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503A -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 Google Patents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503A
KR20140037503A KR1020120103728A KR20120103728A KR20140037503A KR 20140037503 A KR20140037503 A KR 20140037503A KR 1020120103728 A KR1020120103728 A KR 1020120103728A KR 20120103728 A KR20120103728 A KR 20120103728A KR 20140037503 A KR20140037503 A KR 20140037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ire
corrugated pipe
corrugat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093B1 (ko
Inventor
이상도
박봉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2010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0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은: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측 방향으로 전선이 삽입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관부재; 및 관부재의 일단과 이웃하는 다른 관부재의 타단에 마련되고, 관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관부재는, 전선이 개구로 삽입되도록 제1삽입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전체 또는 일부 길이 구간이 주름지게 형성되는 파형관; 및 파형관의 양측에 상기 파형관의 직경보다 협소하게 형성되어 전선의 둘레가 고정되고, 제1삽입부와 연결되어 전선이 개구를 통해 삽입되도록 제2삽입부가 형성되며, 결속부가 양단에 구비되는 고정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CABLE PROTECT PIPE FOR HIGH TENSION WIRE OF CORRUQATED PIPE TYPE}
본 발명은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방호관 일부 구간이 파형관부로 제작되어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전선 삽입부가 V자형으로 벌려져 전선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파형관부 양측에 고정관부를 형성하여 전선 고정을 용이하게 수행하며, 방호 길이에 따라 다수 개의 방호관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전선은 각종 공작물과 가까이 배치되기 때문에 전력선 주변에서 근접작업을 할 때 고전압 전선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감전 재해가 많이 발생한다. 그리고 비, 바람 및 조류 등에 의한 전기공작물과의 이물접촉으로 인하여 정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감전재해 및 정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직선용 절연 방호관을 제작하여 건설현장 등에서 고전압 전선의 직선 부분을 방호조치하여 전력선 근접 작업시 작업종사자의 안전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기존의 직선형 방호관은 약 1.5m정도의 길이로 제작되고, 하부에 질이 방향으로 절개된 개방부가 형성되어 고전압전선을 삽입시 개방부를 강제로 벌린 상태에서 고전압전선을 삽입하여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방호관에 대한 배경기술은 한국 등록실용신공보 제20-0415196호(고안의 명칭: 전선 방호관)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방호관은 개방부를 강제로 벌려 전선을 삽입함으로써, 설치작업시 작업자의 힘이 많이 들고, 방호관 설치 구간이 큰 경우 탈부착 작업이 번거로워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호관은 직관행태로 형성되므로 곡선부위에 적용하기가 어렵고, 방호관 장착길이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방호관 일부를 절개하여 다른 방호관과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호관은 다른 방호관 연결시 클립방식으로 연결하므로 방호관 연결구조가 복잡하고, 연결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적어도 방호관 일부 구간이 파형관으로 제작되어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선 삽입부가 V자형으로 벌려져 전선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전선 분리시 일측 개방면부를 눌러 내측덮개부를 개방하여 전선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파형관의 양측에 전선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관을 구비하여 전선선의 고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정관의 양단부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관에 결속되는 결속부를 마련하여 방호관 간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은,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측 방향으로 전선이 삽입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관부재; 및 상기 관부재의 일단과 이웃하는 다른 관부재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관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부재는, 상기 전선이 개구로 삽입되도록 제1삽입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전체 또는 일부 길이 구간이 주름지게 형성되는 파형관; 및 상기 파형관의 양측에 상기 파형관의 직경보다 협소하게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둘레가 고정되고,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되어 전선이 개구를 통해 삽입되도록 제2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가 양단에 구비되는 고정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파형관의 개구 틈새로 전선이 진입하도록 상기 파형관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진입면부; 및 상기 제1진입면부와 마주 보도록 상기 파형관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진입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진입면부와 상기 제2진입부는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삽입될수록 상기 개구가 점차적으로 벌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파형관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상기 제2진입면부와 절곡되게 연결되어 삽입된 전선이 이탈 방지되도록 상기 파형관 내부에 배치되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진입면부 누름시, 