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901A - 기판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기판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901A
KR20210112901A KR1020200028532A KR20200028532A KR20210112901A KR 20210112901 A KR20210112901 A KR 20210112901A KR 1020200028532 A KR1020200028532 A KR 1020200028532A KR 20200028532 A KR20200028532 A KR 20200028532A KR 20210112901 A KR20210112901 A KR 20210112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
cable
display device
cutou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오
서종필
이동찬
이영찬
정지석
차민우
한윤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901A/ko
Priority to PCT/KR2021/002673 priority patent/WO2021177742A1/en
Priority to US17/194,901 priority patent/US20210280992A1/en
Publication of KR2021011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9Other details of the casing, e.g. wall structure, passage for a connector, a cable, a shaf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Abstract

밀폐구조가 개선된 기판 케이스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하우징,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케이블과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수용되는 기판 케이스, 상기 수용 공간의 일측을 밀폐하도록 상기 기판 케이스에 마련되는 케이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절개된 제1 절개부와, 상기 제1 절개부의 일단에서 분기되는 복수의 제2 절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절개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부로서, 각각의 관통부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대응되는 케이블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판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SUBSTRATE CAS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구조가 개선된 기판 케이스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컴퓨터용 모니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옥외 또는 야외에 광고 등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건물 외부에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광고판이 이에 속한다.
이와 같이 실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빗물, 오수 등의 오염원에 직접 노출되기가 쉽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제어 회로 등이 오염되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었다.
따라서, 밀폐구조를 갖는 기판 케이스 내부에 회로 기판을 배치하여 빗물, 오수 등의 오염원으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의 회로 기판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밀폐구조가 개선된 기판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케이블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케이블 클램프를 구비한 기판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하우징,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케이블과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수용되는 기판 케이스, 상기 수용 공간의 일측을 밀폐하도록 상기 기판 케이스에 마련되는 케이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절개된 제1 절개부, 상기 제1 절개부의 일단에서 분기되는 복수의 제2 절개부, 상기 복수의 제2 절개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부로서, 각각의 관통부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대응되는 케이블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클램프의 몸체는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관통부는 상기 대응되는 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면은 상기 대응되는 케이블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상기 제1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제1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상기 몸체의 일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몸체의 일면과 이웃하는 상기 몸체의 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제1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상기 몸체의 일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케이스는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에 클램프 장착홈이 형성되는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 장착홈을 커버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장착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상기 케이스 커버와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폐 마개의 각각은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는 마개부와, 상기 몸체와 상기 마개부를 연결하고,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마개부와, 상기 탄성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개부는 상기 제1 절개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절개부의 일단에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클램프의 몸체는 탄성을 갖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을 보호하도록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는 기판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판 케이스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서 연장되는 케이블이 통과하도록 상기 기판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로가 마련되는 케이스 바디와, 상기 연통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상기 케이블과 결합되는 복수의 관통부와, 상기 복수의 관통부의 내면을 절개하는 복수의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절개부는 2개씩 쌍을 이루어 합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절개부는 3개씩 쌍을 이루어 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기판 케이스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복수의 케이블과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이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수용 공간의 일측을 밀폐하도록 상기 기판 케이스에 마련되고,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절개된 제1 절개부와, 상기 제1 절개부의 일단에서 분기되는 복수의 제2 절개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절개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부로서, 각각의 관통부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대응되는 케이블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케이스는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부에 삽입될 수 있는 밀폐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기판 케이스의 수용 공간의 일측을 밀폐하도록 방수 효과가 있는 케이블 클램프를 마련하여 빗물, 오수 등의 오염원이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어 인쇄 회로 기판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케이블 클램프의 절개부를 통해 케이블을 케이블 클램프에 삽입하고 고정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되는 기판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판 케이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클램프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조선 B-B' 에서의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블 클램프의 절개부와 관통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케이블 클램프의 몸체가 변형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절개부와 관통부가 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케이블 클램프에 케이블과 밀폐 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블 클램프의 절개부와 관통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블 