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153A -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 Google Patents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153A
KR20210114153A KR1020200029437A KR20200029437A KR20210114153A KR 20210114153 A KR20210114153 A KR 20210114153A KR 1020200029437 A KR1020200029437 A KR 1020200029437A KR 20200029437 A KR20200029437 A KR 20200029437A KR 20210114153 A KR20210114153 A KR 20210114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protrusions
protrusion
fit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494B1 (ko
Inventor
윤재학
이건상
Original Assignee
윤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학 filed Critical 윤재학
Priority to KR102020002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494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하프안착공간이 구비된 제1 하프커버; 상기 제1 하프커버의 한쪽과 연결부에 의해 한쪽이 힌지 연결되며, 내부에 하프안착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제1 하프커버와 함께 전선슬리브를 안착시키는 제2 하프커버; 상기 제1,2 하프커버의 다른 한쪽에 구비되어 제1,2 하프커버의 다른 한쪽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제1 하프커버에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용돌기들과, 상기 제2 하프커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돌기들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돌기와, 상기 두 개의 수용돌기들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 하프커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와 함께 가압하여 상기 끼움돌기를 상기 수용돌기들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커버의 착탈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여 집게와 같은 작업공구를 이용하는 간접활선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INSULATION COVER OF ELECTRIC WIRE SLEEVE}
본 발명은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에 관한 것이다.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전선은 알루미늄(AL) 또는 동(Cu)으로 되어 있고, 그 외부를 절연물(PE, XLPE 등)인 피복체가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절연전선의 주전선과 주전선의 접속 또는 주전선에서 분기되는 분기전선을 주전선과 상호접속하기 위해서는 주전선 또는 분기전선의 절연물(즉, 피복체)을 접속에 필요한 만큼 탈피한 다음, 주전선 또는 분기전선의 탈피된 도체부분을 전선슬리브의 양단에 각각 삽입한 후, 압축기로 압축하여 접속을 시행하게 된다. 전선슬리브는 알루미늄(AL) 또는 동(Cu) 합금 등의 전기를 잘 통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압축부위가 접속 후에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면, 빗물, 이슬 등 수분이 전선슬리브 접속부위는 물론 절연전선의 피복을 타고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누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또한, 인근수목과 공사현장의 장비 또는 까치 등의 조류가 누전부위에 접촉하게 되면 정전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슬리브 접속부위의 외부에 절연특성이 우수한 절연커버를 장착하여 접속부위를 보호한다.
일반적으로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전선에 대한 상기 작업들은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전압이 살아있는 상태, 즉 무정전 활선 상태에서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활선작업은 직접 활선작업과 간접 활선작업으로 나누어진다. 직접 활선작업은 작업자가 절연장갑을 끼고 특고압 전선을 접촉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로서 작업시간은 짧게 소요되나 위험성이 대단히 큰 단점이 있다. 간접 활선작업은 작업공구를 이용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로서 안전성은 있으나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직접 활선작업의 경우 그 동안 작업 부주의로 인한 인명 피해가 적지 않게 발생하여 왔다는 점에서 간접 활선작업이 선호되고 있으나, 종래의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는 착탈 구조가 복잡하거나 착탈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공구를 이용하는 간접 활선작업용으로 활용하기에 구조적으로 불편한 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988호(2006.10.17.)
본 발명의 목적은 착탈 구조가 간단하면서 착탈이 용이한,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하프안착공간이 구비된 제1 하프커버; 상기 제1 하프커버의 한쪽과 연결부에 의해 한쪽이 힌지 연결되며, 내부에 하프안착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제1 하프커버와 함께 전선슬리브를 안착시키는 제2 하프커버; 상기 제1,2 하프커버의 다른 한쪽에 구비되어 제1,2 하프커버의 다른 한쪽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제1 하프커버에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용돌기들과, 상기 제2 하프커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돌기들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돌기와, 상기 두 개의 수용돌기들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 하프커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와 함께 가압하여 상기 끼움돌기를 상기 수용돌기들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가 제공된다.
