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240U -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240U
KR20120004240U KR2020100012578U KR20100012578U KR20120004240U KR 20120004240 U KR20120004240 U KR 20120004240U KR 2020100012578 U KR2020100012578 U KR 2020100012578U KR 20100012578 U KR20100012578 U KR 20100012578U KR 20120004240 U KR20120004240 U KR 201200042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onnection
wire
body portion
groun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136Y1 (ko
Inventor
박종수
Original Assignee
박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수 filed Critical 박종수
Priority to KR2020100012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13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2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2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1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전주(40)로부터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30)과 지면에 매설되는 접지봉(10)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중간에 별도의 접지선(20)을 매개하여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새로운 형태의 연결부재(50)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50)는, 후면에서 내부 중심쪽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54)가 형성된 몸체부(51a)와, 이 몸체부(51a)의 전방에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58)이 형성되고 전면에서 내측으로 패인 끼움오목부(56)를 갖는 너트체결부(51b)를 갖춘 암연결구(51)와; 후면에서 내부 중심쪽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53)가 형성된 몸체부(52a)와, 이 몸체부(52a)의 전방에 플랜지부(55)로 구획되어 상기 끼움오목부(56)에 밀착 삽입될 수 있게 돌출 형성된 끼움볼록부(52b)를 갖춘 수연결구(52)와; 상기 수연결구(52)의 몸체부(52a)에 관통 조립되고, 상기 끼움오목부(56)와 끼움볼록부(52b)가 상호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체결부(51b)에 형성된 나사산(58)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내주면에 나사산(59)이 형성된 고정너트(57)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50)의 연결부위에는 열경화성 열수축튜브와 같은 밀봉부재(60)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50)의 외주면을 간단하게 밀봉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Connection member for ground line}
본 고안은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 등에서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과, 이 접지선의 말단을 연결시켜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사용될 암수 구조로 체결되는 리드단자 구조를 갖춘 연결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사용하던 연결용 슬리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은 물론, 연결부위의 절연 상태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케이블의 연결부위 및 접속부분은 절연이 가능하도록 테이프를 접착시키거나 절연체로 전선케이블의 노출 부위를 격리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쉽게 접속부위가 벗겨지거나 훼손될 뿐만 아니라 수분이 접촉하게 되면 누전 또는 감전사고의 위험도 뒤따랐기 때문에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근래에 들어 안전성을 고려하면서도 연결부위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전선 접속부분을 완전히 밀폐하는 여러 형태의 전선 분기용 슬리브 등이 제공된 바 있었다.
한편, 송/배전선로는 송/배전용 전선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철탑 혹은 전주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철탑 혹은 전주에는 송/배전선로 및 변압기 등의 기기를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피뢰기가 설치되어 이 피뢰기로부터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을 갖추고 있고, 이 접지선과 지면에 매설된 접지봉을 연결하여 철탑 혹은 전주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지면으로 유도하여 방전하도록 접지 구조를 갖추고 있다.
