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159A - 인클로저용 밀봉 부재 - Google Patents

인클로저용 밀봉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159A
KR20070057159A KR1020077004608A KR20077004608A KR20070057159A KR 20070057159 A KR20070057159 A KR 20070057159A KR 1020077004608 A KR1020077004608 A KR 1020077004608A KR 20077004608 A KR20077004608 A KR 20077004608A KR 20070057159 A KR20070057159 A KR 20070057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passage
sealing member
extending
pass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셜리 이. 볼
시드니 제이. 버그런드
딘 씨. 크렌즈
로날드 제이. 릭스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5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7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multiconduct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밀봉체는 인클로저(14)의 입구 포트(12)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외부면을 갖는 본체(20)를 포함한다. 복수의 통로(30)는 본체(20)의 제1 단부(22)로부터 본체(20)의 제2 단부(24)까지 연장된다. 복수의 통로(30) 각각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부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체 슬릿(34)은 제1 단부(22)로부터 제2 단부(24)까지 연장되고, 외부면으로부터 본체(20) 내의 내부점(38)까지 본체(20)를 관통한다. 복수의 통로 슬릿(36)은 제1 단부(22)로부터 제2 단부(24)까지 연장된다. 복수의 통로 슬릿(36) 각각은 본체(20) 내의 내부점(38)으로부터 복수의 통로 중 대응하는 것까지 본체(20)를 관통한다.
밀봉 부재, 인클로저, 케이블, 슬릿, 통로

Description

인클로저용 밀봉 부재{SEALING MEMBER FOR ENCLOSURES}
본 발명은 케이블과 같은 부재가 내부로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를 갖는 인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인클로저의 벽 내에 개구를 관통함으로써 복수의 부재 둘레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인클로저의 개구 내에 사용하기 위한 밀봉 부재에 관한 것이다.
원격 통신 케이블 및 전기 전력 분배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은 편재하며, 전력 및 모든 방식의 데이터를 광대한 네트워크를 거쳐 분배하는데 사용된다. 대부분의 케이블(전형적으로 구리)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케이블이지만, 점점 더 많은 양의 데이터가 전송됨에 따라 원격 통신 케이블 내에서 광섬유 케이블의 사용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케이블이 전력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 전역에 걸쳐 있기 때문에, 전력 또는 데이터가 네트워크의 "브렌치" 또는 다른 케이블로 분배될 수 있도록 케이블을 주기적으로 개방시키고 접합하거나 케이블 내로 탭핑해야 한다. 케이블 브렌치는 네트워크가 개인 가정, 회사, 사무실 등에 도달할 때까지 더 분배될 수 있다. 케이블의 분배된 라인은 종종 드롭 라인, 브렌치 라인 또는 분배 라인이라 불린다.
케이블이 개방되는 각 지점에서,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다소의 인클로저의 형 태를 제공해야 한다. 통상, 인클로저는 케이블이 관통하여 인클로저로 도입하는 하나 이상의 입구 포트를 갖는다. 인클로저 내의 입구 포트의 수, 입구 포트의 크기, 인클로저로 도입되는 케이블의 수 및 케이블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입구 포트를 관통하는 케이블의 수가 변한다. 종종, 분배된 라인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이 더 작은 직경의 케이블을 갖는 다수의 케이블이 더 큰 단일 입구 포트 내에 묶음 배치된다. 이는 개인 가정, 빌딩, 사무실 등과 같이 다수의 더 작은 케이블들이 단일 지점에서 복수의 위치로 전해지는 곳에서는 특히 일반적이다.
관통하는 케이블의 수에 상관없이, 각각의 입구 포트에서는 종종 수분, 먼지, 벌레 등이 인클로저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케이블 둘레에 밀봉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요구된다. 케이블 둘레에 밀봉을 제공하는 현존 방법들은 전형적으로 수지 물질 또는 고무 테이프로 케이블을 묶는 단계를 수반한다. 이러한 밀봉 방법은 단점이 많다. 최종 밀봉의 질은 설치자의 기술에 크게 의존하고, 그에 따라 전형적으로 설치자마다 일치되지 않는다. 또한, 케이블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신뢰성 있는 밀봉을 형성하기가 더욱 더 어려워진다.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수지 또는 고무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은 입구 포트 내에 케이블을 추가 또는 제거하기 위해 인클로저로 재진입되는 것이 요구될 때 어려움을 발생시킨다. 특히, 낡은 밀봉 재료는 케이블을 손상시키지 않고 제거되어야 하며, 새로운 밀봉이 형성되어야 한다. 밀봉체의 제거 및 재조립은 추가적인 시간 및 재료의 사용을 요구하며, 따라서 네트워크를 유지 또는 확장시키는 비용이 추가된다.
수지 또는 고무 테이프 밀봉의 전술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클로저 내에 입구 포트의 수용성을 확대하도록 미리 형성된 그로밋(grommet)을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었다. 전형적으로, 그로밋은 인클로저 입구 포트에 끼워 맞춤되는 크기이며, 더 작은 직경의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수의 구멍을 갖는다. 케이블은 그로밋 내에 구멍을 통해 나사 결합되고, 이어서 그로밋은 입구 포트 내에 고정된다. 이런 그로밋은 그로밋 개구를 통해 나사 결합하기 위한 케이블 자유 단부를 구비해야 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많은 적용예에서 케이블 자유 단부는 이미 연결, 접합 또는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이 불가능하다. 이런 상황에서 케이블을 연결 해제, 재접합 또는 재접속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설치자는 전형적으로 케이블이 개구 내로 종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용도 칼 등을 사용하여 개구 내로 그로밋의 본체를 관통하여 침투시킨다. 이런 방식에서 그로밋을 연속적으로 침투시키는 것은 설치자의 기술에 많이 의존하고, 케이블의 수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그로밋과 케이블의 크기가 감소할수록 더욱 더 어렵게 된다. 또한, 그로밋은 개구부터 그로밋의 외부면까지 직접 연장된 여러개의 절단부가 남게 된다. 절단부는 그로밋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인클로저 내에 수분이 진입할 수 있는 잠재적인 통로이다.
