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632B1 -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 Google Patents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632B1
KR102383632B1 KR1020210169473A KR20210169473A KR102383632B1 KR 102383632 B1 KR102383632 B1 KR 102383632B1 KR 1020210169473 A KR1020210169473 A KR 1020210169473A KR 20210169473 A KR20210169473 A KR 20210169473A KR 102383632 B1 KR102383632 B1 KR 102383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eeve
high voltage
extra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1020210169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cutting cables or wires, or splic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스마트스틱과 공기구를 정리하는 단계와, 선로 부하전류를 측정하는 단계와, 부하전류가 확인되면, 입상 케이블을 점검한 후 접속하는 단계와, 입상 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와, 점퍼선을 일부분을 피박한 후에 피박된 부위를 절단하는 단계와, 잘라진 점퍼선의 양단에 절연캡을 각각 취부하는 단계와, 슬리브를 조립하는 단계와, 절연캡을 제거한 후, 슬리브를 삽입하는 단계와, 슬리브의 치차돌기를 회전시켜서 슬리브가 특고압전선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슬리브의 외주면에 절연 테이핑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양단부가 개방되면서 일단부로 특고압전선이 삽입되는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과, 상기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을 연결하는 체결부와, 상기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특고압전선을 결속하기 위한 전단 결속부 및 후단 결속부와,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타단부를 개폐하는 전단 개폐캡 및 후단 개폐캡과, 스마트 스틱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단 결속부 및 후단 결속부에 각각 특고압전선이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전단 회전결속수단 및 후단 회전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Description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Sleeve device for live wire work of extra-high voltage wire}
이 발명은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스마트 스틱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회전결속수단에 의하여 특고압전선이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송전선로 및 배전선로와 특고압 전선의 유지 보수공사는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전압이 살아있는 상태, 즉 무정전 활선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무정전 활선 상태에서의 작업은 직접 활선작업과 간접 활선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접 활선작업은 작업자가 절연장갑을 끼고 특고압 전선을 접촉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로서, 작업시간은 짧게 소요되나 위험성이 대단히 큰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간접 활선작업은 스마트 스틱이라는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로서, 안정성은 있으나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근래에 간접 활선작업은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은, 입상 케이블 설치, 점퍼선 피박, 점퍼선 절단, 절연캡 취부, 절연캡 제거, 슬리브 전선 삽입, 점퍼선 압축, 점퍼선 테이핑, 슬리브 테이핑, 슬리브 커버 테이핑, 입상 케이블 철거 순으로 작업이 진행된다,
상기한 작업중에서도 절단된 점퍼선을 연결하는 슬리브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참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59144호(공고일자 2006년 12월 18일)의 절연커버 피복형 압축 슬리브"에는, 금속제 슬리브 본체와, 그 금속제 슬리브 본체의 외주를 싸서 감추도록 마련된 전기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피복부 및 그 피복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하여 마련된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절연 커버에 의해 구성되는 절연커버 피복형 압축 슬리브로서, 상기 돌출부의 내벽의 내주에 따라서, 또, 그 돌출부의 선단위치로부터 상기 금속제 슬리브 본체와 소정의 거리를 지닌 위치까지의 사이에 홈통줄기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등록번호 10-0659144호를 포함한 종래의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 장치는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591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 스틱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회전결속수단에 의하여 특고압전선이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스마트스틱과 공기구를 정리하는 단계와, 선로 부하전류를 측정하는 단계와, 부하전류가 확인되면, 입상 케이블을 점검한 후 접속하는 단계와, 입상 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와, 점퍼선을 일부분을 피박한 후에 피박된 부위를 절단하는 단계와, 잘라진 점퍼선의 양단에 절연캡을 각각 취부하는 단계와, 슬리브를 조립하는 단계와, 절연캡을 제거한 후, 슬리브를 삽입하는 단계와, 슬리브의 치차돌기를 회전시켜서 슬리브가 특고압전선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슬리브의 외주면에 절연 테이핑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양단부가 개방되면서 일단부로 특고압전선이 삽입되는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과, 상기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을 연결하는 체결부와, 상기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특고압전선을 결속하기 위한 전단 결속부 및 후단 결속부와,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타단부를 개폐하는 전단 개폐캡 및 후단 개폐캡과, 스마트 스틱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단 결속부 및 후단 결속부에 각각 특고압전선이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전단 회전결속수단 및 후단 회전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삭제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전단 하우징은, 양단부 사이 일측에 체결부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는 제2 플랜지와 접하는 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 하우징은 양단부 사이 