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222B1 -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 Google Patents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222B1
KR101915222B1 KR1020180007344A KR20180007344A KR101915222B1 KR 101915222 B1 KR101915222 B1 KR 101915222B1 KR 1020180007344 A KR1020180007344 A KR 1020180007344A KR 20180007344 A KR20180007344 A KR 20180007344A KR 101915222 B1 KR101915222 B1 KR 101915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ver
branch
wire
cover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명
Priority to KR1020180007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에 따르면, 가공배전선로의 가공전선을 직선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Y형으로 분기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한 종류를 이용하여 직선 분기접속과 Y형 분기접속에 적용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가 밀리거나 편중 이동되지 않고 가공전선과 분기 슬리브가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의 중앙으로 항상 위치되게 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가공전선의 도체의 단면적의 굵기가 다른 경우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외부의 수분 및 이물질이 분기 슬리브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능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Cover for Insulating Branch Connector fo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분기 슬리브를 보호할 수 있는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에 관한 것이다.
가공배전선로는 전주 등의 지지물과 가공전선을 사용하여 지상에 설치한 일정한 전압(예를 들면 22.9kv) 미만의 가공전선('전선로' 라고도 함)과 부속설비를 의미한다.
이러한 가공배전선로는 가공전선을 직선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Y형으로 분기할 때 분기 슬리브가 사용된다.
이러한 분기 슬리브는 별도의 커버로 감싸서 외부의 수분으로부터 접속 개소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분기 슬리브의 접속개소를 절연시키기 위한 커버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98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는 버튼식 분기슬리브 커버에 관한 것으로, 분기 슬리브 커버의 절개면의 결합수단을 누름 버튼식으로 형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분기 슬리브 커버는 분기 슬리브를 내부 공간에 삽입하고 커버 양단의 전선 배출부로 가공전선을 빼낸 후 절연 테이프로 마감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공전선을 Y형으로 분기할 때는 일측 절개면의 단부를 가공전선의 형태에 맞게 칼로 도려내어서 분기선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상술한 공보에 개시된 절연커버로 고공에서 작업할 경우는 작업이 번거로워 절개면 단부를 분기 가공전선에 맞게 칼로 도려내지 않고 분기 가공전선을 방수 절연커버의 절개면의 갈라진 틈으로 인출하여 외부로 빼냄으로써 방수 절연커버의 결합부분이 벌어져 방수 절연커버가 방수 역할을 충분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버 양단 전선 배출부의 절연테이프 마감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시공한 절연테이프가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력 약화 및 절연성능이 저하되어 수분 및 이물질이 커버 내부 공간으로 용이하게 침투한다.
또한, 상술한 공보에 개시된 절연커버를 이용하여 분기 슬리브를 감쌀 때 바람 등의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절연커버의 가운데로 가공전선이 위치하지 않고 방수 절연커버의 일측으로 편중 이동되어 절연 불량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공배전선로의 가공전선을 직선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Y형으로 분기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한 종류를 이용하여 직선 분기접속과 Y형 분기접속에 적용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가 밀리거나 편중 이동되지 않고 가공전선과 분기 슬리브가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의 중앙으로 항상 위치되게 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가공전선의 도체의 단면적의 굵기가 다른 경우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외부의 수분 및 이물질이 분기 슬리브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능이 향상된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는 일측에 절개면을 가지며 내부에 전선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전선이 배출되는 전선 배출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일정한 거리가 떨어져 제공된 제1 이물질 방지판 및 제2 이물질 방지판; 상기 몸체의 절개면 양측단에 형성된 잠금부; 상기 제2 연장부에 절개선으로 형성되어 분기전선이 배출되는 분기선 배출부;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의 일측에 볼록하게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내측 중공부와 연통되게 구비된 주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이물질 방지판과 상기 제2 이물질 방지판에는 제1 전선 지지구와 제2 전선 지지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전선 지지구는 상기 제1 전선 지지구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전선 지지구와 상기 제2 전선 지지구에는 중심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상기 몸체의 내측 중공부에 우레탄을 충진시켜서 구비된다.
