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4140A -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 Google Patents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4140A
KR20190114140A KR1020180036352A KR20180036352A KR20190114140A KR 20190114140 A KR20190114140 A KR 20190114140A KR 1020180036352 A KR1020180036352 A KR 1020180036352A KR 20180036352 A KR20180036352 A KR 20180036352A KR 20190114140 A KR20190114140 A KR 20190114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low voltage
low
transformer
pow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9097B1 (ko
Inventor
김진아
조규상
김송원
박철우
서영경
설규환
신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36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09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140A/ko
Priority to KR1020230080973A priority patent/KR102598786B1/ko
Priority to KR1020230080974A priority patent/KR102598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05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comparing phase or frequency of 2 mutually independent oscillations in demodul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1/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switching-on in case an undesired electric working condition might result
    • H02H11/0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switching-on in case an undesired electric working condition might result in case of incorrect phase sequence; with switching for obtaining correct phase seque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underload or no-load
    • H02H3/1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underload or no-load for multiphase applications, e.g. phase interrup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에 관한 것으로,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분기장치 및 검상차단장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에 설치하는 제1 단계; 이동용변압기차의 변압기와 이 변압기에 접속하는 분기장치 간에 리드선을 연결하고, 상기 분기장치와 검상차단장치 간에 저압 케이블을 연결하는 제2 단계; 상기 리드선 연결 및 저압 케이블의 연결이 완료되면, 검상 실시 후 검상차단장치의 차단기를 투입하는 제3 단계; 상기 검상차단장치의 차단기가 투입되면, 전주측 변압기와 저압전선을 분리하고, 변압기 교체 및 전선 교체를 포함한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의 본작업을 실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본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전주측 변압기와 저압전선을 다시 연결하고, 상기 검상차단장치의 차단기를 개방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WORK METHOD FOR LOW VOLTAGE LINE}
본 발명은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압선로에 대한 무정전 배전공사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품질에 대한 국민의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지정전주 이설이나 개보수공사 등 배전선로 유지보수공사 시 정전 없는 전력공급을 위하여 무정전 배전공사가 주로 실시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무정전 배전공사 중 하나로는 작업구간에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과 공사용 개폐기를 사용하여 우회선로를 구성하고, 작업구간을 정전상태로 만들어 공사를 시행하는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이 있으며, 다른 하나로는 케이블이 아닌 특고압 가공전선을 활용하여 우회선로를 구성하고, 작업구간이 활선상태에서 전주나 전선의 이전을 시행하는 전선이선공법이 있다.
그러나 전선이선공법은 작업구간이 활선상태에서 작업을 시행해야 하므로, 감전사고 발생 가능성 등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현재는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을 위주로 무정전 배전공사가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 공법 중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예 : 말단 변대주 또는 분기선로 무정전 공사 등)를 위해서, 기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고압 선로를 중심으로 공사용 개폐기(G),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차, 및 이동용변압기차 등을 하나의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용 장치로 구성하여 배전공사를 실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작업 절차는 바이패스케이블 및 케이블 접속함을 이용하여 특고압 우회 선로를 구성하고, 공사용개폐기로 전원을 인가한 후 활선점퍼분리를 시행하며, 변압기 설치전주는 이동용변압기차를 활용하여 저압전원을 공급하고, 작업구간을 사선 상태로 만들어 공사를 시행한다. 도 1에서 저압입상 케이블은, 간선 케이블(또는 간선용 케이블)을 무정전 작업대상 저압선로에 연결하는 케이블이다. 상기 간선 케이블(또는 간선용 케이블)은 무정전 공급대상 가공 저압선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케이블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용 장치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사를 위해서는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주에서 이동용변압기차까지 우회선로를 건설해야 하고, 구성 장치가 많아서 배전공사를 위한 작업 장소가 협소하거나 교통량이 많은 개소에서는 배전공사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때 사용하는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의 특성상 2차사고(예 : 감전사고, 정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저압선로에 대한 무정전 배전공사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138717호(1998.02.20. 