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612B1 - 케이블 유체 분사 슬리브 - Google Patents

케이블 유체 분사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612B1
KR100521612B1 KR10-2000-7013198A KR20007013198A KR100521612B1 KR 100521612 B1 KR100521612 B1 KR 100521612B1 KR 20007013198 A KR20007013198 A KR 20007013198A KR 100521612 B1 KR100521612 B1 KR 10052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ble
electrical cable
conduit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0950A (ko
Inventor
글렌 제이. 베르티니
베른드 그라베
케이스 라난
알버트 더블유. 챠우
윌리엄 알. 스타지
Original Assignee
유틸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틸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틸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70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03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02G15/105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connected to the cable shield only

Landscapes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2)는 내부 커넥터와 분사 끼워맞춤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커넥터는 2개의 전기 케이블 섹션의 내측 단부를 수용하는 개구 단부(6,7)를 가진 긴 중공의 전도성 도관(2)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 커넥터는 상기 도관(2)의 개구 단부에 상기 2개의 전기 케이블 섹션의 내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내부 커넥터의 또 다른 구성요소는 상기 긴 중공의 전도성 도관을 덮는 응력 조절관이다. 절연 슬리브(152)가 응력 조절관을 덮는다. 압축링(148)은 상기 긴 중공의 전도성 도관(2)의 각 개구 단부에 이웃하여 상기 절연 슬리브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내부 커넥터는 상기 절연 슬리브 및 압축링을 덮는 금속랩을 포함한다. 외피(146)가 금속랩을 덮음으로써 내부 커넥터의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 분사 끼워맞춤부재는 상기 외측 단부 부근에서 전기 케이블 섹션의 외표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외측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표면에 배치된 케이블 어댑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 끼워맞춤부재는 제 1 단부, 제 2 단부 및 유체 분사 개구부를 가진 슬리브(192)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192)의 제 1 단부는 외측 단부 부근에서 전기 케이블 섹션의 외표면의 노출부 위에 끼워진다.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전기 케이블 섹션의 중앙 전도체 부분에 부착된 전도체 접촉구 위에 끼워진다.

Description

케이블 유체 분사 슬리브{CABLE FLUID INJECTION SLEEVE}
본 출원은 "유체 분사 포인트가 구비된 케이블 커넥터"란 명칭으로 1997년 2월 13일자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08/799,547호의 부분 계속출원이다.
본 발명은 스플라이스(splices)와 같은 전기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케이블 내부로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도관 또는 그 동등물에 관한 것이다.
전후 건설붐의 초기, 즉 1950년대 후반 및 1960년대 초반에, 지상 전기 케이블은 눈에 거슬리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지하 전기 케이블 기술이 미적이고 안정적이라는 이유로 개발되고 시행되었다. 초기의 지하 전기 케이블, 즉 평균 전압이 15,000볼트이고 5,000 내지 35,000볼트를 반송하는 중전압 케이블은 절연재로서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하다라는 이유로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MWPE)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그 후, 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가교 폴리에틸렌(XLPE)과 에틸렌 프로필렌 러버(EPR)로 대체되었다. 최근, 수해 억제제(water damage retardant formulation)가 이들 신규한 형태의 절연재에 포함되었다.
초기에, 지하 전기 케이블은 가용수명이 25 내지 40년인 것으로 선전되었다. 그러나, 지하 케이블의 가용수명은 20년을 겨우 넘었으며, 때때로 10 내지 12년 정도로 짧았다. 낡은 HMWPE, XLPE 및 EPR의 대실패는 "워터 트리(water tree)"로 알려진 수해로 인해 근래에 발현되기 시작하였다. 워터 트리는 액체수 또는 이온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중전압 내지 고전압 교류가 중합 유전체(절연재)에 가해질 때 상기 중합체내에서 형성된다. 워터 트리가 성장함에 따라, 워터 트리는 절연재가 파괴될 때까지 중합체의 유전 특성을 손상시키게 된다. 많은 대형 워터 트리가 불완전한 부위 또는 오염 부위에서 시작되지만, 오염은 워터 트리가 전파하기 위한 필수조건은 아니다.
워터 트리의 성장은 전압응력을 감소시키거나, 물 또는 이온을 제거 또는 최소화함으로써 억제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전압응력은 더 두꺼운 절연재를 사용함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 워터 트리의 성장처 역할을 하는 결함 또는 오염물질을 최소화하고 이온원을 제거하기 위해 "청정실" 제조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폴리에틸렌에 워터 트리 억제 화학제를 첨가하거나, 더 고가이면서 워터 트리에 저항할 수 있는 플라스틱 또는 러버를 사용함으로써, 유전체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들이 모두 우수하지만, 이제부터 장착될 전기 케이블의 성능에만 유효하다.
이미 지하에 가설된 전기 케이블에 대한 선택은 더 제한적이다. 첫째, 고장난 전기 케이블 전체를 교체할 수 있으나, 그 비용이 엄청나게 비싸다. 둘째, 워터 트리의 전파로 인한 고장위치를 절단하고 스플라이스로 대체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워터 트리는 케이블이 손상될 때까지 식별할 수 없고, 케이블이 손상된 후에 하는 스플라이싱으로 인해 전기 이용 소비자는 정전을 경험하게 된다. 셋째, 워터 트리를 일으키는 물을 제거하기 위해 질소와 같은 탈수유체로 케이블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 방법은 지하 케이블의 유전 특성을 개선하지만,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는 대형 질소용기를 교체하기 위한 영구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지하 케이블의 손상을 억제하는 더욱 확실한 방법은, 예를 들어 상표명 CABLECURE와 같은 실리콘 유체를 전기 케이블 전선 가닥속으로 분사하는 것이다. 상기 CABLECURE는 지하 케이블내에서 물과 중합반응하여 현재의 케이블 제조에 사용되는 것보다 더욱 개선된 워터 트리 억제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의 절연 특성은 CABLECURE에 의해 안정화될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매우 향상된다.
그러나, CABLECURE로 지하 전기 케이블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는 단점이 있다. 처리할 케이블의 형식에 따라 다른 방법이 사용된다. 2가지 종류의 케이블, 즉 비교적 소형 케이블인 지하 상주 배선(URD) 케이블과, 상기 URD 케이블에 전력을 공급하는 대형 케이블이 존재한다.