설치자가 인클로저의 단일 입구 포트 내에 복수의 케이블을 일정하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다발로 묶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밀봉체가 요구된다. 또한, 쉽고 빠르게 장착될 수 있고 쉽게 재진입되고 재활용될 수 있는 밀봉체가 요구된다. 또한, 케이블을 연결 해제, 재접합 또는 재접속할 필요없이 현재 있는 케이블 상에 장착될 수 있는 밀봉체가 요구된다.
일 태양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인클로저의 입구 포트 내에 사용하기 위한 밀봉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밀봉체는 인클로저의 입구 포트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외부면을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복수의 통로는 본체의 제1 단부로부터 본체의 제2 단부까지 연장되고, 복수의 통로 각각은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부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체 슬릿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고, 외부면으로부터 본체를 관통하여 본체 내의 내부점까지 이어진다. 복수의 통로 슬릿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된다. 복수의 통로 슬릿 각각은 본체 내의 내부점으로부터 복수의 통로 중 대응하는 것까지 본체를 관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는 인클로저 내의 개구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외부면을 갖는 종방향 본체를 포함한다. 복수의 통로는 본체를 관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통로 각각은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종방향 본체 슬릿은 본체의 외부면으로부터 본체 내의 내부점까지 본체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내부점은 복수의 통로 각각으로부터 이격된다. 복수의 종방향 통로 슬릿도 본체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복수의 통로 도입 슬릿 각각은 본체 내의 내부점으로부터 복수의 통로 중 대응하는 것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된 종방향 본체를 포함한다. 본체는 인클로저 내의 개구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외부면을 갖는다. 본체는 복수의 종방향 세그먼트로 분리될 수 있다. 복수의 세그먼트 각각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며, 외부면의 일부를 포함한다. 통로는 복수의 세그먼트 중 하나 이상을 관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종방향 슬릿은 통로로부터 세그먼트의 내부면까지 연장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인클로저의 입구 포트의 수용성을 확대하기 위한 어댑터를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어댑터는 인클로저의 입구 포트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외부면을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복수의 통로는 본체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외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하나 이상의 본체 슬릿이 외부면으로부터 본체 내의 내부점까지 연장된다. 통로 슬릿은 복수의 통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내부점까지 연장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인클로저 내의 개구를 관통하는 부품을 밀봉하기 위한 키트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키트는 복수의 종방향 밀봉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복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일부는 인클로저 내의 개구의 단면 형상과 정합하는 횡단면 형상을 갖는 밀봉 본체를 형성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세그먼트 중 하나 이상은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된 통로를 포함하며, 통로는 그 내부에 부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인클로저 내의 개구 내에 밀봉하기 위한 케이블을 준비하는 단계를 또한 제공한다. 이 방법은 인클로저 내의 개구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외부면을 갖는 그로밋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로밋은 종방향으로 관통 연장되는 복수의 통로를 갖는다. 복수의 통로 각각은 통로로부터 그로밋 내의 내부점까지 연장된 대응하는 종방향 통로 슬릿을 갖는다. 내부점은 복수의 통로 각각으로부터 이격된다. 종방향 본체 슬릿은 외부면으로부터 내부점까지 그로밋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본체 슬릿은 복수의 통로 슬릿을 노출시키도록 개방되고, 복수의 통로 슬릿 중 하나 이상이 개방되어 대응하는 통로를 개방한다. 케이블은 개방 통로 내로 삽입되고, 하나 이상의 통로 슬릿과 본체 슬릿은 폐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잘 이해된다. 도면의 요소들은 서로에 대해 반드시 축척 설계될 필요는 없다. 유사한 도면 부호는 대응하는 유사 부품을 지시한다.
도1은 복수의 입구 포트를 갖는 인클로저와, 인클로저의 2개의 입구 포트 내에 배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봉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a는 도1의 밀봉 부재만을 따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b 및 도2c는 도2a의 밀봉 부재의 예시적인 다른 형상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d 내지 도2f는 도2a의 밀봉 부재의 통로의 예시적인 다른 형상의 개략적인 종방향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밀봉 부재 내부에 케이블 또는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 또는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2a의 밀봉 부재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4는 밀봉 부재의 개구 내에 배치된 케이블 또는 플러그를 도시한, 도2a 및 도3의 밀봉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5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리되는 본체를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 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6a는 밀봉 부재의 세그먼트들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5의 밀봉 부재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6b는 밀봉 부재의 세그먼트들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밀봉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7 및 도8은 분리 가능한 세그먼트 및 관통하는 통로의 수 및 형상이 상이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 부재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9는 케이블의 장착을 도시한, 도5의 밀봉 부재의 세그먼트의 사시도이다.
양호한 실시예의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로써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이 참조된다. 예시된 실시예들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예는 아니다. 다른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용되거나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형예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다.
명확성을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은 케이블과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명세서에 사용된 "케이블"이란 용어는 원격 통신 케이블, 전기 전력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구리 배선 케이 블, 인입 라인, 브랜치 라인, 분배 라인, 파이프 및 도관 등을 포함한, 인클로저 내의 개구를 관통하는 임의의 부재 또는 부품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케이블 인클로저(14)의 단일 개구 또는 입구 포트(12) 내에 복수의 케이블을 일정하게 그리고 신뢰성 있게 묶음 배치하기 위한 밀봉 부재(10)의 일 실시예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도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저(14)는 복수의 입구 포트(12)를 포함하는데, 일부 입구 포트(12)는 단일 케이블(16)을 보유하고 일부 입구 포트(12)는 복수의 케이블(18)을 보유한 상태로 밀봉 부재(10)와 결합한다.