등록, 절연케이블을 이용한 우회 활선작업 공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저압선로에 대한 무정전 배전공사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은,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분기장치 및 검상차단장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에 설치하는 제1 단계; 이동용변압기차의 변압기와 이 변압기에 접속하는 분기장치 간에 리드선을 연결하고, 상기 분기장치와 검상차단장치 간에 저압 케이블을 연결하는 제2 단계; 상기 리드선 연결 및 저압 케이블의 연결이 완료되면, 검상 실시 후 검상차단장치의 차단기를 투입하는 제3 단계; 상기 검상차단장치의 차단기가 투입되면, 전주측 변압기와 저압전선을 분리하고, 변압기 교체 및 전선 교체를 포함한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의 본작업을 실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본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전주측 변압기와 저압전선을 다시 연결하고, 상기 검상차단장치의 차단기를 개방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압 케이블은 이동용 케이블 드럼장치를 통해 연결 작업이 실시되며, 상기 이동용 케이블 드럼장치는, 상기 저압 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드럼장치 본체의 축 양측을 고정하는 카트에 올린 상태로 이동하거나 고정하는 카트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저압 케이블의 일부만 풀기를 실시한 상태에서 케이블 시작점과 끝점의 양단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저압 케이블을 감는 영역을 두 영역으로 나누는 분리막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저압 케이블을 풀거나 재 권취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장치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이 상기 드럼장치 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기장치는, 이동용변압기차의 상별 2개 단자와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로서, 휴대용 손잡이가 형성된 함체에 수납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접지단자를 구비하며, 원터치 연결이 가능한 접속재를 이용해 저압 케이블의 연결과 분리가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고, 분기선로에서 저압 케이블 분기가 가능하도록 3회로로 형성되며, 또한 저압 케이블의 인출입 부분은 나선 형태로 리드선을 1회전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저압 케이블의 비틀림에 의한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상차단장치는, 위상 불일치 시 상(phase)을 교정한 후 저압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기 및 저압 검상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저압 차단장치로서, 휴대를 위한 손잡이를 구비한 함체에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검상기능은 차단기 개방상태에서 전원측과 부착측 케이블에 전압 인가시 상 불일치 여부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함체 외부의 검상기 표시판에 검상기 관련 정보로서, 검상표시, 결상표시, 활선표시, 및 상선택 표시를 램프를 이용해 표시하며, 또한 저압 케이블의 연결단자와 결합 시 1회전으로 연결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저압 케이블의 비틀림에 의한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압선로에 대한 무정전 배전공사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의 설명을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의 실시를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사진으로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과 종래의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간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의 실시를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사진으로 보인 예시도로서, (A)와 같이 이동이 가능한 저압 케이블 드럼장치(이하, 간단히 이동용 케이블 드럼장치로 기재할 수 있음)(100), (B)와 같이 이동용변압기차의 2개 단자와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이하, 간단히 분기장치라고 기재할 수 있음)(200), (C)와 같이 검상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저압차단기(이하, 간단히 검상차단장치나 차단장치로 기재할 수 있음)(300), 및 (D)와 같이 변압기-접속함(또는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 및 접속함(또는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저압입상주 간에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이 가능한 리드선(이하, 간단히 리드선으로 기재할 수 있음)(40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이 가능한 저압 케이블 드럼장치(100)는 저압 케이블을 권취하여 이동 및 보관하며, 작업 시 공사용 케이블 설치 및 철거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로 종래의 케이블 드럼장치는 고정형이기 때문에 이동이 곤란하고, 케이블 활용을 위하여 드럼장치에 권취된 케이블 전체를 풀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이 가능한 저압 케이블 드럼장치(A)는 현장에서 쉽게 이동이 가능하고, 필요한 길이만큼만 풀어도 전원연결이 가능한 형태이며 재 권취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도 2 (A)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이 가능한 저압 케이블 드럼장치(100)는 드럼장치 본체(케이블을 감는 장치)의 축 양측을 고정하는 프레임(또는 카트)의 하부에 소형 바퀴를 장착하여 드럼장치를 올려 고정한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한 형태이며, 정지된 상태에서 드럼장치를 회전시켜 케이블을 풀거나 감을 수 있는 형태이다.