중앙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내주면이 테이퍼지면서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의 내주면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의 반대쪽 단부 외측에는 제1 환형홈 및 제1 환형돌기가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후단 하우징은 타단부에 제1 플랜지와 접하는 제2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는 제1 플랜지와 접하는 면에 결합돌기가 인입되기 위한 인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후단 하우징은 양단부 사이 중앙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내주면이 테이퍼지면서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의 내주면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의 반대쪽 단부 외측에는 제1 환형홈 및 제1 환형돌기가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전단 하우징의 이탈방지돌기와 제1플랜지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전단 하우징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로링부와, 상기 세로링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후단 하우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플랜지와 나사결합되는 가로링부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전단 결속부 및 후단 결속부는, 일정한 간격을두고 원주 방향으로 분기되어 있는 3개의 결속유닛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3개의 결속유닛은, 외주면이 테이퍼지면서 경사면과 접하는 밀착부와, 타단부가 상기 밀착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하우징의 일단부로 돌출되어 전단 회전결속수단 및 후단 결속수단에 결속되는 돌출부와, 상기 밀착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속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복수의 결속돌기는 종단면이 톱니 형태를 이루면서 전단 회전결속수단 및 후단 회전 결속수단의 조임 회전에 따라 특고압전선으로 밀착되면서 3개의 결속유닛이 특고압전선을 압착하여 물수 있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전단 개폐캡 및 후단 개폐캡의 타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홈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홈부에 걸림턱이 인입되어 걸림턱이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타단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전단 개폐캡 및 후단 개폐캡은 일단부가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홈부로 인입되면서 타단부가 전단 결속부 및 후단 결속부를 가압하여 돌출부가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일단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일단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특고압전선이 접하며 이동이 정지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전단 회전결속수단 및 후단 회전결속수단은, 내주면이 돌출부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회전링부와, 상기 회전링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환형홈 및 제2 환형돌기와, 상기 회전링부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치차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전단 하우징, 전단 결속부, 전단 개폐캡, 전단 회전결속수단은 체결부와 더불어 피메일 조립체로서, 그리고 상기 후단 하우징, 후단 결속부, 후단 개폐캡, 후단 회전결속수단은 메일 조립체로서 2개로 분리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 피메일 조립체의 전단 하우징의 제1 플랜지의 결합돌기와, 상기 메일 조립체의 후단 하우징의 제2 플랜지의 인입홈이 결합되도록 한 후에, 상기 피메일 조립체의 체결부를 메일 조립체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체결부의 가로링부를 후단 하우징의 제2 플랜지와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피메일 조립체와 메일 조립체를 결합시키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스마트 스틱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회전결속수단에 의하여 특고압전선이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의 조립 단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물 내지 대체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방향에 관한 표현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연결된다"거나 "설치된다"라는 표현은 직접적인 연결 또는 접속뿐만이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는 연결 또는 설치를 포함한다.
도 1은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의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은, 스마트스틱과 공기구를 정리하는 단계(S10)와, 선로 부하전류를 측정하는 단계(S20)와, 부하전류가 확인되면, 입상 케이블을 점검한 후 접속하는 단계(S30)와, 입상 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S40)와, 점퍼선을 일부분을 피박한 후에 피박된 부위를 절단하는 단계(S50)와, 잘라진 점퍼선의 양단에 절연캡을 각각 취부하는 단계(S60)와, 슬리브를 조립하는 단계(S79)와, 절연캡을 제거한 후, 슬리브를 삽입하는 단계(S80)와, 슬리브의 치차돌기를 회전시켜서 슬리브가 특고압전선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S90)와, 슬리브의 외주면에 절연 테이핑을 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 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의 단면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의 구성은, 양단부가 개방되면서 일단부로 특고압전선(A)이 삽입되는 전단 하우징(1a) 및후단 하우징(1b)과, 상기 전단 하우징(1a) 및 후단 하우징(1b)을 연결하는 체결부(2)와, 상기 전단 하우징(1a) 및 후단 하우징(1b)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특고압전선(A)을 결속하기 위한 전단 결속부(3a) 및 후단 결속부(3b)와,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 하우징(1a) 및 후단 하우징(1b)의 타단부를 개폐하는 전단 개폐캡(4a)및 후단 걔폐캡(4b)과, 스마트 스틱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단 결속부(3a) 및 후단 결속부(3b)에 각각 특고압전선(A)이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전단 회전결속수단(5a) 및 후단 회전결속수단(5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단 하우징(1a)은, 양단부 사이 일측에 체결부 이탈방지돌기(1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플랜지(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랜지(12)는 제2 플랜지(14)와 접하는 면에 결합돌기(13)가 형성된다.
