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432A -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 Google Patents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432A
KR20200063432A KR1020180149097A KR20180149097A KR20200063432A KR 20200063432 A KR20200063432 A KR 20200063432A KR 1020180149097 A KR1020180149097 A KR 1020180149097A KR 20180149097 A KR20180149097 A KR 20180149097A KR 20200063432 A KR20200063432 A KR 20200063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insulation cover
high voltage
cover
straigh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한
박영기
홍호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49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3432A/ko
Publication of KR2020006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는, 무정전 작업을 위해 특고압선을 피박한 후 압축 연결하는 분기슬리브와 주변 특고압선을 동시 절연하도록 감아주는 직선절연커버로서, 상기 직선절연커버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둘레측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상기 분기슬리브와 주변 특고압선의 둘레에 밀착되는 스파이럴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직선절연커버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기존 건축용 방호관에 의해 직선절연커버를 감싸아 보호할 수 있으므로 감전사고 및 혼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SLEEVE COVER STRUCTURE OF SELF-AMALGAMATING STRAIGHT LINE INSULATION FOR DIRECT LIVE WIRE}
본 발명은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고압 배전선로를 절연처리하는 슬리브커버가 건축용 방호관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의 유지 보수공사는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정전사고를 최소화하여 전력수요자들에게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상태로 보수공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압이 살아있는 상태 즉, 무정전 활선(活線, a live wire)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만 하며, 현재에는 대부분 이와 같이 활선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은 2가지 종류 즉, 직접 활선작업과 간접 활선작업으로 나누어져 있다.
직접 활선작업의 경우, 작업자가 절연 장갑을 끼고 전압이 229kV나 되는 특고압 전선을 접촉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로서 작업시간은 짧게 소요되나 위험성이 대단히 큰 단점이 있으며, 그동안 작업 부주의로 인한 인명피해가 적지 않게 발생하여 왔다.
이에 따라 선진외국에서는 직접 활선을 보조하거나 대신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이나 보조장비를 활용하고 있다.
간접 활선작업의 경우, 핫스틱이라는 공구를 이용해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간접 활선작업은 공구를 이용한 작업으로서 안전성은 있으나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 전선은 재질에 따라서는 알루미늄(AL) 또는 동(Cu)으로 되어 있고, 그 외부를 둘러싼 절연물(PE, XLPE 등)인 피복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 전선에 대한 활선 작업시 주전선과 주전선의 접속 또는 주전선에서 분기되는 분기전선을 주전선과 상호 접속하기 위해서는 주전선 또는 분기전선의 절연물(즉, 피복체)을 접속에 필요한 만큼 탈피한 다음, 주전선 또는 분기전선의 탈피된 도체 부분을 전선슬리브의 양단에 각각 삽입한 후, 압축기로 압축하여 접속을 시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선슬리브는 알루미늄(AL) 또는 동(Cu) 합금 등의 전기를 잘 통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전선슬리브는 주전선과 주전선의 접속 시 사용하는 일자형 연결슬리브와 주전선과 분기전선을 상호 접속하기 사용하는 분기형 분기슬리브로 구분할 수 있고,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전선슬리브용 절연커버와 관련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5161호(200322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9525호(20034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77658호(2007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50304호(200884 공고)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슬리브용 절연커버는, 분기슬리브(11)가 안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양단부에 원추형태로 인출구(12)가 형성되어 주전선(2)이 끼워져 설치되며, 인출구(12)에서 하단부로 절개되어 양쪽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하단부의 양쪽에 체결턱과 체결편으로 이루어진 수개의 체결구(13)가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분기슬리브(11)에 적용되는 절연커버(10)는 주전선(2)의 피복을 제거하고 분기슬리브(11)로 분기선(7)을 접속한 상태에서 분할된 하단부를 벌려 분기슬리브(11)를 내부에 안치하고, 양측 주전선(2)을 인출구(12)에 끼워 인출시킨 다음, 분기선(7)을 한쪽 인출구(12)로 인출한 상태에서 수개의 체결구(13)를 결합하고, 양측 인출구(12) 부위를 테이핑 작업으로 밀폐시켜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하는 한편 절연시켜 감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선슬리브용 절연커버는 주전선(2)이 인출되는 원추형태의 인출구(12)가 양단에 형성되고, 이들 인출구(12)쪽으로 분기선(7)과 주전선(2)이 인출되도록 절연커버(10)를 벌릴 수 있도록 하단부에 수개의 체결수(13)를 형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주전선(2)과 분기선(7)을 인출시키면서 절연하는 절연커버(10)로서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수개의 체결수(13)의 형성을 위한 돌출부로 인하여 기존 건축용 방호관의 설치가 불가능하였다.
