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034A -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034A
KR20190125034A KR1020180049271A KR20180049271A KR20190125034A KR 20190125034 A KR20190125034 A KR 20190125034A KR 1020180049271 A KR1020180049271 A KR 1020180049271A KR 20180049271 A KR20180049271 A KR 20180049271A KR 20190125034 A KR20190125034 A KR 20190125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insulation cover
pipe
insulati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079B1 (ko
Inventor
홍진하
김영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4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079B1/ko
Publication of KR2019012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는, 중공에 강관비계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기 강관비계 파이프의 외관을 둘러싸는 절연 커버를 형성하기 위한 내부 절연 커버; 및 중공에 상기 내부 절연 커버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 절연 커버의 외관을 둘러싸는 절연 커버를 형성하되, 상기 내부 절연 커버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조립하기 위한 외부 절연 커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PROTECTIVE PIPE ASSEMBLY FOR STEEL PIPE SCAFFOLD}
본 발명은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관비계 파이프의 외관에 내외부 절연 커버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하되, 양 끝단에 엔드캡을 결합함에 따라 작업자의 감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강관비계(steel pipe scaffold)는 강관 파이프(steel pipe)를 클램프(clamp)로 조립하는 비계를 말한다. 여기서, 비계라 함은 건설, 보수공사, 건물이나 기계를 청소할 때 작업인부와 자재를 들어올리고 받쳐주기 위해 쓰며 알맞은 크기·길이의 발판재를 하나 또는 여러 개를 모양과 쓰임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받쳐서 만든 구조물을 말한다
고압전류에 의해 건축현장에서 발생하는 감전사고는 대부분의 경우 강관비계의 파이프가 배전선로에 안전거리 이내로 접근하거나 접촉하여 발생한다. 즉, 강관비계는 배전선로에 근접하여 가설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로써, 작업자는 강관비계를 설치할 때 강관비계의 파이프가 배전선로에 접근 또는 접촉하게 되어 감전될 수 있다.
그래서, 건축현장에서는 고압전력선에 건축용 방호관을 씌워 어느 정도의 절연성을 확보하여 감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건축용 방호관이 절연을 완전하게 보장하지 못하여 강관비계의 파이프 접촉시 감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할 뿐만 아니라, 고압전력선이 단선되어 대형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더욱이, 대부분의 건축현장에서는 고압전력선에 건축용방호관을 취부하기 전에 강관비계 작업을 시행하므로, 감전 사고의 발생 또는 잠재 위험성을 갖고 있으며, 비계 작업자의 경우 전기분야 비전문가로 사고의 위험이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
또한, 고압전력선에 사용하고 있는 건축용 방호관은 고압전력선에만 설치하기 때문에 쉽게 탈락되거나 변형(훼손)되어 절연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로써, 강관비계의 파이프가 고압전력선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감전사고 방지에 한계가 있다.
특히, 고압전력선에만 건축용 방호관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변압기, COS, 피뢰기, 전력기기 등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강관비계의 파이프의 근접 또는 접촉에 의한 감전사고 발생 위험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강관비계의 파이프는 고압전력선의 절연 방호관과 별개로 절연 방호관을 마련하여 고압전력선에 대한 감전사고 발생 위험을 대비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3256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강관비계 파이프의 외관에 내외부 절연 커버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하되, 양 끝단에 엔드캡을 결합함에 따라 작업자의 감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는, 중공에 강관비계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기 강관비계 파이프의 외관을 둘러싸는 절연 커버를 형성하기 위한 내부 절연 커버; 및 중공에 상기 내부 절연 커버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 절연 커버의 외관을 둘러싸는 절연 커버를 형성하되, 상기 내부 절연 커버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조립하기 위한 외부 절연 커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는, 강관비계 파이프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된 클램프를 기준으로, 상기 강관비계 파이프의 좌우측 각각에 조립되는 내부 절연 커버 및 외부 절연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절연 커버는, 중공에 강관비계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기 강관비계 파이프의 외관을 둘러싸는 절연 커버를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외부 절연 커버는, 중공에 상기 내부 절연 커버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 절연 커버의 외관을 둘러싸는 절연 커버를 형성하되, 상기 내부 절연 커버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조립하기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클램프에 대한 전기적 절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클램프 절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절연 커버는, 상기 강관비계 