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665U -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665U
KR20100012665U KR2020090007609U KR20090007609U KR20100012665U KR 20100012665 U KR20100012665 U KR 20100012665U KR 2020090007609 U KR2020090007609 U KR 2020090007609U KR 20090007609 U KR20090007609 U KR 20090007609U KR 20100012665 U KR20100012665 U KR 201000126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ping
chamfering
cable
hole
co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5689Y1 (ko
Inventor
정명재
Original Assignee
정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재 filed Critical 정명재
Priority to KR2020090007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689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6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6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6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1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24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 H02G1/124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the cutting element being of tub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충전용 전동드릴에 결합하여 회전동력을 받게 되며, 1차적으로 케이블의 외피와 외부도체 및 절연내피를 탈피 및 절삭 가공하여 케이블심선을 외부 노출시키기 위한 탈피가공유닛과; 상기 탈피가공유닛에 원터치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외부 노출된 케이블심선의 외면에 남겨진 절연내피의 잔여피복을 탈피하여 제거함과 아울러 케이블심선의 끝단측면을 면취 가공하기 위한 잔여피복탈피 및 심선면취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기술구성이 개시된다.
본 고안은 간단하게 휴대 및 충전용 전동드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전기공급의 조달이 용이하지 못한 곳에서의 작업을 가능하게 할뿐더러 현장에서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원터치 결합/분리구조로 사용상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외피 탈피와 더불어 남겨진 잔여피복 탈피 및 케이블심선의 끝단 면취가공을 한번에 실시 및 완료할 수 있다.
케이블, 외피, 잔여피복, 탈피, 케이블심선, 면취가공, 원터치 결합/분리

Description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DEVICE FOR COVER STRIPPING AND CONDUCTOR CHAMFERING OF CABLE}
본 고안은 케이블의 외피 및 잔여피복 탈피와 케이블심선의 면취 가공을 위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외피 탈피와 더불어 잔여피복의 탈피 및 케이블심선의 끝단 면취가공을 함께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전력용 또는 통신용 전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의 일종인 동축케이블은 통신용 케이블로 영상이나 통신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고 있으며, 장거리인 경우 케이블과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케이블간의 연결에는 커넥터가 사용되는데, 통상 커넥터에는 외피가 제거된 케이블심선이 삽입되고 커넥터 내에서 케이블간의 상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듯, 케이블간의 연결을 위해서는 커넥터에 삽입하기 위해 외피를 벗겨내야 하며, 외피 탈피 후에는 케이블심선에 남겨진 잔여피복을 탈피함과 아울러 케이블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케이블심선의 끝단측면을 깎아내는 가공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동축케이블 등을 사용하는 케이블의 연결작업은 주로 외부 현장 및 높이가 있는 곳에서 실시하게 될뿐더러 대부분의 현장이 신축건물이나 들판 또는 산악지역으로 전기공급의 조달이 용이하지 못하는 등 현장에서의 작업진행이 그다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의 연결작업에 따른 선행작업에 있어서 기존에는 케이블로부터 외피를 벗겨낸 후 케이블심선의 외면에 남겨진 잔여피복을 벗겨내야 하는데, 작업자가 현장에서 칼 등을 사용하여 잔여피복을 깎아 탈피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어려움이 있었고, 더불어 케이블심선의 끝단측면을 가위나 칼 등을 사용하여 깎아 면취 가공하고 있으므로 작업수행의 어려움 및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기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 및 현장 여건의 어려움으로 작업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있었고, 잔여피복의 탈피작업과 면취가공이 대략적으로 이루어짐에 의해 케이블간의 연결 및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많았으며, 이러한 연결 및 접속불량은 전기신호나 통신신호의 전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소비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하게 휴대 및 충전용 전동드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외피 탈피와 