상기 끼움돌기의 양단부 각각에 한쪽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측 가압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돌기들의 각각 한쪽에 상기 끼움측 가압돌기부들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수용측 가압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수용돌기들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해제시 상기 끼움측 가압돌기부들과 수용측 가압돌기부를 눌러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돌기들은 각각,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수용돌기몸체부와, 상기 수용돌기몸체부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수용착탈돌기부와, 상기 수용돌기몸체부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 측면에 설정된 길이로 돌출 형성된 수용측 가압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돌기들의 각 수용착탈돌기부는 서로 마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착탈돌기부의 한쪽면은 직선면이고 다른 한쪽면은 곡선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돌기는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는 끼움돌기몸체부와, 상기 끼움돌기몸체부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수용돌기들의 수용착탈돌기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끼움착탈돌기부들과, 상기 끼움돌기몸체부의 길이 방향 양단부 각 측면에 설정된 길이로 돌출 형성된 끼움측 가압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착탈돌기부의 한쪽면은 직선면이고 다른 한쪽면은 곡선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하프커버는 각각, 설정된 길이와 곡선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하프몸통체부와, 상기 하프몸통체부의 길이 방향 양단부 내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이동방지턱들과, 상기 하프몸통체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횡단면의 크기가 선형적으로 작아지도록 연장 형성된 인출연결부와, 상기 인출연결부에 횡단면의 크기가 같도록 연장 형성된 인출단부와, 상기 인출연결부와 인출단부에 걸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들과, 상기 인출연결부와 인출단부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라인돌기부들과, 상기 인출연결부와 인출단부와 걸림라인돌기부들의 외면에 형성되어 거친면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미세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는 제1 하프커버에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용돌기들과, 제2 하프커버에 돌출 형성되어 수용돌기들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돌기와, 두 개의 수용돌기들에 인접하도록 제1 하프커버에 돌출 형성되어 끼움돌기와 함께 가압하여 끼움돌기를 수용돌기들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착탈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절연커버의 착탈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여 집게와 같은 작업공구를 이용하는 간접 활선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를 열어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의 일실시예를 열어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의 일실시예는, 제1 하프커버(100), 제2 하프커버(200), 착탈유닛(300), 연결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커버(1)는 절연재질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혼합물, 합성고무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혼합물, 합성고무 혼합물은 절연기능이 있어 전선슬리브의 외주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으며, 유연성을 지져 휘어지거나 압축이 가능하다. 절연커버(1)를 구성하는 제1 하프커버(100), 제2 하프커버(200), 착탈유닛(300)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절연커버(1)는 폴리에틸렌 혼합물, 합성고무 혼합물 등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2 하프커버(100)(200)는 연결부(40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2 하프커버(100)(200)는 연결부(40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 하프커버(100)는 내부에 하프안착공간이 구비된다. 제2 하프커버(200)는 제1 하프커버(100)의 한쪽과 연결부(400)에 의해 한쪽이 힌지 연결되며, 내부에 하프안착공간이 구비되어 제1 하프커버(100)와 함께 전선슬리브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한다. 연결부(400)의 일예로, 연결부는 설정된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이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연결부(400)의 한쪽 절개면이 제1 하프커버(100)의 폭방향 한쪽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절개면이 제2 하프커버(200)의 폭방향 한쪽에 연결되어 연결부를 기준으로 제1,2 하프커버(100)(200)가 회동한다. 연결부(400)는 제1,2 하프커버(100)(200)의 회동에 따라 절개면 사이가 벌어질 수 있다.
제1,2 하프커버(100)(200)의 일예로, 제1,2 하프커버(100)(200)는 각각, 하프몸통체부(10), 이동방지턱(20)들, 인출연결부(30), 인출단부(40), 슬릿(50)들, 걸림라인돌기부(60)들, 미세돌기(70)들을 포함한다.