파이프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환형 단면 구조를 갖는 중공을 형성하는 내부 중공부; 및 상기 내부 중공부의 양 끝단이 절곡되어 연장되는 조립구조를 각각 구비하기 위한 제1 내부 연장부 및 제2 내부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 연장부의 조립구조는, 상기 내부 중공부의 벌어진 상태를 닫힌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 연장부의 조립구조는, 상기 내부 절연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형 또는 도트형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 연장부의 조립구조는, 상기 외부 절연 커버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레일홈 또는 레일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절연 커버는, 상기 내부 절연 커버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환형 단면 구조를 갖는 중공을 형성하는 외부 중공부; 및 상기 외부 중공부의 양 끝단이 절곡되어 연장되는 조립구조를 각각 구비하기 위한 제1 외부 연장부 및 제2 외부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 연장부의 조립구조는, 상기 내부 절연 커버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레일홈 또는 레일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외부 연장부와 상기 제2 외부 연장부 상호간의 일직선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핀 삽입구; 및 상기 고정핀 삽입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은, 끼움 결합 방식, 리벳 결합 방식, 나사 결합 방식, 너트/볼트 결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부 절연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끝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엔드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관비계 파이프의 외관에 내외부 절연 커버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하되, 양 끝단에 엔드캡을 결합함에 따라 작업자의 감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선로 가까이에 설치되는 강관비계에 절연 방호관 조립체를 덮어 운반 및 설치가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부주의 및 설치시 유도전류에 의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발받침 비계로 사용하는 강관비계의 고압전선과 가까운 곳에만 선택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하부에서 운반하는 작업자의 안전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강관비계에 절연 방호관 조립체를 덮는 방식이므로 싼 가격에 설치할 수 있으며 강관비계를 따로 변형시키지 않아 기성품인 클램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에 따른 설치 위치가 달라져도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며, 수직/수평/대각 모든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하여 매우 능률적일 뿐만 아니라, 내외부 절연 커버를 고정할 때 고정핀을 누르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하고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 방호관 조립체를 덮은 상태에서 운반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스틸재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를 사용하게 되면 클램프 절연 커버를 사용하여 원천적인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전/배전선로와 가까운 곳에 강관비계를 설치하는 모든 작업에 적용 가능하며, 사용 시 하부 작업자 및 상부 작업자도 감전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의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외부 절연 커버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구와 고정핀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클램프에 클램프 커버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발받침 비계에 절연 방호관 조립체가 설치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이하 '절연 방호관 조립체'라 함, 100)는, 배전선로의 근접 또는 접촉에 의한 작업자의 감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발받침 비계 등의 건설용 비계에 이용되는 강관비계 파이프의 외관에 이중으로 내외부 절연 커버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하되, 양 끝단에 엔드캡을 결합함에 따라 작업자의 감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방호관 조립체(100)는 내부 절연 커버(inside insulation cover)(10), 외부 절연 커버(outside insulation cover)(20), 엔드캡(endcap)(30)을 포함한다.
내부 절연 커버(10), 외부 절연 커버(20), 엔드캡(30)은 강관비계 파이프에 대한 전기적 절연이 가능한 고분자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PVC, EVA, PET, PP, 에폭시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진다.
내부 절연 커버(10)와 외부 절연 커버(20)는 강관비계 파이프를 커버하는 구조로 사출 성형되는 절연 방호관으로서, 상호간의 위치에 따라 내/외부를 구분한다. 즉, 내부 절연 커버(10)의 중공에는 강관비계 파이프가 삽입되고, 외부 절연 커버(20)의 중공에는 내부 절연 커버(10)가 삽입된다. 이때, 내부 절연 커버(10)는 강관비계 파이프와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길이를 가지고, 외부 절연 커버(20)는 내부 절연 커버(10) 보다 길이가 길다.
먼저, 내부 절연 커버(10)는 내부 중공부(11), 제1 내부 연장부(12), 제2 내부 연장부(13)를 포함한다.
내부 중공부(11)는 강관비계 파이프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환형 단면 구조를 갖는 중공을 형성한다. 즉, 내부 중공부(11)는 강관비계 파이프의 외관을 따라 둘러싸인 커버를 형성한다.
제1 내부 연장부(12) 및 제2 내부 연장부(13) 각각은 내부 중공부(11)의 끝단이 절곡되어 연장되는 조립 구조를 구비한다.