더불어 잔여피복 탈피 및 케이블심선의 끝단 면취가공을 함께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1차적 탈피가공을 위한 1차유닛과 잔여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가공을 위한 2차유닛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하되, 2차유닛을 1차유닛에 원터치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용이성을 갖도록 한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전기공급의 조달이 용이하지 못한 곳에서의 작업을 가능하게 할뿐더러 현장에서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기존 케이블심선의 면취가공 불량으로 인해 발생되던 접속불량 및 통신신호불량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하는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충전용 전동드릴에 결합하여 회전동력을 받게 되며, 1차적으로 케이블의 외피와 외부도체 및 절연내피를 탈피 및 절삭 가공하여 케이블심선을 외부 노출시키기 위한 탈피가공유닛과; 상기 탈피가공유닛에 원터치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외부 노출된 케이블심선의 외면에 남겨진 절연내피의 잔여피복을 탈피 하여 제거함과 아울러 케이블심선의 끝단측면을 면취 가공하기 위한 잔여피복탈피 및 심선면취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간단하게 휴대 및 충전용 전동드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전기공급의 조달이 용이하지 못한 곳에서의 작업을 가능하게 할뿐더러 현장에서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원터치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사용상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외피 탈피와 더불어 남겨진 잔여피복 탈피 및 케이블심선의 끝단 면취가공을 함께 실시할 수 있어 작업성 개선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기존 케이블심선의 면취가공 불량으로 인해 많이 발생되던 케이블접속불량 및 통신신호불량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는 충전용 전동드릴에 결합하여 회전동력을 받게 되며 1차적으로 케이블(10)의 외피(11)와 외부도체(12) 및 절연내피(13)를 탈피 및 절삭 가공하여 케이블심선(14)을 외부 노출시키기 위한 탈피가공유닛(100)과, 상기 탈피가공유닛(100)에 원터치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외부 노출된 케이블심선(14)의 외면에 남겨진 절연내피(13)의 잔여피복(13a)을 탈피하여 제거함과 아울러 케이블심 선(14)의 끝단측면을 면취 가공하기 위한 잔여피복탈피 및 심선면취유닛(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피가공유닛(100)은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관통중공(111)을 갖는 지지홀더(11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홀더(110)의 관통중공(111) 내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홀(121)을 형성시킨 드릴(120)을 삽입 배치하되 볼트 등을 체결하여 지지홀더(110)에 고정 결합되게 한다.
이때, 상기 지지홀더(110)의 관통중공(111)은 후방부에 비해 전방부의 직경을 더 크게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홀더(110)에는 외면에 관통중공(111)과 연결되는 개방홈(112)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드릴(120)은 지지홀더(110)의 관통중공(111) 내에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삽입하되 후측단부를 외부 노출시키며, 이 노출부위를 통해 충전용 전동드릴(미 도시됨)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다.
상기 지지홀더(110) 상에는 케이블(10)의 외피(11)를 탈피하고 외부도체(12)를 절삭 가공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제1바이트(131) 및 제2바이트(132)가 각각 구비되며 볼트 등을 체결하여 지지홀더(110)에 고정 결합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바이트(131) 및 제2바이트(132)는 외피를 탈피하고 외부도체를 절삭 가공할 실제적인 부위가 지지홀더(110)의 관통중공(111) 내에 삽입 배치된 드릴(120)의 외면 위에 근접되어 위치된다.
상기 지지홀더(110)의 몸체에는 전방부 외면에 잔여피복탈피 및 심선면취유닛(200)과의 결합에 관여하는 볼삽입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잔여피복탈피 및 심선면취유닛(200)은 길이방향으로 관통공(211)을 갖는 결합홀더(210)가 구비되며, 이 결합홀더(210)에는 외면 전방부에 걸림단턱(212)이 돌출 형성되고 외면 후단부에 링고정홈(213)이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 상기 관통공(211)과 연결되는 볼삽입공(214)이 형성되게 한다.
이때, 상기 볼삽입공(214)은 내부로 삽입 배치되는 볼(220)이 결합홀더(210)의 관통공(211)측으로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걸림 배치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홀더(210)의 관통공(211)은 후방부에 비해 전방부의 직경을 더 작게 형성시킴이 바람직한데, 관통공(211)의 후방부는 상기 탈피가공유닛(100)의 지지홀더(110) 외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관통공(211)의 전방부는 다음에 기술되는 탈피면취팁(230)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게 한다.
상기 결합홀더(210)에는 관통공(211)의 전방부로 케이블의 잔여피복 탈피 및 케이블심선의 끝단부 면취가공을 위한 탈피면취팁(230)을 삽입 배치하되 볼트 등을 체결하여 결합홀더(210)에 고정 결합되게 한다.