즉, 송/배전용 가공선로는 공중에 노출된 상태로 장거리에 걸쳐서 이어지기 때문에 낙뢰와 같은 이상전압의 내습을 빈번히 받을 뿐만 아니라 고전압의 혼촉이나 지락사고 등과 같은 장애를 자주 일으킨다. 상기와 같은 사고로 인해 송/배전선로에 내습하는 이상전압이나 전류로부터 각종 배전설비를 보호하고 인명이나 가축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송/배전선로를 타고 내습된 이상전압을 접지선 및 접지봉을 통해 지중으로 신속히 방전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지선과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 사이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접지봉에 리드단자를 구비하여 접지선과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지면에 매설되는 접지봉(100)과 전주(130)로부터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110)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지선(110)을 직접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100)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그 중간에 연결용 슬리브(140)와 리드단자 연결부(121)를 갖춘 별도의 접지선(120)을 매개하여 연결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는 접지봉(100)의 매설 시공에 따른 작업 여건 등을 고려한 조치로써, 상기 접지봉(100)의 리드단자(101)에 리드단자 연결부(121)를 통해 별도의 접지선(120)을 연결하고, 이 접지봉(100)의 리드단자(101)에 연결된 접지선(120)은 연결용 슬리브(140)를 매개로 전주(130)로부터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110)과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이때, 상기 연결용 슬리브(140)는 동 재질로 이루어진 분기용 슬리브의 일종으로써, 양방향으로 각각의 접지선(110,120)을 연결한 다음, 이 연결부위를 절연테이프(150)로 테이핑 작업을 실시하여 마무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그런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연결용 슬리브(140)로 연결된 부위가 지중에 매설되는 것이 통상적인 시공 방식이었다. 그로 인해 상기 연결용 슬리브(140)에 의한 연결부위가 절연테이프(150)로 테이핑 작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그 기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지면 내에서 습기 등으로 인해 시공 접속부위가 쉽게 부식되어 접촉저항을 증가시키고 다시 접속부위의 온도가 상승되어 전해 부식을 가속화하는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단선 등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결용 슬리브(140)는 각 접지선(110,120)과의 연결부위 접지면이 작기 때문에 인장력이 약하여 연결용 슬리브(140) 내에서 각 접지선(110,120이 쉽게 미끄러져 빠져나올 우려가 높았고, 작은 접지면적에 의해 접속부위의 온도가 쉽게 상승하여 연결용 슬리브(140)와 접촉하고 있는 각 접지선(110,120)의 피복이 녹거나 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 접지선끼리의 연결부위를 연결용 슬리브로 연결함에 따른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전주 등에서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과, 이 접지선의 말단을 연결시켜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종래 사용하던 연결용 슬리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은 물론, 연결부위의 절연 상태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지선 연결부위용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주로부터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과 지면에 매설되는 접지봉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그 중간에 별도의 접지선을 매개하여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접지선을 연결할 수 있게 후면에서 내부 중심 쪽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가 형성된 몸체부, 이 몸체부의 전방에 몸체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전면에서 내측으로 패인 끼움오목부가 형성된 너트체결부를 갖춘 암연결구와; 상기 접지선을 연결할 수 있게 후면에서 내부 중심 쪽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가 형성된 몸체부, 이 몸체부의 전방에 플랜지부로 구획되어 상기 끼움오목부에 밀착 삽입될 수 있게 돌출 형성된 끼움볼록부를 갖춘 수연결구와; 상기 수연결구의 몸체부에 관통 조립되고, 상기 끼움오목부와 끼움볼록부가 상호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체결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를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암,수연결구의 상호 끼움 체결로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부위에는 밀봉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밀봉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을 감싸 밀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밀봉부재는 열경화성 열수축튜브이고, 상기 열수축튜브는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부위에 끼움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주 등에서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과, 이 접지선의 말단을 연결시켜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사용될 암수 구조로 체결되는 리드단자 구조를 갖춘 연결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사용하던 연결용 슬리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은 물론, 연결부위의 절연 상태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가 암수연결구로 이루어져 직선형 연결구조를 가지고 있는 관계로,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밀봉부재를 끼워서 연결부위를 매우 긴밀하게 밀봉할 수 있기 때문에, 접지선 연결부위에서의 수분 침투를 차단하여 수분에 의한 부식 문제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지봉과 접지선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결용 슬리브가 이용되어 접지선끼리 연결 시공된 형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지봉과 접지선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결부재가 이용되어 접지선끼리 연결 시공된 형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조립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체결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 