상기 분기선 배출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절개면 상측에 다수의 절개선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절개면의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용 끼움홈부로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의 타측에 다수개의 고정용 끼움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용 끼움홈부에는 일부가 연장된 손잡이부가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깔주기면 또는 미끄럼 방지돌기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절개면의 양측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 리브와 장홈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리브에는 수분 배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에 따르면, 가공배전선로의 가공전선을 직선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Y형으로 분기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한 종류를 이용하여 직선 분기접속과 Y형 분기접속에 적용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가 밀리거나 편중 이동되지 않고 가공전선과 분기 슬리브가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의 중앙으로 항상 위치되게 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가공전선의 도체의 단면적의 굵기가 다른 경우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외부의 수분 및 이물질이 분기 슬리브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능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의 내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에 외부 커버가 씌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 제1 연장부(3), 제2 연장부(5), 전선배출부(7, 9), 제1 이물질 방지판(11), 제2 이물질 방지판(13), 잠금부(15), 분기선 배출부(17) 및 주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는 길이 방향으로 일부가 잘라진 절개면(1a, 1b)이 제공된다.
몸체(1)는 일부가 서로 연결되어 중심선(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가운데 부분을 가상으로 연결한 선)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자른 단면이 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몸체(1)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중공의 공간이 형성된다.
몸체(1)에 형성된 중공의 공간에는 분기 슬리브(S)가 수용될 수 있다.
즉, 몸체(1)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모양을 이루고 중심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측이 서로 결합되고, 그의 반대측은 갈라져서 분기 슬리브(S)와 가공배전선로용 가공전선(C, 이하, '가공전선'이라고도 함)을 삽입할 수 있다.
제1 연장부(3)와 제2 연장부(5)는 몸체(1)의 양측이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제1 연장부(3)는 갈라진 부분이 서로 결합된 상태가 될 때 내부에 중공의 공간이 형성된 콘 모양 또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장부(5)는 제1 연장부(3)의 반대측 몸체(1)에 형성되며, 몸체(1)의 일측이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제2 연장부(5)는 갈라진 부분이 서로 결합된 상태가 될 때 내부에 중공의 공간이 형성된 콘 모양 또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전선배출부(7, 9)는 제1 연장부(3)와 제2 연장부(5)에서 연장되어 가공전선(C)이 삽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제1 이물질 방지판(11)과 제2 이물질 방지판(13)은 몸체(1)의 내주면을 따라 중심선측으로 연장된다.
제1 이물질 방지판(11)과 제2 이물질 방지판(13)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가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물질 방지판(11)과 제2 이물질 방지판(13)은 몸체(1)와 제1 연장부(3)와 제2 연장부(5)의 내측 경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물질 방지판(11)과 제2 이물질 방지판(13)은 중심선과 직각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댐(dam) 모양 또는 도넛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물질 방지판(11)과 제2 이물질 방지판(13) 사이에 분기 슬리브(S)가 배치될 수 있다.
분기 슬리브(S)는 가공전선(C)과 분기 가공전선(BC, 이하, '분기전선'이라고도 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이물질 방지판(11)과 제2 이물질 방지판(13)은 가공전선(C)을 고정하는 부분으로 가운데 부분에 제1 전선 지지구(11a)와 제2 전선 지지구(13a)가 형성된다.
제2 전선 지지구(13a)는 제1 전선 지지구(11a)에 비해 그의 크기가 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전선 지지구(11a)는 가공전선(C)이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전선 지지구(13a)는 가공전선(C)과 분기전선(BC)이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선 지지구(11a)와 제2 전선 지지구(13a)는 몸체(1)의 대략 중심선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몸체(1)의 가운데 부분에 가공전선(C)과 분기전선(BC)이 결합되고 이들을 고정하는 분기 슬리브(S)가 몸체(1)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분기 슬리브(S)가 제공된 접속 개소 부분이 바람과 같은 외력에 대해 영향을 덜 받게 되어 안전성과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선 지지구(11a)와 제2 전선 지지구(13a)에는 중심 방향을 향해 끝부분이 뾰죽한 톱니 형태 또는 뾰죽한 모서리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의 돌기부(11b, 13b)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11b, 13b)들은 가공전선(C)과 분기전선(BC)에 밀착되어 눌려질 수 있다.