상기 파형관의 타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상기 파형관 내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파형관의 내측 둘레면과 전선을 분리하는 개방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관은 상기 파형관의 중심방향으로 오므려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형관의 중심 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관의 내주 면에는 상기 전선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전선의 둘레면을 감싸는 유동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고정관의 내주 면에 형성되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의 내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전선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탄성접촉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접촉돌부는 상기 패드부의 내측면에 일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설정 간격으로 다수 개 부착되고, 단부가 패드부의 내주 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고정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의 외측 둘레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 및 상기 걸림돌부가 걸려지도록 상기 고정관의 외측 둘레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부는 이웃하는 다른 걸림홈부에 걸려짐에 따라 상기 고정관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고정관으로 진입하는 개구를 갖도록 상기 고정관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제1,제2고정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2고정면부는 구속부에 의해 상기 고정관을 오므려주어 삽입된 상기 전선을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제1,제2고정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공; 상기 끼움공으로 끼워지는 나비볼트; 및 상기 나비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제1,제2고정면부를 각각 오므려 주는 나비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은, 적어도 방호관 일부 구간이 파형관으로 제작되어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 삽입부가 V자형으로 벌려져 전선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전선 분리시 일측 개방면부를 눌러 내측덮개부를 개방하여 전선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형관의 양측에 전선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관을 구비하여 전선선의 고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관의 양단부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관에 결속되는 결속부를 마련하여 방호관 간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측단면도.
도 4는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의 상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에서 전선을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의 상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에서 전선을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은, 관부재(10), 파형관(20), 제1삽입부(30), 고정관(40), 제2삽입부(50) 및 결속부(60)를 포함한다.
관부재(1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측 방향으로 전선이 삽입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개구는 관부재(10)에서 일측 부위가 길이방향으로 절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고전압용 전선(이하 전선이라함)을 삽입하기 위한 틈새 부위이다.
관부재(10)는 개구를 통해 전선(12)이 안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선이 파손되거나, 낙하물이 인해 전선이 파손되거나, 전선에 작업자가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호용 관이다.
관부재(10)는 파형관(20)과 고정관(40)을 포함한다.
파형관(20)은 전선(12)이 개구로 삽입되도록 제1삽입부(30)가 하부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 구간이 주름지게 형성된다.
파형관(20)은 웨이브 형태로 주름짐에 따라 당겨지거나 오므려 질 수 있어 관의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해준다.
파형관(20)은 전선(12)의 직경에 비해 훨씬 크게 형성되어 전선(12)이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해준다.
파형관(20)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너비보다 좌우 너비를 더 크게 형성함에 따라 약간 타원형 단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삽입부(30)는 파형관(20)의 개구 주변에 형성되어 전선이 개구를 통해 안정적으로 진입하게 도와주는 구성이다.
제1삽입부(30)는 파형관(20)의 개구 틈새로 전선(12)이 진입하도록 파형관(2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진입면부(32)와, 제1진입면부(32)와 마주 보도록 파형관(20)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진입면부(34)를 포함한다.
제1진입면부(32)와 제2진입부(34)는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선(12)이 삽입될수록 개구가 점차적으로 벌려지게 형성된다.
파형관(20)의 개구는 전선(12)의 직경에 비해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선(12) 장착시, 제1진입면부(32)와 제2진입면부(34)의 단부에서는 전선(12)이 접촉되지 않지만, 전선(12)을 점차적으로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선(12)이 제1진입면부(32)와 제2진입면부(34) 사이에 접촉하면서 각각의 진압면부(32)(34)를 양측으로 벌려주면서 전선(12)이 벌려진 개구를 통해 파형관(20)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전선(12)의 진입이 완료되면, 벌려진 제1진입면부(32)와 제2진입면부(34)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져 개구가 좁혀지므로 전선(12)의 이탈을 방지해준다.
제1삽입부(30)는 파형관(20)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제2진입면부(34)와 절곡되게 연결되어 삽입된 전선(12)이 이탈 방지되도록 파형관(20) 내부에 마련되는 덮개부(36)를 구비한다.