또한 도 2 (A)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권취 시 시작점과 끝점을 각각 구분하여 권취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하며, 케이블 전체를 풀지 않더라도 활용이 가능한 케이블 분리막(
Figure pat00001
)을 형성하고, 공사완료 후 저압 케이블의 재 권취가 용이하도록 핸들(
Figure pat00002
)을 형성한다. 설명이 생략된 영역(
Figure pat00003
)은 케이블 권취 시 시작점(또는 끝점)을 권취할 수 있도록 미리 구분된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이동용변압기차의 상별 2개 단자(예 : 저압분전함 단자)와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200)는, 이동용변압기차의 저압분전함(미도시)에서 간선 케이블(즉, 무정전 공급대상 가공 저압선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케이블), 간선 케이블간, 또는 간선 케이블에서 분기 케이블에 저압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장치 겸 분기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로 종래의 케이블 분기장치(미도시)는 동 재질의 부스 연결장치(미도시)에 케이블을 연결하며(예 : 케이블을 접속단자에 압축한 후 접속 홈에 밀착하여 육각렌치로 조여 연결하며), 주로 지중선로에 활용하는 장치로서 커버장치가 없는 형태로 형성되어 지상에 노출시키는 형태이기 때문에 활용에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 이동용변압기차의 공급용량은 300kVA로서 2차측 단자는 상별로 2개(R단자 2개/S단자 2개/T단자 2개/N단자 2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용변압기차의 상별 2개 단자와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200)는, 도 2 (B)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함(또는 함체)에 수납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접지단자(미도시)를 구비하여 안전성을 높여 설치장소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케이블 접속은 원터치 연결이 가능한 접속재를 이용해 연결과 분리가 용이한 형태로 형성된다.
도 2 (B)의 (a)와 (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용변압기차의 2개 단자와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200)는, 이동용변압기차의 저압분전함(미도시)에서 인출 가능한 케이블 2회선을 연결할 수 있으며, 분기선로에서 저압 케이블 분기가 가능하도록 3회로로 형성된다. 또한 동재질의 부스 형태로 접점을 형성하며, 케이블 인출입 부분은 나선 형태로 리드선을 1회전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하도록 접점을 형성하고, 케이블 비틀림에 의한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며, 적어도 70~185㎟ 규격의 케이블 사용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외함에 접지단자를 구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도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검상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저압차단기(300)는, 간선 케이블에서 분기하여 저압전원 공급 시 선로간 상을 일치시켜 작업자 안전 및 선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저압선로 연결 및 분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검상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저압차단기(300)는, 간선에서 분기하여 저압선로 연결 시, 상(즉, 3상) 측정을 할 수 있는 검상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으며, 스테인레스 재질의 함에 수납하여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형태로 형성된다.
참고로 종래의 저압차단기는 검상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저압분전함에 부착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즉, 이동 가능하지 않은 형태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검상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저압차단기(300)는, 저압차단기에 전원-부하간 검상 기능을 구비하여 위상 불일치 시 상을 교정한 후 저압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검상 기능을 포함한 차단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상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저압차단기(300)에서 저압차단기능(MCCB 기능)은 개폐장치와 트립장치 등을 절연물 용기에 일체로 조립한 것으로, 통전상태의 전로를 수동 또는 전기조작에 의해 개폐할 수 있으며, 과부하 및 단락 등의 이상 상태시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작업 중 저압측에서 발생하는 과부하 또는 단락 등의 고장을 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기능이다. 또는 검상기능은 전원측(이동용변압기차)과 부하측(무정전 작업대상 저압선로측)의 상(phase) 일치여부를 사전에 확인하여, 위상차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계통상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다. 상기 검상기능은 함체 내부에 내장된 전원용 배터리(미도시)에 의해서 동작된다.
또한 도 2 (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인출입부 및 외함 형태는 손잡이(미도시)를 포함하여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한 형태이고, 전원-부하 간 2회로로 구성된다.
또한 도 2 (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 외부에는 검상기 관련 정보(예 : 검상표시, 결상표시, 활선표시, 상선택 표시 등)를 시각적 정보(예 : LED 램프)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즉, 검상 기능은 차단기 개방상태에서 전원 부하측 케이블에 전압 인가 시, 상 불일치 여부의 확인이 가능한 램프를 검상기 표시판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검상표시는 검상상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로서 검상 대상이 되는 상의 램프가 점등된다. 상기 결상표시는 검상중에 접속의 불완전으로 결상이 되는 경우 결상이 되는 상의 램프가 점등된다. 상기 활선표시는 이동용변압기차의 각 상(R,S,T)과 저압선로측의 각상(u, v, w)이 활선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표시정보로서 활선상태에 있는 상에만 점등이 된다.