즉, 건축용 방호관을 특고압 배전선로의 설치 구간에서 종래의 절연커버(10)에 씌울 수 없기 때문에 절연커버(10)가 작업 현장에서 크레인 등의 장비에 충돌할 경우 절연커버(10)가 쉽게 밀리거나 이탈되면서 분기슬리브(11)를 노출하게 되고, 이렇게 노출된 분기슬리브(11)는 건축용 방호관에 의해 보호되지 못함에 따라 크레인 등의 장비와 접촉 시 감전사고 및 혼촉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5161호(2003.2.25 공고, 명칭: 분기 슬리브 커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9525호(2003.4.3 공고, 명칭: 자재부를 구비한 분기슬리브 커버)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77658호(2007.2.2 공고, 명칭: 분기슬리브용 절연커버)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50304호(2008.8.4 공고, 명칭: 분기 슬리브용 절연커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80703호(2016.6.27 공고, 명칭: 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커버)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 건축용 방호관에 의해 직선절연커버를 감싸줄 수 있도록 직선절연커버의 부피를 줄이고 설치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함은 물론, 건축용 방호관의 보호에 의해 감전사고 및 혼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는, 무정전 작업을 위해 특고압선을 피박한 후 압축 연결하는 분기슬리브와 주변 특고압선을 동시 절연하도록 감아주는 직선절연커버로서, 상기 직선절연커버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둘레측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상기 분기슬리브와 주변 특고압선의 둘레에 밀착된 후 양단이 절연테이프에 의해 테이핑되는 스파이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직선절연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분기슬리브와 주변 특고압선의 둘레에 밀착되어 절연시키는 자기융착절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직선절연커버는 박판으로 형성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길 때 안쪽 단부와 바깥쪽 단부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직선절연커버는 건축용 방호관이 씌워지도록 길이측을 따라 전체 둘레 폭이 동일한 직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는, 직선절연커버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겨져 안쪽 단부와 바깥쪽 단부가 중첩되면서 그 길이측을 따라 전체 둘레 폭이 동일하도록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직선절연커버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기존 건축용 방호관에 의해 직선절연커버를 감싸아 보호할 수 있으므로 감전사고 및 혼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절연커버의 일부 절개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절연커버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선절연커버가 분기슬리브에 감겨지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절연커버가 분기슬리브에 감겨진 후 상태를 도시한 외관도,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배전선로, 직선절연커버, 건축용 방호관 순으로 겹쳐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도 5(b)의 A-A선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는, 무정전 작업을 위해 특고압선(20)을 피박한 후 압축 연결하는 분기슬리브(22)와 주변 특고압선(20)을 동시 절연하도록 감아주는 직선절연커버(30)로서, 상기 직선절연커버(30)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둘레측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상기 분기슬리브(22)와 주변 특고압선(20)의 둘레에 밀착되어 스파이럴(Spiral)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직선절연커버(30)는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둘레측으로 자체 탄성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상기 분기슬리브(22)와 주변을 특고압선(20)을 외주에 밀착된 후 양단이 절연테이프(34)에 의해 테이핑되는 스파이럴 형태로서, 그 내면에는 상기 분기슬리브(22)와 주변 특고압선(20)의 둘레에 밀착되어 절연시키는 자기융착절연층(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직선절연커버(30)는 박판으로 형성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길 때 안쪽 단부와 바깥쪽 단부가 중첩되면서 기존 건축용 방호관(40)이 씌워지도록 그 길이측을 따라 전체 둘레 폭이 동일한 직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기융착절연층(32)은 상기 분기슬리브(22)와 주변 특고압선(20)까지 절연을 위해 테이핑되는 기존 이중절연자기융착테이프와 동일한 역할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를 이용하여 건축용 방호관(40)이 씌워질 수 있도록 분기슬리브(22)를 절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시공이 이루어진다.
즉, 무정전 작업을 위해 특고압선(20)을 피박한 후 압축 연결하는 분기슬리브(22)에 도 3과 같이 스파이럴 형태의 직선절연커버(30)를 위치시키면, 이 직선절연커버(30)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도 4와 같이 분기슬리브(22)를 포함한 그 주변 특고압선(20)의 피박부분까지 감싸주게 된다.
이때, 직선절연커버(30)는 분기슬리브(22)의 외주에 감겨진 후 양단이 특고압선(20)과 절연테이프(34)에 의해 테이핑됨으로써 위치 고정된다.