상기 후단 하우징(1b)은 타단부에 제1 플랜지(11)와 접하는 제2 플랜지(14)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플랜지(14)는 제1 플랜지(12)와 접하는 면에 결합돌기(13)가 인입되기 위한 인입홈(15)이 형성된다.
상기 전단 하우징(1a) 및 후단 하우징(1b)은 양단부 사이 중앙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내주면이 테이퍼지면서 경사면(16)이 형성된다.
상기 전단 하우징(1a)의 제1 플랜지(12) 및 상기 후단 하우징(1b)의 제2 플랜지(14)의 내주면에는 홈부(17)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17)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전단 하우징(1a)의 제1 플랜지(12) 및 상기 후단 하우징(1b)의 제2 플랜지(14)의 반대쪽 단부 외측에는 제1 환형홈(18) 및 제1 환형돌기(19)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2)는 전단 하우징(1a)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후단 하우징(1b)의 타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상기 체결부(2)는, 전단 하우징(1a)의 이탈방지돌기(11)와 제1플랜지(1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전단 하우징(1a)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로링부(21)와, 상기 세로링부(21)의 외주면으로부터 후단 하우징(1b)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플랜지(14)와 나사결합되는 가로링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단 결속부(3a) 및 후단 결속부(3b)는, 전단 하우징(1a) 및 후단 하우징(1b)의 내측에 배치되며 특고압전선(A)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상기 전단 결속부(3a) 후단 결속부(3b)는 전단 회전결속수단(5a) 및 후단 회전결속수단(5b)의 조임 회전에 따라 전단 하우징(1a) 및 후단 하우징(1b)의 일단부로 당겨지게 되면서 경사면(16) 및 특고압전선(A)과 밀착되는 한편, 전단 회전결속수단(5a) 및 후단 회전결속수단(5b)과 나사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외력에 의한 이동이 방지된다.
상기 전단 결속부(3a) 및 후단 결속부(3b)는, 일정한 간격을두고 원주 방향으로 분기되어 있는 3개의 결속유닛(31a, 31b, 31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3개의 결속유닛(31a, 31b, 31c)은, 외주면이 테이퍼지면서 경사면(16)과 접하는 밀착부(33)와, 타단부가 상기 밀착부(33)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하우징(1a, 1b)의 일단부로 돌출되어 전단 회전결속수단(5a) 및 후단 결속수단(5b)에 결속되는 돌출부(34)와, 상기 밀착부(33)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속돌기(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결속돌기(32)는 종단면이 톱니 형태를 이루면서 전단 회전결속수단(5a) 및 후단 회전 결속수단(5b)의 조임 회전에 따라 특고압전선(A)으로 밀착되면서 3개의 결속유닛(3a, 3b, 3c)이 특고압전선(A)을 압착하여 물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단 개폐캡(4a) 및 후단 개폐캡(4b)은 도체로 이루어지며, 전단 하우징(1a) 및 후단 하우징(1b)의 타단부를 폐쇄한다.