덮개부(36)는 제2진입면부(34)와 파형관(20)의 타측 가장자리 기준으로 Y자 형태로 배치되므로 덮개부(36)는 개구를 차단하도록 파형관(20)의 내측면에 덮여지게 구성된다.
덮개부(36)는 제1진입면부(32) 누름시, 파형관(20)의 타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파형관(20) 내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파형관(20)의 내측 둘레면과 전선(12)을 분리하는 개방공간(38)이 마련된다.
도 6을 참조하여 파형관(20)에서 전선(12)을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6의 첫 번째 도면에서와 같이, 파형관(20) 내에 전선(12)이 설치된 상태에서 분리하고자 한다면, 도 6의 두 번째 도면과 같이, 제2진입면부(34)를 외측에서 눌러주면, 파형관(20)의 타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덮개부(36)가 파형관(20)의 내측으로 회동하게 되고 전선(12)이 인출할 수 있는 개방공간(38)이 형성된다.
연이어, 개방공간(38)을 통해 전선(12)을 인출하고, 도 6의 세 번째 도면과 같이, 제1진입면부(32)와 제2진입면부(34)를 양측으로 당겨 개구를 벌려 주고, 전선(12)을 벌려진 개구를 통해 제1진입면부(32)와 제2진입면부(34) 사이 공간부로 인출하면 분리가 이루어진다.
고정관(40)은 파형관(20)의 전체 둘레가 중심방향으로 오므려지게 형성되어 파형관(20)의 중심 부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관(40)의 내주 면에는 전선(12)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전선(12)의 둘레면을 감싸는 유동방지부재(44)가 구비된다.
유동방지부재(44)는 고정관(4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천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패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동방지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유동방지부재(144)는 고정관(40)의 내주 면에 형성되는 패드부(146)와, 패드부(146)의 내측면에 마련되고, 전선(12)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탄성접촉돌부(46)를 포함한다.
패드부(146)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접촉돌부(46)는 패드부(146)의 내측면에 일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설정 간격으로 다수 개 부착되고, 단부가 패드부(146)의 내주 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전선(12)이 개구를 통해 고정관(40)에 삽입되고 후술하는 구속부(70)에 의해 조립되는 경우, 탄성접촉부(46)가 휘어지면서 전선(12)의 둘레면을 탄성 가압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결속부(60)는 관부재(10)의 일단과 이웃하는 다른 관부재(10)의 타단에 마련되고, 관부재(10)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결속부(60)가 형성되는 관부재(10)는 고정관(40)이다.
결속부(60)는 고정관(40)의 일단에 형성되고, 고정관(40)의 외측 둘레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62)와, 걸림돌부가 걸려지도록 고정관(40)의 외측 둘레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홈부(64)를 포함한다.
걸림홈부(64)는 이웃하는 다른 걸림돌부(62)에 걸려짐에 따라 고정관(40)을 연속적으로 연결한다.
걸림홈부(64)와 걸림돌부(62)은 고정관(40)의 개구를 제외한 고정관(40)의 단부 둘레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걸림홈부(64)와 걸림돌부(62)가 고정관(40)의 개구를 제외한 전체 둘레면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걸림홈부(64)와 걸림돌부(62)가 서로 조립될 때, 걸림홈부(64)와 걸림돌부(62)가 상호 걸림 단차가 있음에 불구하고 고정관(40)의 개구가 오므려지거나 벌려짐으로써, 상호 안정적으로 탄성 결합 된다.
제2삽입부(50)는 고정관(40)으로 진입하는 개구를 갖도록 고정관(40)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제1,제2고정면부(52)(54)를 포함한다.
제1,제2고정면부(52)(54)는 구속부(70)에 의해 고정관(40)을 오므려주어 삽입된 전선(12)을 가압 고정한다.
제1,제2고정면부(52)(54)는 평상시 약간 벌려진 상태에 있으므로 전선(12)의 굵기에 따라 벌려지는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고정관(40)은 대부분의 전선(12)을 수용할 수 있다.