클램프의 절개부와 관통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상부",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서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은 예시적으로 실외 디스플레이장치(1)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실내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실외에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유입부(11)와 배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유입부(11)는 상면에 형성되고 배출부(12)는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1)는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상면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12)는 유입부(11)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우징(10)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입부(11)와 배출부(12)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보호하도록 배치되는 보호 글라스(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글라스(20)는 하우징(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보호 글라스(20)는 강화 유리 등과 같은 강성을 가지면서도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보호 글라스(20)의 내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보호하면서,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보호 글라스(20)는 하우징(10) 전면에 마련되는 제1 보호 글라스(21)와 하우징(10) 후면에 마련되는 제2 보호 글라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글라스(2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글라스(20)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하우징(10)의 전면 측으로 화상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과, 하우징의 후면 측으로 화상이 표시되도록 마련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는 그 전면 및 후면을 통해 양방향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만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은 콘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콘텐트는 외부에서 수신되는 콘텐트 또는 저장된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은 제1 보호 글라스(2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은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2)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2 보호 글라스(2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2)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2)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과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열교환 모듈(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12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열 교환하도록 마련된다. 열교환 모듈(12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2)로부터 열전도(heat conduction) 방식으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열교환 모듈(12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2)의 후면에 배치되어 하우징(10) 내부의 열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2)의 후방에서 방열(heat dissipation)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 내부의 열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1,112) 및 제어 모듈(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또, 하우징(10) 내부의 열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입사한 태양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하우징(10) 내부의 열은 열전도 방식에 의해 열교환 모듈(120)로 집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어 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2)을 구동시키도록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상하 방향으로 열교환 모듈(1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0)과 열교환 모듈(120)을 일직선 상에 배치함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를 슬림한 디자인으로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 모듈(130)은 열교환 모듈(120)의 상부 또는 측방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모듈(130)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2)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복수의 전자 부품(132)이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3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인쇄 회로 기판(131)은 복수의 전자 부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인쇄 회로 기판(131)과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1)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140) 및/또는 인쇄 회로 기판(131)과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2)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131)은 상호 정보를 주고 받으며 기능을 수행하는 CPU, SMPS, L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 회로 기판(131)은 열교환 모듈(120)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도 제어할 수 있으며, 케이블(140)은 열교환 모듈(120)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과 연결되는 케이블(140)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31)을 보호하도록 마련되는 기판 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하나 또는 복수의 기판 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 케이스(200)는 열교환 모듈(12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 케이스(120)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열교환 모듈(1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되는 기판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판 케이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클램프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조선 B-B'에서의 절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케이블 클램프의 몸체가 변형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절개부와 관통부가 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케이블 클램프에 케이블과 밀폐 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기판 케이스(200)는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201)을 가질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131)은 수용 공간(201)에 수용될 수 있고, 외부의 수분이나 오수 등으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131)을 보호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31)에 연결되는 케이블(140)은 그 일부분 또는 전체가 기판 케이스(200)의 수용 공간(201)에 수용될 수 있고, 수용 공간(201)에 수용된 케이블(140)은 그 일부분이 기판 케이스(20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기판 케이스(200)는 수용 공간(201)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 바디(210)와, 케이스 바디(2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수용 공간(201)을 커버하는 케이스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바디(210)와 케이스 커버(220)는 접착제, 나사 등과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 바디(210)는 케이스 바디(210)의 상면(210a)에 형성되고, 기판 케이스(200) 외부의 공간과 기판 케이스(200) 내부의 수용 공간(201)을 연통하는 연통로(212)를 형성하는 클램프 장착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 공간(201)에 수용된 케이블들(140)은 연통로(212)를 통과하여 기판 케이스(2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케이스 커버(220)는 클램프 장착홈(211)의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케이스 커버(220)는 연통로(212)를 커버할 수 있다.
