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805B1 -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805B1
KR102028805B1 KR1020170136747A KR20170136747A KR102028805B1 KR 102028805 B1 KR102028805 B1 KR 102028805B1 KR 1020170136747 A KR1020170136747 A KR 1020170136747A KR 20170136747 A KR20170136747 A KR 20170136747A KR 102028805 B1 KR102028805 B1 KR 102028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utting
point
sheat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386A (ko
Inventor
박태인
Original Assignee
박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인 filed Critical 박태인
Priority to KR102017013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8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5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2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관한 것으로서, 심선과 상기 심선을 감싸는 피복을 구비하는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두 지점을 파지하는 파지유닛; 및 상기 파지유닛에 의해 파지되는 두 지점의 사이 구간의 한 지점인 절단점에서 케이블의 횡단면 전체를 절단하며, 상기 절단점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피복제거점에서 케이블의 피복을 절단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을 두 부분으로 분리하는 작업과 분리되는 케이블 각각에 대한 피복 제거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Coating remover for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절단과 절단되는 부분 양측의 피복 제거 작업을 동시에 하는 것이 가능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은 전력이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횡단면의 중심에 위치하는 심선과 상기 심선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피복을 구비한다.
별도로 형성된 케이블들을 서로 접속시킬 때에는 전력이나 신호를 전달할 수 잇도록 도체로 이루어지는 심선을 연결해주어야 하므로 케이블들의 연결부에서 피복은 제거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칼 등으로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였으나, 수동으로 일일이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는 것은 작업 능률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피복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경우 연결된 케이블 사이에서 신호 등이 제대로 전송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 중의 하나로 등록번호 제20-0455689호의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장치에 의하면 장치를 전동 드릴에 결합하여 작동시킬 수 있고 피복의 제거 뿐만 아니라 심선 끝단의 면취 가공을 할 수 있어 피복 제거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케이블은 보통 긴 길이로 제작되고, 사용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 후 양쪽으로 분리된 케이블의 단부에서 피복을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의 장치에 의해서는 케이블의 절단, 일측 케이블의 단부에서 피복 제거 및 타측 케이블의 단부에서 피복 제거를 별도의 공정을 통해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 능률이 크게 향상되지는 못한다.
KR 20-0455689 Y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블의 절단 후 분리되는 양쪽 케이블에 대하여 동시에 피복 제거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절단 작업과 피복 제거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가능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은, 심선과 상기 심선을 감싸는 피복을 구비하는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두 지점을 파지하는 파지유닛; 및 상기 파지유닛에 의해 파지되는 두 지점의 사이 구간의 한 지점인 절단점에서 케이블의 횡단면 전체를 절단하며, 상기 절단점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피복제거점에서 케이블의 피복을 절단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절단점에서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는 제1커팅부재, 상기 피복제거점에서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는 제2커팅부재 및 케이블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커팅부재와 상기 제2커팅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커팅부재는, 각각이 케이블의 횡단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V' 형을 이루도록 만나는 2개의 제1가공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커팅부재는, 케이블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를 따라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제1회전부재 상에서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며 상기 제1커팅부재와 상기 제2커팅부재가 부착되는 왕복 베이스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은 심선과 피복 사이에 중간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절단점과 상기 피복제거점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제거점에서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며 케이블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중간 제거점에서 케이블의 중간층과 피복을 절단하는 제3커팅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중간 제거점에서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고 케이블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케이블의 횡단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가공면을 구비하여, 상기 중간 제거점에서 중간층을 면취 가공하는 면취가공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단점의 양측에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며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2개의 제1지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며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2개의 제2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케이블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회 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회전부재는 상기 제1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에 의하면 케이블의을 두 부분으로 분리하는 작업과 분리되는 케이블 각각에 대한 피복 제거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효과는 케이블이 3개 이상의 층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제거 장치는 케이블의 절단 작업과 동시에 면취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제거 장치가 가이드유닛을 더 구비하는 경우, 케이블의 절단 작업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고, 절단된 피복 부분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의 주요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의 동작에 관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커팅유닛 부분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유닛 부분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제2회전부재에 관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유닛의 동작에 관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는 동시에 케이블을 절단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의 작업 대상물인 케이블(C)은 도체로 형성되는 심선(C1)과 상기 심선(C1)을 감싸는 피복(C2)의 2개 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더 여러 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1)의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상기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1)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상기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1)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상기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1)의 주요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1)는 크게 파지유닛과 커팅유닛(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지유닛은 케이블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두 지점을 파지하는 역할을 하여, 케이블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케이블이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파지유닛은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2개의 파지부재(11)를 구비하며, 파지부재(11) 각각은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며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2개의 가압부재(11a)로 이루어져 케이블을 파지할 수 있다.