고정관(40)에 전선(12) 삽입시, 제1,제2고정면부(52)(54) 사이를 벌려주고, 개구를 통해 전선(12)을 고정관(40) 내부로 진입시키고, 구속부(70)로 체결하여 제1,제2고정면부(52)(54)를 조여줌으로써, 전선(12)을 고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구속부(70)는 제1,제2고정면부(52)(54)를 오므려주어 조여줄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던지 적용가능하다.
구속부(70)는 제1,제2고정면부(52)(54)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공(72)와, 끼움공(72)으로 끼워지는 나비볼트(74)와, 나비볼트(74)에 체결되어 제1,제2고정면부(52)(54)를 각각 오므려 주는 나비너트(76)를 포함한다.
제1,제2고정면부(52)(54) 결합시, 작업자의 손으로 조여줄 수 있는 나비볼트(74)와 나비너트(76)를 이용함으로써,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나비볼트(74) 및 나비너트(76)를 적용하는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육각 볼트 및 너트, 기타 다른 기계 체결 요소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물론, 나비볼트(74) 및 나비너트(76)는 작업자가 공구 없이도 조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공구가 떨어짐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으로 지닌다.
한편, 본 발명의 고정관(4)과 파형관(20)의 길이 비율은 1 : 7,5 ~ 15 범위를 갖는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관부재(10) 전체 길이가 150cm인 경우, 파형관(20) 양측에 각각 구비된 2개의 고정관(40)의 합산 길이는 10 ~ 20cm 정도 범위를 가진다. 즉, 1개의 고정관(40)는 5 ~ 10cm 정도 범위를 가진다.
파형관(20)은 고정관(40)에 비해 훨씬 길게 형성된다. 이를 감안하여 파형관(20)은 중심부위가 절개된 상태로 짧게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관부재 20 : 파형관
30 : 제1삽입부 32 : 제1진입면부
34 : 제2진입면부 36 : 덮개부
40 : 고정관 44 : 유동방지부재
50 : 제1삽입부 52 : 제1고정면부
54 : 제2고정면부 60 : 결속부
62 : 걸림돌부 64 : 걸림홈부
70 : 구속부 72 : 끼움공
74 : 나비볼트 76 : 나비너트

Claims (9)

  1.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측 방향으로 전선이 삽입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관부재; 및
    상기 관부재의 일단과 이웃하는 다른 관부재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관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부재는,
    상기 전선이 개구로 삽입되도록 제1삽입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전체 또는 일부 길이 구간이 주름지게 형성되는 파형관; 및
    상기 파형관의 양측에 상기 파형관의 직경보다 협소하게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둘레가 고정되고, 상기 제1삽입부와 연결되어 전선이 개구를 통해 삽입되도록 제2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가 양단에 구비되는 고정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파형관의 개구 틈새로 전선이 진입하도록 상기 파형관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진입면부; 및
    상기 제1진입면부와 마주 보도록 상기 파형관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진입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입면부와 상기 제2진입면부는 역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삽입될수록 상기 개구가 점차적으로 벌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파형관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상기 제2진입면부와 절곡되게 연결되어 삽입된 전선이 이탈 방지되도록 상기 파형관 내부에 배치되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진입면부 누름시, 상기 파형관의 타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상기 파형관 내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파형관의 내측 둘레면과 전선을 분리하는 개방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은 상기 파형관의 중심방향으로 오므려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형관의 중심 부위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관의 내주 면에는 상기 전선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전선의 둘레면을 감싸는 유동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고정관의 내주 면에 형성되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의 내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전선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탄성접촉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접촉돌부는 상기 패드부의 내측면에 일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설정 간격으로 다수 개 부착되고, 단부가 패드부의 내주 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고정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의 외측 둘레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 및
