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313B1 -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 - Google Patents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313B1
KR100639313B1 KR1020060072419A KR20060072419A KR100639313B1 KR 100639313 B1 KR100639313 B1 KR 100639313B1 KR 1020060072419 A KR1020060072419 A KR 1020060072419A KR 20060072419 A KR20060072419 A KR 20060072419A KR 100639313 B1 KR100639313 B1 KR 10063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insulating cover
insulation
cable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성철
Original Assignee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7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9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having lapped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30Tools for installing cables comprising a spirit level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케이블과 케이블을 압착슬리브로 결속한후 절연테이프를 이용하여 감싸 빗물이나 이물질이 결속부위로 침투되지 않도록 하였으나 이는 장기간에 걸친 온도변화에 의해 절연테이프가 늘어나거나 수축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느슨해지면서 빗물이나 이물질이 절연테이프를 통해 쉽게 결속부위로 침투되어 이로인한 누전이 발생되어 감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블(100a)과 케이블(100b)을 압착슬리브(200)로 결속한후 압착슬리브(200) 외면에 커버를 씌워서 절연되게 한 것에 있어서, 외부의 절연커버를 중공부(301a)(301b)가 형성되게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로 분리 구성하고, 제2절연커버(300b)의 선단에는 플랜지(310b)와 삽지관(320)을 형성하여 제1절연커버(300a)에 형성된 통공(302)으로 삽지관(320)이 끼워지면서 플랜지(310a)에 접면되게 제2절연커버(300b)를 제1절연커버(300a)에 결합하고,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의 중공부(301a)(301b)에는 우레탄(400)을 충진시켜서 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장기간에 걸친 온도변화에 의해서도 케이블(100a)과 케이블(100b)의 결속부위를 감싼 제1결속커버(300a)와 제2결속커버(300b)가 들뜨거나 서로 이격되는등 변형될 우려가 없어 빗물이나 이물질이 결속부위로 침투될 우려가 없으므로 이로인한 누전이 발생되지 않아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고압전기, 케이블,압착슬리브, 제1,2절연커버, 플랜지, 삽지관, 통공,우레탄

Description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Insulated cover for a divergence sleeve of a high tension electricity}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재 커버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재 커버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감싼 상태를 예시한 결합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재 커버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감싼 상태를 예시한 결합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100b : 케이블 110a,110b : 동선
200 : 압착슬리브 300a,300b : 제1,2절연커버
301a,301b : 중공부 302 : 통공
310a,310b : 플랜지 311a,311b : 볼트공
320 : 삽지관 330a,330b : 우레탄주입구
400 : 우레탄 500 : 체결볼트
본 발명은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케이블과 케이블을 압착슬리브로 결속한후 그 결속부위를 장기간에 걸친 온도변화나 주위 환경에 의해서도 변형될 우려가 없는 제1절연커버와 제2절연커버로 감싸줌과 동시에 우레탄으로 도포하므로서 빗물이나 이물질이 결속부위로 침투될 우려가 없어 이로인한 누전현상을 방지하여 감전사고를 미연에 막을 수 있는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 케이블은 내부에 수개의 가닥으로된 동선과 외부의 피복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케이블과 케이블의 결합작업을 위하여 케이블을 분리 절단시킨후 케이블 상호간 또는 내부 동선 상호간의 결합작업은 일반 전기 선로 공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통상의 케이블과 케이블의 결합작업은 케이블의 외부 피복을 벗겨낸후 동선 상호간을 서로 결합시키게 되는데, 상기 두부분의 연결부위는 일반적으로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게 되어서 이부분으로 빗물이나 먼지및 이물질이 침투할 수 있게된다.
이때 이러한 빗물 등의 오염물 유입은 누전으로 이어지는 감전사고를 야기시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부위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보호처리를 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주로 절연테이프를 사용하였다.