따라서 가공전선(C)과 분기전선(BC)의 직경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돌기부(11b, 13b)가 단지 가공전선(C) 또는 분기전선(BC)에 접촉될 수 있고, 가공전선(C)의 직경과 분기전선(BC)의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돌기부(11b, 13b)가 눌려지면서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가공전선(C) 또는 분기전선(BC)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도 하나의 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이용하여 분기 슬리브(S)가 설치된 접속 개소를 감싸서 보호할 수 있다.
잠금부(15)는 몸체(1)의 절개면(1a, 1b)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부(15)는 절개면(1b)의 일측에 다수의 고정용 끼움홈부(15a)가 제공되고, 또 다른 절개면(1a)의 일측에 다수의 고정용 돌출부(15b)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용 끼움홈부(15a)와 고정용 돌출부(15b)가 서로 끼움 결합되어 몸체(1)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용 끼움홈부(15a)에는 일부가 연장되어 손잡이부(15c)가 제공된다.
그리고 손잡이부(15c)에는 고공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 편리한 깔주기면 또는 미끄럼 방지돌기들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제1 연장부(3) 또는 제2 연장부(5)에는 분기전선(BC)이 통과하는 분기선 배출부(17)가 제공된다.
분기선 배출부(17)는 칼선과 같은 절개선(17a)이 방사상 방향으로 제공된다. 즉, 분기선 배출부(17)는 사용하지 않을 때, 즉 직선접속을 할 때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절개선(17a)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수분을 차단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분기선 배출부(17)에 단지 분기전선(BC)을 삽입시키면 절개선(17a)이 갈라지면서 분기전선(BC)이 몸체(1)에 삽입될 수 있다(도 1에 도시한 상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고공에서 작업할 때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분기전선(BC)을 분기선 배출부(17)로 통과시킬 수 있어 작업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제1 이물질 방지판(11)과 제2 이물질 방지판(13)에 제공된 제1 전선 지지구(11a)와 제2 전선 지지구(13a)에 별도의 실링부재(도시생략)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는 제1 전선 지지구(11a)와 제2 전선 지지구(13a)에 각각 홈을 파서 결합할 수 도 있으며, 외주면에 홈이 제공된 실링부재를 제1 전선 지지구(11a)와 제2 전선 지지구(13a)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이용하여 가공배전선로용 가공전선을 분기접속하는 과정과 직선 접속을 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2를 참조하여 가공전선(C)과 분기전선(BC)을 분기 접속을 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는 가공전선(C)의 중간부분의 피복을 벗겨낸다.
그리고 작업자는 분기전선(BC)의 끝 부분의 피복을 벗겨낸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가공전선(C)의 피복이 벗겨진 부분과 분기전선(BC)의 끝 부분을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가공전선(C)과 분기전선(BC)이 연결된 부분에 분기 슬리브(S)를 결합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상태의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분기 슬리브(S) 측에 배치한다.
즉, 몸체(1)의 내부에 분기 슬리브(S)가 배치되도록 하고 분기전선(BC)이 분기선 배출부(17)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후 잠금부(15)의 고정용 끼움홈부(15a)에 고정용 돌출부(15b)를 끼운다.
그러면 고정용 끼움돌출부(15b)가 몸체(1)에 제공된 고정용 끼움홈부(15a)에 끼워지면서 몸체(1)와 커버부가 고정되어 결합된다.