급전 케이블을 CABLECURE로 처리하는데 있어서, 주된 문제점은 CABLECURE을 수마일의 급전 케이블에 분사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스플라이스의 기능과 관련된다. 전체 케이블의 직경이 크면 클수록, 스플라이스도 커지며, 케이블 공동의 가압에 의해 발생하는 후프력(hoop forces)도 높아진다. 수마일의 급전 케이블을 따라 CABLECURE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증가된 압력을 차치하고서도, 급전 케이블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종래의 스플라이스에서는 누설되지 않고 CABLECURE의 기준 증기압을 견딜수 있는 후프강도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스플라이스에서의 CABLECURE의 누설은 스플라이스 계면을 따라 오염된 경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스플라이스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스플라이스에서 CABLECURE이 누설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급전 케이블에 CABLECURE를 분사하는 2가지 방법중 하나가 사용되었다. 첫째, 후프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클램프 또는 기타 다른 장치로 스플라이스를 보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호스 클램프(hose clamps) 또는 기타 다른 보강장치가 스플라이스에 필연적으로 가해게 되는 힘이 너무 커서 스플라이스 제조에 사용된 러버 물질이 변형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변형은 스플라이스의 구조적 및 전기적 완전성을 손상시키며, 따라서 분사압력 허용한계를 소폭 증가시키게 된다. 두번째 방법은 CABLECURE를 2개로 분리된 전기 케이블 세그먼트에 분사하기 전에 스플라이스를 제거한 다음, CABLECURE를 분사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2개의 전기 케이블 세그먼트에 2차 폐색 화학 조성물(damming chemical compound)을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CABLECURE의 처치가 완료된 후 상기 2개의 케이블 세그먼트에 설치되는 새로운 스플라이스에 CABLECURE가 침입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폐색 조성물의 예로서 적당한 촉매와 디메틸실리콘 폴리머 및 비닐 가교제의 결합물이 있다. 낮은 점도 및 신속한 경화시간 뿐만 아니라, 폐색 유체는 모든 케이블, 스플라이스 및 기타 다른 부품들과 친화성이 있어야만 한다. 폐색 조성물을 사용하는 상기 방법이 가진 단점은 고가의 폐색 조성물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새로운 스플라이스를 장착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폐색 조성물의 결핍으로 인해 물리적 격벽이 생성되는 경우, CABLECURE가 새로운 스플라이스의 구조적 완전성을 손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한, 비록 짧은 길이지만 케이블의 단부 부근에 폐색 조성물을 분사함으로써, 유전 증강유체가 일시적으로 불연속하게 침투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불연속적인 침투로 인해 처치가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장기간동안 치유되지 않은 케이블 부분이 남게 되고, 먼저 처리된 유전체가 손상될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불연속은 국소적 전기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폐색 유체가 균일한 침투를 방해하는 부위에서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케이블 분사 위치는 그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케이블이 손상되려는 성향을 완화하기 때문에, 충분한 분사, 증기 및 높이로 인한 압력을 다루기 위해 폐색 조성물 또는 보강 장치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은 이상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CABLECURE 분사법은 URD 케이블에서 워터 트리 손상을 처리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URD 케이블의 직경은 급전 케이블보다 작기 때문에, URD 케이블의 스플라이스는 CABLECURE의 증기압을 견딜 수 있다. 또한, URD 케이블의 길이는 통상적으로 짧기 때문에, URD 케이블을 통해 CABLECURE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급전 케이블에 사용된 압력보다 낮은 압력(0 내지 30 psig)이 필요하다; 따라서, URD 케이블의 스플라이스는 통상적으로 긴 급전 케이블과 그 케이블에 일체로 된 스플라이스에 분사하는데 적당한 보통의 압력(30 내지 120 psig)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URD 케이블은 최대 유전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CABLECURE를 유지할 틈새 공간을 케이블 가닥내에 충분히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URD 케이블은 추가적인 CABLECURE가 케이블 가닥으로부터 폴리에틸렌속으로 확산되도록 60일 또는 그 이상의 연장된 습윤기간이 필요하다. URD 케이블이 매우 길거나 높이 변화가 심한 경우, CABLECURE의 중압(120 내지 350psig) 분사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URD에 대한 CABLECURE의 중압 분사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을 치유할 때 스플라이스를 제거하여야만 하고, 그 후 새로운 스플라이스를 추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급전 케이블의 교체 스플라이스와 수리 화학제(repair chemicals)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고가의 폐색 조성물이 필요없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별도의 교체 스플라이스 뿐만 아니라 급전 케이블에 CABLECURE를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도관이 필요없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수리 화학제가 스플라이스의 구조적 완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적당한 중압으로 URD 케이블에 분사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킨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케이블 손상 수리 화학제를 분사하고 위한 케이블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을 제 2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1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케이블 손상 수리 화학제를 분사하고 위한 케이블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을 제 2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5는 케이블 손상 수리 화학제를 분사하고 위한 케이블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을 제 2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3 실시예로서, 부분적으로 노출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세부 상세도이며,
도 7은 케이블 손상 수리 화학제를 분사하고 위한 케이블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을 제 2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4 실시예로서, 부분적으로 노출된 측면도이고,
도 8은 케이블 손상 수리 화학제를 분사하고 위한 케이블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을 제 2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5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9는 케이블 손상 수리 화학제를 분사하고 위한 케이블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을 제 2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6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7 실시예에 의해 연결되도록 제조된 제 1 및 제 2 전기 케이블 섹션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장착하기 전에 상기 제 1 및 제 2 전기 케이블 섹션에 배치된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7 실시예의 내부 커넥터 구성요소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기 케이블 섹션에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7 실시예의 내부 커넥터의 도관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제 1 및 제 2 전기 케이블 섹션과 도관의 결합부에 유체 밀봉구를 제공하기 위한 제 1 밀봉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제 1 및 제 2 전기 케이블 섹션과 도관의 결합부에 유체 밀봉구를 제공하기 위한 제 2 밀봉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케이블 커넥터의 내부 커넥터의 도관 위에 응력 조절관을 부착하고 열수축시키는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케이블 커넥터의 내부 커넥터의 응력 조절관 위에 절연 슬리브를 부착하고 열수축시키는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케이블 커넥터의 내부 커넥터의 응력 조절관의 단부 위에 압축링을 열수축시키는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케이블 커넥터의 내부 커넥터의 응력 조절관 위에 금속랩을 적용하는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9는 제 1 및 제 2 전기 케이블 섹션의 선택적 차폐선을 재연결하는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0은 차폐선이 존재할 때 제 2 금속 랩을 적용하는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케이블 커넥터의 내부 커넥터의 제 2 금속 랩 위에 외피를 부착하고 열수축시키는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2는 제 1 및 제 2 전기 케이블 섹션 사이에 완전히 장착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케이블 커넥터의 내부 커넥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3은 상기 케이블 섹션의 외단부와 전도 접촉구에 부착된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7 실시예의 분사 끼워맞춤부재의 슬리브를 부분적으로 노출시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7 실시예의 분사 끼워맞춤부재의 슬리브의 유체 분사 개구부의 제 1 실시예의 상세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7 실시예의 분사 끼워맞춤부재의 슬리브의 유체 분사 개구부의 제 2 실시예의 상세도이고,