우선, 제1 내부 연장부(12)는 내부 중공부(11)의 벌어진 상태를 닫힌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12a)가 형성되고, 제2 내부 연장부(13)는 돌출부(12a)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12a)가 삽입되는 홈부(13a)가 형성된다.
강관비계 파이프는 돌출부(12a)와 홈부(13a)가 조립된 상태 또는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 삽입될 수 있으나, 돌출부(12a)와 홈부(13a)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일 때 내부 중공부(11)가 벌어진 상태이므로 좀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특히, 강관비계 파이프는 돌출부(12a)와 제1 홈부의 조립 상태가 해제된 이후에 내부 중공부(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a)와 홈부(13a)는 내부 절연 커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조립 구조를 형성하는 선형(line type) 또는 불연속적인 조립 구조를 형성하는 도트형(dot ty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부 연장부(12)는 외부 절연 커버(20)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1 레일홈(12b)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제2 내부 연장부(13)는 외부 절연 커버(20)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1 레일(13b)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외부 절연 커버(20)는 외부 중공부(21), 제1 외부 연장부(22), 제2 외부 연장부(23)를 포함한다.
외부 중공부(21)는 내부 절연 커버(10)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환형 단면 구조를 갖는 중공을 형성한다. 즉, 외부 중공부(21)는 내부 절연 커버(10)의 외관을 따라 둘러싸인 커버를 형성한다.
제1 외부 연장부(22) 및 제2 외부 연장부(23) 각각은 외부 중공부(21)의 끝단이 절곡되어 연장되는 조립 구조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외부 연장부(22)는 내부 절연 커버(10)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2 레일(22a)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제2 외부 연장부(23)는 내부 절연 커버(10)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2 레일홈(23a)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내부 연장부(12)의 제1 레일홈(12b)은 제1 외부 연장부(22)의 제2 레일(22a)에 위치가 대응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고, 제2 내부 연장부(13)의 제1 레일(13b)은 제2 외부 연장부(23)의 제2 레일홈(23a)에 위치가 대응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된다.
'제1 내부 연장부(12)와 제2 내부 연장부(13)' 그리고 '제1 외부 연장부(22)와 제2 외부 연장부(23)'는 레일홈과 레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내부 연장부(12)와 제2 내부 연장부(13) 각각은 레일홈 형태가 형성되고, 제1 외부 연장부(22)와 제2 외부 연장부(23) 각각은 레일 형태가 형성되거나, 제1 내부 연장부(12)와 제2 내부 연장부(13) 각각은 레일 형태가 형성되면, 제1 외부 연장부(22)와 제2 외부 연장부(23) 각각은 레일홈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절연 커버(20)는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는 내부 절연 커버(10)를 고정하여 조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끝단에 고정핀 삽입구(24)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외부 절연 커버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구와 고정핀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고정핀 삽입구(24)는 제1 외부 연장부(22)와 제2 외부 연장부(23) 사이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다. 이때, 고정핀(25)은 고정핀 삽입구(2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로써, 제1 외부 연장부(22)와 제2 외부 연장부(23)는 고정핀(25)이 고정핀 삽입구(24)에 삽입되면, 서로 조여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내부 절연 커버(10)의 제1 내부 연장부(12)와 제2 내부 연장부(13)를 압착시키는 형태가 된다. 즉, 외부 절연 커버(20)와 내부 절연 커버(10) 상호간에는 미끄럼 없이 제동(brake)된 상태로 고정된다.
고정핀(25)은 제1 외부 연장부(22)와 제2 외부 연장부(23) 사이에 형성된 구멍의 일직선상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핀(25)은 다각형 또는 원형 단면 형태로서, 끼움 결합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나, 예를 들어, 리벳 결합 방식, 나사 결합 방식, 너트/볼트 결합 방식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엔드캡(30)은 외부 절연 커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끝단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엔드캡(30)은 강관비계 파이프의 양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밀봉시킬 뿐만 아니라, 내부 절연 커버(10)와 외부 절연 커버(20)가 강관비계 파이프의 양 끝단을 이탈하지 않게 한다.