커팅유닛(20)은 상기 파지유닛에 의해 파지되는 두 지점의 사이 구간의 세 지점에서 케이블 횡단면 상의 일부 구성 또는 전체 구성을 절단하여 케이블의 피복(C2)을 제거하거 케이블을 두 부분으로 나눈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 지점 중 중간에 위치하는 절단점(P1)에서는 케이블의 심선(C1)과 피복(C2)을 모두 절단하고, 상기 절단점(P1)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피복제거점(P2)에서는 케이블의 피복(C2)만을 절단한다. 이에 따라, 절단점(P1)을 기준으로 케이블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게 되며, 나누어진 케이블 각각에서 피복제거점(P2)을 기준으로 피복(C2)이 나누어지게 된다. 두 부분으로 절단된 케이블에서 절단되면서 형성된 단부와 피복제거점(P2) 사이의 피복(C2)은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손쉽게 제거하여 케이블의 단부에서 심선(C1)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1)에 의해서는 케이블의 세 지점에 대하여 절단 작업을 진행하되 각 지점에서 케이블의 어느 구성까지 절단할지를 조절하여, 케이블의 두 부분으로의 분리작업과 분리되는 케이블 각각에 대한 피복 제거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절단점(P1), 피복제거점(P2) 또는 중간 제거점(P3)은 면적이 없는 위치만을 가리키는 것이라기 보다는 직선으로 길게 형성되는 구간의 특정 지점에서 상기 직선 구간과 직각을 이루고 있는 평면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커팅유닛(20)은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커팅부재(21), 제2커팅부재(22) 및 제1회전부재(23)를 구비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1)의 커팅유닛(20)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제1커팅부재(21)는 절단점(P1)에서 케이블의 중심을 종점으로 하여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커팅부재(21)는 케이블 외부의 어느 한 지점과 케이블의 중심 사이에서 왕복하는데, 케이블에 대한 작업을 진행할 때에는 케이블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케이블을 절단하고 케이블에 대한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케이블 외부의 지점으로 이동하여 케이블과 간섭하지 않는다.
제2커팅부재(22)는 피복제거점(P2)에서 케이블 피복(C2)의 내주면을 종점으로 하여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커팅부재(22)는 케이블 외부의 어느 한 지점과 피복(C2)의 내주면 중 어느 한 지점 사이에서 왕복하는데, 케이블에 대한 작업을 진행할 때에는 케이블 피복(C2)의 내주면 중 어느 한 지점으로 이동하여 케이블의 피복(C2)을 절단하고 케이블에 대한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케이블 외부의 지점으로 이동하여 케이블과 간섭하지 않는다. 제2커팅부재(22)는 두 피복제거점(P2)에 각각 형성되어 두 피복제거점(P2)에서 케이블의 피복(C2)을 절단한다.
제1회전부재(23)는 케이블을 중심으로 하여 제1커팅부재(21)와 제2커팅부재(2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커팅부재(21)가 케이블의 중심까지 이동하고 제2커팅부재(22)가 케이블 피복(C2)의 내주면까지 이동하는 상태에서 제1회전부재(23)가 회전하면, 제1커팅부재(21)와 제2커팅부재(22)는 케이블의 원주방향으로도 이동하면서 케이블 원주상의 모든 위치에서 케이블을 절단하여 케이블을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다.