도 26는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7 실시예의 분사 끼워맞춤부재의 슬리브의 유체 분사 개구부의 제 3 실시예의 상세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7 실시예의 분사 끼워맞춤부재의 슬리브의 유체 분사 개구부의 제 4 실시예의 상세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제 7 실시예의 분사 끼워맞춤부재의 슬리브의 유체 분사 개구부의 제 5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전자 케이블 섹션을 수리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은 긴 도관, 예를 들어 전기 케이블 섹션의 일단을 각각 수용하는 2개의 개구단부를 가진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긴 도관은 당해 도관을 길이방향을 따라 2부분으로 분할하는 내벽을 갖되, 각각의 부분은 상기 2개의 전기 케이블 섹션중 하나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의 내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긴 도관은 각각의 부분에 당해 부분의 중공의 내부와 통하는 오리피스를 갖는다. 나사형 플러그와 같은 밀봉장치가 각각의 오리피스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각각의 전기 케이블 섹션 단부와 각각의 도관 단부의 결합부에 유체 밀봉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동에 있어서, 상기 긴 도관의 각 부분의 중공의 내부에 전기 케이블 섹션의 단부를 고정하고, 그 결합부를 밀봉하며, 상기 도관의 오리피스를 통해 도관의 각 부분의 중공의 내부 및 전기 케이블의 섹션 내부까지 수리 화학제를 통과시킴으로써, 물에 의해 손상된 전기 케이블 부분은 수리된다. 상기 도관을 통해 전기 케이블 섹션까지 폐색 화학제를 2차적으로 추가할 필요가 없다. 상기 전기 케이블의 섹션은 도관의 두 부분의 중공의 내부에 고정될 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도관은 2개의 와이어 섹션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스플라이스 역할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긴 도관은 유체 흐름을 증대시키기 위해 각각의 도관 단부에 이웃하여 중공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오리피스와 교차하는 환형 그루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긴 도관은 변형제거를 위해 각각의 도관 단부에 이웃하여 도관 외주에 구비된 환형 그루브를 더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긴 도관은 당해 도관과 유체 밀봉 외장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내부 밀봉구를 수용하는 크기이며 각각의 도관 단부에 이웃하여 도관 외주에 구비된 환형 그루브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의 전기 케이블의 단부가 당해 케이블 단부를 수용하는 중공의 내부를 가진 긴 도관의 단부에 고정된다. 화학제를 통과시키기 위해 단일의 오리피스가 상기 중공의 내부와 통한다. 상기 단일의 전기 케이블 단부와 도관 단부의 접합부에 단일의 유체 밀봉구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내부 커넥터와 분사 끼워맞춤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커넥터는 전기 케이블의 두 섹션의 내부 단부를 연결하며, 전기 케이블의 두 섹션의 내부 단부를 수용하도록 된 개구단부를 가진 긴 중공의 전도성 도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 커넥터는 상기 긴 중공의 전도성 도관의 개구단부에 전기 케이블의 두 섹션의 내부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죔쇠(fastener)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커넥터의 다른 구성요소는 상기 중공의 전도성 도관을 덮기 위한 응력 조절관이다. 절연 슬리브가 상기 응력 조절관을 덮는다. 상기 중공의 전도성 도관의 각 개구단부에 이웃하여 절연 슬리브상에 배치된 압축링이 상기 절연 슬리브를 중공의 전도성 도관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 커넥터는 절연 슬리브와 압축링을 덮기 위한 금속 랩(metal wrap)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 랩을 덮는 외피에 의해 내부 커넥터의 조립이 완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응력 조절관, 압축링 및 외피는 열수축되어 유체 밀봉 조립체를 만들게 된다. 상기 분사 끼워맞춤부재는 전기 케이블 섹션중 하나의 외표면에 부착가능한 케이블 어댑터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어댑터는 외부 하우징을 지지하며, 전기 케이블 섹션의 외단부로부터 떨어진 전기 케이블 섹션의 외표면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외단부에 이웃한 전기 케이블 섹션의 외표면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된다. 상기 분사 끼워맞춤부재는 제 1 단부, 제 2 단부 및 유체 분사 개구부를 가진 슬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의 제 1 단부는 그 외단부에 이웃한 전기 케이블 섹션의 외표면의 노출된 부분 위에 끼워진다. 상기 제 2 단부는 전기 케이블 섹션의 중앙 전도부에 부착된 전도 접촉구 위에 끼워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슬리브는 유체 분사 개구부, 하나의 전기 케이블 섹션, 내부 커넥터 및 다른 전기 케이블 섹션을 통과하는 수리 유체의 통로에 대한 유체 밀봉구를 생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리브는 전술한 유체 밀봉 끼워맞춤부재를 생성하도록 열수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긴 도관 형태로 된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2)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커넥터는 예를 들어 튜브, 파이프 또는 유체를 전송할 수 있는 유사한 형태의 기타 다른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외부(4), 단부(6,7) 및 내벽(10)에 의해 2개의 중공 부분(12,14)로 분할되는 내부(8)를 갖는다. 상기 중공부(12,14)는 각각 케이블 섹션 또는 전기 케이블의 단부를 수용하는 형태 및 크기를 갖는다. 외부 절연재가 박피된 케이블 부분이 각각의 중공부에 삽입된다. 그 후, 커넥터의 각 단부(6,7)를 클림핑함으로써, 케이블의 단부는 케이블 커넥터에 고정된다. 적절한 클림핑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커넥터의 외부(4)에 클림핑 가이드(28,30)가 제공된다. 클림핑 가이드(28,30)에 이웃하여 케이블 커넥터의 외부(4)에 변형제거 그루브(24,26)가 각각 배치되며, 케이블 커넥터가 크림핑될 때 발생하는 변형력을 제거한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단부(6,7)에는 2개의 오리피스(16,18)가 제공되며, 이는 케이블 속으로 케이블 손상 수리 화학제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오리피스(16)는 케이블 커넥터의 중공부(12)와 통하며, 오리피스(18)는 중공부(14)와 통한다. 하기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각각의 오리피스(16,18)는 화학제가 오리피스를 통해 펌핑된 후 폐쇄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커넥터의 내부(8)로 유체가 용이하게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중공부(12,14)의 내부에 내부 환형 그루브(20,22)가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단부에 수용된 각 케이블의 외부 주위에 오리피스를 통해 펌핑된 화학제를 보내도록, 상기 내부 그루브(20,22)는 오리피스(16,18)와 각각 교차한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2)의 외부(4)에는 커넥터의 단부(6,7)에 이웃하게 환형 밀봉 그루브(32,3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밀봉 그루브는 하기된 바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2)와 전기 케이블 섹션 또는 케이블 사이에 증대된 밀봉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O링 또는 기타 다른 공지의 밀봉재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다.