하프몸통체부(10)는 설정된 길이와 곡선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다. 하프몸통체부(10)의 폭방향 한쪽에 길이 방향에 걸쳐 연결부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의 외측면에 착탈유닛(300)이 부착된다. 제1,2 하프커버(100)(200)의 하프몸통체부(10) 내부에 각각 하프안착공간이 형성되며 그 하프안착공간들에 의해 전선슬리브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한다.
이동방지턱(20)들은 하프몸통체부(10)의 길이 방향 양단부 내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전선슬리브는 이동방지턱(20)에 지지되어 하프몸통체부(10) 내부에 안착된다. 이동방지턱(20)는 전선슬리브가 하프몸통체부(10)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인출연결부(30)는 하프몸통체부(10)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횡단면의 크기가 선형적으로 작아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인출연결부(30)는 전설슬리브에 접속 연결된 전선들이 통과한다.
인출단부(40)는 인출연결부(30)에 횡단면의 크기가 같도록 연장 형성된다. 인출연결부(30)를 통과한 전선들은 인출단부(40)를 통해 절연커버(1) 외부로 인출된다. 인출단부(40)의 횡단면은 모서리가 곡선인 긴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선슬리브에 주전선이 접속된 경우뿐만 아니라 분기전선이 접속된 경우에도 전선이 인출단부(40)를 통해 충분히 인출될 수 있다.
슬릿(50)들은 인출연결부(30)와 인출단부(40)에 걸쳐 형성되며 복수 개로 형성된다. 슬릿(50)의 폭은 인출연결부(30)에서 인출단부(40)로 갈수록 커짐이 바람직하다. 인출연결부(30)와 인출단부(40)에 걸쳐 슬릿(50)들이 형성됨으로써 인출단부(40)를 통해 인출되는 전선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 인출단부(40)의 크기가 유연하게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걸림라인돌기부(60)들은 인출연결부(30)와 인출단부(40)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로 형성된다. 걸림라인돌기부(60)들은 인출연결부(30) 및 인출단부(40)에 밀봉을 위해 실시되는 테이핑 작업 시 테이프가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하프몸통체부(10)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미세돌기(70)들은 인출연결부(30)와 인출단부(40)와 걸림라인돌기부(60)들의 외면에 형성되어 거친면을 형성한다. 미세돌기들은 너어링 가공하여 형성되거나, 다수 개의 미세돌기들이 격자 형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미세돌기(70)들은 걸림라인돌기부(60)와 함께 테이핑 작업 시 테이프가 인출연결부(30)와 인출단부(40)의 외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착탈유닛(300)은 제1,2 하프커버(100)(200)의 다른 한쪽에 구비되어 제1,2 하프커버(100)(200)의 다른 한쪽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착탈유닛(300)의 일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유닛(300)은 수용돌기(310), 끼움돌기(320), 지지돌기(330)를 포함한다.