도2a에 분리되어 더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종종 그로밋으로 언급되는 밀봉 부재(10)는 제1 단부(22)와 제2 단부(24)를 갖는 일체형 종방향 본체(20)를 포함한다. 본체(20)의 외부면(26)은 인클로저(14)의 입구 포트(12)의 크기 및 형상과 정합하도록 선택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므로, 밀봉 부재(10)가 입구 포트(12) 내에 (클램핑 등에 의해) 장착 및 고정될 때 외부면(26)은 입구 포트(12)의 주연에 대해 밀봉된다. 도1 내지 도4의 본체(20)는 대체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체(20)가 인클로저(14)의 입구 포트(12)의 크기 및 형상과 보완되어야 하는 필요에 따라 다른 단면 형상을 갖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본체(20)의 형상 및/또는 크기는 제1 단부(22)와 제2 단부(24) 사이에서 변할 수 있어서, 본체(20)의 외부면의 상이한 부분들이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입구 포트와 밀봉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20)는 단차 식 직경을 가질 수 있고(도2b), 또는 원형 형상으로부터 타원형 형상으로 변할 수 있다(도2c).
복수의 통로[30a, 30b, 30c, 30d {총체적으로 통로(30)로 칭한다}]는 제1 단부(22)로부터 제2 단부(24)까지 본체(20)를 관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통로(30) 각각은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통로(30a 내지 30d)가 도시되어 있고, 통로(30)는 모두 거의 같은 크기 및 형상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로(30)의 수가 2개 이상일 수 있고, 통로(30)는 인클로저(14)와 함께 사용되는 케이블의 형태 및 크기를 수용하기 위한 요구에 따라 선택된 상이한 크기 및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통로(30)는 길이를 따라 불규칙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예컨대, 통로(30)는 개선된 밀봉을 위해 리지(31)를 가지거나(도2d), 미로형 통로와 같은 비선형이거나(도2e), 통로의 횡단면적이 본체(20)의 제1 단부(22)와 제2 단부(24) 사이에서 변하도록 길이를 따라 테이퍼가 형성될 수 있다(도2f).
케이블은 통로를 통해 케이블의 자유 단부에서 나사 결합함으로써 통로(30) 내에 장착될 수 있지만, 통로(30)는 본체(20) 내에 복수의 슬릿(34, 36)에 의해 유익하게 접근되므로 케이블을 연결 해제, 재접합 또는 재접속할 필요가 없다. 종방향 본체 슬릿(34)은 본체(20)의 외부면(26)으로부터 본체(20) 내에 내부점(38)까지 연장된다. 슬릿(34)과 내부점(38)은 통로(30) 각각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릿(34)은 외부면(26)과 내부점(38) 사이에서 연장됨에 따라 통 로(30) 중 하나를 관통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내부점(38)은 본체(20)의 횡단면의 기하학적 중심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된다. 그러나, 내부점(38)이 본체(20)의 횡단면의 기하학적 중심 근처 이외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통로(30) 각각은 통로(30)로부터 내부점(38)까지 연장된 대응하는 종방향 통로 슬릿(36)에 의해 개별적으로 접근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본체 슬릿(34)과 통로 슬릿(36)은 슬릿의 대향면 상에 정합하는 정렬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2 내지 도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슬릿(34)의 대향면(40, 42)에는 종방향 연장 리지(44) 및 정합하는 종방향 연장 그루브(46)가 각각 마련된다. 대향면(40, 42)이 서로 가압되면, 리지(44)와 그루브(46)는 서로 결합하고, 그로 인해 측방향으로 대향면(40, 42)을 적절하게 정렬하면서 대향면(40, 42) 사이에 측방향 활주 이동을 방지한다. 측방향 뿐만 아니라 종방향으로 대향면(40, 42)을 정렬시키는 정렬 형상부와 같이, 정합하는 리지(44)와 그루브(46) 이외의 구성을 갖는 정렬 형상부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통로 슬릿(36)에도 유사한 정렬 형상부가 제공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도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슬릿(34)의 대향면(40, 42)을 분리 전개시키고, 추가로 통로(30) 중 하나 이상이 케이블을 수용하게 개방되도록 통로 슬릿(36) 중 하나 이상의 대향면을 분리 전개시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케이블(50)을 통로(30) 중 하나에 삽입하는 것이 달성된다. 도3에서는, 본체(20)가 전개되고, 본체 슬릿(34)과 모든 통로 슬릿(36)의 대향면이 분리 전개되고, 모든 통 로(30)가 동시에 개방된다. 그후 각 케이블(50)이 대응하는 개방 통로(30) 내에 놓인다. (도시되지 않은) 추가 케이블이 같은 방식으로 다른 통로(3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케이블(50)이 각 통로(30)를 채울 수 없다면, 통로를 통해 인클로저 내로 수분, 먼지, 벌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통로(30)를 차단하기 위해, 플러그(60)가 비어 있는 통로(3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보통,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케이블이 밀봉체(10)와 사용된다. 전형적인 케이블 형상은 원형, 타원형, 및 사실상 직사각형 단면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 밀봉체(10) 내의 통로(30)는 인클로저(14)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크기 및 형태를 수용하기 위한 요구에 따라 선택된 상이한 크기 및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통로(30)가 케이블과 양립할 수 없는 크기 또는 형상을 갖는다면, 케이블 어댑터(70)가 제공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30d)의 크기 및 형상과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케이블(72)이 통로(30d)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3에 전개 개방 상태가 도시된) 케이블 어댑터(70)는 케이블(72)을 수용하도록 선택된 내부 크기 및 형상과, 통로(30d)의 크기 및 형상에 정합하도록 선택된 외부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케이블(72)은 어댑터(70) 내에 삽입되고, 어댑터(70)는 전술한 케이블(50)과 같은 방식으로 통로(30d) 내에 삽입된다.