도 3은 전기 케이블에 케이블 커넥터(2)를 부착하는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O링 또는 기타 다른 밀봉재가 밀봉 그루브(32)에 사용되지 않았으며, 밀봉 그루브(32)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 대신, 외피(36)와 커넥터(2) 및 케이블(38) 사이에 넓은 밴드 밀봉재(33)가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외피(36)가 예를 들어 비닐일 경우, 외피(36) 자체가 누설없는 긴밀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넓은 밴드 밀봉재(33) 대신, 외피(36)와 커넥터(2) 및 케이블(38) 사이에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36)는 케이블 커넥터(2)의 단부 위에 초기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피(36)는 탄성이 있거나 열수축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액체 밀봉 물질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러버, 비닐, 폴리에틸렌 또는 나일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절연재(40) 및 케이블 가닥(42)으로 이루어진 케이블(38)이 케이블 커넥터의 단부에 삽입되며 커넥터를 클림핑함으로써 중공부(12)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강철 밴드 또는 클램프, 또는 기타 다른 고장력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선택적 외피 커넥터(44)가 케이블(38)의 케이블 절연재(40)와 케이블 커네터(2) 단부의 결합부에 상기 외피(36)를 고정하는 추가적인 후프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외피(36)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38)이 케이블 커넥터(2)에 고정되면, 예를 들어 실리콘 유체(CABLECURE)와 같은 케이블 워터 손상 수리 화학제가 케이블(38)에 분사된다. 상기 수리 화학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압력 공급원으로부터 튜브 끼워맞춤부재(48)와 연결된 튜브(46)을 통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튜브 끼워맞춤부재(48)는 오리피스(16,18)와 나사식으로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밀봉장치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끼워맞춤부재(48)를 통과한 후, 상기 실리콘 유체는 오리피스(16)를 통해 중공부(12)속으로 흐르게 되고, 여기에서 케이블(38)의 케이블 가닥(42)과 접촉하며, 긴 도관(2)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케이블(38) 속으로 진행하게 된다. 실리콘 유체가 케이블속으로 충분히 분사된 후, 튜브(46)는 제거된다. 상기 튜브 끼워맞춤부재(48)는 오리피스(16,18)에 남아서 오리피스(16,18)를 막을 수 있고, 또는 튜브 끼워맞춤부재(48)가 제거되고 플러그 끼워맞춤부재가 오리피스(16,18)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 워터 손상 수리 화학제 처리가 완료되고, 튜브 끼워맞춤부재(48)로부터 튜브(46)가 탈거된 후, 전기 케이블 또는 케이블 섹션은 전기적으로 활성화된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2)는 전기적으로 도체이기 때문에, 케이블(38)은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연결된 다른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단일의 케이블(38)이 케이블 커넥터(2)의 단부(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화학적으로 수리되는 것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유사한 화학적 수리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해 제 2 케이블이 케이블 커넥터(2)의 단부(7)에 부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2개의 케이블(38)을 고정, 수리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양단부(6,7)를 가진 케이블 커넥터 뿐만 아니라, 단부(7) 대신 다른 장치에 연결된 공지의 전도체와 단지 하나의 케이블(38)을 고정하기 위해 단부(7)없이 단부(6)만을 가진 케이블 커넥터(2)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며,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도 3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3의 제 1 실시예와 도 4의 제 2 실시예의 주된 차이점은 도 4의 제 2 실시예에서 케이블 커넥터(2)의 단부(6)에 이웃한 밀봉 그루브(32) 내에 O링 또는 밀봉구(50)가 위치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구(50)는 외피(36)와 케이블 커넥터(2)의 단부(6)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 2 밀봉구(50)가 케이블(38)의 케이블 절연재(40)와 외피(36) 사이에 배치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외피(36)는 외피(36)와 케이블(38), 외피(36)와 케이블 커넥터(2)의 단부(6) 사이에 밀봉구(5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오목부가 존재하도록 휘어진다. 추가적으로, 상기 외피(36)는 케이블 커넥터(2)의 단부(6)의 케이블(38) 부착 결합부에 추가적인 밀봉을 제공하도록 하는 볼록한 중앙부가 존재하도록 휘어진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동일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도 3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3의 제 1 실시예와 도 5 및 도 6의 제 3 실시예의 주된 차이점은 도 5 및 도 6의 제 3 실시예는 케이블(38)의 절연재(40)와 케이블 커넥터(2)의 단부의 결합부에 외피(36)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 대신, 케이블(38)의 절연재(40)와 케이블 커넥터(2)의 단부(6)의 결합부에 나사식 밀봉구(52)가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나사식 밀봉구(52)는 외표면(56)을 가진 환형 내부 밀봉부재(54)를 포함한다. 외표면(56)에는 나사산(58)이 형성된다. 내부 밀봉부재(54)상에는 O링 밀봉구(57)와 함께 압축링(59)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나사식 밀봉구(52)는 바람직하게는 환형상인 외부 밀봉부재(60)를 포함하며, 내부 밀봉부재(54)의 나사산(58)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64)을 갖는다. 