수용돌기(310)는 제1 하프커버(100)의 하프몸통체부(10)의 일측 외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된다. 수용돌기(310)는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이다. 수용돌기(310)들은 제1 하프커버(100)의 하프몸통체부(10)에서 연결부(400)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수용돌기(310)들 간의 간격은 수용돌기(310)들의 한쪽 단부가 끼움돌기(320)의 양단부와 겹쳐지도록 끼움돌기(320)의 길이보다 작은 것은 바람직하다. 수용돌기(310)들의 일예로, 수용돌기(310)들은 각각,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수용돌기몸체부(311)와, 수용돌기몸체부(311)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수용착탈돌기부(312)와, 수용돌기몸체부(311)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 측면에 설정된 길이로 돌출 형성된 수용측 가압돌기부(313)를 포함한다. 수용돌기몸체부(311)의 폭은 제1 하프커버(100)의 하프몸통체부(10)의 단부를 지나 제2 하프커버(200)의 하프몸통체부(10) 방향으로 돌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수용돌기(310)들을 동일 선상에 위치하되, 각 수용착탈돌기부(312)는 서로 마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착탈돌기부(312)의 한쪽면은 직선면(1)이고 다른 한쪽면은 곡선면(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착탈돌기부(312)의 제1 하프커버(100)를 향하는 면은 직선면(1)이고 그 반대편인 제2 하프커버(200)를 향하는 면은 곡선면(2)이다. 직선면(1)과 곡선면(2)이 만나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수용돌기(310)들의 각 수용측 가압돌기부(313)는 곡선면(2)에서 제2 하프커버(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끼움돌기(320)는 제2 하프커버(200)에 돌출 형성되어 수용돌기(310)들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끼움돌기는 제2 하프커버(200)의 하프몸통체부(1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되, 그 하프몸통체부(10)에서 연결부(400)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끼움돌기(320)는 제2 하프커버(200)의 하프몸통체부의 길이 중심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끼움돌기(320)의 일예로, 끼움돌기(320)는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는 끼움돌기몸체부(321)와, 끼움돌기몸체부(32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수용돌기(310)들의 수용착탈돌기부(312)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끼움착탈돌기부(322)들과, 끼움돌기몸체부(321)의 길이 방향 양단부 각 측면에 설정된 길이로 돌출 형성된 끼움측 가압돌기부(323)를 포함한다. 끼움착탈돌기부(322)의 한쪽면은 직선면(1)이고 다른 한쪽면은 곡선면(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착탈돌기부(312)의 제2 하프커버(200)를 향하는 면은 직선면(1)이고 그 직선면의 반대편인 곡선면은 제1 하프커버(100)를 향하는 면이다. 직선면(1)과 곡선면(2)이 만나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끼움돌기(320)들의 각 끼움측 가압돌기부(323)는 곡선면(2)에서 제1 하프커버(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끼움돌기(320)의 양단부 각각에 한쪽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측 가압돌기부(323)가 구비되고, 수용돌기(310)들의 각각 한쪽에 끼움측 가압돌기부(323)들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수용측 가압돌기부(313)가 구비되어 끼움돌기(320)가 수용돌기(310)들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해제시 끼움측 가압돌기부(323)들과 수용측 가압돌기부(313)를 눌러 해제한다.
지지돌기(330)는 두 개의 수용돌기(310)들에 인접하도록 제1 하프커버(100)의 하프몸통체부(10)에 돌출 형성되어 끼움돌기(320)와 함께 가압하여 끼움돌기(320)를 수용돌기(310)들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한다. 지지돌기(330)는 두 개의 수용돌기(31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하프커버(100)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끼움돌기(320)를 두 개의 수용돌기(310)들 사이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두 개의 수용돌기(310)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하프커버(200)의 끼움돌기(320)와 제1 하프커버(100)의 지지돌기(330)를 눌러 가압한다. 끼움돌기(320)와 지지돌기(330) 사이가 가까워지면 먼저 끼움돌기(320)의 끼움착탈돌기부(322)의 곡선면과 수용돌기(310)의 수용착탈돌기부(312)의 곡선면이 만난다. 끼움돌기(320)와 지지돌기(330)를 계속 가압하면 끼움착탈돌기부(322)와 수용착탈돌기부(312)의 각 곡선면들은 서로를 가압하며 미끄럼 접촉한다. 끼움돌기(320)와 지지돌기(330)가 서로 만나 가압을 멈추면 끼움착탈돌기부(322)와 수용착탈돌기부(312)는 서로의 곡선면을 지나 서로의 직선면들이 만난다. 따라서 끼움돌기(320)는 지지돌기(330)와 수용돌기(310) 사이에 끼여 이동이 제한되고 제1,2 하프커버(100)(200)의 결합이 유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1)의 작동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간접활선 작업에 있어서 전선의 압축접속작업이 끝난 전선슬리버에 절연커버(1)를 장착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이 연결부(400)에 의해 서로 힌지 연결된 절연커버(1)의 제1,2 하프커버(100)(200)의 다른 한쪽을 양쪽으로 벌린 상태에서 집게와 같은 작업공구를 이용하여 절연커버(1)를 배전선로 상의 전선슬리브 접속부위에 걸어서 제1,2 하프커버(100)(200)의 내부에 구비된 하프안착공간에 전선슬리브를 안착시킨다. 