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517A - 고전압 전선 방호관 - Google Patents

고전압 전선 방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517A
KR20210023517A KR1020190103798A KR20190103798A KR20210023517A KR 20210023517 A KR20210023517 A KR 20210023517A KR 1020190103798 A KR1020190103798 A KR 1020190103798A KR 20190103798 A KR20190103798 A KR 20190103798A KR 20210023517 A KR20210023517 A KR 20210023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wire
protection pipe
wire protection
wir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학
박상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0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3517A/ko
Publication of KR2021002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전선 방호관에 관한 것으로, 전선을 감싸 보호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에 있어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양측 절개단부가 구비된 몸체, 양측 절개단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되 내측으로 탄성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 벤딩부를 포함하며, 전선이 벤딩부 사이로 삽입되어 몸체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업자가 활선장갑을 낀 상태로 작업하거나,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작업하는 경우에도 방호관을 용이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전압 전선 방호관{CABLE PROTECT PIPE FOR HIGH TENSION WIRE}
본 발명은 고전압 전선 방호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호관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철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이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각종 건물 등을 신축하거나 리모델링 등 외부공사를 할 경우 기존에 배선되어 있는 전선 위로 떨어지는 철근이나 철사 등에 의해 배선되어 있는 전선이 단락되거나 합선되는 등의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축 공사장이나 건물의 외부 공사시 전선은 그 특성상 공중에 노출상태로 배선되어 있으므로 철근이나 철사 등이 떨어지면서 전선을 단락시키거나 합선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도로변의 전주나 고압선 등이 배선된 송전탑 등의 근처에는 수목(樹木)이 울창하여 자칫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게 되어 합선으로 인한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종래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은 배전선로 인근에서 건축을 위한 비계작업이나 크레인 작업 등으로 배전선로 접촉이 예상될 때 안전사고나 선로고장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며, 커팅부에 형성된 걸림돌기측을 벌려 방호관의 원통형 내부에 전선을 끼움형식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방호관은 전선의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밀면 전선의 외부를 감싼 상태로 피복되면서 원하는 길이만큼 전선의 외부에 방호관이 씌워진다.
그러나, 지금까지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호관은 주로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관체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커팅부 하단의 개방부를 통해 전선에 끼워넣을 시 별도의 손잡이가 없어서 개방부가 쉽게 벌어지지 않아 과도한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재질의 특성상 기온에 따라 유연성이 변하기 때문에 온도가 낮은 겨울철의 경우 방호관이 딱딱해져 커팅부 하단 사이를 벌리기가 힘들어, 작업이 어려워지고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작업자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뭉툭한 활선장갑 등을 사용하여 방호관을 억지로 끼워넣을 수 있으나, 역시 경질로 된 방호관의 개방부를 벌려 끼워넣는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작업의 시간이 과도히 소요됨은 물론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는 등 경제적인 면에서도 매우 비합리적인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또한, 고전압 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방호관이므로, 높은 절연 성능이 요구되는데, 이를 만족하지 못하여 고장 또는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복수개의 방호관이 단순 삽입 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방호관 사이가 이격되면 전선이 드러나면서 전선을 단락시키거나 합선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방호관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철거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자가 활선장갑을 낀 상태 또는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도 방호관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철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이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절연 성능을 개선하며, 복수개의 방호관 사이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며 철거시 누름부를 눌러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며, 고장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을 감싸 보호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에 있어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양측 절개단부가 구비된 몸체, 양측 절개단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되 내측으로 탄성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 벤딩부를 포함하며, 전선이 벤딩부 사이로 삽입되어 몸체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몸체에서 전선을 쉽게 분리하도록, 벤딩부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굽어지게 연장 형성된 감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절연 성능을 높이기 위해 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몸체와 절연체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되, 몸체의 강성이 절연체의 강성보다 큰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절연체는, 내측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되어 전선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절연체는 전선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내주면 중 안착홈과 인접한 양측의 내주면에서 전선을 감싸도록 돌출되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복수의 몸체가 연결되도록,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마련되어 이웃하는 몸체와 결합되는 이음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음구조는, 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돌출되는 누름부재,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몸체의 일단부가 삽입되되 누름부재도 삽입 체결되도록 수납부가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연결부재는, 누름부재가 체결되도록, 수납부에 삽입된 누름부재가 끼움 체결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누름부재는, 속이 빈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케이스부, 케이스부 내부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며 체결홀에 체결되는 누름부, 누름부가 돌출되어 체결홀에 체결되도록 누름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일실시예에 의한 탄성부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는, 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고정단부, 고정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고정단부와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누름부가 구비되는 자유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탄성부는, 고정단부와 자유단부 사이의 절곡 부위에는 강성 보강을 위해 리브 형상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관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철거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자가 활선장갑을 낀 상태 또는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도 방호관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철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연 성능을 개선하며, 복수개의 방호관 사이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며 철거시 누름부를 눌러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며, 고장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선 방호관이 전선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선 방호관이 전선에 설치되기 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선 방호관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이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이 조립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의 조립부분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이 조립부분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이 조립부분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선 방호관이 전선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선 방호관이 전선에 설치되기 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전선 방호관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이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이 조립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의 조립부분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이 조립부분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이 조립부분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은 전선(100)을 감싸 보호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에 있어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양측 절개단부(210)가 구비된 몸체(200), 양측 절개단부(210)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되 내측으로 탄성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 벤딩부(220)를 포함하며, 전선(100)이 벤딩부(220) 사이로 삽입되어 몸체(200)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전압 전선 방호관은 전선(100)을 감싸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내부로 전선(100)이 삽입되어 위치하는 중공 형상의 몸체(200)가 구비된다.