케이블(38)의 절연재(40)와 내부 밀봉부재(54) 및 압축링(59)의 양 결합부 사이에 탄성 팩킹(68)이 배치되며, 케이블 커넥터(2)의 단부(6)와 내부 밀봉부재(54) 사이에 탄성 팩킹(69)이 배치된다. 내부 밀봉부재(5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식 밀봉구(52)를 통해 케이블 워터 손상 수리 화학제가 통과하여 케이블(38)의 케이블 가닥(42)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70)를 갖는다. 작동에서, 외부 밀봉부재(60)와 내부 밀봉부재(54)의 나사결합은 압축링(59)을 통해 탄성 팩킹(68)에 축력을 가하는 반면, 내부 밀봉부재(54)는 탄성 팩킹(69)에 대향 축력을 가하여 완전한 밀봉을 구현하게 된다. 제 3 실시예에서, 커넥터(2)는 당업계에 공지된 커넥터일 수 있으며, 제 3 실시에의 엘리먼트는 케이블 가닥(42)의 상부, 절연재(40)와 커넥터(2) 사이에 배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개시된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엘리먼트는 도 3의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참조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케이블(38)의 절연재(40)와 케이블 커넥터(2)의 단부(6)의 결합부에 외피(36)가 배치되는 도 3의 제 1 실시예와는 다르게,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는 스프링 밀봉구(72)가 사용된다. 스프링 밀봉구(72)는 스프링(78)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중공 내부(76)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환형상인 스프링 수용부(74)를 포함한다. 또한, 스프링 밀봉구(72)는 스프링 밀봉구(72)가 고정될 때 스프링(78)을 압축하도록 스프링 수용부(74)의 중공 내부(76)와 결합되는 환형 세장(細長)부(80)를 포함한다. 스프링 수용부(74)를 관통하는 홀(82)은 상기 중공 내부(76)와 통하며, 세장부(80)가 스프링 수용부(74)의 중공 내부(76)로 삽입될 때 홀(84)과 동축으로 정렬된다. 핀(86)이 스프링 수용부(74)의 홀(82)과 세장부(80)의 홀(84)을 통과하여 세장부(80)를 스프링 수용부(74)에 고정하게 된다. 중공 내부(76)의 스프링 수용부(74)와 세장부(80) 사이에 O링형 밀봉구(88)가 구비되며, 케이블(38)의 절연재(40)와 스프링 수용부(74) 사이에 O링형 밀봉구(90)가 구비되고, 케이블 커넥터(2)의 단부(6)와 세장부(74) 사이에 O링형 밀봉구(92)가 구비되어 케이블 수리 화학제가 통과할 수 있는 유체 밀봉 조건을 제공한다. 스프링 수용부(74)를 관통하는 통로(94)가 배치되어 케이블 수리 화학제가 스프링 밀봉구(72)를 통해 케이블(38)의 케이블 가닥(42)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구비된 구성요소를 가지며, 도 3의 제 1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케이블(38)의 절연재(40)와 케이블 커넥터(2)의 단부(6)의 결합부에 외피(36)가 배치된 도 3의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도 8의 제 5 실시예에서, 표준 외경을 가진 절연재(40)의 제 1 부분(100)과 케이블(38)의 절연재(40)의 제 1 부분(10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절연재(40)의 제 2 부분(102)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블 쇼울더(98)에 의해 케이블(38)과 커넥터(2)간의 유체 밀봉 연결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커넥터(2)의 내부(8)의 중공부(12)내의 시트(104)가 쇼울더(98)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시트(104)는 절연재(40)의 제 2 부분(10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제 1 부분(106)과, 절연재(40)의 제 2 부분(102)의 외경보다 큰내경을 가진 제 2 부분(108)을 포함한다. 따라서, 절연재(40)의 제 2 부분(102)은 중공부(12)의 제 2 부분(108)에 삽입될 수 있으나, 상기 절연재(40)의 제 2 부분(102)은 중공부(12)의 제 1 부분(106)의 더 작은 내경보다 너무 큰 외경을 갖기 때문에, 절연재(40)의 쇼울더(98)는 중공부(12)의 시트(104)와 결합되며 커넥터(2)의 단부(6)에 대해 접하게 된다. 케이블(38)과 커넥터(2)의 유체 밀봉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 예를 들어, O링 또는 그 동등물과 같은 환형 밀봉구(110)가 절연재(400의 제 2 부분(102)과 중공부(12)의 제 2 부분(108)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구비된 구성요소를 가지며, 도 3의 제 1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9의 제 6 실시예에서, 케이블 커넥터(2)가 케이블 수리 또는 탈수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유체는 케이블 커넥터(2)의 양단이 아닌 케이블 커넥터(2)의 일단, 즉 단부(6)에서만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수리 또는 탈수유체는 케이블 커넥터(2)를 통해 일방으로 흐르게 된다. 전술한 구성은 케이블 커넥터(2)가 케이블 수리 화학제의 초기 분사위치로부터 케이블(38)까지 멀리 떨어진 경우 유용하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7)의 끼워맞춤부재(48)와 단부(6)의 끼워맞춤부재(48)를 연결하기 위해 튜브(96)가 사용됨으로써, 케이블 커넥터(2)의 단부(6)로 유입되는 케이블 수리 화학제는 내벽(10)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반면, 단부(6)의 끼워맞춤부재(48), 튜브(96), 단부(7)의 끼워맞춤부재(48)을 통과하여 케이블 커넥터(2)에 의해 결합된 케이블(38)의 다른 부분으로 흐르게 된다.
도 10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는 내부 커넥터 부분과 분사 끼워맞춤 부분을 포함한다. 특히,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내부 커넥터 구성요소에 부착되기 이전 상태의 전기 케이블 섹션(120)이 도시되어 있다. 전기 케이블 섹션(120)은 각각 절연재(124)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코어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재(124)는 코어 스크린(126)에 의해 덮혀있다. 코어 스크린(126)은 차폐선(130)에 의해 덮혀있다. 선택적인 외피(130)에 의해 차폐선(128)이 덮혀있다. 전기 케이블 섹션(120)은 각각 절연재(124)의 일부를 제거하여 중앙 코어부(122)가 노출되도록 준비된다. 또한, 절연재(124)를 노출시키도록 코어 스크린(126)의 일부가 제거된다. 차폐선(128)은 중앙 코어부로부터 휘어져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종축에 대체로 평행하게 놓인다.