각 통로(30)가 케이블(50), 플러그(60), 또는 케이블 어댑터(70) 및 케이블(72)로 채워진 후에, 본체(20)는 슬릿(34, 36)의 대향면을 접합함으로써 원래 형상으로 복귀된다. 도1 내지 도4의 실시예에서, 본체(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 이 간단하게 말아서 본체를 원래 형상으로 복구시킬 수 있다. 폐쇄된 밀봉 부재(10)는 케이블(50), 플러그(60) 및/또는 {내부에 장착된 케이블(72)과 함께) 어댑터(70) 각각의 둘레에 밀봉을 제공하고, 단일의 큰 케이블인 것처럼 인클로저(14)의 입구 포트(12) 내에 장착될 준비가 된다. 밀봉 부재(10)는 전형적으로 방사상으로 클램핑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종래 방식으로 입구 포트(12) 내에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도입 포트(12) 내에 밀봉체(10)를 최초 장착한 후에 종종 플러그(60)를 제거하고 추가 케이블을 장착하는 것이 요구될 때, 밀봉체(10)는 쉽게 재진입되고 재활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밀봉 부재(10)는 입구 포트(12)로부터 결합 해제된 후 통로(30)를 개방시키도록 전개된다. 플러그(60)는 밀봉체(10)로부터 제거되고, 새로운 케이블(50) 또는 케이블 어댑터(70) 및 케이블(72)이 비어 있는 통로(30) 내에 장착된다. 밀봉체(10)는 말아져서 다시 폐쇄된 후에, 입구 포트(12) 내에 재장착된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밀봉 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 내지 도4의 밀봉 부재(10)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도5의 밀봉 부재(100)는 사용자가 케이블 인클로저(14)의 단일 개구 또는 입구 포트(12) 내에 복수의 케이블을 일관되고 신뢰성 있게 묶음 배치하는 것을 허용한다(도1). 종종 본 명세서에서 그로밋으로 언급되는 밀봉 부재(100)는 제1 단부(122) 및 제2 단부(124)를 갖는 종방향 본체(120)를 포함한다. 본체(120)의 외부면(126)은 인클로저(14)의 입구 포트(12)의 크기 및 형상과 정합하도록 선택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므로, 밀봉 부 재(100)가 입구 포트(12) 내에 (클램핑 등에 의해) 장착 및 고정될 때 외부면(126)은 입구 포트(12)의 주연에 대해 밀봉된다. 도1 내지 도4의 본체(120)는 대체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체(120)가 인클로저(14)의 입구 포트(12)의 크기 및 형상과 보완되어야 하는 필요에 따라 다른 단면 형상을 갖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도2b 및 도2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20)의 형상 및/또는 크기는 제1 단부(122)와 제2 단부(124) 사이에서 변할 수 있어서, 본체(120)의 외부면(126)의 상이한 부분들이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입구 포트와 밀봉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6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는 슬릿(134)을 따라 복수의 종방향 세그먼트[128a, 128b, 128c 및 128d{총체적으로 세그먼트(128)로 칭한다}]로 분리될 수 있다. 도5 및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횡단 슬릿(134a, 134b)이 본체(120)를 사실상 모두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인 4개의 세그먼트(128a 내지 128d)로 분할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슬릿(134)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세그먼트(128)의 수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세그먼트(128)는 입구 포트(12)의 크기 및 형상 뿐만 아니라 인클로저(14)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크기 및 형태를 수용하기 위한 요구에 따라 선택된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7은 본체(120)를 3개의 유사한 형상의 세그먼트(128e, 128f, 128g)로 분할하는 3개의 슬릿(134c, 134d, 134e)을 갖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8은 본체(120)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3개의 세그먼트(128h, 128i, 128j)로 분할하는 총 2개의 슬릿(134f, 134g)을 갖는 실시예를 도 시하고 있다.
도5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세그먼트(128)는 세그먼트(128)를 관통하여 제1 단부(122)로부터 제2 단부(124)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통로(130)를 포함하는 반면{도5 내지 도8의 세그먼트(128a 내지 128i)}, 다른 세그먼트(128)는 관통하여 연장되는 통로(130)를 갖지 않는다{도8의 세그먼트(128j)}. 각 통로(13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그먼트(128a)는 하나의 큰 크기의 원형 형상을 갖는 단일 통로(130a)를 포함하고, 세그먼트(128b)는 각각 작은 크기의 원형 형상을 갖는 2개의 통로(130b, 130c)를 포함하고, 세그먼트(128c)는 타원형 알모양 형상을 갖는 단일 통로(130d)를 포함하고, 세그먼트(128d)는 중간 크기의 원형 형상을 갖는 단일 통로(130e)를 구비한다. 도7의 세그먼트(128e 내지 128g) 및 도8의 세그먼트(128h 및 128i)는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상의 통로(130)를 갖는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각 세그먼트(128)를 관통하는 통로(130)의 수는 0 이상이고, 통로(130)는 인클로저(14)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크기 및 형태를 수용하기 위한 요구에 따라 선택된 상이한 크기 및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통로(130)는 도2d 내지 도2f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를 따라 불규칙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케이블은 통로를 통해 케이블의 자유 단부에서 나사 결합함으로써 통로(130) 내에 장착될 수 있지만, 통로(130)는 복수의 슬릿(136)에 의해 유익하게 접근되므로 케이블을 연결 해제, 재접합 또는 재접속할 필요가 없다. 통로(130) 각각은 통 로(130)로부터 세그먼트(128)의 내부점(139)까지 연장된 대응하는 종방향 통로 슬릿(136)에 의해 개별적으로 접근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로 슬릿(136)은 조립된 본체(120)의 공통 내부점(138) 쪽으로 연장된다. 도5 내지 도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점(138)은 본체(120)의 횡단면의 기하학적 중심 또는 그 부근에, 전형적으로 본체(120)를 세그먼트(128)로 분할하는 슬릿(134)들의 교차점에 배치된다. 그러나, 통로 슬릿(136)이 통로(130)로부터 외부면(126) 이외에 세그먼트(128)의 임의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130)는 내부면(139)과 접선으로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 슬릿(134)은 슬릿의 대향면 상에 정합하는 정렬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5 내지 도8에서, 본체 슬릿(134)의 대향면(140, 142)에는 하나 이상의 종방향 연장 리지(144) 및 하나 이상의 정합하는 종방향 연장 그루브(146)가 각각 마련된다. 