몸체(200)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양측 절개단부(210)가 구비되며, 양측 절개단부(210) 사이로 전선(100)이 삽입된다.
벤딩부(220)는 양측 절개단부(210)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되 탄성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벤딩부(220)가 절곡 형성됨에 따라, 전선(100)을 양측 절개단부(210) 사이에 배치한 후 몸체(200)를 전선(100)측으로 누르면 양측 절개단부(210) 사이가 탄성적으로 이격되면서 전선(100)이 몸체(200)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된다.
즉, 벤딩부(220)의 절곡된 부분은 맞닿도록 밀착되어 있다가 전선(100)이 몸체(200) 내부로 삽입되려고 하면 탄성적으로 순간 이격되고, 전선(100)이 몸체(200) 내부로 삽입되면 다시 복원되면서 맞닿도록 밀착된다.
이에 따라 몸체(200)의 양측 절개단부(210)를 작업자가 직접 이격시켜 전선을 삽입하지 않아도 몸체(200)를 전선(100)측으로 누르는 조작을 통해 원터치로 방호관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호관은 몸체(200)의 벤딩부(22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굽어지게 연장 형성된 감김부(230)를 더 포함하여 몸체(200)에서 전선(100)을 쉽게 분리하여 철거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몸체(200)에 감김부(230)가 형성됨에 따라, 몸체(200)를 전선(100) 반대측으로 지지하면 전선(100)이 감김부(230)에 지지되면서 양측 절개단부(210) 사이가 탄성적으로 이격되므로, 작업자가 양측 절개단부(210)를 직접 이격시키지 않아도 단순히 몸체(200)를 전선(100) 반대측으로 지지하는 조작을 통해 방호관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200)는 다양한 두께의 전선(100)에 설치될 수 있도록, 감김부(230)가 내부에 위치되는 전선(100)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몸체(200)는 일예로 폴리에틸렌 등의 절연재료로 구성되는 재질로 마련되는데, 몸체(2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전선(100)에는 고전압이 흐르기 때문에 절연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몸체(200)의 절연 성능을 높이기 위해, 몸체(200)는 내측면에 절연체(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절연체(300)의 재질은 몸체(200)의 재질보다 절연 성능이 우수하지만, 몸체(200)의 재질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마련되며, 일예로,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체(300)는 몸체(200) 내측에서 전선(100)이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내측면에 전선(100)이 안착되는 안착홈(310)이 형성된다.
또한, 절연체(300)는 내주면 중 안착홈(310)과 인접한 양측의 내주면에서 전선(100)을 감싸도록 돌출되는 위치고정부(320)가 형성되어 전선(100)의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안착홈(310)과 위치고정부(320)의 내측면이 전선(100)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전선(100)의 외측면의 절반 이상이 되도록 절연체(300)의 내주면에서 위치고정부(320)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몸체(200)에 삽입된 전선(100)이 안착홈(310)과 위치고정부(3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몸체(200) 내부에서의 전선(100)의 위치를 고정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양측의 위치고정부(320)는 전선(100)을 감싸기 위해 양측의 단부 사이가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전선(100)이 삽입되어 안착되거나 분리되기 용이하도록 돌출된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절연체(300)는 몸체(200)의 재질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위치고정부(320)의 돌출된 단부가 탄성 변형되며 전선(100)가 안착되며, 전선(100)의 외측면과 용이하게 밀착되어 전선(100)의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외부로부터의 충격도 흡수하여 전선(10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방호관의 몸체(200)는 전선(100)에 복수개 설치된 후 서로 연결되어 전선(100)을 보호한다.