하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부 커넥터 부분의 도관(132)은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각 중앙 코어부(12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된다. 도관(132)은 각각의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절연재(124)의 노출된 단부와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절연재(124)의 구조적 완전성이 손상되지 않고 유지되고, 도관(132)이 대체 스플라이스 역할을 하는 경우, 그 표면이 이전의 결합물질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각각의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중앙 코어부(122)에 도관(132)을 부착하는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관(132)은 제 1 단부(134) 및 제 2 단부(136)를 가진 중공의 세장형 전도성 튜브부재이다. 도관(132)의 제 1 단부(134) 및 제 2 단부(136)에 이웃하여 복수의 나사식 개구부(138)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4개의 나사식 개구부(138)가 제 1 단부(134) 및 제 2 단부(136)에 각각 이웃하여 구비된다. 나사식 개구부(138)는 볼트(14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다. 바람직하게, 볼트(140)는 조여졌을 때 전기 케이블 섹션(120)을 통해 흐르는 케이블 수리 화학제를 방해하지 않고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중앙 코어부(122)와 접촉할 수 있는 길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관(132)은 중공이기 때문에 각각 제 1 단부(134) 및 제 2 단부(136)에 이웃한 개구부(142,144)를 갖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중앙 코어부(122)에 도관(132)을 부착하기 전에, 본 발명의 내부 커넥터 부분의 추가 구성요소가 상기 2개의 전기 케이블 섹션(120)상에 배치된다. 특히, 외피(146)가 먼저 상기 2개의 전기 케이블 섹션(120)중 하나 위에 배치된다. 그 후, 적어도 2개의 압축링(148)이 동일한 전기 케이블 섹션(120) 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압축링(148)은 외피(146)에 이웃하게 위치되며,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다른 전기 케이블 섹션(120) 위에는 응력 조절관(150)이 배치되며, 응력 조절관(150) 위에는 절연 슬리브(152)가 배치된다. 하기된 바와 같이, 응력 조절관(150)은 2개의 전기 케이블 섹션(120)을 접속시키는 도관(132) 위에 배치된다. 상기 응력 조절관(150)은 접합부 주변의 전기 응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응력 조절관(150)은 열수축성 폴리머 매트릭스내에서 카본 필러로 제조된다. 절연 슬리브(152)는 밀봉뿐만 아니라, 전기적 절연 및 스크리닝(screening)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절연 슬리브(152)는 외부 전도성 스크린과 절연 탄성중합체로 제조된다. 하기된 바와 같이, 압축링(148)은 절연 슬리브(152)와 응력 조절관(150)의 부착부위에서 전기 케이블 섹션(120)에 유체 밀봉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링(148)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가교물질로 제조된다. 외피(146)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케이블 커넥터의 내부 커넥터 부분의 외층이다. 바람직하게, 외피(146)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가교물질과 같은 열수축물질로 제조되며, 외부환경으로부터의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외피(146), 압축링(148), 응력 조절관(150) 및 절연 슬리브(152)는 모두 열수축 물질로 제조됨으로써, 충분한 열에너지가 제공되면 구조물의 직경이 수축하여 유체 밀봉을 보장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절연재(124)의 일부를 제거하여 노출된)중앙 코어부(122)를 도관(132)의 제 1 단부(134) 및 제 2 단부(136)의 개구부(142,144)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도관(132)은 각 케이블 섹션(120)의 중앙 코어(122)에 부착된다. 그 후, 도관(132)의 나사식 개구부(138)에 볼트(140)가 배치된다. 볼트(140)는 수작업으로 조여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볼트(140)는 전단 볼트로서, 적절한 토크를 가하여 볼트(140)의 헤드를 절단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40)의 헤드를 회전시킬 토크를 제공하기 위해 래칫 또는 렌치가 사용된다. 그 후, 볼트(140)의 헤드를 제거함으로써 나사식 개구부(138)에 생성된 갭은, 예를 들어 레이켐(Raychem) 크레이 전기 그레이드 필러와 같은 밀봉 크레이(sealing clay)로 충전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절연재(124)와 도관(132)의 제 1 단부(134) 및 제 2 단부(136) 사이의 결합부는 탄성중합체 특성을 가진 러버 테이프(154)로 감기며, 상기 테이프는 긴밀한 밀봉을 제공하도록 본래 폭의 약 1/2정도 늘어날 수 있다. 도관(132)의 제 1 단부(124)와 제 2 단부(136)에서 적어도 도관(132)의 1.5인치와 절연재(124)의 1.5인치를 덮도록 러버 테이프(154)는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절연재(124)와 도관(132) 위에 감긴다. 그 후, 도 14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레이켐 응력 그래딩 엘로우 보이드 충전 매스틱인 보이드 충전 테이프(156)가 도관(132), 절연재(124) 및 러버 테이프(154) 위에 감긴다. 특히, 보이드 충전 테이프(156)는 감기면서 본래 폭의 약 1/2정도 늘어날 수 있는 탄성중합체 특성을 갖는다. 보이드 충전 테이프(156)는 전단된 볼트(140)가 위치된 나사식 개구부(138)를 덮도록 도관(132)의 제 1 단부(134) 및 제 2 단부(136)를 충분히 덮도록 감긴다. 또한, 보이드 충전 테이프는 절연재(124)가 노출되도록 코어 스크린(126)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코어 스크린(126)과 절연재(124)의 결합부를 감싸는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2개의 전기 케이블 섹션(120)중 하나에 미리 배치된 응력 조절관(150)이 상기 전기 케이블 섹션(120)을 연결하는 도관(132)을 덮도록 이동된다. 상기 응력 조절관(150)은 도관(132), 노출된 절연재(124)의 일부분 및 코어 스크린(126)의 일부를 덮을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응력 조절관(150)을 수축시키기 위해 프로판 토치와 같은 열원이 사용된다. 특히, 응력 조절관(150)이 주름없이 완전히 수축되도록 하기 위해, 응력 조절관(150)의 중앙에서 수축이 시작되어 양단으로 진행하게 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응력 조절관(150)과 같이 동일한 전기 케이블 섹션(120)에 미리 배치된 절연 슬리브(152)가 도관(132)상에 열수축된 응력 조절관(150)을 덮도록 이동된다. 상기 절연 슬리브(152)는 응력 조절관(150)을 덮을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절연 슬리브(152)는 프로판 토치와 같은 열원에 의해 열수축되어지되, 충분한 길이의 절연 슬리브(152)가 열수축될 때까지 절연 슬리브(152)의 중앙부를 먼저 수축시킴으로써, 손으로 비틀었을 때 전기 케이블 섹션(120)에 대해 절연 슬리브(152)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그 후, 절연 슬리브(152)의 2개의 외측 부분중 하나가 열수축된다. 그러나, 이 때, 다른 외측 부분은 열수축되지 않는다. 그 후, 상기 절연 슬리브(152)의 다른 외측 부분이 열수축되며, 이 때 다른 외측 부분은 수축되지 않는다. 그 후, 제 1 외측 부분의 단부가 열수축되며, 마지막으로 제 2 외측 부분의 단부가 열수축됨으로 본 공정이 완료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전기 케이블 섹션(120)중 하나에 배치되었던 압축링(148)이 절연 슬리브(152) 위로 이동되나. 이 때 절연 슬리브(152)는 열수축으로 인해 여전히 고온상태이다. 압축링(148)은 절연 슬리브(152)의 각 단부에 배치된다. 그 후, 압축링(148)은 프로판 토치에 의해, 예를 들어 절연 슬리브상에 열수축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구리 합금을 포함하는 합금 브레이드(braid)(158)가 절연 슬리브(152) 및 압축링(148)상에 감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기 케이블 섹션(120)으로부터 나온 차폐선(128)이 작동영역으로부터 휘어져 합금 브레이드위에 배치된다. 각각의 차폐선(128) 그룹의 단부는 커넥터(160)에 연결된다. 상기 2개의 차폐선(128) 그룹을 연결하기 위해 2개의 커넥터(160)가 와이어 리드(162)에 의해 연결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기 케이블 섹션에 배치되었던 외피(146)를 움직여 합금 브레이드(164)를 덮는다. 예를 들어, 프로판 토치로 외피(146)를 열수축시키되, 외피(146)의 중앙부에서 시작하여 외피(146)가 합금 브레이드(164)를 완전히 덮을 때까지 외측 가장자리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내부 커넥터 부분의 전술한 구조는, 도 1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수리 화학제가 전기 케이블 섹션(120)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2개의 전기 케이블 섹션(120)간의 전도성을 유지한다.