이와 같이 분기슬리브(22)를 절연하는 직선절연커버(30)는 박판으로 형성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길 때 안쪽 단부와 바깥쪽 단부가 중첩되면서 그 길이측을 따라 전체 둘레 폭이 동일한 직선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절연커버(3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도 5 및 도 6과 같이 기존 건축용 방호관(40)에 의해 직선절연커버(30)를 감싸아 보호할 수 있으므로 감전사고 및 혼촉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20 : 특고압선 22 : 분기슬리브
30 : 직선절연커버 32 : 자기융착절연층
34 : 절연테이프 40 : 건축용 방호관

Claims (4)

  1. 무정전 작업을 위해 특고압선(20)을 피박한 후 압축 연결하는 분기슬리브(22)와 주변 특고압선(20)을 동시 절연하도록 감아주는 직선절연커버(30)로서,
    상기 직선절연커버(30)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둘레측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상기 분기슬리브(22)와 주변 특고압선(20)의 둘레에 밀착된 후 양단이 절연테이프(34)에 의해 테이핑되는 스파이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선절연커버(30)의 내면에는 상기 분기슬리브(22)와 주변 특고압선(20)의 둘레에 밀착되어 절연시키는 자기융착절연층(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선절연커버(30)는 박판으로 형성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길 때 안쪽 단부와 바깥쪽 단부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선절연커버(30)는 건축용 방호관(40)이 씌워지도록 길이측을 따라 전체 둘레 폭이 동일한 직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KR1020180149097A 2018-11-28 2018-11-28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KR20200063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097A KR20200063432A (ko) 2018-11-28 2018-11-28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097A KR20200063432A (ko) 2018-11-28 2018-11-28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432A true KR20200063432A (ko) 2020-06-05

Family

ID=7108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097A KR20200063432A (ko) 2018-11-28 2018-11-28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34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632B1 (ko) * 2021-11-30 2022-04-08 김태형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CN114792590A (zh) * 2021-01-25 2022-07-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低压带电作业防护的可塑形组合式绝缘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161B1 (ko) 1997-08-06 2001-09-24 마이클 에이. 센타니 금속호일의처리방법및그부착증진방법
KR100309525B1 (ko) 1997-09-12 2001-12-17 가네꼬 히사시 보호회로를갖는반도체장치
KR100480703B1 (ko) 2002-07-02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냉장고
KR100677658B1 (ko) 2006-09-05 2007-02-02 (주)천도건축사사무소 분기슬리브용 절연커버
KR100850304B1 (ko) 2008-01-11 2008-08-04 이이순 분기 슬리브용 절연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161B1 (ko) 1997-08-06 2001-09-24 마이클 에이. 센타니 금속호일의처리방법및그부착증진방법
KR100309525B1 (ko) 1997-09-12 2001-12-17 가네꼬 히사시 보호회로를갖는반도체장치
KR100480703B1 (ko) 2002-07-02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냉장고
KR100677658B1 (ko) 2006-09-05 2007-02-02 (주)천도건축사사무소 분기슬리브용 절연커버
KR100850304B1 (ko) 2008-01-11 2008-08-04 이이순 분기 슬리브용 절연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2590A (zh) * 2021-01-25 2022-07-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低压带电作业防护的可塑形组合式绝缘垫
KR102383632B1 (ko) * 2021-11-30 2022-04-08 김태형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178Y1 (ko)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CN103094775B (zh) 一种用于电缆线接地祼露处的防护装置及防水、防潮处理机构
KR102063700B1 (ko) 배전선로용 절연 커버
KR20200063432A (ko)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KR100751518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101556755B1 (ko) 케이블 일체형 클램프가 조립되는 주상변압기용 고압부싱
JP2015142486A (ja) 高圧ケーブルの端部構造
CN101640403A (zh) 一种电缆绝缘接头
CN201556921U (zh) 一种电缆绝缘接头的结构
KR10157300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US2827508A (en) Terminal assembly for shielded cables
KR20120038177A (ko) 전력케이블의 평활 알루미늄 쉬스와 접속함의 보호케이스와의 접속 구조
JP2012099388A (ja) 高圧カットアウト
JP2014166010A (ja) Ofケーブル接続部
CN209844528U (zh) 一种适用于35kV及以下中低压电缆的接头结构
KR101594996B1 (ko) 특고압용 절연 3심 케이블
CN102709865A (zh) 插拔式高压终端头制作方法
KR102193829B1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데드엔드 커버
CN110911854A (zh) 一种耐工频电流的信号电缆成端装置
JPH08122401A (ja) 長距離電力ケーブル線路の耐電圧試験方法
CN202183585U (zh) 应力锥组件、高压电缆连接器组件
KR102635697B1 (ko) 전선용 도체의 절연방수모듈
KR102582040B1 (ko) 간접활선작업용 테이프리스 절연커버
JPH0763204B2 (ja) 高圧引下げ線の装柱方法及び保護管端末キャップ
CN102088172B (zh) 全封闭屏顶小母线组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