대향면(140, 142)이 서로 가압되면, 리지(144)와 그루브(146)는 서로 결합하고, 그로 인해 측방향으로 대향면(140, 142)을 적절하게 정렬하면서 대향면(140, 142) 사이에 측방향 활주 이동을 방지한다. 측방향 뿐만 아니라 종방향으로 대향면(140, 142)을 정렬시키는 정렬 형상부와 같이, 정합하는 리지(144)와 그루브(146) 이외의 구성을 갖는 정렬 형상부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통로 슬릿(136)에도 유사한 정렬 형상부가 제공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130d)가 케이블(50)을 수용하게 개방되도록 대응하는 통로 슬릿(136)을 분리 전개시킴으로써 케이블(50)을 통로(130d)에 삽입 하는 것이 달성된다. 케이블(50)이 개방 통로(130d) 내에 놓인 후, 슬릿(136)은 폐쇄된다. 세그먼트(128c)가 하나 이상의 통로(130)를 포함한다면,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케이블이 같은 방식으로 다른 통로(13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4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50)이 각 통로(130)를 채울 수 없다면, 통로를 통해 인클로저 내로 수분, 먼지, 벌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통로(130)를 차단하기 위해, 플러그(60)가 비어 있는 통로(13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통로(130)가 케이블(72)과 양립할 수 없는 크기나 형상을 갖는다면, 케이블 어댑터(70)가 제공될 수 있다.
각 세그먼트(128)의 통로(130) 각각이 케이블(50), 플러그(60) 또는 케이블 어댑터(70) 및 케이블(72)로 채워진 후에, 세그먼트(128)는 완벽한 본체(120)로 간단하게 재조립된다. 도5 내지 도8의 실시예에서, 세그먼트 상에 정합하는 리지(144)와 그루브(146)는 조립 공정을 돕는다. 완전하게 조립된 밀봉 부재(100)는 단일의 큰 케이블인 것처럼 인클로저(14)의 입구 포트(12) 내에 장착될 준비가 된다. 밀봉 부재(100)는 전형적으로 방사상으로 클램핑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종래 방식으로 입구 포트(12) 내에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도입 포트(12) 내에 밀봉체(100)를 최초 장착한 후에 종종 추가 케이블을 장착하는 것이 요구될 때, 밀봉체(100)는 쉽게 재진입되고 재활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밀봉 부재(100)는 입구 포트(12)로부터 결합 해제된 후 조립된 본체(120)로부터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128)가 분리된다. 분리된 세그먼트(128)가 플러그(60)로 채워진 통로(130)를 갖는다면, 플러그가 통로(130)에서 제 거되고, 새로운 케이블(50) 또는 케이블 어댑터(70) 및 케이블(72)이 비어 있는 통로(130) 내에 장착된다. 분리된 세그먼트가 관통하는 통로(130)를 갖고 있지 않다면, 원하는 크기 및 형상의 통로(130)를 갖는 새로운 세그먼트(128)가 제공되고 케이블(50) 또는 케이블 어댑터(70) 및 케이블(72)이 그 내부에 장착된다. 세그먼트(12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재조립되고, 밀봉체(100)는 입구 포트(12)에 재장착된다.
다른 잇점으로서, 다양한 세그먼트 형상{즉, 본체(120)의 1/4, 1/3, 1/2 등} 및 다양한 통로(130) 형상{즉, 각 세그먼트(128) 내에 상이한 수,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세그먼트(128)가 키트로서 판매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특정 케이블과 인클로저 용도에 대한 부품의 용이한 선택을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밀봉체(10, 100)는 사출 성형 및 압출을 포함한 다수의 종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밀봉체(10, 100)는 단일 물질 또는 다수의 물질의 조합을 단일 유닛으로 성형 또는 압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밀봉체(10, 100)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은 용도에 따라 선택되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고무, 폴리우레탄 포움, 반응성 및 비반응성 폴리머, 및 연성 플라스틱 등의 탄성중합체 및 중합체 물질을 포함한다. 물질 선택은 케이블 경도계, 화학적 노출 조건, 온도 및 습도 조건을 포함한 환경적 노출 조건, 및 난연성 요구 등을 포함한 요소에 의존하지만, 이런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물질은 통로(30, 130)가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 및 폐쇄되는 것을 만족시키도록 변형되고, 입구 포트(12)의 주연에 대해 그리고 케이블(50), 플러그(60) 및 케이블 어댑터(70)에 대해 탄성 밀봉을 제공하는 탄성 중합체 물질이다. 일 실시예에서, 물질은 20 내지 60 경도계(쇼어 'A') 범위 내의 경도를 갖는다. 밀봉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통로(30, 130) 내에 그리스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스는 현장에서 인가되거나 밀봉체(10, 100)의 제조시에 선택적으로 미리 인가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종래에 비해 많은 잇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밀봉체(10, 100)는 당해 분야의 능숙한 조립 실력이 전혀 또는 거의 필요 없기 때문에, 설치자에 의해 정확하게 그리고 일관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밀봉체(10, 100)는 쉽게 재진입 및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밀봉체(10, 100)는 이미 장착된 케이블을 연결 해제, 재접합 또는 재접속할 필요없이 임의의 새로운 또는 현존하는 케이블 인클로저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밀봉체는 이전에 입구 포트당 단 하나의 케이블만 허용되던 인클로저의 단일 입구 포트의 수용성을 확대시키는 추가적인 융통성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케이블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지만,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원격 통신 케이블, 전기 전력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구리 배선 케이블, 인입 라인, 브랜치 라인, 분배 라인, 파이프 및 도관 등을 포함한 인클로저의 입구 포트를 관통하는 부재 둘레를 밀봉하도록 요구되는 많은 다른 응용예에 사용될 수 있는 밀봉 부재(10, 100)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특정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폭넓은 다른 또는 등가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도시 및 설명된 특정 실시예를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이 매우 폭넓은 실시예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실시예들의 임의의 수정 또는 변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항과 그 등가물에 의해서만 명확하게 한정된다.