도 23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분사 끼워맞춤 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중앙 코어부(122)를 가진 전기 케이블 섹션(120)이 도시되어 있다. 하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사 끼워맞춤 부재는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외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내측 단부는 도 11 내지 도 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내부 커넥터 부분에 의해 다른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내측 단부와 연결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분사 끼워맞춤부재(176)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몰드 모델 M650S 또는 755LR일 수 있는 케이블 스플라이스(178)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 스플라이스(178)는 스플라이스 하우징(180), 스플라이스 베이스(182)에 탈착가능한 중공부재를 포함한다. 스플라이스 베이스(182)로부터 멀리 떨어진 스플라이스 하우징(180)의 단부는 케이블 어댑터(186)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어댑터 개구부(184)를 포함한다. 케이블 어댑터(186)는 전기 케이블 섹션(120), 바람직하게는 절연재(124) 주변에 부착가능한 칼라(collar)이다. 또한, 케이블 스플라이스(178)는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중앙 코어부(122)의 단부에 부착가능한 단부를 가진 전도체 접촉구(188)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중앙 코어부(122)로부터 멀리 떨어진 전도체 접촉구(188)의 단부는 볼트(190)에 의해 스플라이스 베이스(182)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도체 접촉구(188)는 케이블 스플라이스(178)와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중앙 코어부(12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종래의 케이블 스플라이스 구조와는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스플라이스(178)는 상대적으로 끝이 잘린 케이블 어댑터(186)를 가짐으로써, 전도체 접촉구(188)와 케이블 어댑터(186) 사이에 있는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중앙 코어(122) 부분이 케이블 어댑터(186)에 의해 덮히지 않고 노출된다. 이러한 구조는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케이블 코어(122)를 덮도록 노출된 절연재(124) 부분 위에 분사 끼워맞춤 부재(176)의 분사 슬리브(192)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특히, 분사 슬리브(192)는 절연재(124)와 전도체 접촉구(188)의 단부(194) 위에 배치되어,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중앙 코어부(122)가 내부에 배치되는 유체 분사 챔버(196)를 형성하게 된다. 유체 분사 챔버(196)에 유체를 소통시킬 수 있는 분사 포트(198)가 분사 슬리브(192)에 구비됨으로써, 수리 화학제는 분사 포트(198)로 분사되어, 유체 분사 챔버(196)를 통해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중앙 코어부(122)까지 유입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전기 케이블 섹션(120)이 본 발명의 내부 커넥터 부분에 의해 연결된다면, 수리 화학제는 전기 케이블 섹션(120)을 통과하여 제 2 전기 케이블 섹션(120)으로 분사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내부 커넥터 부분과 분사 끼워맞춤부재(176)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 케이블 섹션(120)을 통해 케이블 수리 화학제를 용이하게 흐르도록 하기 위해, 다른 것과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4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분사 슬리브(192)와 다양한 분사 포트(198)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분사 슬리브(192)는 고온 용융 접착제가 도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다. 특히, 분사 슬리브(192)는 프로판 토치 또는 그 동등물과 같은 열원으로부터 열에너지를 받아 분사 슬리브(192)가 전도체 접촉구(188)의 접촉 단부(194)와 전기 케이블 섹션(120)의 절연재(124) 위에서 용이하게 유체 밀봉되도록 열수축 물질로 제조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분사 포트(198)는 분사 슬리브(198)가 열수축되어 냉각된 후 분사 슬리브(192)에 천공된 개구부일 수 있다. 그 후, 이 개구부는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커넥터(미도시)를 가진 케이블 수리 화학제 공급원과 분사 슬리브(192)가 용이하게 나사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25를 참조하면, 분사 포트(198)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 슬리브(192)가 열수축되기전에 홀을 형성하는 분사 포트(198)가 드릴로 천공된다.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임시 끼워맞춤부재가 상기 홀에 배치된다. 그 후, 분사 슬리브(19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수축되고, 상기 끼워맞춤부재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분사 포트(198)를 남기고 제거되며,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커넥터(미도시)를 가진 케이블 수리 화학제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포트를 통해 케이블 수리 화학제가 분사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분사 포트(198)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 슬리브(192)가 열수축되기전에 홀이 천공된다. 분사 포트(198)를 형성하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싱(202)이 홀에 배치되어 분사 슬리브(192)에 접착제로 연결된다. 그 후, 분사 슬리브(19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수축되고,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커넥터를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싱(202)에 부착함으로써,케이블 수리 화학제는 케이블 수리 화학제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상기 분사 포트(198)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분사 포트(198)의 제 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 슬리브(19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열수축된다. 그 후, 홀이 천공되어 분사 포트(198)를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합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튜브가 분사 포트(198)에 삽입되고, 당업계에 공지된 열접착, 고온 공기, 또는 초음파 에너지에 의해 분사 슬리브(192)내에 밀봉된다.