조립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가 전주 밑에 매설되는 원형접지체와 접지선을 연결하는 과정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접지봉과 접지선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관련된 것이나, 본 고안의 연결부재는 접지봉과 접지선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배전선로와 같이 전선케이블의 연결을 필요로 하는 곳을 비롯한 기타 산업용 기기에서 종래 연결용 슬리브를 대체하여 전선케이블의 연결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특히,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50)는 암수 구조로 상호 끼움 체결되는 암, 수연결구(51,52)와, 상기 암,수연결구(51,52)의 상호 끼움 체결된 부위를 나사 체결하여 견고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고정너트(5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암연결구(51)는 일정길이를 갖는 몸체부(51a)와, 이 몸체부(51a)의 전방에 몸체부(51a)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58)이 형성되고 전면에서 내측으로 패인 끼움오목부(56)를 갖는 너트체결부(51b)와, 상기 몸체부(51a)의 후면에서 접지선(30)을 연결할 수 있게 내부 중심 쪽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54)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수연결구(52)는 일정길이를 갖는 몸체부(52a)와, 이 몸체부(51a)의 전방에 플랜지부(55)로 구획되어 상기 끼움오목부(56)에 밀착 삽입될 수 있게 반구형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볼록부(52b)와, 상기 몸체부(52a)의 후면에서 접지선(20)을 연결할 수 있게 내부 중심 쪽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53)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암,수연결구(51,52)는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접지선(20,30)의 피복을 벗겨 상기 각각의 전선삽입부(53,54)에 끼움 삽입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끼움오목부(56)와 끼움볼록부(52b)가 상호 끼움 삽입되어 밀착되게 맞물림 됨으로써 양쪽의 접지선(20,30)을 상호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암,수연결구(51,52)의 몸체부(51a,52a)는 원통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몸체부(51a,52a)는 필요에 따라 사각 혹은 다각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암,수연결구(51,52)는 내식성 및 전기전도율이 우수한 스테인레스나 동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수연결구(52)의 전방에 형성되는 끼움볼록부(52b)는 반구형 형태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 역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다만, 상기 끼움볼록부(52b)가 상기 끼움오목부(56)에 상호 밀착되게 끼움 체결되었을 때, 상호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힐 수 있는 형상 구조이면 무엇이든 무방하다. 즉, 암,수연결구(51,52)가 상호 연결되었을 때 상호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혀 접촉저항을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너트(57)는 상기 수연결구(52)의 몸체부(52a)에 관통 조립되고, 상기 끼움오목부(56)와 끼움볼록부(52b)가 상호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체결부(51b)에 형성된 나사산(58)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내주면에 나사산(59)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기 고정너트(57)는 조립 과정에서 상기 수연결구(52)의 후방쪽으로 관통 삽입되고, 상기 수연결구(52)의 플랜지부(55)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나사산(59)이 형성된 내주면에 단턱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고정너트(57)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9)은 상기 암연결구(51)의 너트체결부(51b)에 형성된 나사산(58)과 맞물려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57)와 너트체결부(51b)에 형성되는 나사산수는 3~5개 범위로 형성되어 고정너트(57)를 3~4회 정도만 나사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체결 작업이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체결 작업속도를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50)의 암,수연결구(51,52)가 상호 끼움 체결되고, 상기 너트체결부(51b)에 고정너트(57)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접지선(20,30)끼리의 연결이 완료되면, 지면에 매설되는 상기 연결부재(50)에서 수분 접촉을 최대한 차단하여 연결부위에서의 부식이 일어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종래 단순히 절연테이프로 연결부위를 테이핑하는 방식이 아닌 밀봉부재(60)를 통해 견고하게 연결부위를 밀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밀봉부재(60)는 상기 연결부재(50)에서 수분 접촉을 최대한 차단하여 연결부위에서의 부식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써, 종래 절연테이프와 같은 테이핑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열경화성 열수축튜브나 젤(gel)타입의 조인트(예를 들어, 남해전기(주)에서 생산 시판 중인 "GILS(Gel in Line Splice)"와 같은 저압용 젤(GEL) 조인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특수한 젤(GEL)로 인해 100% 완전방수가 가능한 케이블의 접속 스플라이스(Splice)이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밀봉부재(60)로 열경화성 열수축튜브를 사용할 경우, 상기 연결부재(50)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암,수연결구(51,52))를 모두 감쌀 수 있는 열수축튜브인 밀봉부재(60)가 끼움 삽입되고, 상기 암,수연결구(51,52)의 상호 끼움 체결 후에 상기 밀봉부재(60)에 열을 가함으로써, 간단하게 상기 연결부재(50)의 외주면을 따라 밀봉부재(60)가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완전히 밀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의 시공 과정을 첨부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50)는 전주(40)에서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30)과, 전주(40) 측면의 지면에 매설되는 접지봉(10) 혹은 전주(40) 밑에 매설되는 원형접지체(70)를 상호 연결하는 데 사용하게 된다.