이때, 분기전선(BC)은 분기선 배출부(17)의 절개선(17a)이 갈라지면서 별도의 도구 없이도 쉽게 분기선 배출부(17)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몸체(1)의 절개면(1a, 1b)에 제공된 결합리브(19)와 장홈(21)이 서로 끼움결합되어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몸체(1)의 절개면(1a, 1b)는 항상 아래쪽으로 향해 배치되어 시공되므로 혹시 몸체(1)의 내부에 유입된 수분이 있다면 쉽게 수분배출홈(1c)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작업자는 몸체(1)를 분기 슬리브(S)에서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손잡이부(15c)를 잡고 당기는 동작에 의해 몸체(1)의 절개면(1a, 1b)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고공에서 쉽게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편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분기 슬리브(S)의 설치작업과 분기 슬리브(S)의 외측에 배치되는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장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전선배출부(7, 9)의 외측과 가공배전선로용 가공전선(C)에 절연 테이프를 감아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의 내부로 수분과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작업자가 가공배전선로용 가공전선을 직선으로 접속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상태로 분기선 배출부(17)를 손상시키지 않고 상술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공전선(C)의 직선 접속을 수행한 후에도 분기선 배출부(17)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외부의 수분이 몸체(1)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를 이용하여 가공배전선로용 가공전선의 직선 접속은 분기 접속을 수행할 수 있고 분기 슬리브(S)측에 외부의 수분과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선 접속에서 가공배전선로용 가공전선(C)의 분기 슬리브(S) 부분이 항상 몸체(1)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되어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거나 습기에 노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몸체(1)의 외주면에 몸체(1) 내부의 중공의 공간과 연통되는 주입구(7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몸체(1)의 내부에 분기 슬리브(S)가 배치되도록 하고 분기전선(BC)이 분기선 배출부(17)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후 잠금부(15)의 고정용 끼움홈부(15a)에 고정용 돌출부(15b)를 끼워서, 몸체(1)의 내부에 중공의 공간이 형성되면, 상기 주입구(70)로 우레탄(90)을 주입하면 우레탄(90)이 몸체(1)의 내부에 중공의 공간속으로 들어가 분리슬리브(S)를 감싼 상태로 굳게 되어 빗물이나 이물질이 미세한 틈새를 통하여 몸체(1) 내부로 간혹 유입된다 하더라도 우레탄(90)에 가공전선(C)의 결속 부위로는 침투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몸체(1)의 외측에는 몸체(1)가 덮히도록 하면서 몸체(1)에 체결되는 외부커버(100)가 구비된다.
외부커버(100)는 몸체(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중공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면서 구비되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며, 양측단에는 상기 전선배출부(7, 9)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결합되는 커버배출부(170, 190)가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외부커버(100)도 몸체(1)와 마찬가지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모양을 이루고 중심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측이 서로 결합되고 그의 반대측은 갈라져서 몸체(1)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외부커버(100)에도 몸체(1)에 구비된 것과 마찬가지로, 갈라진 부분에 절개면이 형성되며, 절개면에 몸체(1)에 구비된 것과 마찬가지로 커버잠금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잠금부(150)에도 절개면의 일측에 다수의 고정용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또 다른 절개면의 일측에 다수의 고정용 돌출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커버(100)도 고정용 끼움홈부와 고정용 돌출부가 서로 끼움 결합되어 외부커버(100)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커버(100)에 구비된 고정용 끼움홈부에도 일부가 연장되어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커버(100)에 구비된 손잡이부에도 고공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 편리한 깔주기면 또는 미끄럼 방지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1)의 외측에 외부커버(100)를 더 구비하여 몸체(1)가 덮히도록 하면, 몸체(1) 측에 외부의 수분과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기능을 향상시키면서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외부커버(100)에는 일측 및 타측에 복수의 미니팬부(600)가 구비되고, 외부커버(100)의 내측면에는 습도센서(300)가 구비되며, 외부커버(100)의 외측면에는 태양광 발전부(200)가 구비된다.
미니팬부(600)는 외부커버(100)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통공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미니팬(400)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미니팬(400)으로부터 외부로 이격된 위치에, 일측이 회전축(610)에 의해 회전 가능한 차단판(630)이 약간 경사진 상태로 통공을 차단하고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였다.
이는 공지의 체크밸브와 유사한 기술적 구성을 갖는 것이며, 이로 인해 차단판(630) 자체 하중에 의해 배기구를 막고 있는 상태이므로, 외부커버(100) 내부의 공기압력이 외부 공기압력보다 높아져 상기 차단판(630)의 하중을 이기게 되면 그때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미니팬(400)이 작동하게 되면 외부커버(100) 내부의 공기가 통공으로 유입되면서 차단판(630)을 밀어내어 외부로 배출되며, 미니팬(400)의 작동이 중지되면 차단판(630) 자체 하중에 의해 통공을 막게 되므로, 외부 공기는 외부커버(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부커버(100)의 내부와 외부의 기온차이 또는 미세한 틈새를 통하여 수분 등의 습기가 외부커버(100)의 내부에 존재하게 되면, 습도센서(300)를 통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습기가 감지되며, 별도로 구비된 제어수단을 통하여 미니팬(400)을 구동시킨다.