이때, 상기 탈피면취팁(230)은 내부관통중공(232)을 갖는 파이프몸체(231)를 갖고 파이프몸체(231)의 외면 일측에 내부관통중공(232)과 연결되는 개방상태의 절개홈(233)이 형성되며, 이 절개홈(233)의 형성에 의해 내측단면이 케이블의 잔여피복을 깎아 벗겨주는 스트립퍼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탈피면취팁(230)의 내부관통중공(232) 내에는 단턱구조를 통해 상호간에 경계를 갖는 제1중공부(232a)와 면취가공부(232b-1)를 갖는 제2중공 부(232b) 및 제3중공부(232c)가 형성되게 하며, 제1중공부에서 제3중공부로 건너갈수록 직경이 점차 축소되도록 구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홀더(210)의 외면에는 스프링(240)과 내면에 볼후퇴홈(251)을 갖는 슬리브(250)를 순차 삽입하여 배치하되 결합홀더(210)의 링고정홈(213)에 체결링(260)을 삽입 끼움함으로써 결합홀더(210)의 외면 상에 슬리브(250)를 탄성 결합 및 결합홀더(2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커넥터(미 도시됨)를 통해 연결할 케이블(10)의 연결부분에 대해 현장에서의 가공작업 용이성 및 연결 케이블간의 접속특성을 높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먼저 탈피가공유닛(100)을 충전용 전동드릴(미 도시됨)에 결합하여 회전동력을 받을 수 있게 한다.
탈피가공유닛(100)의 지지홀더(110)의 관통중공(111) 내부로 케이블(10)을 삽입한 후, 전동드릴을 작동시키면 탈피가공유닛(100)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력을 통해 도 3(b)에서와 같이 드릴(120)은 케이블(10)의 외부도체(12)와 심선(14)의 사이를 파고들어가 케이블(10)의 절연내피(13)를 깎아내 제거하되 케이블심선(14)을 관통홀(121) 내부로 받아들여 보호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제1바이트(131)는 케이블(10)의 외피(11)를 깎아내면서 벗겨내 외피탈피를 행하게 되고 제2바이트(132)는 케이블(10)의 외부도체(12)를 절삭 가공하게 된다.
이때, 드릴(120)과 제1바이트(131) 및 제2바이트(132)에 의해 깎이거나 절삭 가공된 외피(11)와 외부도체(12) 및 절연내피(13)는 관통중공(111)과 연결되는 개방홈(112)을 통해 지지홀더(110)의 외부로 배출 처리된다.
한편, 탈피가공유닛(100)을 통해서는 케이블심선(14)이 외부 노출되는데, 이 외부노출부위의 케이블심선(14) 외면에 코팅층과 같은 형태로 절연피복(13)의 잔여피복(13a)이 남겨지게 되며, 이 잔여피복(13a)은 잔여피복탈피 및 심선면취유닛(200)을 통해 탈피 처리할 수 있다.
부연하면, 잔여피복탈피 및 심선면취유닛(200)을 전동드릴에 결합된 상태의 탈피가공유닛(100)측에 결합한다.
이때, 결합홀더(210)의 외면에 탄성 배치한 슬리브(250)를 잡아당기면 슬리브(250)의 내면에 형성시킨 볼후퇴홈(251)이 결합홀더(210)의 볼삽입공(214)측에 위치되면서 볼삽입공(214)에 삽입되어있던 볼(220)이 볼후퇴홈(251)에 안내되어 후퇴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결합홀더(210)를 지지홀더(110)측에 삽입한 후 슬리브(250)의 당김압력을 해제하면 볼후퇴홈(251)에 안내되어 후퇴되었던 볼(220)이 다시 전진되어 지지홀더(110)의 외면에 형성시킨 볼삽입홈(214)측에 삽입 걸림되어 지지홀더(110)측에 원터치 결합 및 안정적인 고정 결합을 이루게 된다.
잔여피복탈피 및 심선면취유닛(200)을 탈피가공유닛(100)측에 결합한 상태에서 외면에 잔여피복(13a)이 남겨진 케이블심선(14)을 탈피면취팁(230)의 내부관통중공(232)으로 삽입한 후, 전동드릴을 작동시키면 케이블심선(14)의 삽입부분이 제1중공부(232a)에서 제2중공부(232b)로 유입되면서 직경축소에 의해 잔여피복(13a)이 가압 탈피됨과 아울러 제2중공부(232b)에 위치시 내부관통중공(232)과 연결된 절개홈(233)측의 스트립퍼기능에 의해 잔여피복(13a)이 완전히 깎여 탈피되어지며, 이와 함께 제2중공부(232b)의 끝단에 형성된 면취가공부(232b-1)에 걸림 위치되는 케이블심선(12)의 끝단측면을 회전력을 갖는 면취가공부(232b-1)가 깎아내어 면취 가공하게 된다.