커팅유닛(20)은 왕복 베이스부재(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왕복 베이스부재(24)에는 제1커팅부재(21)와 제2커팅부재(22)가 부착되며 제1회전부재(23) 상에서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제1커팅부재(21)와 제2커팅부재(22)는 왕복 베이스부재(24)를 통해 제1회전부재(23)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왕복 베이스부재(24)의 왕복 동작에 의해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 동작을 할 수 있다.
왕복 베이스부재(24)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의 제1왕복용 모터(M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휠(W1)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제1휠의 회전운동을 왕복 베이스부재(24)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데에는 래크 및 피니언과 같은 공지의 운동 전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제1회전부재(23)에 형성되는 리니어모터,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등에 의해 왕복 베이스부재(24)가 제1회전부재(23) 상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왕복 베이스부재(24)는 다수 개가 구비되고, 제1커팅부재(21)와 제2커팅부재(22)가 서로 다른 왕복 베이스부재(24)에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커팅부재(21)는 2개의 제1가공면(21a)을 구비할 수 있다.
2개의 제1가공면(21a)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이 케이블의 횡단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되 케이블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위치하여 'V'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1가공면(21a)은 케이블과 마찰하면서 케이블을 갉아내어 두 부분으로 분리하는 동시에 경사진 각도에 의해 심선(C1)을 면취 가공하게 된다. 즉, 2개의 제1가공면(21a) 중 하나의 제1가공면(21a)은 분리되는 케이블 중 하나의 심선(C1)을 면취 가공하고, 나머지 제1가공면(21a)은 분리되는 케이블 중 나머지 하나의 심선(C1)을 면취 가공한다.
상기 제2커팅부재(22)는 각각의 피복제거점(P2) 위치에서 케이블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를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각 피복제거점(P2)에서 제2커팅부재(22)가 다수 개 구비되는 경우 제1회전부재(23)가 여러 번 회전하지 않더라도 피복(C2)을 확실하게 절단해줄 수 있다.
원주 상에서 서로 다른 각도에 위치하는 제2커팅부재(22)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서로 다른 왕복 베이스부재(24)에 분산되어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의 작업 대상물은 심선(C1)과 피복 사이에 중간층(C3)을 구비하여 3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커팅유닛(20)은 절단점(P1)에서 케이블 횡단면 상의 전체 구성을 절단하고 피복제거점(P2)에서 피복(C2)을 절단하는 것 외에 절단점(P1)과 피복제거점(P2)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제거점(P3)에서 케이블의 중간층(C3)과 피복(C2)을 절단한다. 이에 따라, 피복제거점(P2)과 중간 제거점(P3) 사이에서는 피복(C2)만이 제거되어 중간층(C3)이 외부로 노출되고, 중간 제거점(P3)과 절단점(P1) 사이에서는 피복(C2)과 중간층(C3)이 제거되어 심선(C1)이 외부로 노출된다.
중간 제거점(P3)에서 피복(C2)과 중간층(C3)의 절단은 제3커팅부재(25)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커팅부재(25)는 중간층(C3) 내주면 상의 어느 한 점과 케이블 외부의 어느 한 점 사이에서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며, 케이블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3커팅부재(25)는 케이블에 대한 작업을 진행할 때에는 중간층(C3) 내주면의 어느 한 점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회전하여 피복(C2)과 중간층(C3)을 절단하고 케이블에 대한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케이블 외부의 지점으로 이동하여 케이블과 간섭하지 않는다.