즉, 종래 기술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접지선(30)과 상기 접지봉(10) 혹은 원형접지체(70)를 상호 연결하는 데 있어서, 지중으로 연장된 상기 접지선(30)의 끝단을 상기 접지봉(10) 혹은 원형접지체(70)에 각각 구비된 리드단자(11,71)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으나, 통상 상기 리드단자(11,71)가 상기 접지봉(10) 혹은 원형접지체(70)로부터 매우 짧게 돌출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접지봉(10) 혹은 원형접지체(70)를 지중에 매설하기 전에 사전에 상기 리드단자(11,71)에 별도의 접지선(20)의 리드단자 연결부(21)를 통해 연결하고, 이 연결된 접지선(20)의 다른 쪽 끝단을 작업이 용이한 지면 쪽으로 연장한 다음, 지면에서 상기 전주(40)로부터 연장된 접지선(30)과 상기 리드단자(11,71)에 연결된 접지선(20)을 상호 연결하는 작업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작업 방식으로 상기 접지선(20,30)끼리 연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재(50)를 사용하여 연결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지선(20)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너트(57)가 관통 삽입된 수연결구(52)를 체결 조립한다. 즉, 상기 접지선(20)의 피복을 벗겨서 접지선(20)의 동선을 상기 수연결구(52)의 전선삽입구(53)에 끼우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연결구(52)의 몸체부(52a) 외주면을 압착하여 전선삽입구(53)에 끼워진 접지선(20)의 동선이 빠져나갈 수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한다. 도 4에는 상기 몸체부(52a)의 외주면을 압착함에 따라 형성되는 압착공(61)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상에서는 상기 몸체부(52a)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서 압착공(61)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몸체부(52a) 자체의 단면이 압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전주(40)에서 지중으로 연장된 접지선(30)의 끝단에는 상기 암연결구(51)가 체결 조립된다. 즉, 상기 암연결구(51)의 전선삽입구(54)에 피복이 벗겨진 상기 접지선(30)의 동선이 끼움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연결구(52)의 체결 조립할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암연결구(51)의 몸체부(51a)를 압착하여 압착공(61)이 접지선(30)의 동선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체결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상기 암연결구(51)와 수연결구(52)가 상호 연결이 필요한 각각의 접지선(20,30) 끝단에 체결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암,수연결구(51,52)의 어느 한쪽에 상기 밀봉부재(60)를 끼워서 추후 암,수연결구(51,52)가 상호 체결된 이후에 밀봉부재(60)로 밀봉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즉, 상기 암연결구(51)의 끼움오목부(56)에 상기 수연결구(52)의 끼움볼록부(52b)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 끼움볼록부(52b)가 끼움오목부(56)에 밀착된 상태로 상호 연결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연결구(52)에 관통 삽입되어 있던 상기 고정너트(57)를 암연결구(51)의 너트체결부(51b)쪽으로 이동시켜 고정너트(57)를 너트체결부(51b)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암,수연결구(51,52)가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조립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밀봉부재(60)를 상기 암,수연결구(51,52) 전체를 감싸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열을 가하게 되면, 상기 밀봉부재(60)가 수축하여 상기 암,수연결구(51,52)의 외주면에 경화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50)의 연결부위를 완전히 감싸 밀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접지봉 11,71 : 리드단자
20, 30 : 접지선 21 : 리드단자 연결부
40 : 전주 50 : 연결부재
51 : 암연결구 51a, 52a : 몸체부
51b : 너트체결부 52 : 수연결구
52b : 끼움볼록부 53, 54 : 전선삽입부
55 : 플랜지부 56 : 끼움오목부
57 : 고정너트 58,59 : 나사산
60 : 밀봉부재 61 : 압착공
70 : 원형접지체

Claims (3)

  1. 전주(40)로부터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30)과 지면에 매설되는 접지봉(10)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그 중간에 별도의 접지선(20)을 매개하여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부재(5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50)는, 후면에서 내부 중심쪽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54)가 형성된 몸체부(51a), 이 몸체부(51a)의 전방에 몸체부(51a)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58)이 형성되고, 전면에서 내측으로 패인 끼움오목부(56)가 형성된 너트체결부(51b)를 갖춘 암연결구(51)와;