즉, 잔여피복탈피 및 심선면취유닛(200)은 도 5(a)에 도시한 케이블(10)의 상태에서 한 번에 케이블심선(14) 상의 잔여피복(13a)을 탈피함과 함께 심선 끝단측부의 면취를 가공하게 되는 것으로서 도 5(b)에 도시한 상태로 가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탈피면취팁(230)은 도 6 내지 8을 통해 나타낸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체형이 아닌 개별로 나누어진 형태의 피복탈피부(236)와 면취바이트부(237)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피복탈피부(236)는 결합홀더(210)측 관통공(211)의 전방 선단부에 삽입되어지되 볼트 등을 체결하여 결합홀더(21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면취바이트부(237)는 결합홀더(210)측 관통공(211)의 전방 후측부에 삽입되어지되 볼트 등을 체결하여 결합홀더(210)에 고정 결합되게 한다.
즉, 상기 면취바이트부(237)는 피복탈피부(236)의 후측에 연이어 배치 및 고정된다.
상기 피복탈피부(236)는 내부관통중공(236b)을 갖는 파이프몸체(236a)를 갖되 파이프몸체(236a)의 외면 일측에 내부관통중공(236b)과 연결되는 개방상태의 절개홈(236c)이 형성되며, 이 절개홈(236c)의 형성에 의해 내측단면이 케이블의 잔여피복을 깎아 벗겨주는 스트립퍼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관통중공(236b) 내에는 단턱구조를 통해 제1중공부(236b-1)와 제2중공부(236b-2)를 형성시키되, 제1중공부에 비해 제2중공부의 직경이 축소되게 한다.
상기 면취바이트부(237)는 선단부에 케이블심선(12)의 끝단측면 면취가공을 위한 면취가공홈(237a)이 형성된다.
이렇게 피복탈피부(236) 및 면취바이트부(237)로 이루어진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갖는 탈피면취팁(230)을 적용한 경우에는 외면에 잔여피복(13a)이 남겨진 케이블심선(14)을 피복탈피부(236)의 내부관통중공(236b)으로 삽입한 후 회전력을 제공하면, 케이블심선(14)의 삽입된 부분이 제1중공부(236b-1)에서 제2중공부(236b-2)로 유입되면서 직경축소에 의해 잔여피복(13a)이 가압 탈피됨과 아울러 절개홈(236c)측의 스트립퍼기능에 의해 잔여피복(13a)이 완전히 깎여 탈피되어지며, 이와 함께 피복탈피부의 후측에 연이어 배치된 면취바이트(237)의 면취가공홈(237a)을 통해 케이블심선(14)의 끝단측면을 깎아 면취 가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 탈피가공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있어 케이블의 가공 전후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있어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탈피가공유닛 110: 지지홀더
120: 드릴 121: 관통홀
200: 잔여피복탈피 및 심선면취유닛 210: 결합홀더
220: 볼 230: 탈피면취팁
240: 스프링 250: 슬리브
251: 볼후퇴홈 260: 체결링

Claims (4)

  1. 충전용 전동드릴에 결합하여 회전동력을 받게 되며, 1차적으로 케이블의 외피와 외부도체 및 절연내피를 탈피 및 절삭 가공하여 케이블심선을 외부 노출시키기 위한 탈피가공유닛과;
    상기 탈피가공유닛에 원터치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으며, 외부 노출된 케이블심선의 외면에 남겨진 절연내피의 잔여피복을 탈피하여 제거함과 아울러 케이블심선의 끝단측면을 면취 가공하기 위한 잔여피복탈피 및 심선면취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가공유닛은 관통중공이 형성되고 외면에 관통중공과 연결되는 개방홈이 형성되며 전방부 외면에 잔여피복탈피 및 심선면취유닛과의 결합에 관여하는 볼삽입홈이 형성된 지지홀더와;
    상기 지지홀더의 관통중공 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외부 노출시킨 후측단부를 통해 충전용 전동드릴에 결합할 수 있으며 관통홀을 갖는 드릴과;
    상기 지지홀더 상에 고정 결합하되 절삭가공부위가 드릴의 외면 위에 위치되며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 및 외부도체를 절삭 가공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제1바이트 및 제2바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피복탈피 및 심선면취유닛은 관통공을 갖고 외면 전방부에 걸림단턱이 돌출 형성되며 결합홀더가 구비되며 외면 후단부에 링고정홈이 형성되고 외면 일측에 관통공과 연결되는 볼삽입공이 형성된 결합홀더와;
    상기 결합홀더의 볼삽입공측에 삽입되어지는 볼과;
    상기 결합홀더의 관통공 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며, 단턱구조에 의해 직경이 축소되는 제1중공부 및 면취가공부를 갖는 제2중공부에 의한 내부관통중공이 형성되고 외면 일측에 내부관통중공과 연결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탈피면취팁과;
    상기 결합홀더의 외면에 순차 삽입 배치되는 스프링 및, 내면에 볼후퇴홈을 갖는 슬리브와;
    상기 결합홀더의 링고정홈에 삽입 끼움되어 스프링 및 슬리브에 체결력을 제공하는 체결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면취팁은 결합홀더측 관통공의 전방 선단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피복탈피부와, 상기 관통공의 전방 후측부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면취바이트부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대체 가능하되;