상기 전단 개폐캡(4a) 및 후단 개폐캡(4b)의 타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4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4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전단 하우징(1a) 및 후단 하우징(1b)의 홈부(17)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전단 하우징(1a) 및 후단 하우징(1b)의 홈부(17)에 걸림턱(41)이 인입되어 걸림턱(41)이 전단 하우징(1a) 및 후단 하우징(1b)의 타단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전단 개폐캡(4a) 및 후단 개폐캡(4b)은 일단부가 전단 하우징(1a) 및 후단 하우징(1b)의 홈부(17)로 인입되면서 타단부가 전단 결속부(3a) 및 후단 결속부(3b)를 가압하여 돌출부(34)가 전단 하우징(1a) 및 후단 하우징(1b)의 일단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일단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전단 하우징(1a) 및 후단 하우징(1b)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특고압전선(A)이 접하며 이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전단 회전결속수단(5a) 및 후단 회전결속수단(5b)은, 내주면이 돌출부(34)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회전링부(51)와, 상기 회전링부(15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환형홈(52) 및 제2 환형돌기(53)와, 상기 회전링부(151)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치차돌기(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단 회전결속수단(5a) 및 후단 회전결속수단(5b)의 제2 환형홈(52) 및 제2 환형돌기(53)는 상기 전단 하우징(1a)의 제1 플랜지(12) 및 상기 후단 하우징(1b)의 제1 환형홈(18) 및 제1 환형돌기(19)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전단 회전결속수단(5a) 및 후단 회전결속수단(5b)의 상기 다수개의 치차돌기(54)는 스마트스틱(도시되지 않음)과 결합되어 스마트스틱(도시되지 않음)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전단 회전결속수단(5a) 및 후단 결속수단(5b)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전단 하우징(1a) 및 후단 하우징(1b)의 회전링부(51)의 내주면과 돌출부(34)의 외주면이 나사결합되어 있는 전단 결속부(3a) 및 후단 결속부(3b)가 각각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전단 하우징(1a), 전단 결속부(3a), 전단 개폐캡(4a), 전단 회전결속수단(5a)는 체결부(2)와 더불어 피메일 조립체로서, 그리고 상기 후단 하우징(1b), 후단 결속부(3b), 후단 개폐캡(4b), 후단 회전결속수단(5b)는 메일 조립체로 2개로 분리된다.
상기 피메일 조립체의 전단 하우징(1a)의 제1 플랜지(12)의 결합돌기(13)와, 상기 메일 조립체의 후단 하우징(1b)의 제2 플랜지(14)의 인입홈(15)이 결합되도록 한 후에, 상기 피메일 조립체의 체결부(2)를 메일 조립체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체결부(2)의 가로링부(22)를 후단 하우징(1b)의 제2 플랜지(14)와 나사결합시키면, 피메일 조립체와 메일 조립체가 결합되어 하나의 조립체가 된다.
삭제
삭제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스마트스틱과 공기구를 정리한다(S10).
다음에 작업자는 버켓 트럭을 타고 특고압 전선 주변으로 이동하여 전류측정용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선로 부하전류를 측정한다(S20).
부하전류가 확인되면, 지상의 작업자로 하여금 입상 케이블을 점검한 후 접속하도록 한다(S30).
다음에, 버켓 트럭의 작업자는 설치용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입상 케이블을 설치한다(S40).
입상 케이블이 설치되고 나면 버켓 트럭의 작업자는 절단용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점퍼선을 일부분을 피박한 후에 피박된 부위를 절단한다(S50).
이어서, 버켓 트럭의 작업자는 설치용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잘라진 점퍼선의 양단에 절연캡을 각각 취부한다(S60).
다음에, 피메일 조립체와 메일 조립체의 2개의 조립체로 분리되어 있던 슬리브를 1개의 조립체로 결합시킨다(S70).
이어서, 버켓 트럭의 작업자는 설치용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일단의 절연캡을 제거한 후에, 설치용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슬리브를 삽입한다(S80).
이와 같이 슬리브의 전단 하우징(1a)으로 특고압전선(A)이 삽입되면, 특고압 전선(A)이 전단 결속부(3a)를 거쳐서 전단 개폐캡(4a)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전단 개폐캡(4a)에 의해 이동이 정지된다.
다음에, 버켓 트럭의 작업자는 회전용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슬리브 장치의 전단 회전결속수단(5a)의 치차돌기(54)를 회전시켜줌으로써 전단 회전결속수단(5a)이 전단 하우징(1a)의 회전링부(51)의 내주면과 돌출부(34)의 외주면이 나사결합되어 있는 전단 결속부(3a)가 전진 이동되도록 한다(S90).