    후면에서 내부 중심쪽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53)가 형성된 몸체부(52a), 이 몸체부(52a)의 전방에 플랜지부(55)로 구획되어 상기 끼움오목부(56)에 밀착 삽입될 수 있게 돌출 형성된 끼움볼록부(52b)를 갖춘 수연결구(52)와;
    상기 수연결구(52)의 몸체부(52a)에 관통 조립되고, 상기 끼움오목부(56)와 끼움볼록부(52b)가 상호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체결부(51b)에 형성된 나사산(58)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내주면에 나사산(59)이 형성된 고정너트(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연결구(51,52)의 상호 끼움 체결로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재(50)의 연결부위에는 밀봉부재(60)가 구비되고, 상기 밀봉부재(60)가 상기 연결부재(50)의 외주면을 감싸 밀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60)는 열경화성 열수축튜브이고, 상기 열수축튜브는 상기 연결부재(50)의 연결부위에 끼움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KR2020100012578U 2010-12-06 2010-12-06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KR200461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578U KR200461136Y1 (ko) 2010-12-06 2010-12-06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578U KR200461136Y1 (ko) 2010-12-06 2010-12-06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40U true KR20120004240U (ko) 2012-06-14
KR200461136Y1 KR200461136Y1 (ko) 2012-06-22

Family

ID=4687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578U KR200461136Y1 (ko) 2010-12-06 2010-12-06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1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578B1 (ko) * 2020-03-20 2020-12-03 (주)서해전설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6366B (zh) * 2018-10-29 2020-10-30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深井型接地极的上端部绝缘构造
KR102377570B1 (ko) 2021-11-09 2022-03-22 주식회사 엔비플러스 지중배전구조물의 접지라인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990Y1 (ko) * 2007-06-25 2009-04-02 원남운 접지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578B1 (ko) * 2020-03-20 2020-12-03 (주)서해전설 단위 길이로 분리와 결합되는 접지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136Y1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178Y1 (ko) 방수 및 절연용 슬리브
CA2921403C (en) Multi-piece jacket for separable connectors
EP0087267B1 (en) An electrical high-voltage connector and connection assembly
MX2011004213A (es) Conector electrico que tiene mecanismo de alineacion.
TW201513468A (zh) 電纜連接裝置
US3961127A (en) Universal power cable joint for use with power cables having various insulations
KR100850769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200461136Y1 (ko)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KR100751518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US861690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ap with a sacrificial conductor
CN204732629U (zh) 电气设备绝缘快速连接构件
US20160172073A1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KR101562166B1 (ko)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CN204760567U (zh) 绝缘导线l型连接端子
CN204885471U (zh) 电气设备接线端子
CN205070032U (zh) 可带电连接的绝缘导线连接端子构件
KR100819143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CN209963294U (zh) 一种绝缘密封接头及其连接结构
US20160172835A1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KR200342004Y1 (ko)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MX2014004629A (es) Conector electrico con apendice de proteccion.
CN204760584U (zh) 绝缘导线直线型连接端子组件
CN204696267U (zh) 绝缘导线t型连接端子构件
CN204732554U (zh) 绝缘导线t型连接端子
CN204741089U (zh) 绝缘导线直线型连接端子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