하프안착공간에 전선슬리브가 안착되면 작업공구를 이용하여 벌려진 제1,2 하프커버(100)(200)의 다른 한쪽을 서로 접촉시켜 닫은 후 제1,2 하프커버(100)(200)의 다른 한쪽에 구비된 착탈유닛(300)을 체결하여 절연커버(1)를 잠근다. 즉, 작업공구를 이용하여 제1 하프커버(100)에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용돌기(310)들 사이에 제2 하프커버(200)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320)를 결합시킨다. 끼움돌기(320)를 수용돌기(310)들 사이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작업공구를 이용하여 두 개의 수용돌기(310)들에 인접하도록 제1 하프커버(100)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330)를 끼움돌기(320)와 함께 가압한다. 한편, 착탈유닛(300)의 체결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작업공구를 이용하여 끼움돌기(320)의 끼움측 가압돌기부(323)와 수용돌기(310)들의 수용측 가압돌기부(313)를 눌러 끼움돌기(320)를 수용돌기(310)들로부터의 결합을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절연커버(1)는 제1 하프커버(100)에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용돌기(310)들과, 제2 하프커버(200)에 돌출 형성되어 수용돌기(310)들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돌기(320)와, 두 개의 수용돌기(310)들에 인접하도록 제1 하프커버(100)에 돌출 형성되어 끼움돌기(320)와 함께 가압하여 끼움돌기(320)를 수용돌기(310)들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지지돌기(330)를 포함하는 착탈유닛(300)을 구비함으로써, 절연커버(1)의 착탈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여 집게와 같은 작업공구를 이용하는 간접활선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 절연커버 100: 제1 하프커버
200: 제2 하프커버 300: 착탈유닛
310: 수용돌기 320: 끼움돌기
330: 지지돌기 400: 연결부

Claims (7)

  1. 내부에 하프안착공간이 구비된 제1 하프커버;
    상기 제1 하프커버의 한쪽과 연결부에 의해 한쪽이 힌지 연결되며, 내부에 하프안착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제1 하프커버와 함께 전선슬리브를 안착시키는 제2 하프커버;
    상기 제1,2 하프커버의 다른 한쪽에 구비되어 제1,2 하프커버의 다른 한쪽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제1 하프커버에 서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수용돌기들과, 상기 제2 하프커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돌기들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돌기와, 상기 두 개의 수용돌기들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 하프커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와 함께 가압하여 상기 끼움돌기를 상기 수용돌기들 사이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의 양단부 각각에 한쪽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측 가압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돌기들의 각각 한쪽에 상기 끼움측 가압돌기부들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수용측 가압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상기 수용돌기들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해제시 상기 끼움측 가압돌기부들과 수용측 가압돌기부를 눌러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돌기들은 각각,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수용돌기몸체부와, 상기 수용돌기몸체부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수용착탈돌기부와, 상기 수용돌기몸체부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 측면에 설정된 길이로 돌출 형성된 수용측 가압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돌기들의 각 수용착탈돌기부는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착탈돌기부의 한쪽면은 직선면이고 다른 한쪽면은 곡선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는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는 끼움돌기몸체부와, 상기 끼움돌기몸체부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수용돌기들의 수용착탈돌기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끼움착탈돌기부들과, 상기 끼움돌기몸체부의 길이 방향 양단부 각 측면에 설정된 길이로 돌출 형성된 끼움측 가압돌기부를 포함하는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착탈돌기부의 한쪽면은 직선면이고 다른 한쪽면은 곡선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하프커버는 각각, 설정된 길이와 곡선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하프몸통체부와, 상기 하프몸통체부의 길이 방향 양단부 내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이동방지턱들과, 상기 하프몸통체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횡단면의 크기가 선형적으로 작아지도록 연장 형성된 인출연결부와, 상기 인출연결부에 횡단면의 크기가 같도록 연장 형성된 인출단부와, 상기 인출연결부와 인출단부에 걸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릿들과, 