Claims (43)

  1. 인클로저의 입구 포트 내에 사용하기 위한 밀봉체이며,
    상기 인클로저의 입구 포트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외부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며, 각각 하나 이상의 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통로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외부면으로부터 본체 내의 내부점까지 본체를 관통하는 본체 슬릿과,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통로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통로 슬릿 각각은 본체 슬릿으로부터 복수의 통로 중 대응하는 것까지 본체를 관통하는 밀봉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슬릿은 복수의 통로 중 하나 이상을 관통하는 밀봉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슬릿은 복수의 통로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밀봉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의 제1 부분은 제1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입구 포트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부면의 제2 부분은 제2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입구 포트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밀봉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로 중 하나 이상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불규칙 단면 형상을 갖는 밀봉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로 중 하나 이상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리지가 형성된 밀봉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로 중 하나 이상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비선형인 밀봉체.
  8. 케이블 관통용 개구를 갖는 인클로저와 사용하기 위한 밀봉 부재이며,
    상기 인클로저 내의 개구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외부면을 갖는 종방향 본체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각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통로와,
    상기 본체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의 내부점까지 본체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종방향 본체 슬릿과,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연장된 복수의 종방향 통로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점은 복수의 통로 각각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통로 입구 슬릿 각각은 본체 슬릿으로부터 복수의 통로 중 대응하는 것까지 연장되는 밀봉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슬릿과 복수의 통로 슬릿은 재진입 가능한 밀봉 부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탄성 중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밀봉 부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로는 모두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밀봉 부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로는 2개 이상의 상이한 형상을 갖는 통로를 포함하는 밀봉 부재.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로는 2개 이상의 상이한 크기를 갖는 통로를 포함하는 밀봉 부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의 내부점은 본체의 횡단면의 기하학적 중심이며, 복수의 통로 입구 슬릿 각각은 내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밀봉 부재.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슬릿과 복수의 통로 슬릿은 전개되어, 복수의 대응하는 통로들 각각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로 각각은 동시에 개방될 수 있는 밀봉 부재.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로 중 하나 이상은 종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밀봉 부재.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로 중 하나에 삽입되어 통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밀봉 부재.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로 중 하나 이상은 제1 크기 및 형상을 갖고, 하나 이상의 통로 내에 삽입하기 위한 어댑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로를 제2 크기 및 형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슬릿은 슬릿의 대향면 상에 정합하는 정렬 형상부를 포함하는 밀봉 부재.
  2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하는 정렬 형상부는 종방향 연장 리지와 종방향 연장 그루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밀봉 부재.
  2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의 제1 부분은 제1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개구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부면의 제2 부분은 제2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개구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밀봉 부재.
  23. 케이블 관통용 개구를 갖는 인클로저와 사용하기 위한 밀봉 부재이며,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며 인클로저 내의 개구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외부면을 갖는 종방향 본체와,
    통로와,
    종방향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복수의 종방향 세그먼트로 분리될 수 있고, 복수의 세그먼트 각각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며 외부면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중 하나 이상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통로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종방향 슬릿은 상기 통로로부터 세그먼트의 내부면까지 연장된 밀봉 부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각각을 관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 며, 각각이 내부에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통로와,
    각각의 통로로부터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내부면까지 연장된 종방향 슬릿을 더 포함하는 밀봉 부재.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방향 세그먼트 각각은 대응하는 횡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각각의 횡단면 형상은 사실상 동일한 밀봉 부재.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방향 세그먼트 각각은 대응하는 횡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중 2 이상의 세그먼트의 횡단면 형상은 사실상 상이한 밀봉 부재.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각각에 정렬 형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렬 형상부는 인접 세그먼트를 정렬시키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형상부는 종방향 연장 리지와 종방향 연장 그루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밀봉 부재.
  29. 인클로저의 입구 포트의 수용성을 확대시키기 위한 어댑터이며,
    인클로저의 입구 포트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외부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외부면으로부터 이격된 복수의 통로 와,
    상기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의 내부점까지 연장된 하나 이상의 본체 슬릿과,
    상기 복수의 통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본체 슬릿까지 연장된 통로 슬릿을 포함하는 어댑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로 모두로부터 상기 본체 슬릿까지 연장된 통로 슬릿을 더 포함하는 어댑터.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내의 내부점까지 연장된 2개 이상의 본체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슬릿과 내부점은 복수의 통로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어댑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본체 슬릿은 상기 본체를 2개 이상의 분리 가능한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어댑터.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슬릿과 내부점은 상기 복수의 통로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어댑터.
  34. 인클로저 내의 개구를 관통하는 부품을 밀봉하기 위한 키트이며,
    복수의 종방향 밀봉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일부는 인클로저 내의 개구의 단면 형상과 정합하는 횡단면 형상을 갖는 밀봉 본체를 형성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중 하나 이상은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된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그 내부에 부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키트.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밀봉 세그먼트 중 하나 이상은 중실 세그먼트인 키트.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각각은 외부면과 내부면을 갖고, 상기 통로와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의 내부면 사이에 슬릿을 더 포함하는 키트.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재진입 가능한 키트.