즉, 케이블의 동선과 동선은 서로 전류가 통할 수 있도록 압착슬리브를 이용하여 결속되도록 한후 그 압착슬리브위로 절연테이프를 감아서 빗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나 상기 절연테이프는 장기간에 걸친 온도변화에 의해서 늘어나거나 수축되는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절연테이프가 느슨해져 이를 통해 빗물이나 이물질이 쉽게 침투함에 따라 이로인한 누전현상이 발생되어 감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이 지나더라도 케이블과 케이블간의 연결부위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여 이로인한 누전현상을 차단하여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커버를 중공부가 형성되게 제1절연커버와 제2절연커버로 분리 구성하고, 제2절연커버의 선단에는 플랜지와 삽지관을 형성하여 제1절연커버에 형성된 통공으로 삽지관이 끼워지면서 플랜지에 접면되게 제2절연커버를 제1절연커버에 결합하고, 제1절연커버와 제2절연커버의 중공부에는 우레탄을 충진시키므로서 달성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압착슬리브에 결속된 케이블과 케이블을 제1절연커버와 제2절연커버에 의해 감싸지도록 한후 그 제1절연커버와 제2절연커버를 서로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장기간에 걸친 온도변화에 의해서도 제1절연커버와 제2절연커버가 변형될 우려가 없으므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제1절연커버와 제2절연커버를 통해 스며들지 않아 이로인한 누전현상을 방지되어 감전사고를 미연에 차단하므로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재 커버를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재 커버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감싼 상태를 예시한 결합측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재 커버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감싼 상태를 예시한 결합 측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쪽 고압용 케이블(100a)(100b)의 동선(110a)과 동선 (110b)을 압착슬리브(200)로 결속하고, 그 압착슬리브(200)의 외면을 커버를 씌워서 절연되게 한 것에 있어서, 외부의 절연커버를 중공부(301a)(301b)가 형성되게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로 분리 구성하고, 제2절연커버(300b)의 선단에는 플랜지(310b)와 삽지관(320)을 형성하여 제1절연커버(300a)에 형성된 통공(302)으로 삽지관(320)이 끼워지면서 플랜지(310a)에 접면되게 제2절연커버(300b)를 제1절연커버(300a)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의 중공부(301a)(301b)에는 우레탄(400)을 충진시켜서 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311a)(311b)는 제 1,2절연커버의 플랜지에 형성된 볼트공이고, (500)은 볼트공에 끼워지는 체결볼트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케이블(100a)과 케이블(100b)을 압착슬리브(200)에 의해 결속시킨후 그 결속부위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재를 이용하여 감싸주도록 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절연재가 장기간이 지나더라도 제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케이블(100a)과 케이블(100b)의 결속부위를 견고하게 감싸 빗물이나 이물질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여 이로인한 누전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케이블(100a)과 케이블(100b)의 일측 끝단의 피복을 벗겨 동선(110a)(110b)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1절연커버(300a)의 중공부(301a)로는 케이블(100a)을 끼우고, 제2절연커버(300b)의 중공부(301b)로는 케이블(100b)이 끼워지도록 하는데 상기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는 후미가 먼저 케이블(100a)(100b)의 동선(110a)(110b)을 통해 끼워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절연커버(300a)를 케이블(100b)에 제2절연커버(300b)를 케이블(100a)에 바꾸어서 끼워주어도 무방하다.
이처럼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를 케이블(100a)(100b)에 각각 끼워준 상태에서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를 각각 후진시켜 케이블(100a)(100b)의 동선(110a)(110b)은 물론 벗겨지지 않은 케이블(100a)(100b)의 피복이 일정길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전류가 통할 수 있는 재질의 압착슬리브(200)를 이용하여 케이블 (100a)(100b)의 동선(110a)과 동선(110b)을 결속하는데 상기 압착슬리브(200)의 중앙부위는 동선(110a)(110b)을 결속하고, 압착슬리브(200)의 양단은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케이블(100a)(100b)을 감싸주도록 한다.
이렇게 압착슬리브(200)을 이용하여 케이블(100a)의 동선(110a)과 케이블 (100b)의 동선(110b)이 서로 전류가 통할 수 있도록 결속시켜 준후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를 전진시켜 서로 밀착되도록 하는데, 상기 제2절연커버(300b)의 전면에는 삽지관(320)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를 밀착시키면 상기 삽지관(320)은 제1절연커버(300a)의 통공(302)속으로 들어가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는 서로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처럼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를 서로 가조립시키면 상기 제1절연커버(300a)의 플랜지(310a)와 제2절연커버(300b)의 플랜지(310b)는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상기 플랜지(310a)(310b)에는 다수의 볼트공(311a)(311b)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볼트공(311a)(311b)을 통해 체결볼트(500)를 관통되게 끼워주면 상기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는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의 내경은 후미는 케이블(100a)(100b)만이 끼워질 수 있는 구경으로 하고, 선단은 압착슬리브(200)가 끼워질 수 있는 구경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로 케이블(100a)(100b)과 압착슬리브(200)를 감싼 상태에서는 제1절연커버(300a)와 제 2절연커버(300b)를 체결볼트(500)로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는 이탈되지는 않는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를 이용하여 압착슬리브(200)로 결속된 케이블(100a)과 케이블(100b)를 견고하게 감싸 빗물이나 이물질이 