도 28을 참조하면, 분사 포트(198)의 제 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 슬리브(19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열수축된 후 냉각된다. 그 후, 홀을 형성하는 분사 포트(198)가 분사 슬리브(192)에 천공된다. 튜브(206)가 분사 포트(198)에 삽입된다. 상기 튜브(206)는 비스듬하게 배치된 복수의 핀(208)을 갖는다. 상기 핀(208)이 유체 분사 챔버(196)에 대해 외측으로 꺽여져 있기 때문에, 튜브(206)를 분사 포트(198)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반면 분사 포트(198)로부터 제거하는 것은 핀(208)으로 인해 곤란하게 된다. 또한, 핀(208)은 튜브(206)와 분사 슬리브(192) 사이로부터 유체가 침윤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리적 차폐물 기능을 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저, 중 또는 고전압 조건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전술한 워터 손상 수리 화학제 응용뿐만 아니라 케이블 워터 손상에 대한 공기 건조 기술에 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3)

  1. 외표면, 내측 단부, 외측 단부 및 중앙 전도체 부분을 가진 제 1 정보전송 케이블용 커넥터로서,
    개구 단부를 갖되, 각각의 개구 단부는 상기 제 1 정보전송 케이블의 내측 단부를 수용하고,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중공의 내부를 포함하며, 당해 도관과 상기 제 1 정보전송 케이블의 일부 사이에 유체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도관; 및
    상기 도관을 내부에 밀봉하며, 개구 단부를 가진 제 2 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정보전송 케이블의 중앙 전도체 부분까지 도관의 중공 내부를 통해 유체가 소통할 수 있는 분사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포트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포트내에 긴밀하게 수용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포트내에 긴밀하게 수용된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분사 포트로부터의 튜브 인출을 억제하기 위해 튜브와 일체로 형성된 억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수단은 비스듬하게 배치된 제 1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수단은 비스듬하게 배치된 복수의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수축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송 케이블의 중앙 전도체 부분을 덮도록 된 절연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관은 절연 슬리브상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유체 밀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열수축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외표면, 내측 단부, 외측 단부 및 중앙 전도체 부분을 가진 제 2 정보전송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전송 케이블은 상기 도관의 다른 개구 단부내에 수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정보전송 케이블은 전기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개구 단부중 하나는 제 2 정보전송 케이블의 내측 단부를 수용하여 그 사이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2 도관은 제 2 정보전송 케이블의 일부와 제 2 도관 사이에 유체 밀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외표면, 내측 단부, 외측 단부 및 중앙 전도체 부분을 가진 제 1 전기 케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수리하고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로서,
    제 1 및 제 2 개구 단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된 중공 내부 및 제 1 전기 케이블의 중앙 전도체 부분까지 상기 중공 내부를 통해 유체가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 1 전기 케이블의 내측 단부를 수용하고 유체 밀봉을 형성할 수 있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를 내부에 밀봉하며, 개구 단부를 가진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내에 긴밀하게 수용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내에 긴밀하게 수용된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포트로부터의 튜브 인출을 억제하기 위해 튜브와 일체로 형성된 억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수단은 비스듬하게 배치된 제 1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수단은 비스듬하게 배치된 복수의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수축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 케이블의 중앙 전도체 부분을 덮도록 된 절연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절연 슬리브상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유체 밀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열수축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3. 제 14 항에 있어서, 외표면, 내측 단부, 외측 단부 및 중앙 전도체 부분을 가진 제 2 전기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기 케이블은 상기 슬리브의 다른 개구 단부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 단부중 하나는 제 2 전기 케이블의 내측 단부를 수용하여 그 사이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 2 전기 케이블의 일부와 하우징 사이에 유체 밀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5. 외표면, 내측 단부, 외측 단부 및 중앙 전도체 부분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기 케이블을 통해 수리 화학제를 전송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전기 케이블의 외표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단부 부근에서 전기 케이블의 외표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전기 케이블의 외측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표면에 배치된 케이블 어댑터; 및
    제 1 및 제 2 단부, 유체 분사 포트 및 중공 내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외측 단부 부근에서 전기 케이블의 외표면의 노출부 위에 끼워지고,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전기 케이블의 중앙 전도체 부분에 부착된 전도체 접촉구 위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유체 분사 포트를 수리 유체가 출입할 수 있는 통로에 대한 유체 밀봉을 형성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사 포트내에 긴밀하게 수용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사 포트내에 긴밀하게 수용된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유체 분사 포트로부터의 튜브 인출을 억제하기 위해 튜브와 일체로 형성된 억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수단은 비스듬하게 배치된 제 1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수단은 비스듬하게 배치된 복수의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수축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 케이블의 중앙 전도체 부분을 덮도록 된 절연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절연 슬리브상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유체 밀봉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3.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열수축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0-7013198A 1998-05-27 1999-05-26 케이블 유체 분사 슬리브 KR100521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38598A 1998-05-27 1998-05-27
US09/085,385 1998-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950A KR20010070950A (ko) 2001-07-28
KR100521612B1 true KR100521612B1 (ko) 2005-10-12

Family

ID=2219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198A KR100521612B1 (ko) 1998-05-27 1999-05-26 케이블 유체 분사 슬리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082796A1 (ko)
KR (1) KR100521612B1 (ko)
AU (1) AU4208199A (ko)
BR (1) BR9910722A (ko)
CA (1) CA2333370A1 (ko)
NZ (1) NZ508348A (ko)
WO (1) WO19990621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08743T2 (de) 2000-10-05 2004-07-29 Nexans Kabelverbindung mit verbesserter Verbindung für Abschirmung
US7973241B2 (en) * 2007-09-10 2011-07-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 restraining enclosure for cables
US7635813B2 (en) 2007-09-10 2009-12-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ticle and method for sealing fluid-containing cables
CN103715647A (zh) * 2012-10-09 2014-04-0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电力电缆的冷缩式终端
KR101966786B1 (ko) * 2016-11-15 2019-04-08 대한전선 주식회사 일체형 구조의 초고압 전력케이블 중간 접속함용 도체 연결 슬리브
CN117577380A (zh) * 2023-10-08 2024-02-20 友光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复合电缆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0517A (en) * 1977-12-29 1983-01-25 Hitachi Cable Limited Polyolefin compositions for electrical insulation
US4372988A (en) * 1979-01-22 1983-02-08 Cable Technology Laboratories, Inc. Extension of cable life
US4545133A (en) * 1984-04-20 1985-10-08 American Public Power Associ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longing the service life of electrical power cables
US5372841A (en) * 1993-04-20 1994-12-13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for enhancing the dielectrical strength of cable using a fluid mixture
US5907128A (en) * 1997-02-13 1999-05-25 Utilx Corporation Cable connector with fluid injection 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33370A1 (en) 1999-12-02
AU4208199A (en) 1999-12-13
NZ508348A (en) 2003-11-28
WO1999062156A1 (en) 1999-12-02
BR9910722A (pt) 2001-01-30
EP1082796A1 (en) 2001-03-14
KR20010070950A (ko) 200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9475A1 (en) Cable fluid injection sleeve
CA2280899C (en) Cable connector with fluid injection port
CA2386210C (en) Connections and terminations for cables
CA2666930C (en) Splice for down hole electrical submersible pump cable
US8981224B2 (en) Cable connector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same
CA2713405C (en) Segmented decompression resistant cable splice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10283878B2 (en) Neutral conductor connection protection devices and cover assembly kits,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s including same
KR100521612B1 (ko) 케이블 유체 분사 슬리브
US10381817B1 (en) Cable oil barrier systems for oil-filled cable terminations and assemblies and methods including the same
KR100311750B1 (ko) 전계완화 스페이서를 채용한 초고압 케이블용 가스절연중간접속함
CA224020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ing paper insulated lead cables for use with polymeric attach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