이때 검상을 시행할 때에는 표시판 우측 하단에 있는 전원 스위치를 위로 올려 동작전원이 연결되도록 하고, 만약 차단기의 전원측과 부하측에 이동용변압기차 및 저압선로로부터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전원을 연결하면 표시판의 '상선택','검상표시','결상표시','활선표시'에 모두 점등되고 결상에 의하여 경보음이 계속 울리게 된다.
상기 변압기(이동용변압기)-접속함(또는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 및 접속함(또는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저압입상주 간에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이 가능한 리드선(400)은, 도 2 (D)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이동용변압기)-접속함(또는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 간의 리드선의 시작점은 이동용변압기의 저압분전함(미도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회전형 단자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끝점은 케이블 접속장치에 연결이 가능한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접속함(또는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저압입상주 간의 리드선의 시작점은 케이블 접속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회전형 단자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끝점을 가공전선에 연결이 가능한 전선걸이형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 접속장치에 연결이 가능한 접속단자는,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케이블을 1회전에 의하여 접점을 구성할 수 있는 원터치 형태로 형성하며, 케이블 비틀림 하중에 의한 풀림방지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변압기(이동용변압기)-접속함(또는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 간의 리드선은 부하측 용량에 따라 상기 이동용변압기에서 저압간선 회선수를 가변(예 : 1~2회선)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적어도 8가닥의 리드선을 구비하며, 상기 리드선은 상 구분을 위하여 시작점과 끝점에 지정된 특정 색상(예 : 적색, 청색, 백색, 녹생 등)으로 탭핑(Taping) 처리한다.
이상으로 상기 구성 요소들(A, B, C, D)을 이용하여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실시하는 공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상술한 분기장치(200) 및 차단장치(300)(또는 검상차단장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에 설치한다(S101).
그리고 이동용변압기차의 변압기(즉, 이동용변압기)와 이 변압기에 접속하는 장치(예 : 분기장치)간의 리드선 및 각 장치(예 : 분기장치, 검상차단장치 등) 간에 케이블(즉, 저압 케이블)을 설치(연결)한다(S102).
상기와 같이 리드선 및 케이블(즉, 저압 케이블)의 연결이 완료되면, 검상 후 차단기(즉, 검상차단장치)(300)를 투입한다(S103).
상기와 같이 차단기(즉, 검상차단장치)(300)가 투입되면, 전주측 변압기(미도시)와 저압전선(미도시)을 분리하고(S104), 본작업(예 : 변압기 교체 및 전선 교체 등)을 실시한다(S105).
이에 따라 상기 본작업이 완료되면, 전주측 변압기(미도시)와 저압전선(미도시)을 다시 연결하고(S106), 상기 차단기(즉, 검상차단장치)(300)를 개방한다(S107).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은 기존에 다수의 장비를 투입하는 복잡한 작업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른 관리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과 종래의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간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말단 변대주(즉, 변압기가 설치되어 있는 전신주) 무정전 공사를 종래의 공법(a)과 본 실시예에 따른 공법(b)을 비교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법(a)은 공사용 개폐기(G),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차(SC), 및 무정전변압기차(UC)(또는 이동용변압기차)를 이용해 공사를 실시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들(예 : 공사용 개폐기(G),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차(SC), 및 무정전변압기차(UC))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 공정을 실시해야 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공법(b)은 무정전변압기차(UC)(또는 이동용변압기차)와 이에 연결된 저압 케이블 드럼장치(A)(미도시)를 이용해 공사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 감소된 장치(예 : 공사용 개폐기(G),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차(SC) 등)만큼 작업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의 (B)는 단상변압기 3개소에 대한 무정전 공사를 종래의 공법(a)과 본 실시예에 따른 공법(b)을 비교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법(a)은 공사용 개폐기(G),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차(SC), 3대의 무정전변압기차(UC)(또는 이동용변압기차), 및 2개의 분기장치(또는 분기접속장치)(DU)를 이용해 공사를 실시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들(예 : 공사용 개폐기(G),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차(SC), 무정전변압기차(UC)ㅧ3대, 분기장치(DU)ㅧ3개)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 공정을 실시해야 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공법(b)은 무정전변압기차(UC)(또는 이동용변압기차)와 이에 연결된 저압 케이블 드럼장치(A)(미도시)를 이용해 공사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 감소된 장치(예 : 공사용 개폐기(G),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차(SC), 무정전변압기차(UC)ㅧ2대, 분기장치(DU)ㅧ3개 등)만큼 작업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의 (C)는 합계용량 300kVA 미만 분기선로에 대한 