상기 전단 결속부(3a)가 전진 이동되면, 3개의 결속유닛(31a, 31b, 31c)의 밀착부(33)가 전단 하우징(1a)의 경사면(16)에 밀착되면서 3개의 결속유닛(31a, 31b, 31c)의 결속돌기(32)가 특고압전선(A)을 강하게 압착하면서 물어줌으로써 상기 전단 결속부(3a)가 특고압전선(A)과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에, 버켓 트럭의 작업자는 설치용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나머지 절연캡을 제거한 후에, 설치용 스마트스틱을 이용하여 슬리브의 후단을 삽입한다(S80).
이와 같이 슬리브의 후단 하우징(1b)으로 특고압전선(A)이 삽입되면, 특고압 전선(A)이 후단 결속부(3b)를 거쳐서 후단 개폐캡(4b)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후단 개폐캡(4b)에 의해 이동이 정지된다.
이어서, 버켓 트럭의 작업자는 회전용 스마트 스틱을 이용하여 슬리브의 후단 회전결속수단(5b)의 치차돌기(54)를 회전시켜줌으로써 후단 회전결속수단(5b)이 후단 하우징(1b)의 회전링부(51)의 내주면과 돌출부(34)의 외주면이 나사결합되어 있는 후단 결속부(3b)가 후진 이동되도록 한다(S90).
상기 후단 결속부(3b)가 후진 이동되면, 3개의 결속유닛(31a, 31b, 31c)의 밀착부(33)가 후단 하우징(1b)의 경사면(16)에 밀착되면서 3개의 결속유닛(31a, 31b, 31c)의 결속돌기(32)가 특고압전선(A)을 강하게 압착하면서 물어줌으로써 상기 후단 결속부(3b)가 특고압전선(A)과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절단되었던 특고압 전선(A)에 슬리브가 삽입되고 나면, 절단되었던 특고압 전선(A)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에, 버켓 트럭의 작업자는 스마트스틱을 이용하여 슬리브의 외주면에 절연 테이핑을 한다(S100).
1a : 전단 하우징
1b : 후단 하우징
2 : 체결부
3a : 전단 결속부
3b : 후단 결속부
4a : 전단 개폐캡
4b : 후단 개폐캡
5a : 전단 회전결속수단
5b : 후단 회전결속수단

Claims (13)

  1. 스마트스틱과 공기구를 정리하는 단계와,
    선로 부하전류를 측정하는 단계와,
    부하전류가 확인되면, 입상 케이블을 점검한 후 접속하는 단계와,
    입상 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와,
    점퍼선을 일부분을 피박한 후에 피박된 부위를 절단하는 단계와,
    잘라진 점퍼선의 양단에 절연캡을 각각 취부하는 단계와,
    슬리브를 조립하는 단계와,
    절연캡을 제거한 후, 슬리브를 삽입하는 단계와,
    슬리브의 치차돌기를 회전시켜서 슬리브가 특고압전선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와,
    슬리브의 외주면에 절연 테이핑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양단부가 개방되면서 일단부로 특고압전선이 삽입되는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과, 상기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을 연결하는 체결부와, 상기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특고압전선을 결속하기 위한 전단 결속부 및 후단 결속부와,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타단부를 개폐하는 전단 개폐캡 및 후단 개폐캡과, 스마트 스틱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단 결속부 및 후단 결속부에 각각 특고압전선이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전단 회전결속수단 및 후단 회전결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단 회전결속수단 및 후단 회전결속수단은, 내주면이 돌출부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되는 회전링부와, 상기 회전링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환형홈 및 제2 환형돌기와, 상기 회전링부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치차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하우징은 양단부 사이 일측에 체결부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는 제2 플랜지와 접하는 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단 하우징은 양단부 사이 중앙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내주면이 테이퍼지면서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의 내주면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의 반대쪽 단부 외측에는 제1 환형홈 및 제1 환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 하우징은 타단부에 제1 플랜지와 접하는 제2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는 제1 플랜지와 접하는 면에 결합돌기가 인입되기 위한 인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후단 하우징은 양단부 사이 중앙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내주면이 테이퍼지면서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의 내주면에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랜지의 반대쪽 단부 외측에는 제1 환형홈 및 제1 환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전단 하우징의 이탈방지돌기와 제1플랜지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전단 하우징의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로링부와,
    상기 세로링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후단 하우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플랜지와 나사결합되는 가로링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결속부 및 후단 결속부는, 일정한 간격을두고 원주 방향으로 분기되어 있는 3개의 결속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결속유닛은,
    외주면이 테이퍼지면서 경사면과 접하는 밀착부와,
    타단부가 상기 밀착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하우징의 일단부로 돌출되어 전단 회전결속수단 및 후단 결속수단에 결속되는 돌출부와,