  38. 인클로저 내의 개구 내에 밀봉하기 위한 케이블을 준비하는 방법이며,
    상기 인클로저 내의 개구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된 외부면을 갖는 그로밋을 제공하는 단계로, 상기 그로밋은 종방향으로 관통 연장되는 복수의 통로를 갖고, 상기복수의 통로 각각은 그로부터 종방향 본체 슬릿까지 연장된 대응하는 종방향 통로 슬릿을 갖고, 상기 본체 슬릿은 외부면으로부터 그로밋 내의 내부점까지 그로밋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그로밋 제공 단계와,
    상기 복수의 통로 슬릿을 노출시키도록 본체 슬릿을 개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대응하는 통로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통로 슬릿 중 하나 이상을 개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개방된 통로 내에 케이블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통로 슬릿과 본체 슬릿을 폐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슬릿을 개방시키는 단계는 상기 본체 슬릿의 대향면을 전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통로 슬릿 중 하나 이상을 개방시키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통로 슬릿의 대향면을 전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슬릿의 대향면을 전개시키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통로 슬릿의 대향면을 전개시키는 단계는 상기 그로밋을 펼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로 슬릿과 본체 슬릿을 폐쇄시키는 단계는 상기 그로밋을 마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로 슬릿 모두와 대응하는 통로를 개방시키 는 단계와, 상기 개방된 복수의 통로 각각 내부에 케이블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 내의 개구 내부에 그로밋을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077004608A 2004-08-30 2005-08-12 인클로저용 밀봉 부재 KR200700571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29,659 US7442884B2 (en) 2004-08-30 2004-08-30 Sealing member for enclosures
US10/929,659 2004-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159A true KR20070057159A (ko) 2007-06-04

Family

ID=3544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608A KR20070057159A (ko) 2004-08-30 2005-08-12 인클로저용 밀봉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42884B2 (ko)
EP (1) EP1794859A1 (ko)
KR (1) KR20070057159A (ko)
CN (1) CN100533895C (ko)
MX (1) MX2007001844A (ko)
WO (1) WO20060261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6265A (ja) * 2005-03-18 2006-09-28 Fuji Xerox Co Ltd 液滴吐出装置
US7186929B2 (en) * 2005-07-08 2007-03-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aling member for an entry port
AT503028B1 (de) * 2006-03-29 2007-07-15 Sterner Franz Dichtung aus einem elastomer, insbesondere silikon
EP2020065A1 (en) * 2006-05-11 2009-02-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ble gripping device for a cable closure or terminal
DE102006033186B4 (de) * 2006-07-11 2008-08-2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Wilmington Steckverbindervorrichtung für Kleinservomotoren
US7534965B1 (en) * 2008-01-29 2009-05-19 Thompson David M Cable grommet with ball and socket
CN101685958A (zh) * 2008-09-27 2010-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穿隔密封组件及使用该穿隔密封组件的通信设备
GB0901678D0 (en) * 2009-02-02 2009-03-11 Beele Eng Bv Assembly for sealing a round tubular opening through which a tube, duct or cable extends
SE533818C2 (sv) * 2009-02-04 2011-01-25 Roxtec Ab Excentrisk del av en rör- eller kabelgenomföring
CN102474039A (zh) * 2009-07-10 2012-05-23 3M创新有限公司 密封构件
IT1396198B1 (it) * 2009-10-08 2012-11-16 Palazzoli Spa Struttura di guarnizione, particolarmente per cavi elettrici
JP2013513352A (ja) * 2009-12-02 2013-04-1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ケーブルスプライスエンクロージャ内での使用に適したワイヤセパレータ
EP2390544B1 (en) * 2010-05-25 2012-08-29 Beele Engineering B.V. An assembly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 an opening a sealing system
US8686289B2 (en) * 2011-07-14 2014-04-01 Channell Commercial Corporation Sealing mechanism and method for drop cable splice enclosures
CN102957120A (zh) * 2011-08-16 2013-03-06 山特电子(深圳)有限公司 用于带端子的电缆的密封装置以及相应密封方法
GB201200915D0 (en) * 2012-01-19 2012-02-29 Airbus Operations Ltd Cable retainer
US9381330B2 (en) * 2012-06-14 2016-07-05 Michel Carrier Drain catheter
ES2630828T3 (es) 2012-07-02 2017-08-24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Unidad de sellado de cables con múltiples módulos de sellado
EP2703705B1 (en) 2012-08-30 2017-03-29 Beele Engineering B.V. Sealing system for an annular space
JP6029138B2 (ja) * 2013-01-22 2016-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装置
BR102013009448A2 (pt) * 2013-04-18 2014-12-30 Furukawa Ind S A Produtos Eletricos Caixa de emenda aérea para cabos de fibra óptica
CN103280746B (zh) * 2013-05-16 2016-08-17 潘援朝 电缆堵件
DE202013007757U1 (de) * 2013-09-03 2013-11-05 Euromicron Nbg Fiber Optics Gmbh Verbindungsbox für ungeschnittene Verarbeitung vonGlasfaserrohrsystem und Dichtung für diese Verbindungsbox
DE102013017434A1 (de) * 2013-10-18 2015-04-23 Gabo Systemtechnik Gmbh Dichtungsscheibe
US20150138785A1 (en) * 2013-11-15 2015-05-21 Osram Sylvania Inc. Enclosure with grommetless strain relief
EP3123223B1 (en) * 2014-03-25 2020-06-24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Cable fixation and sealing system
US9484727B1 (en) * 2014-09-25 2016-11-01 Amazon Technologies, Inc. Cable manager
WO2016071394A2 (en) 2014-11-04 2016-05-12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Enclosure for use in a fiber optic distribution network
JP2016120901A (ja) * 2014-12-24 2016-07-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自動車用電源供給装置
EP3128353A1 (en) * 2015-08-07 2017-02-08 CCS Technology Inc. Cable grommet and fiber optic distribution device