제3커팅부재(25)는 제1커팅부재(21)나 제2커팅부재(22)와 마찬가지로 제1회전부재(23) 상에서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는 왕복 베이스부재(24)에 부착됨으로써 왕복 베이스부재(24)의 이동에 의해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고 제1회전부재(23)에 의해 케이블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케이블의 중간층(C3)이 다수 개인 경우, 일측 피복제거점(P2)과 절단점(P1) 사이, 그리고 타측 피복제거점(P2)과 절단점(P1) 사이에는 중간층(C3)의 수와 동일한 수의 제3커팅부재(25)가 각각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1커팅부재(21)와 제3커팅부재(25)가 동일한 왕복 베이스부재(24)에 부착되는 경우, 왕복 베이스부재(24)에 의해 제1커팅부재(21)와 제3커팅부재(25)가 동일한 거리 이동했을 때 제1커팅부재(21)는 케이블의 중심까지 도달하고 제3커팅부재(25)는 케이블 중간층(C3)의 내주면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제1커팅부재(21)의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까지의 거리는 제3커팅부재(25)의 근위 단부에서 원위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심선(C1)의 반경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케이블이 중간층(C3)을 더 구비하는 경우, 커팅유닛(20)은 중간 제거점(P3)에서 중간층(C3)을 면취 가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중간층(C3)의 절단과 동시에 절단되면서 형성되는 면을 면취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C3)에 대한 면취 가공은 면취가공부재(26)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면취가공부재(26)는 중간 제거점(P3)에서 중간층(C3)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의 한 지점을 종점으로 하여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며 케이블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케이블의 횡단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가공면(26a)을 구비한다. 이러한 면취가공부재(26)는 중간층(C3)을 면취 가공할 때에는 중간층(C3)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의 한 지점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회전하고, 면취 가공을 완료한 후에는 케이블 외부의 어느 한 지점으로 이동한다.
면취가공부재(26)는 왕복 베이스부재(24)에 부착되되, 중간 제거점(P3) 위치에 배치되는 제3커팅부재(25)와 간섭하지 않도록 제3커팅부재(25)가 부착되는 왕복 베이스부재(24)가 아닌 다른 왕복 베이스부재(24)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커팅부재(25)나 면취가공부재(26) 등은 왕복 베이스부재(24)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케이블의 구성에 따라 왕복 베이스부재(24)에 부착되거나 제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1)는 절단점(P1)의 양측에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가이드유닛(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닛(30)은 커팅유닛(20)이 케이블을 절단하는 작업을 할 때 케이블의 외면과 접촉하면서 케이블을 지지하여 케이블의 중심이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커팅유닛(20)이 절단점(P1)에서는 케이블의 횡단면 전체를 확실하게 절단하고 피복제거점(P2)에서는 피복(C2)만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30)은 절단점(P1)의 양측에서 대칭되게 케이블을 지지하여, 절단점(P1)을 기준으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게 되는 각 케이블의 피복(C2)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유닛(30)은 2개의 제1지지부재(31)를 구비한다. 도 7에는 이러한 가이드유닛(30) 부분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제1지지부재(31)는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31)들은 상기 커팅유닛(20)이 케이블을 절단할 때 케이블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여 케이블을 지지하고, 케이블에 대한 절단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케이블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케이블과 간섭하지 않는다.
가이드유닛(30)은 도 7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31)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2개의 제2지지부재(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제2지지부재(32)는 제1지지부재(31)와 마찬가지로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며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처럼 가이드유닛(30)이 제1지지부재(31) 외에 제2지지부재(32)를 구비하는 경우, 케이블의 원주 상에서 2개소를 지지해줄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중심을 보다 안정적으로 일정한 위치에 고정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지지부재(31)는, 왕복 베이스부재(24)와 유사하게 외부의 제2왕복용 모터(M2)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휠(W2)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30)은 케이블을 중심으로 하여 제1지지부재(31)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재(3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2회전부재(33)는 제1회전부재(23)와 함께 회전한다. 도 8에는 이러한 경우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커팅유닛(20)의 제1커팅부재(21)와 제2커팅부재(22)는 제1회전부재(23)에 의해 회전하기 때문에 각도에 따라 제1지지부재(31)와 간섭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제2회전부제를 통해 제1지지부재(31)를 커팅유닛(20)과 함께 회전시키는 경우 제1지지부재(31)와 제2지지부재(3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1지지부재(31)에 대하여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제1지지부재(31)가 커팅유닛(20)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제1회전부재(23)와 제2회전부재(33)는 예를 들어, 하나의 회전용 모터(미도시)에서 벨트(B)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30)이 제2지지부재(32)를 구비하는 경우, 제2회전부재(33)가 제1지지부재(31)와 함께 제2지지부재(32)를 회전시키는 것은 당연하다.