    상기 피복탈피부는 단턱구조를 통해 직경 차이가 있는 제1중공부 및 제2중공부에 의한 내부관통중공이 형성되고 외면 일측에 내부관통중공과 연결되는 절개홈 이 형성되며,
    상기 면취바이트부는 선단부에 케이블심선의 끝단측면 면취가공을 위한 면취가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
KR2020090007609U 2009-06-12 2009-06-12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 KR200455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609U KR200455689Y1 (ko) 2009-06-12 2009-06-12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609U KR200455689Y1 (ko) 2009-06-12 2009-06-12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665U true KR20100012665U (ko) 2010-12-22
KR200455689Y1 KR200455689Y1 (ko) 2011-09-20

Family

ID=4448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609U KR200455689Y1 (ko) 2009-06-12 2009-06-12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6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246B1 (ko) * 2017-07-17 2018-07-10 한국전력공사 보이드 방지형 케이블 피박장치
CN109217188A (zh) * 2018-10-19 2019-01-15 杭州电力设备制造有限公司富阳容大成套电气制造分公司 电缆倒角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05B1 (ko) 2017-10-20 2019-10-04 박태인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KR102022537B1 (ko) 2018-05-17 2019-09-18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소프트 구동모듈
KR102348018B1 (ko) 2019-11-26 2022-01-06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발생장치용 콜리메이터
KR20210150941A (ko) 2020-06-04 2021-12-13 이숙자 탈피 길이 조정 방식의 탈피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315Y1 (ko) 1996-02-13 1999-06-15 수이 빈 첸 케이블 박리기
KR100243994B1 (ko) 1997-11-05 2000-02-01 정배근 동축 케이블의 절연피복 절삭기
JP2002281632A (ja) * 2001-03-19 2002-09-27 Mitsubishi Cable Ind Ltd 同軸ケーブル端末加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246B1 (ko) * 2017-07-17 2018-07-10 한국전력공사 보이드 방지형 케이블 피박장치
CN109217188A (zh) * 2018-10-19 2019-01-15 杭州电力设备制造有限公司富阳容大成套电气制造分公司 电缆倒角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689Y1 (ko) 201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5689Y1 (ko)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
EP2801127B1 (en) Quick mount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EP2912724B1 (en) Quick mount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TW200830646A (en) Coaxial connector and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related method
US6637101B2 (en) Coaxial cable preparation tool
US7632147B2 (en) Shielded cable plug and jack assembly
CN102969591B (zh) 自剥线电连接器及其接触件
KR102383632B1 (ko)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JP2011249044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JP2006331654A (ja) アース線付き電線
KR20050077512A (ko) 전기접속용 소형 콘넥터
US7293357B2 (en) Tool operable for attaching a solid pin to a stranded wire
JP2009259419A (ja) コネクター
KR100911084B1 (ko) 방수 커넥터
CN205406164U (zh) 一种易剥线电缆
KR100243994B1 (ko) 동축 케이블의 절연피복 절삭기
JP2001145250A (ja) ケーブル接続部の組み立て方法およびケーブル接続部材
JP5472954B1 (ja) 端末皮剥装置
CN220556625U (zh) 取电线缆和作业机械
KR100932074B1 (ko) 전선 연결기
TW201041252A (en) Modular jack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985145B2 (ja) プレモールド絶縁体引き抜き工具
KR101143682B1 (ko) 커넥터 구조
JP6654510B2 (ja) 高圧配電線接続器
JP2004077888A (ja) 電線・ケーブル及び光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