이어서, 미니팬(400)이 구동되어 외부커버(100)의 내측에 존재하는 습기 등 부유하는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미니팬(400)은 외부커버(10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복수로 설치되므로, 습기 및 이물질의 배출이 원활하게 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태양광 발전부(200)를 의하여 태양광에 의한 전기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전기는 습도센서(300), 미니팬(400) 및 제어수단을 구동시키는 전력으로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에 따르면, 가공배전선로의 가공전선을 직선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Y형으로 분기하여 접속하는 경우에 한 종류를 이용하여 직선 분기접속과 Y형 분기접속에 적용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가 밀리거나 편중 이동되지 않고 가공전선과 분기 슬리브가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의 중앙으로 항상 위치되게 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가공전선의 도체의 단면적의 굵기가 다른 경우에도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외부의 수분 및 이물질이 분기 슬리브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능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몸체 1a, 1b: 절개면
1c: 수분배출홈 3: 제1 연장부
5: 제2 연장부 7, 9: 전선배출부
11: 제1 이물질 방지판 11a: 제1 전선 지지구
11b, 13b: 돌기부 13: 제2 이물질 방지판
13a: 제2 전선 지지구 15: 잠금부
15a: 고정용 끼움홈부 15b: 고정용 끼움돌출부
15c: 손잡이부 17: 분기선 배출부
17a: 절개선 19: 결합리브

Claims (4)

  1. 일측에 절개면을 가지며 내부에 전선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전선이 배출되는 전선 배출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일정한 거리가 떨어져 제공된 제1 이물질 방지판 및 제2 이물질 방지판; 상기 몸체의 절개면 양측단에 형성된 잠금부; 상기 제2 연장부에 절개선으로 형성되어 분기전선이 배출되는 분기선 배출부;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의 일측에 볼록하게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의 내측 중공부와 연통되게 구비된 주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이물질 방지판과 상기 제2 이물질 방지판에는 제1 전선 지지구와 제2 전선 지지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전선 지지구는 상기 제1 전선 지지구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전선 지지구와 상기 제2 전선 지지구에는 중심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상기 몸체의 내측 중공부에 우레탄을 충진시켜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기선 배출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절개면 상측에 다수의 절개선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절개면의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용 끼움홈부로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의 타측에 다수개의 고정용 끼움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용 끼움홈부에는 일부가 연장된 손잡이부가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깔주기면 또는 미끄럼 방지돌기들이 제공되고;
    몸체의 외측에는 몸체가 덮히도록 하면서 몸체에 체결되는 외부커버가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커버는 몸체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중공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면서 구비되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며, 양측단에는 상기 전선배출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결합되는 커버배출부가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외부커버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모양을 이루고 중심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측이 서로 결합되고 그의 반대측은 갈라져서 몸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커버에는 갈라진 부분에 절개면이 형성되며, 절개면에 커버잠금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잠금부에는 절개면의 일측에 다수의 고정용 끼움홈부가 형성되고, 또 다른 절개면의 일측에 다수의 고정용 돌출부가 형성되어, 고정용 끼움홈부와 고정용 돌출부가 서로 끼움 결합되어 외부커버를 일체로 결합하고; 외부커버에 구비된 고정용 끼움홈부에도 일부가 연장되어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외부커버에 구비된 손잡이부에도 깔주기면 또는 미끄럼 방지돌기들이 형성되고;
    외부커버의 일측 및 타측에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공기가 연통되도록 하는 미니팬부가 복수로 구비되고, 외부커버의 내측면 상부에는 습도센서가 구비되며; 미니팬부는 외부커버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통공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미니팬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일측의 미니팬으로부터 외부인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부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한 차단판이 일측을 향하여 하부로 경사진 상태로 통공을 차단하고 있는 구조로 구성되고;
    타측의 미니팬으로부터 외부인 타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부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한 차단판이 타측을 향하여 하부로 경사진 상태로 통공을 차단하고 있는 구조로 구성되고;
    일측의 차단판 및 타측의 차단판은 자체 하중에 의해 통공을 막고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로 구비된 제어수단을 통하여 미니팬이 작동하게 되면 외부커버 내부의 공기가 통공을 통하여 외부 방향으로 유입되면서 차단판을 밀어내어 외부로 배출되며, 미니팬의 작동이 중지되면, 차단판 자체 하중에 의해 통공을 막게 되어, 외부 공기는 외부커버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며;