이를 위해 방호관의 몸체(200)에는 이음구조(400)가 마련되고,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음구조(400)는 복수의 몸체(200)가 연결되도록 몸체(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마련되며 이웃하는 몸체(200)의 이음구조(400)와 결합된다.
이음구조(400)는, 몸체(200)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돌출되는 누름부재(410),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200)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몸체(200)의 일단부가 삽입되되 누름부재(410)도 삽입 체결되도록 수납부(421)가 형성된 연결부재(42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42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되 몸체(200)와 함께 전선(100)에 설치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의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절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선(100)은 몸체(200)의 벤딩부(220) 사이 및 연결부재(420)의 절개부분으로 삽입되어 몸체(200)의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연결부재(420)는 수납부(421)에 삽입된 누름부재(410)가 끼움 체결되는 체결홀(422)이 형성되며, 체결홀(422)에 누름부재(410)가 체결되어 이웃하는 몸체(200)가 연결되게 고정된다.
누름부재(410)는, 속이 빈 블록 형상의 케이스부(411), 케이스부(411) 내부에 구비되는 누름부(412), 누름부(41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413)를 포함한다.
케이스부(411)는 몸체(200)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일체로 구비되며 내부에 누름부(412)와 탄성부(413)가 구비되고, 누름부(412)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414)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케이스부(411)는 몸체(200)의 단부쪽에 경사진 형상의 가이드면(416)이 형성되어 연결부재(420)에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다.
누름부(412)는 케이스부(411) 내부에 구비되어 관통홀(414)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며 체결홀(422)에 체결된다.
그리고, 연결부재(420) 내측으로 누름부재(410) 삽입시 작업자가 누르지 않아도 케이스부(411)의 내측으로 누름부(412)가 들어오도록, 누름부(412)는 삽입방향으로는 경사면 또는 라운드면으로 형성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체결홀(422)에 지지되는 수직면이 형성된다.
즉, 연결부재(420) 내측으로 누름부재(410) 삽입시, 누름부(412)는 연결부재(420)의 단부에 지지되는 경사면 또는 라운드면을 따라 케이스부(411)의 내측으로 들어간 후, 체결홀(422)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체결홀(42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며 수직면이 체결홀(422)에 지지되어 체결된다.
탄성부(413)는 누름부(412)가 돌출되어 체결홀(422)에 체결되도록 몸체(200)와 누름부(412) 사이에 위치되어 누름부(412)를 탄성 지지한다.
이때, 몸체(200)는 탄성부(413)가 위치되는 외측면에 탄성부(413)의 안착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탄성부(413)가 안착되는 탄성부 안착홈(240)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음구조(400)가 구비된 몸체(200)는, 전선(100)에 복수의 몸체(200)가 원터치로 설치된 후 몸체(200)의 연결부재(420)에 다른 몸체(200)의 누름부재(410)가 원터치로 삽입 체결되어 설치 완료된다.
그리고, 철거시에는 누름부(412)를 누른 상태로 몸체(200)의 연결부재(420)에서 다른 몸체(200)의 누름부재(410)를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 원터치로 분리한 후 전선(100)에서 몸체(200)를 원터치로 분리하여 철거함에 따라 작업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탄성부(413,417)는 누름부(412)를 탄성 지지해주기 위해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거나, 고정단부(417a)와 자유단부(417b)가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413)가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경우, 코일스프링은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에 절연재가 도포되거나, 탄성부(413)와 몸체(200) 사이에 절연부재(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누름부(412)가 탄성부(413)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부(4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누름부(412)는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415)가 마련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부(417)가 고정단부(417a)와 자유단부(417b)가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탄성부(417)는 절연 성능이 높은 재질로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부(417)는 몸체(200)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고정단부(417a), 고정단부(417a)에서 연장 형성되되 고정단부(417a)와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단부(417a)를 포함한다.