EP3182542B1 (en) * 2015-12-18 2018-01-31 Axis AB Cable trans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cable transit
AU2017242526B2 (en) * 2016-04-01 2022-01-13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Multi-component seal and enclosure
USD931821S1 (en) 2017-03-17 2021-09-28 Sugie Seito Co., Ltd. Duct for power and electrical cables
USD880430S1 (en) * 2017-03-17 2020-04-07 Sugie Seito Co., Ltd. Duct for power and electrical cables
EP3598593B1 (de) * 2018-07-21 2022-04-13 Lapp Engineering AG Kabelverschraubung
US11204109B2 (en) * 2018-07-31 2021-12-21 Commscope Technologies Llc Grommet for holding cables
WO2020051581A1 (en) 2018-09-07 2020-03-12 Go!Foton Holdings, Inc. Optical fiber distribution system
EP4035241A4 (en) * 2019-09-24 2023-10-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MPOSITE CABLE SEALING
US11175089B2 (en) 2019-12-18 2021-11-16 Whirlpool Corporation Flexible passthrough insulation for VIS
CO2019015116A1 (es) * 2019-12-31 2020-06-09 Cardona Santiago Tovar Sello que abraza los conductores eléctricos que atraviesan la cabeza de pozo y dispositivo que lo comprende
KR20210112901A (ko) * 2020-03-06 202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CN112821096A (zh) * 2021-01-27 2021-05-18 湖南橡博电气有限公司 一种电缆集成分支构件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2836A (en) * 1956-02-20 1960-01-26 Chrysler Corp Grommet
US3761601A (en) 1971-10-04 1973-09-25 Killark Electric Manufacturing Removable flame-proof potted fitting
US4377291A (en) * 1982-01-15 1983-03-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Sealing assembly
US4842364A (en) * 1988-10-11 1989-06-27 Jack Moon Co. Ltd., Taiwan Fiber optic cable innerduct plug and assembly
US5258578A (en) 1992-02-18 1993-11-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losure end seal
US5290073A (en) 1992-04-02 1994-03-01 Chen Chung F Expansion seal for cable pipe
DE4222202A1 (de) 1992-07-07 1994-01-13 Thomas Grundey Einrichtung zur Kredit- und Wertkarteneingabe bei Spielautomaten
DE4222101A1 (de) * 1992-07-07 1994-01-13 Cellpack Ag Wohlen Kabel-Endabdichtvorrichtung
GB9404396D0 (en) * 1994-03-07 1994-04-20 Raychem Sa Nv Sealing arrangement
JP4030611B2 (ja) 1996-05-23 2008-01-09 株式会社フジクラ ケーブル導入穴封止部材、ケーブル接続箱
US5920035A (en) 1997-03-12 1999-07-06 Atp International Ltd. High pressure seal
US5912433A (en) 1997-01-17 1999-06-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able closure injection sealed with low surface energy adhesive
US5907653A (en) 1997-05-01 1999-05-25 Lucent Technologies Inc. Racetrack grommet for optical fiber cable splice closure
US5920036A (en) * 1998-01-22 1999-07-06 Egger; Mary E. Insulator for rectangular fence post or rail
US6114629A (en) * 1998-09-28 2000-09-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Grommet having metal insert
DE29908044U1 (de) 1999-05-05 1999-07-29 Jordan Paul Eltech Dichtungseinheit für Kabel- und Rohrdurchführungen
US6348657B1 (en) * 1999-07-06 2002-02-19 John Haslock Power cord sealing grommet and the like
US6721483B2 (en) 2000-10-17 2004-04-13 Preformed Line Products Company Cable closure and assembly
FR2820555B1 (fr) * 2001-02-06 2003-04-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Passage de cable etanche et modulaire a positionnement de cable facilite et manchon equipe d'un tel passage
US6765148B2 (en) * 2002-04-30 2004-07-20 Illinois Tool Works Inc. C-shaped grommet
US7049515B1 (en) * 2005-05-20 2006-05-23 Emerson Electric Co. Grommets for sealing a hole in an electrical device housing through which electrical connectors exit
US7186929B2 (en) * 2005-07-08 2007-03-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aling member for an entry 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7001844A (es) 2007-04-23
US20060042814A1 (en) 2006-03-02
US7442884B2 (en) 2008-10-28
CN100533895C (zh) 2009-08-26
CN101010845A (zh) 2007-08-01
EP1794859A1 (en) 2007-06-13
WO2006026145A1 (en) 200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7159A (ko) 인클로저용 밀봉 부재
EP2452404B1 (en) Sealing member
US7186929B2 (en) Sealing member for an entry port
US6894225B2 (en) Through-fittings and below grade junction boxes equipped with same
EP2647096B1 (en) Strain relief device
AU2012283818B2 (en) Sealing mechanism and method for drop cable splice enclosures
US6150608A (en) Seal for sealing an aperture
US5696351A (en) Cable retention and sealing device
US6881901B2 (en) Connection cover
US4079193A (en) Central office cable splice enclosure
AU6222399A (en) Cable closure
CA2511007A1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6299485B1 (en) Armor stop for metal clad cable connector
US8073302B2 (en) Telecommunication enclosure with an interlocking seal
CA2110210A1 (en) Seal for an electric cable having an insulating sheath wrapped by exposed electrical conductors and method for sealing the electric cable to a surrounding enclosure
US8633389B2 (en) Sealing arrangement for use in a cable enclosure port
US8754331B2 (en) Strain relief device
CA2407915C (en) Through-fittings and below grade junction boxes equipped with same
NZ620723B2 (en) Sealing mechanism and method for drop cable splice enclos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