에서 작업할 때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분기전선(BC)을 분기선 배출부(17)로 통과시킬 수 있어 작업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제1 이물질 방지판(11)과 제2 이물질 방지판(13)에 제공된 제1 전선 지지구(11a)와 제2 전선 지지구(13a)에 별도의 실링부재(도시생략)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는 제1 전선 지지구(11a)와 제2 전선 지지구(13a)에 각각 홈을 파서 결합할 수 도 있으며, 외주면에 홈이 제공된 실링부재를 제1 전선 지지구(11a)와 제2 전선 지지구(13a)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이용하여 가공배전선로용 가공전선을 분기 접속하는 과정과 직선 접속을 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2를 참조하여 가공전선(C)과 분기전선(BC)을 분기 접속을 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는 가공전선(C)의 중간부분의 피복을 벗겨낸다. 그리고 작업자는 분기전선(BC)의 끝 부분의 피복을 벗겨낸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가공전선(C)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과 분기전선(BC)의 끝 부분을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가공전선(C)과 분기전선(BC)이 연결된 부분에 분기 슬리브(S)를 결합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상태의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분기 슬리브(S) 측에 배치한다. 즉, 몸체(1)의 내부에 분기 슬리브(S)가 배치되도록 하고 분기전선(BC)이 분기선 배출부(17)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후 잠금부(15)의 고정용 끼움홈부(15a)에 고정용 돌출부(15b)를 끼운다.
그러면 고정용 끼움돌출부(15b)가 몸체(1)에 제공된 고정용 끼움홈부(15a)에 끼워지면서 몸체(1)와 커버부(3)가 고정되어 결합된다.
이때, 분기전선(BC)은 분기선 배출부(17)의 절개선(17a)이 갈라지면서 별도의 도구 없이도 쉽게 분기선 배출부(17)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몸체(1)의 절개면(1a, 1b)에 제공된 결합리브(19)와 장홈(21)이 서로 끼움결합되어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몸체(1)의 절개면(1a, 1b)는 항상 아래쪽으로 향해 배치되어 시공되므로 혹시 몸체(1)의 내부에 유입된 수분이 있다면 쉽게 수분배출홈(1c)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작업자는 몸체(1)를 분기 슬리브(S)에서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손잡이부(15c)를 잡고 당기는 동작에 의해 몸체(1)의 절개면(1a, 1b)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고공에서 쉽게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편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분기 슬리브(S)의 설치작업과 분기 슬리브(S)의 외측에 배치되는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전선배출부(7, 9)의 외측과 가공배전선로용 가공전선(C)에 절연 테이프를 감아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의 내부로 수분과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작업자가 가공배전선로용 가공전선을 직선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상태로 분기선 배출부(17)를 손상시키지 않고 상술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공전선(C)의 직선 접속을 수행한 후에도 분기선 배출부(17)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외부의 수분이 몸체(1)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하나의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이용하여 가공배전선로용 가공전선의 직선 접속은 분기 접속을 수행할 수 있고 분기 슬리브(S)측에 외부의 수분과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직선 접속에서 가공배전선로용 가공전선(C)의 분기 슬리브(S) 부분이 항상 몸체(1)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되어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거나 습기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몸체, 1a, 1b. 절개면,
1c. 수분배출홈, 3. 제1 연장부,
5. 제2 연장부, 7, 9. 전선배출부,
11. 제1 이물질 방지판, 11a. 제1 전선 지지구,
11b, 13b. 돌기부, 13. 제2 이물질 방지판,
13a. 제2 전선 지지구, 15. 잠금부,
15a. 고정용 끼움홈부, 15b. 고정용 끼움돌출부,
15c. 손잡이부, 17. 분기선 배출부,
17a. 절개선, 19. 결합리브,
21. 장홈

Claims (5)

  1. 일측에 절개면을 가지며 내부에 전선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전선이 배출되는 전선 배출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일정한 거리가 떨어져 일체로 형성된 제1 이물질 방지판과 제2 이물질 방지판,
    상기 몸체의 절개면 양측단에 형성된 잠금부,
    상기 제2 연장부에 제공되어 분기전선이 배출되는 분기선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물질 방지판과 상기 제2 이물질 방지판에는 제1 전선 지지구와 제2 전선 지지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전선 지지구는 상기 제1 전선 지지구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분기선 배출부는 상기 분기전선을 삽입하면 갈라지는 다수의 절개선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가공배전선로용 분기슬리브 절연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지지구와 상기 제2 전선 지지구에는 중심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가공배전선로용 분기슬리브 절연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절개면의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용 끼움홈부로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의 타측에 다수개의 고정용 끼움돌출부로 형성되는 가공배전선로용 분기슬리브 절연커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끼움홈부에는 일부가 연장된 손잡이부가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깔주기면 또는 미끄럼 방지돌기들이 제공되는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절개면의 양측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 리브와 장홈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리브에는 수분 배출홈이 형성되는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KR2020170004891U 2017-09-15 2017-09-15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KR201700033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891U KR20170003373U (ko) 2017-09-15 2017-09-15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891U KR20170003373U (ko) 2017-09-15 2017-09-15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901A Division KR20170103302A (ko) 2016-03-03 2016-03-03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373U true KR20170003373U (ko) 2017-09-28

Family

ID=6057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891U KR20170003373U (ko) 2017-09-15 2017-09-15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37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395B1 (ko) * 2017-12-08 2018-04-06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전력구 케이블 접속부 단자 부식 방지 장치
KR20210125664A (ko)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엠에스그리드 분기슬리브 커버
KR102357607B1 (ko) * 2021-06-18 2022-02-08 김만중 절연 커버
KR20220043258A (ko)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엠에스그리드 분기슬리브 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6395B1 (ko) * 2017-12-08 2018-04-06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전력구 케이블 접속부 단자 부식 방지 장치
KR20210125664A (ko)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엠에스그리드 분기슬리브 커버
KR20220043258A (ko)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엠에스그리드 분기슬리브 커버
KR102357607B1 (ko) * 2021-06-18 2022-02-08 김만중 절연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3373U (ko)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KR101915222B1 (ko)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US11837854B2 (en) Sleeve protector for wires
KR101754811B1 (ko) 간접활선용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KR200401178Y1 (ko)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KR20170103302A (ko)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KR102063700B1 (ko)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KR100986678B1 (ko) 플러그 인 부스 덕트
KR102376998B1 (ko)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100823052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GB2272586A (en) Electrical cable core connector
KR100880450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CN109546609B (zh) 双锁紧快插式电磁兼容接头
JP5974617B2 (ja) 電線管コネクタ(conduitconnector)
KR101995893B1 (ko) 전선 방호용 절연커버
KR20210023517A (ko) 고전압 전선 방호관
EP1848080B1 (en) A sealing device
KR100941474B1 (ko) 도선용 절연 고정구
US11362501B2 (en) Insulator insert for weatherhead and methods of installing
KR20180126920A (ko) 안전성을 향상한 케이블타이
KR200269495Y1 (ko) 전선용 인류크램프커버
KR102093601B1 (ko) 방호관 연결 장치
KR102310409B1 (ko) 변전소 전력콘덴서 단자부식 방지용 실리콘 튜브
EP3355426A1 (en) Tubular insulating seal and corresponding insulating arrangement
JP2670861B2 (ja) 仮設ケーブルの延長・分岐接続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