가이드유닛(30)은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는 이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은 커팅유닛(20)의 제1커팅부재(21)와 제2커팅부재(22)에 의하여 두 부분으로 절단되고 피복(C2)이 제거되지만, 작업 중 케이블이 약간이라도 휘어지는 경우 절단 등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커팅유닛(20)에 의한 작업이 완료된 후, 가이드유닛(30)의 제1지지부재(31)가 케이블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이드유닛(30)이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도 9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의 일측은 일측의 제1지지부재(31)와 함께 이동하고 케이블의 타측은 파지유닛에 의해 이동하지 못하여 케이블이 두 부분으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타측 제1지지부재(31)와 밀착되어 있던 케이블 타측의 피복(C2)은 타측 제1지지부재(31)와 함께 이동하면서 벗겨지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유닛(30)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9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의 타측이 약간 이동한 후 파지유닛에 의해 고정되어 일측 제1지지부재(31)를 따라 피복(C2) 부분만이 이동하면서 케이블 일측의 피복(C2) 또한 벗겨지게 된다.
참고로, 도 9에서 화살표는 제1지지부재(31)의 이동방향이 아닌 제1지지부재(31)의 이동에 대한 케이블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을 나타낸다. 즉, 도 9에서 제1지지부재(31)가 실제 이동하는 방향은 화살표의 방향과 반대된다.
가이드유닛(30)은 단독으로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으나,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팅유닛(20)과 가이드유닛(30)을 지지하는 판(40)이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커팅유닛(20)과 함께 이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20 : 커팅유닛 21 : 제1커팅부재
21a : 제1가공면 22 : 제2커팅부재
23 : 제1회전부재 24 : 왕복 베이스부재
25 : 제3커팅부재 26 : 면취가공부재
26a : 제2가공면 30 : 가이드유닛
31 : 제1지지부재 32 : 제2지지부재
33 : 제2회전부재
C : 케이블 C1 : 심선
C2 : 피복 C3 : 중간층
P1 : 절단점 P2 : 피복제거점
P3 : 중간 제거점

Claims (12)

  1. 심선과 상기 심선을 감싸는 피복을 구비하는 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두 지점을 파지하는 파지유닛; 및
    상기 파지유닛에 의해 파지되는 두 지점의 사이 구간의 한 지점인 절단점에서 케이블의 횡단면 전체를 절단하며, 상기 절단점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피복제거점에서 케이블의 피복을 절단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절단점에서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는 제1커팅부재, 상기 피복제거점에서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는 제2커팅부재 및 케이블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커팅부재와 상기 제2커팅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커팅부재는, 각각이 케이블의 횡단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뾰족하게 돌출된 'V' 형을 이루도록 만나는 2개의 제1가공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팅부재는, 케이블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를 따라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제1회전부재 상에서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며 상기 제1커팅부재와 상기 제2커팅부재가 부착되는 왕복 베이스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은 심선과 피복 사이에 중간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절단점과 상기 피복제거점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제거점에서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며 케이블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중간 제거점에서 케이블의 중간층과 피복을 절단하는 제3커팅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중간 제거점에서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고 케이블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케이블의 횡단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가공면을 구비하여, 상기 중간 제거점에서 중간층을 면취 가공하는 면취가공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점의 양측에서 케이블을 지지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며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2개의 제1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케이블의 