결속부위로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의 선단 외표면에 중공부(301a)(301b)와 연통되는 우레탄주입구(330a)(330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우레탄주입구(330a)(330b)로 우레탄(500)을 주입하면 우레탄(500)이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의 중공부(301a)(301b)속으로 들어가 도 3에서와 같이 케이블 (100a)(100b)과 압착슬리브(200)를 감싼 상태로 굳게되어 빗물이나 이물질이 제1절연커버(300a)의 플랜지(310a)와 제2절연커버(300b)의 플랜지(310b)사이를 통해 간혹 유입된다 하더라도 우레탄(500)에 의해 케이블(100a)과 케이블(100b)의 결속부위로는 침투되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과 케이블을 감싼 제1절연커버와 제2절연커버가 장기간에 걸친 온도변화나 주의환경에 의해서 변형되지 않는 것은 물론 제1절연커버와 제2절연커버의 중공부로 주입된 우레탄에 의해 빗물이나 이물질이 더욱 케이블과 케이블의 결속부위로 침투될 우려가 없어 이로인한 누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감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양쪽 고압용 케이블(100a)(100b)의 동선(110a)(110b)을 압착슬리브(200)로 결속하고, 그 압착슬리브(200)의 외면을 커버를 씌워서 절연되게 한 것에 있어서,
    외부의 절연커버를 중공부(301a)(301b)가 형성되게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로 분리 구성하고, 제2절연커버(300b)의 선단에는 플랜지(310b)와 삽지관(320)을 형성하여 제1절연커버(300a)에 형성된 통공(302)으로 삽지관(320)이 끼워지면서 플랜지(310a)에 접면되게 제2절연커버(300b)를 제1절연커버(300a)에 결합하고,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의 중공부(301a)(301b)에는 우레탄(400)을 충진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커버(300a)와 제2절연커버(300b)의 일측에는 각각 중공부(301a)(301b)와 연통되게 우레탄주입구(330a)(330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전열재커버.
KR1020060072419A 2006-07-31 2006-07-31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 KR100639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419A KR100639313B1 (ko) 2006-07-31 2006-07-31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419A KR100639313B1 (ko) 2006-07-31 2006-07-31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313B1 true KR100639313B1 (ko) 2006-10-31

Family

ID=3762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419A KR100639313B1 (ko) 2006-07-31 2006-07-31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3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748B1 (ko) * 2007-03-29 2009-05-11 권오주 전선 밀폐 결선방법 및 그 장치
KR100897443B1 (ko) 2009-02-27 2009-05-14 주식회사 헤럴드 변전소 및 배전케이블 보호장치
WO2010035984A2 (ko) * 2008-09-25 2010-04-01 (주)에이스안테나 전력 분배기
KR101915222B1 (ko) * 2018-01-19 2018-11-05 주식회사 동명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KR101993741B1 (ko) 2019-01-15 2019-07-01 (주)디케이이엔지 가공 배전선로의 슬리브 절연커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748B1 (ko) * 2007-03-29 2009-05-11 권오주 전선 밀폐 결선방법 및 그 장치
WO2010035984A2 (ko) * 2008-09-25 2010-04-01 (주)에이스안테나 전력 분배기
WO2010035984A3 (ko) * 2008-09-25 2010-06-24 (주)에이스안테나 전력 분배기
KR100897443B1 (ko) 2009-02-27 2009-05-14 주식회사 헤럴드 변전소 및 배전케이블 보호장치
KR101915222B1 (ko) * 2018-01-19 2018-11-05 주식회사 동명 배전선용 분기 슬리브 절연커버
KR101993741B1 (ko) 2019-01-15 2019-07-01 (주)디케이이엔지 가공 배전선로의 슬리브 절연커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735B2 (en) Crimping terminal for connection between electric cables
RU2456729C2 (ru)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герметизации кабелей, содержащих жидкость
RU25181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ста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KR100639313B1 (ko)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
CN110504646A (zh) 一种线路修复装置
KR102386729B1 (ko)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상기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US8502074B2 (en) Seal for anode connection to cable and method of use
KR20210120368A (ko)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중간접속함
KR200342004Y1 (ko)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KR200461136Y1 (ko)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CN209963294U (zh) 一种绝缘密封接头及其连接结构
KR100521612B1 (ko) 케이블 유체 분사 슬리브
JP2015186296A (ja) 絶縁被覆電線の止水構造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WO2012071032A1 (en) Seal for anode connection to cable and method of use
KR20210025874A (ko) 다중 방수구조를 갖는 전선 연결구조물 및 그 연결방법
US11769609B1 (en) Moisture resistant seal for electrical cable assemblies
JP2015185274A (ja) 絶縁被覆電線の止水構造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CN214898977U (zh) 电缆接头
CN217009593U (zh) 一种加长型电缆中间头
CN210074743U (zh) 高压电缆防水接头
RU47578U1 (ru) Контак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роводников
KR101198704B1 (ko) 접지기능이 있는 통신케이블 연결구조체
CN213278534U (zh) 一种防潮电气接线端子
KR101178797B1 (ko) 방수용 전선 접속 커넥터
EP3934039A1 (en) Conductor connector and cable joi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