무정전 공사를 종래의 공법(a)과 본 실시예에 따른 공법(b)을 비교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법(a)은 공사용 개폐기(G),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차(SC), 2대의 무정전변압기차(UC)(또는 이동용변압기차), 및 1개의 분기장치(또는 분기접속장치)(DU)를 이용해 공사를 실시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들(예 : 공사용 개폐기(G),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차(SC), 무정전변압기차(UC)ㅧ2대, 분기장치(DU)ㅧ1개)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 공정을 실시해야 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공법(b)은 무정전변압기차(UC)(또는 이동용변압기차)와 이에 연결된 저압 케이블 드럼장치(A)(미도시)를 이용해 공사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 감소된 장치(예 : 공사용 개폐기(G), 특고압바이패스케이블차(SC), 무정전변압기차(UC)ㅧ1대, 분기장치(DU)ㅧ1개 등)만큼 작업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의 (D)는 기존변압기(공급용량에 여유가 있는 경우)를 활용한 무정전 공사를 종래의 공법(a)과 본 실시예에 따른 공법(b)을 비교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법(a)은 1대의 무정전변압기차(UC)(또는 이동용변압기차)를 이용해 공사를 실시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무정전변압기차(UC)ㅧ1대)를 사용하기 위한 관리비용과 인원이 투입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공법(b)은 저압 케이블 드럼장치(A)(미도시)를 이용해 공사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고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의 실시를 위해 개발된 구성 요소들(예 : 이동용 케이블 드럼장치(100), 휴대용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200), 검상차단장치(300), 리드선(400))을 이용함으로써, 저압선로에 대한 무정전 배전공사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이동용 케이블 드럼장치
200 : 휴대용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
300 : 검상차단장치
400 : 리드선

Claims (4)

  1.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분기장치 및 검상차단장치를 미리 지정된 위치에 설치하는 제1 단계;
    이동용변압기차의 변압기와 이 변압기에 접속하는 분기장치 간에 리드선을 연결하고, 상기 분기장치와 검상차단장치 간에 저압 케이블을 연결하는 제2 단계;
    상기 리드선 연결 및 저압 케이블의 연결이 완료되면, 검상 실시 후 검상차단장치의 차단기를 투입하는 제3 단계;
    상기 검상차단장치의 차단기가 투입되면, 전주측 변압기와 저압전선을 분리하고, 변압기 교체 및 전선 교체를 포함한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의 본작업을 실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본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전주측 변압기와 저압전선을 다시 연결하고, 상기 검상차단장치의 차단기를 개방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케이블은 이동용 케이블 드럼장치를 통해 연결 작업이 실시되며,
    상기 이동용 케이블 드럼장치는,
    상기 저압 케이블을 감거나 푸는 드럼장치 본체의 축 양측을 고정하는 카트에 올린 상태로 이동하거나 고정하는 카트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저압 케이블의 일부만 풀기를 실시한 상태에서 케이블 시작점과 끝점의 양단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저압 케이블을 감는 영역을 두 영역으로 나누는 분리막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저압 케이블을 풀거나 재 권취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장치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이 상기 드럼장치 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장치는,
    이동용변압기차의 상별 2개 단자와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저압 케이블 분기장치로서,
    휴대용 손잡이가 형성된 함체에 수납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접지단자를 구비하며,
    원터치 연결이 가능한 접속재를 이용해 저압 케이블의 연결과 분리가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고,
    분기선로에서 저압 케이블 분기가 가능하도록 3회로로 형성되며,
    또한 저압 케이블의 인출입 부분은 나선 형태로 리드선을 1회전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저압 케이블의 비틀림에 의한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상차단장치는,
    위상 불일치 시 상(phase)을 교정한 후 저압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기 및 저압 검상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저압 차단장치로서,
    휴대를 위한 손잡이를 구비한 함체에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검상기능은 차단기 개방상태에서 전원측과 부착측 케이블에 전압 인가시 상 불일치 여부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함체 외부의 검상기 표시판에 검상기 관련 정보로서, 검상표시, 결상표시, 활선표시, 및 상선택 표시를 램프를 이용해 표시하며,
    또한 저압 케이블의 연결단자와 결합 시 1회전으로 연결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저압 케이블의 비틀림에 의한 풀림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KR1020180036352A 2018-03-29 2018-03-29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KR102549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352A KR102549097B1 (ko) 2018-03-29 2018-03-29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KR1020230080973A KR102598786B1 (ko) 2018-03-29 2023-06-23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KR1020230080974A KR102598787B1 (ko) 2018-03-29 2023-06-23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352A KR102549097B1 (ko) 2018-03-29 2018-03-29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974A Division KR102598787B1 (ko) 2018-03-29 2023-06-23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KR1020230080973A Division KR102598786B1 (ko) 2018-03-29 2023-06-23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140A true KR20190114140A (ko) 2019-10-10