상기 인출연결부와 인출단부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라인돌기부들과, 상기 인출연결부와 인출단부와 걸림라인돌기부들의 외면에 형성되어 거친면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미세돌기들을 포함하는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KR1020200029437A 2020-03-10 2020-03-10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KR102334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37A KR102334494B1 (ko) 2020-03-10 2020-03-10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37A KR102334494B1 (ko) 2020-03-10 2020-03-10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153A true KR20210114153A (ko) 2021-09-23
KR102334494B1 KR102334494B1 (ko) 2021-12-02

Family

ID=7792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437A KR102334494B1 (ko) 2020-03-10 2020-03-10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4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310B1 (ko) * 2021-11-30 2022-03-25 김태형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 장치
KR102383632B1 (ko) * 2021-11-30 2022-04-08 김태형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KR102456342B1 (ko) * 2021-10-21 2022-10-19 이헌관 원터치 케이블 절연캡
KR20230072931A (ko) 2021-11-18 2023-05-25 한국전력공사 원터치 튜브 커버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748Y1 (ko) * 2006-05-19 2006-08-11 주식회사 평일 케이블의 직선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KR200428988Y1 (ko) 2006-08-03 2006-10-17 태형산업주식회사 버튼식 분기 스리브 카바
KR101785973B1 (ko) * 2017-05-25 2017-10-17 김지윤 팬던트 기능을 겸한 단추커버
KR102020819B1 (ko) * 2018-03-20 2019-09-11 김수군 개폐 체결구조를 갖는 절연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748Y1 (ko) * 2006-05-19 2006-08-11 주식회사 평일 케이블의 직선접속부용 방수 보호커버
KR200428988Y1 (ko) 2006-08-03 2006-10-17 태형산업주식회사 버튼식 분기 스리브 카바
KR101785973B1 (ko) * 2017-05-25 2017-10-17 김지윤 팬던트 기능을 겸한 단추커버
KR102020819B1 (ko) * 2018-03-20 2019-09-11 김수군 개폐 체결구조를 갖는 절연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342B1 (ko) * 2021-10-21 2022-10-19 이헌관 원터치 케이블 절연캡
KR20230072931A (ko) 2021-11-18 2023-05-25 한국전력공사 원터치 튜브 커버 및 방법
KR102379310B1 (ko) * 2021-11-30 2022-03-25 김태형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 장치
KR102383632B1 (ko) * 2021-11-30 2022-04-08 김태형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494B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494B1 (ko)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KR101754811B1 (ko) 간접활선용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US11837854B2 (en) Sleeve protector for wires
KR100985559B1 (ko)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US4390744A (en) Fixed count terminal
US2669632A (en) Bus duct switch
PT847106E (pt) Regua de terminais, seccionadores ou comutadores
US1967021A (en) Safety electrical connecter
KR200480703Y1 (ko) 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커버
KR102195380B1 (ko) 개폐 체결구조를 갖는 간접 활선용 절연커버
CZ20011158A3 (cs) Spojka pro nadzemní kabel
US1857197A (en) Insulated connecter for outlet boxes
US3431349A (en) Cable terminal enclosure with grounding cross bar
US2192587A (en) Bus bar distribution system
US9231339B1 (en) Electrical couplers and methods of using them
US3006661A (en) Cable clamp for connecting boxes
KR20200063432A (ko)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EP2999073B1 (en) Spacer for a junction block for busbars and junction block comprising said spacer
US6237198B1 (en) Safe cord cover
US10431908B2 (en) Electrical couplers and methods of using them
US3052868A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1136643A (ja) ケーブル架設用の留め金具
KR102582040B1 (ko) 간접활선작업용 테이프리스 절연커버
JP4381549B2 (ja) 防水型分岐コネクター
US2043776A (en) Molding and electric outlet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