반경 방향으로 왕복하며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2개의 제2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케이블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회전부재는 상기 제1회전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KR1020170136747A 2017-10-20 2017-10-20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KR102028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747A KR102028805B1 (ko) 2017-10-20 2017-10-20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747A KR102028805B1 (ko) 2017-10-20 2017-10-20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386A KR20190044386A (ko) 2019-04-30
KR102028805B1 true KR102028805B1 (ko) 2019-10-04

Family

ID=6628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747A KR102028805B1 (ko) 2017-10-20 2017-10-20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8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444A (ko) 2020-03-30 2021-10-08 (주)케이엠 디지텍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038B1 (ko) * 2020-05-27 2020-08-19 이성원 열전대 소선 노출용 초음파 진동기
KR102361024B1 (ko) * 2021-04-20 2022-02-14 배윤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전선의 가공장치 및 가공전선
KR102361022B1 (ko) * 2021-05-11 2022-02-14 배윤성 통신 공사용 전선 가공장치 및 가공전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0878A (ja) * 2003-02-24 2004-09-16 I-Pex Co Ltd カッター装置
JP2013121182A (ja) * 2011-12-06 2013-06-17 Nittoku Eng Co Ltd 線材の皮膜剥離装置及びその皮膜剥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63B2 (ja) * 1992-12-09 1996-02-07 日本オートマチックマシン株式会社 被覆電線のストリップ製造方法
JP3006416B2 (ja) * 1994-07-04 2000-02-07 住友電装株式会社 被覆電線用皮剥機構
KR200455689Y1 (ko) 2009-06-12 2011-09-20 정명재 케이블용 피복 탈피 및 심선 면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0878A (ja) * 2003-02-24 2004-09-16 I-Pex Co Ltd カッター装置
JP2013121182A (ja) * 2011-12-06 2013-06-17 Nittoku Eng Co Ltd 線材の皮膜剥離装置及びその皮膜剥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444A (ko) 2020-03-30 2021-10-08 (주)케이엠 디지텍 케이블 피복 탈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피복 탈피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386A (ko)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805B1 (ko) 케이블 피복 제거장치
JP6794128B2 (ja) 被遮蔽多芯丸形ケーブルから遮蔽膜を除去するためのケーブル処理装置および方法
EP2747225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a screen from a cable
US9997886B2 (en) Method of forming termination end on cable
JP6440426B2 (ja) 被覆剥離器
KR100696990B1 (ko) 피복 제거 장치, 이 장치에 이용되는 커터, 및 피복 제거 방법
US20030196520A1 (en) Stripping device and a method for stripping
JP2020010528A (ja) 被覆除去装置
WO2017141776A1 (ja) 電線加工装置、及び電線加工用刃
JP7382694B2 (ja) 皮膜付平角線の皮膜除去装置および皮膜除去方法
JP2019207796A (ja) 治具
JPH04101609A (ja) ケーブル被覆除去装置
US6361220B1 (en) Terminal end of a connector on an optical fiber
JP2020036397A (ja) 被覆電線の被覆剥ぎ取り装置
JP6287398B2 (ja) ワイヤ加工装置およびワイヤ加工方法
JP2011250552A (ja) 二重被覆ケーブル皮むき器
US2526769A (en) Insulation stripping mechanism
US20150128425A1 (en) Cable Prep Safety Tool
JP2592994B2 (ja) ケーブル被覆除去装置
JPH11262126A (ja) ケーブル被覆除去装置
SU115909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н ти изол ции с электромонтажных проводов
JP2005328649A (ja) シールドケーブル端末処理装置及びシールドケーブル端末処理方法
JPH1169553A (ja) 被覆電線の被覆材の剥離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H079549Y2 (ja) フラットシールドケーブル用ストリッパ
US62931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ipping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