KR102549097B1 KR102549097B1 (ko) 2023-06-30

Family

ID=6820681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352A KR102549097B1 (ko) 2018-03-29 2018-03-29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KR1020230080974A KR102598787B1 (ko) 2018-03-29 2023-06-23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KR1020230080973A KR102598786B1 (ko) 2018-03-29 2023-06-23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974A KR102598787B1 (ko) 2018-03-29 2023-06-23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KR1020230080973A KR102598786B1 (ko) 2018-03-29 2023-06-23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49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632B1 (ko) * 2021-11-30 2022-04-08 김태형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837A (ja) * 1998-03-31 1999-10-15 Kyushu Henatsuki Kk 移動変圧器設備
JPH11283838A (ja) * 1998-03-31 1999-10-15 Kyushu Henatsuki Kk トラック搭載型移動変圧器設備
KR200176364Y1 (ko) * 1999-08-27 2000-03-15 김용규 무정전 공사장치
KR200438004Y1 (ko) * 2006-11-15 2008-01-16 김경수 케이블 컨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3837A (ja) * 1998-03-31 1999-10-15 Kyushu Henatsuki Kk 移動変圧器設備
JPH11283838A (ja) * 1998-03-31 1999-10-15 Kyushu Henatsuki Kk トラック搭載型移動変圧器設備
KR200176364Y1 (ko) * 1999-08-27 2000-03-15 김용규 무정전 공사장치
KR200438004Y1 (ko) * 2006-11-15 2008-01-16 김경수 케이블 컨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632B1 (ko) * 2021-11-30 2022-04-08 김태형 특고압전선의 활선 작업용 슬리브를 이용한 설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526A (ko) 2023-07-04
KR20230098525A (ko) 2023-07-04
KR102598786B1 (ko) 2023-11-07
KR102549097B1 (ko) 2023-06-30
KR102598787B1 (ko)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4948A (ko)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US20190334328A1 (en) Method for performing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work within section in de-energized line state by separating wires within pole-to-pole span by means of insulated live wire grip and bypass jumper cable
KR100769583B1 (ko) 무정전 공법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지상 변압기 교체방법
KR102598786B1 (ko)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KR102176617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수배전설비의 보안점검시스템
CN106300104B (zh) 应急电源车与低压架空导线的通用型连接装置及其应用
KR100479320B1 (ko)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
KR101123272B1 (ko)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KR20080041785A (ko) 지중 배전선로 상의 지상변압기를 무정전 공법에 의해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지상 변압기로의 교체방법
KR100757730B1 (ko) 지중선의 무정전 공법
KR100696675B1 (ko) 특별고압 수전설비
US8322494B2 (en) Temporary main switch arrangement for connecting power supplies of a power tool and an elevator
KR101837131B1 (ko) 통합모듈형 전자개폐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설비
KR101736175B1 (ko) 절연스틱 및 공사용 개폐기를 이용한 사선작업 공간확보 무정전 공법
KR101008234B1 (ko) 접지가 형성된 특별고압 수변전설비
KR100940230B1 (ko) 접지가 형성된 가스 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KR20200071557A (ko)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KR100960025B1 (ko) 접지가 형성된 기중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KR102622675B1 (ko) 지상변압기 엘보접속재 3상일괄분리연결장치와 피드쓰루를 이용한 지상변압기 무정전교체방법
KR102565258B1 (ko)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용 어댑터
KR102098552B1 (ko) 3웨이 저압케이블 접속 장치
KR19990064561A (ko) 씨제이에스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
KR102262386B1 (ko) 시험용 단자대 디지털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변압기 보호반
KR20100005384U (ko) 고압 단상 고체절연개폐기가 내장된 이동용 단상 변압기장치
KR200176364Y1 (ko) 무정전 공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