도 4는 클램프에 클램프 커버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클램프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b)는 (a)의 클램프에 클램프 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강관비계 파이프는 회전 또는 고정 클램프(clamp)를 이용하여 다른 강관비계 파이프와 연결할 수 있다. 즉, 클램프는 강관비계 파이프의 상호 연결 부위에 설치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클램프(40)는 강관비계 파이프에서 임의의 위치에 연결된다. 강관비계 파이프에서 클램프가 연결된 임의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측에는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절연 커버(10)와 외부 절연 커버(20)가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 절연 커버(20)의 고정핀 삽입구(24)에 고정핀(25)을 삽입함으로써, 외부 절연 커버(20)가 내부 절연 커버(10)를 압착하여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클램프(40)가 기존과 같이 강관비계 파이프에 직접 연결되거나, 클램프(40)가 강관비계 파이프에 내부 절연 커버(10)가 조립된 상태에 연결될 수도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클램프(40) 좌우측 각각으로 외부 절연 커버(20)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조립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클램프(40)는 강관비계 파이프와 마찬가지로 클램프 절연 커버(50)가 조립된다. 즉, 클램프 절연 커버(50)는 클램프(40)에 대한 전기적 절연 상태를 유지하여 스틸 재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발받침 비계에 절연 방호관 조립체가 설치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로 주변의 강관비계는 절연 방호관 조립체(1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발받침 비계(110)는 배전선로(120) 주변에 설치되는 비계로서, 작업자의 감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발받침 비계(110)는 배전선로(120)의 전압에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지만, 배전전력이 22㎾라면 90㎝ 정도로 매우 가깝게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배전선로에 절연 방호관이 덮여 있지만, 강관비계로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의 감전사고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강관비계 파이프에 절연 방호관 조립체(100)를 조립하여 운반 및 발받침 비계(110)를 설치함으로써 감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게 된다.
더욱이, 강관비계 파이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 방호관 조립체(100)에 의해 절연 상태로 될 뿐만 아니라, 다른 강관비계 파이프와 연결할 때 클램프 절연 커버(50)가 조립된 클램프(40)를 이용한다. 이는 배전선로(120)에 직접 접촉에 의한 감전사고와 더불어 근접에 의한 유도전류에 의한 감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
10 : 내부 절연 커버 11 : 내부 중공부
12 : 제1 내부 연장부 12a : 돌출부
12b : 제1 레일홈 13 : 제2 내부 연장부
13a : 홈부 13b : 제1 레일
20 : 외부 절연 커버 21 : 외부 중공부
22 : 제1 외부 연장부 22a : 제2 레일
23 : 제2 외부 연장부 23a : 제2 레일홈
24 : 고정핀 삽입구 25 : 고정핀
30 : 엔드캡 40 : 클램프
50 : 클램프 절연 커버 100 : 절연 방호관 조립체
110 : 발받침 비계 120 : 배전선로

Claims (12)

  1. 중공에 강관비계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기 강관비계 파이프의 외관을 둘러싸는 절연 커버를 형성하기 위한 내부 절연 커버; 및
    중공에 상기 내부 절연 커버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 절연 커버의 외관을 둘러싸는 절연 커버를 형성하되, 상기 내부 절연 커버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조립하기 위한 외부 절연 커버;
    을 포함하는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2. 강관비계 파이프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된 클램프를 기준으로, 상기 강관비계 파이프의 좌우측 각각에 조립되는 내부 절연 커버 및 외부 절연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절연 커버는, 중공에 강관비계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기 강관비계 파이프의 외관을 둘러싸는 절연 커버를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외부 절연 커버는, 중공에 상기 내부 절연 커버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 절연 커버의 외관을 둘러싸는 절연 커버를 형성하되, 상기 내부 절연 커버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여 조립하기는 것인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에 대한 전기적 절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클램프 절연 커버;
    를 더 포함하는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절연 커버는,
    상기 강관비계 파이프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환형 단면 구조를 갖는 중공을 형성하는 내부 중공부; 및
    상기 내부 중공부의 양 끝단이 절곡되어 연장되는 조립구조를 각각 구비하기 위한 제1 내부 연장부 및 제2 내부 연장부;
    를 포함하는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연장부의 조립구조는,
    상기 내부 중공부의 벌어진 상태를 닫힌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인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연장부의 조립구조는,
    상기 내부 절연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형 또는 도트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연장부의 조립구조는,
    상기 외부 절연 커버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레일홈 또는 레일이 형성되는 것인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절연 커버는,