    외부커버의 내부와 외부의 기온차이 또는 미세한 틈새를 통하여 수분 등의 습기가 외부커버의 내부에 존재하게 되면, 습도센서를 통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습기가 감지되어, 별도로 구비된 제어수단을 통하여 미니팬을 구동시키고, 미니팬이 구동되어 외부커버의 내측에 존재하는 습기 및 부유하는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외부커버의 외측면에는 태양광 발전부가 더 구비되며, 태양광 발전부에 의하여 태양광에 의한 전기가 생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전기는 습도센서, 미니팬 및 제어수단을 구동시키는 전력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절개면의 양측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 리브와 장홈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리브에는 수분 배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KR1020180007344A 2018-01-19 2018-01-19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KR101915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44A KR101915222B1 (ko) 2018-01-19 2018-01-19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44A KR101915222B1 (ko) 2018-01-19 2018-01-19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222B1 true KR101915222B1 (ko) 2018-11-05

Family

ID=6432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344A KR101915222B1 (ko) 2018-01-19 2018-01-19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2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741B1 (ko) 2019-01-15 2019-07-01 (주)디케이이엔지 가공 배전선로의 슬리브 절연커버장치
KR102281377B1 (ko) * 2020-05-08 2021-07-26 (주)젠트로그룹 케이블 보호관용 마감캡 구조
KR20210125664A (ko)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엠에스그리드 분기슬리브 커버
KR20220043258A (ko)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엠에스그리드 분기슬리브 커버
KR102382974B1 (ko) 2021-06-11 2022-04-08 주식회사 태양전설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라인 고정용 스트랍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313B1 (ko) * 2006-07-31 2006-10-31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
KR101293719B1 (ko) * 2013-04-26 2013-08-20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313B1 (ko) * 2006-07-31 2006-10-31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
KR101293719B1 (ko) * 2013-04-26 2013-08-20 주식회사 성진티이씨 공동주택의 안정된 전원배치를 위한 배전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741B1 (ko) 2019-01-15 2019-07-01 (주)디케이이엔지 가공 배전선로의 슬리브 절연커버장치
KR20210125664A (ko) 2020-04-09 2021-10-19 주식회사 엠에스그리드 분기슬리브 커버
KR102281377B1 (ko) * 2020-05-08 2021-07-26 (주)젠트로그룹 케이블 보호관용 마감캡 구조
KR20220043258A (ko)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엠에스그리드 분기슬리브 커버
KR102382974B1 (ko) 2021-06-11 2022-04-08 주식회사 태양전설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라인 고정용 스트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222B1 (ko)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US4451696A (en) Toolless splice sealant device
US4387268A (en) Sleeve for protecting splices in electric or telephone cables
US5533912A (en) Submersible electrical set screw connector
US4039742A (en) Waterproof cable splice enclosure kit
US6866032B2 (en) Tool and method for preparing a block for receiving an electrical receptacle
US2946839A (en) Sleeve type joint protector
KR20170003373U (ko)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MXPA06012214A (es) Sello para conductores para receptaculos de iluminacion para albercas y tinas.
KR102376999B1 (ko)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US5258572A (en) Distributing box for underground cables
KR20170103302A (ko) 가공배전선로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US6881094B2 (en) Integrated electrical receptacle system for outdoor application
EP1710868A2 (en) Sealing element for terminal portions of multipolar cables
KR101995893B1 (ko) 전선 방호용 절연커버
CA2761988A1 (en) Submersible electrical set-screw connector
KR10170826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US4911654A (en) Device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of or damage to electrical connectors
KR102176418B1 (ko) 관통형 커넥터 주전선 보호커버
KR200342004Y1 (ko)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KR100967891B1 (ko) 완전 방수용 분전함
JPH10233247A (ja) ケーブル接続具
EP3355426A1 (en) Tubular insulating seal and corresponding insulating arrangement
KR200284667Y1 (ko) 건축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용 전기 기구의 방수커버
EP0928044A1 (en) Electrical cable branch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