    상기 걸림돌부가 걸려지도록 상기 고정관의 외측 둘레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부는 이웃하는 다른 걸림홈부에 걸려짐에 따라 상기 고정관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고정관으로 진입하는 개구를 갖도록 상기 고정관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제1,제2고정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2고정면부는 구속부에 의해 상기 고정관을 오므려주어 삽입된 상기 전선을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제1,제2고정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끼움공;
    상기 끼움공으로 끼워지는 나비볼트; 및
    상기 나비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제1,제2고정면부를 각각 오므려 주는 나비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1020120103728A 2012-09-19 2012-09-19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101999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728A KR101999093B1 (ko) 2012-09-19 2012-09-19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728A KR101999093B1 (ko) 2012-09-19 2012-09-19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503A true KR20140037503A (ko) 2014-03-27
KR101999093B1 KR101999093B1 (ko) 2019-07-11

Family

ID=5064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728A KR101999093B1 (ko) 2012-09-19 2012-09-19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0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8680A (zh) * 2015-09-22 2015-11-25 国网浙江宁波市鄞州区供电公司 一种卡瓦牙电缆保护装置
CN111092398A (zh) * 2019-12-28 2020-05-01 安庆市晶科电子有限公司 一种易拆分式晶体管用线缆安装支架
KR20220162264A (ko) * 2021-06-01 2022-12-08 이강섭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367A (ja) * 1994-09-28 1996-04-12 Inoac Corp 電線カバー
KR200145697Y1 (ko) * 1996-03-02 1999-06-15 오광석 통풍식 잠바선 보호덮개
KR200339034Y1 (ko) * 2003-10-08 2004-01-16 한국전력공사 애자 방호관
KR20120003193U (ko) * 2010-10-29 2012-05-09 한국전력공사 절연전선용 슬리브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367A (ja) * 1994-09-28 1996-04-12 Inoac Corp 電線カバー
KR200145697Y1 (ko) * 1996-03-02 1999-06-15 오광석 통풍식 잠바선 보호덮개
KR200339034Y1 (ko) * 2003-10-08 2004-01-16 한국전력공사 애자 방호관
KR20120003193U (ko) * 2010-10-29 2012-05-09 한국전력공사 절연전선용 슬리브커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8680A (zh) * 2015-09-22 2015-11-25 国网浙江宁波市鄞州区供电公司 一种卡瓦牙电缆保护装置
CN105098680B (zh) * 2015-09-22 2018-01-19 国网浙江宁波市鄞州区供电公司 一种卡瓦牙电缆保护装置
CN111092398A (zh) * 2019-12-28 2020-05-01 安庆市晶科电子有限公司 一种易拆分式晶体管用线缆安装支架
CN111092398B (zh) * 2019-12-28 2021-04-09 安庆市晶科电子有限公司 一种易拆分式晶体管用线缆安装支架
KR20220162264A (ko) * 2021-06-01 2022-12-08 이강섭 급전선 보호용 방호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093B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4543B2 (en) Insulative wire-clipping bushing
KR200428931Y1 (ko) 전선관 커넥터
KR20140037503A (ko) 파형관 타입의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102342451B1 (ko) 건축용 방호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210113215A (ko) 쿠션 슬리브
KR101399036B1 (ko) 완금 밴드
KR200442541Y1 (ko)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
JP2013225981A (ja) ワイヤハーネス分岐部の保護具
KR102143127B1 (ko) 방호관 취부장치
KR20210023517A (ko) 고전압 전선 방호관
KR100820595B1 (ko)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KR200474488Y1 (ko) 케이블 보호캡
KR101933213B1 (ko) 고압선용 방호관 고정기구
KR200489056Y1 (ko) 전선포설용 캡
KR200179924Y1 (ko) 전선부설용 홈통
KR102156666B1 (ko) 자동차용 박스의 케이블 고정장치
KR20210086752A (ko) 와이어 인출부 고정 밴드 결합 구조
JP6536272B2 (ja) 絶縁カバー
KR20140146404A (ko) 체결성을 증진시킨 조가선 고정용 클램프
JP2015109722A (ja) ワイヤハーネス取付方法
JP6069007B2 (ja) 破断配電線の垂下防止具
JP7504254B1 (ja) ケーブル曲がり部用移動抑制装置
KR102023420B1 (ko) 헤드 이탈방지 구조를 가지는 수공구
US20220390042A1 (en) Conduit management device
KR102658448B1 (ko) 그로멧 이지패싱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