    상기 밀착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속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속돌기는 종단면이 톱니 형태를 이루면서 전단 회전결속수단 및 후단 회전 결속수단의 조임 회전에 따라 특고압전선으로 밀착되면서 3개의 결속유닛이 특고압전선을 압착하여 물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개폐캡 및 후단 개폐캡의 타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홈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홈부에 걸림턱이 인입되어 걸림턱이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타단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개폐캡 및 후단 개폐캡은 일단부가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홈부로 인입되면서 타단부가 전단 결속부 및 후단 결속부를 가압하여 돌출부가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일단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일단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전단 하우징 및 후단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특고압전선이 접하며 이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하우징, 전단 결속부, 전단 개폐캡, 전단 회전결속수단은 체결부와 더불어 피메일 조립체로서, 그리고 상기 후단 하우징, 후단 결속부, 후단 개폐캡, 후단 회전결속수단은 메일 조립체로서 2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조립체의 전단 하우징의 제1 플랜지의 결합돌기와, 상기 메일 조립체의 후단 하우징의 제2 플랜지의 인입홈이 결합되도록 한 후에,
    상기 피메일 조립체의 체결부를 메일 조립체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체결부의 가로링부를 후단 하우징의 제2 플랜지와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피메일 조립체와 메일 조립체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KR1020210169473A 2021-11-30 2021-11-30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KR102383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473A KR102383632B1 (ko) 2021-11-30 2021-11-30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473A KR102383632B1 (ko) 2021-11-30 2021-11-30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632B1 true KR102383632B1 (ko) 2022-04-08

Family

ID=81182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473A KR102383632B1 (ko) 2021-11-30 2021-11-30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231A (ko) 2022-09-27 2024-04-03 주식회사 네스피 절연 커버 일체형 깔대기 또는 장구 형상의 전력선 연결용 슬리브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144B1 (ko) 2000-07-13 2006-12-18 아사히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절연 커버 피복형 압축 슬리브
KR20190114140A (ko) * 2018-03-29 2019-10-10 한국전력공사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KR20200063432A (ko) * 2018-11-28 2020-06-05 한국전력공사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KR20210114153A (ko) * 2020-03-10 2021-09-23 윤재학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144B1 (ko) 2000-07-13 2006-12-18 아사히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절연 커버 피복형 압축 슬리브
KR20190114140A (ko) * 2018-03-29 2019-10-10 한국전력공사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KR20200063432A (ko) * 2018-11-28 2020-06-05 한국전력공사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KR20210114153A (ko) * 2020-03-10 2021-09-23 윤재학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231A (ko) 2022-09-27 2024-04-03 주식회사 네스피 절연 커버 일체형 깔대기 또는 장구 형상의 전력선 연결용 슬리브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811B1 (ko) 간접활선용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EP3382809B1 (en) Quick mount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KR200401178Y1 (ko)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US6071145A (en) Contact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or
EP0391520A1 (en) Shield connections for electrical cable connector
KR102355339B1 (ko) 차폐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
CA2823130A1 (en) Ground strap shield connector
KR102383632B1 (ko)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US7632147B2 (en) Shielded cable plug and jack assembly
KR100751518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NZ207821A (en) Cable connector: axially sliding sheath halves
KR20100012665U (ko)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
US20160172073A1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KR102379310B1 (ko)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 장치
KR20200063432A (ko)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JP2009259419A (ja) コネクター
US20160172835A1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KR101870966B1 (ko)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EP4379986A1 (en) Cold-shrinkable protective housing and methods including same
AU773336B2 (en) Electrical cable gland
JP2942860B2 (ja) 低圧幹線分岐部のコネクターの感電防止装置
KR100911084B1 (ko) 방수 커넥터
JP2903156B2 (ja) 低圧幹線分岐部のコネクター装置
CN212323691U (zh) 一种电缆热缩终端头
JPH10284167A (ja) ケーブル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