그리고 자유단부(417b)에 누름부(412)가 구비되며, 고정단부(417a)와 자유단부(417b) 사이의 절곡 부위의 탄성 변형으로 인한 복원력으로 누름부(412)를 탄성 지지한다.
탄성부(417)는 고정단부(417a)와 자유단부(417b) 사이의 절곡 부위에 강성 보강을 위해 리브 형상의 보강부(417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탄성부(417)가 고정단부(417a)와 자유단부(417b)가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탄성부(417)의 재질은 절연 성능이 높은 재질로 마련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방호관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철거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자가 활선장갑을 낀 상태 또는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도 방호관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철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연 성능을 개선하며, 복수개의 방호관 사이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며 철거시 누름부를 눌러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며, 고장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전선 200: 몸체
210: 절개단부 220: 벤딩부
230: 감김부 300: 절연체
310: 안착홈 320: 위치고정부
400: 이음구조 410: 누름부재
411: 케이스부 412: 누름부
413,417: 탄성부 417a: 고정단부
417b: 자유단부 417c: 보강부
420: 연결부재 421: 수납부

Claims (13)

  1. 전선을 감싸 보호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에 있어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양측 절개단부가 구비된 몸체; 및
    상기 양측 절개단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되 내측으로 탄성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 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이 상기 벤딩부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서 상기 전선을 쉽게 분리하도록, 상기 벤딩부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굽어지게 연장 형성된 감김부;
    를 더 포함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절연 성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절연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절연체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강성이 상기 절연체의 강성보다 큰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내측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전선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내주면 중 상기 안착홈과 인접한 양측의 내주면에서 상기 전선을 감싸도록 돌출되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몸체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마련되어 이웃하는 몸체와 결합되는 이음구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구조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돌출되는 누름부재; 및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일단부가 삽입되되 상기 누름부재도 삽입 체결되도록 수납부가 형성된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누름부재가 체결되도록, 상기 수납부에 삽입된 상기 누름부재가 끼움 체결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속이 빈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내부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가 돌출되어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도록 상기 누름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고정단부; 및
    상기 고정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고정단부와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가 구비되는 자유단부;
    를 포함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고정단부와 자유단부 사이의 절곡 부위에는 강성 보강을 위해 리브 형상의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1020190103798A 2019-08-23 2019-08-23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20210023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798A KR20210023517A (ko) 2019-08-23 2019-08-23 고전압 전선 방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798A KR20210023517A (ko) 2019-08-23 2019-08-23 고전압 전선 방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517A true KR20210023517A (ko) 2021-03-04

Family

ID=75175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798A KR20210023517A (ko) 2019-08-23 2019-08-23 고전압 전선 방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35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172A (ko) 2021-10-14 2023-04-21 박혜준 전선 방호장치
KR20230171148A (ko) 2022-06-13 2023-12-20 이디아이(주) 케이블 방호관에 이용되는 고정 클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172A (ko) 2021-10-14 2023-04-21 박혜준 전선 방호장치
KR20230171148A (ko) 2022-06-13 2023-12-20 이디아이(주) 케이블 방호관에 이용되는 고정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7854B2 (en) Sleeve protector for wires
KR20210023517A (ko)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100673388B1 (ko) 지중 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2143127B1 (ko) 방호관 취부장치
KR20170138775A (ko) 완철용 절연 커버
KR20180138443A (ko) 케이블 절단부용 고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케이블 정착부의 보수방법
KR102193829B1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데드엔드 커버
KR102394196B1 (ko) 연장형 전선 방호관 구조체
KR20200063432A (ko)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KR102295513B1 (ko) 전선 보호 커버
KR102167949B1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바인드리스 커버
KR20140037503A (ko)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100516906B1 (ko) 라인포스트 애자상의 송배전선의 가설방법
JP3745216B2 (ja) 電線防護具
KR200273405Y1 (ko) 접속슬리브를 내입할 수 있는 전선 고정용 클램프의 절연보호커버
KR20190125034A (ko)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JP5922186B2 (ja) 保護カバー
KR102607229B1 (ko) 병렬 클램프
KR102485150B1 (ko) 전선 스페이서
JP2000037023A (ja) 電線の立上がり防護管
KR102582040B1 (ko) 간접활선작업용 테이프리스 절연커버
JP2022163752A (ja) 腕金カバー材
KR200369303Y1 (ko) 케이블 보호캡
KR200421620Y1 (ko) 통신 케이블용 접지 클램프
KR200446631Y1 (ko)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의 방호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