    상기 내부 절연 커버가 삽입되어 밀착되는 환형 단면 구조를 갖는 중공을 형성하는 외부 중공부; 및
    상기 외부 중공부의 양 끝단이 절곡되어 연장되는 조립구조를 각각 구비하기 위한 제1 외부 연장부 및 제2 외부 연장부;
    를 포함하는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연장부의 조립구조는,
    상기 내부 절연 커버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레일홈 또는 레일이 형성되는 것인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연장부와 상기 제2 외부 연장부 상호간의 일직선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핀 삽입구; 및
    상기 고정핀 삽입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핀;
    을 더 포함하는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끼움 결합 방식, 리벳 결합 방식, 나사 결합 방식, 너트/볼트 결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인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절연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끝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엔드캡;
    을 더 포함하는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KR1020180049271A 2018-04-27 2018-04-27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KR102101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271A KR102101079B1 (ko) 2018-04-27 2018-04-27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271A KR102101079B1 (ko) 2018-04-27 2018-04-27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034A true KR20190125034A (ko) 2019-11-06
KR102101079B1 KR102101079B1 (ko) 2020-04-16

Family

ID=6854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271A KR102101079B1 (ko) 2018-04-27 2018-04-27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855A (ko) * 2021-03-04 2022-09-14 한기학 전선방호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245U (ja) * 1997-06-09 1997-12-16 倉英工業株式会社 安全クランプカバー
JP2001352649A (ja) * 2000-06-06 2001-12-21 Aiyou Sangyo:Kk 絶縁用カバーのスペーサ
KR100866318B1 (ko) * 2008-05-31 2008-10-31 건원이앤씨 주식회사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20090005988U (ko) * 2007-12-13 2009-06-17 김근환 건축용 비계 파이프
KR20130053256A (ko) 2011-11-15 2013-05-23 한국전력공사 건축현장 강관비계 감전방지용 절연안전카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245B2 (ja) * 1996-10-28 2000-05-22 紀夫 渡辺 広告表示板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245U (ja) * 1997-06-09 1997-12-16 倉英工業株式会社 安全クランプカバー
JP2001352649A (ja) * 2000-06-06 2001-12-21 Aiyou Sangyo:Kk 絶縁用カバーのスペーサ
KR20090005988U (ko) * 2007-12-13 2009-06-17 김근환 건축용 비계 파이프
KR100866318B1 (ko) * 2008-05-31 2008-10-31 건원이앤씨 주식회사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KR20130053256A (ko) 2011-11-15 2013-05-23 한국전력공사 건축현장 강관비계 감전방지용 절연안전카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855A (ko) * 2021-03-04 2022-09-14 한기학 전선방호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079B1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451B1 (ko) 건축용 방호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101079B1 (ko) 강관비계용 절연 방호관 조립체
KR20210048308A (ko) 송전 지지물용 추락 방지 장치
KR102388397B1 (ko) 유도전압의 차단이 가능한 철탑용 추락방지장치
KR20190110769A (ko) 전선방호관 이탈방지장치
KR20210023517A (ko)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102143127B1 (ko) 방호관 취부장치
KR102394196B1 (ko) 연장형 전선 방호관 구조체
KR101995893B1 (ko) 전선 방호용 절연커버
KR20130053256A (ko) 건축현장 강관비계 감전방지용 절연안전카바
KR20200063432A (ko)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KR101766453B1 (ko) 측뇌용 피뢰침
KR101150438B1 (ko)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2030317B1 (ko) 완철용 피뢰기 고정 장치
KR101888822B1 (ko) 측뇌용 피뢰침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93829B1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데드엔드 커버
KR102359152B1 (ko) 간접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클램프 방호구조체
KR102051777B1 (ko) 고압 변전소 내의 변전설비 설치 및 점검을 위한 절연접지형 비계장치
KR200446631Y1 (ko)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의 방호관
KR20200056026A (ko) 건축용 절연 비계
KR20140145045A (ko) 안전성이 강화된 건설현장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 방호공법
KR102581073B1 (ko) 건축용 방호관의 위험표지판 연결 어댑터 구조체
RU146426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изолятора опоры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KR102237620B1 (ko) 균열 전주 강도 및 접지 보강공법
KR20210155133A (ko) 주름형 건축용 방호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