기판 케이스(200)는 수용 공간(201)의 일측을 밀폐하여 기판 케이스(200) 외부의 수분이나 오수 등이 연통로(212)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인쇄 회로 기판(131)의 오염을 방지하며, 기판 케이스(200)의 내부로부터 기판 케이스(200)의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들(140)을 엉키지 않게 배열된 상태로 고정하는 케이블 클램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클램프(300)는 몸체(310)와, 몸체(310)의 일측을 절개하는 복수의 절개부(320)와, 몸체(310)를 관통하고 절개부(320)에 의해 내면이 절개되는 복수의 관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클램프(300)의 몸체(310)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몸체(310)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케이블 클램프(300)는 케이스 바디(2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 바디(210)에 형성된 클램프 장착홈(21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케이블 클램프(300)는 연통로(212) 상에 배치된 상태로 케이스 바디(210)에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 장착홈(211)의 형상은 케이블 클램프(300)의 몸체(3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블 클램프(300)는 클램프 장착홈(211)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케이스 바디(210)와 케이스 커버(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케이블 클램프(300)의 일 측면(310a)은 케이스 커버(22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케이블 클램프(300)의 나머지 측면들(310c)은 케이스 바디(210)의 클램프 장착홈(211)의 내면들(211a)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램프 장착홈(211)의 내면들(211a)과 대응되는 몸체(310)의 측면들(310c)은 실리콘 접착제 등에 의해 클램프 장착홈(211)의 내면(211a)들에 직접적이고 수밀하게 접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케이블 클램프(300)의 몸체(310)는 외측에 클램프 장착홈(211)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310e)이 마련될 수 있고, 몸체(310)의 측면들(310c)은 결합홈(310e)의 일면에 해당될 수 있다. 클램프 장착홈(211)의 내면들(211a)은 결합홈(310e)에 삽입될 수 있고 실리콘 접착제 등에 의해 몸체(310)의 측면들(310c)에 접착될 수 있다. 몸체의 측면들(310c)은 접착제가 뭉치지 않고 퍼질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리브(310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케이블 장착홈(211)의 내면(211a)은 결합홈(310e)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됨에 따라 접착된 부위를 통해 수분이나 오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케이스 커버(220)와 마주하는 몸체(310)의 측면(310a)은 실리콘 접착제 등에 의해 케이스 커버(220)에 직접적이고 수밀하게 접착될 수 있다. 케이스 커버(220)와 마주하는 몸체(310)의 측면(310a)은 절개부(320)에 의해 절개되는 일면(310a)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케이스 커버(220)와 마주하는 몸체의 측면이 실리콘 접착제 등에 의해 케이스 커버(220)에 접착되는 것은 생략될 수 있고, 케이스 커버(220)와 마주하는 몸체(310)의 측면(310a)은 케이스 커버(220)와 접촉될 수 있다.
절개부(320)는 몸체(310)의 일 측면(310a)으로부터 절개되는 복수의 제1 절개부(321)와, 복수의 제1 절개부(321) 각각의 일단에서 복수개의 갈래로 분기되는 복수의 제2 절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개부(321)와 제2 절개부(322)는 연결될 수 있고, 제2 절개부(322)는 제1 절개부(321)의 일단에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제1 절개부(321) 일단에는 2개의 제2 절개부(322)가 연결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2개의 제2 절개부(322)는 쌍을 이루어 합지될 수 있다. 제1 절개부(321)의 일단에서 합지된 2개의 제2 절개부(32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블 클램프의 절개부와 관통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과 같이, 하나의 제1 절개부(321) 일단에는 3개의 제2 절개부(322)가 연결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3개의 제2 절개부(322)는 쌍을 이루어 합지될 수 있다. 제1 절개부(321)의 일단에서 합지된 3개의 제2 절개부(322) 중 2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고, 나머지 1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2개의 제2 절개부(322) 사이에서 제1 절개부(321)의 일단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케이블 클램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6, 도 8 및 도 9로 돌아와서, 복수의 제2 절개부(322)의 타단에는 몸체(310)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부(330)로서, 각각의 관통부(330)가 복수의 케이블(140) 중 대응되는 케이블(140)과 결합되는 복수의 관통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하나의 제2 절개부(322)의 타단에는 하나의 관통부(330)가 형성되고, 하나의 관통부(330)에 하나의 케이블(140)이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140)은 관통부(330)에 삽입됨으로써 케이블 클램프(300)의 몸체(310)를 관통할 수 있고, 복수의 케이블(140)은 서로 엉키지 않게 배열된 상태로 케이블 클램프(300)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부(330)는 다양한 케이블(140)의 굵기에 맞추어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부(330)의 수에 비해 몸체(310)의 일면을 절개하는 제1 절개부(321)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몸체(310)의 일면이 절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잦은 절개로 몸체(310)의 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부(330)는 외부에 노출되는 몸체(310)의 상면(310b)에 형성되는 원형의 제1 개구(331)와, 몸체(310)의 하면(310d)에 형성되는 원형의 제2 개구(332)와, 몸체(310)를 관통하며 제1 개구(331)와 제2 개구(332)를 연결하는 내면(333)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330)에 의해 몸체(310)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관통부(330)의 내면(333)에 둘러싸이는 빈 공간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관통부(330)에 의해 기판 케이스(200)의 외부와 수용 공간(201)은 연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된 관통부(330)에 의해 몸체(310)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관통부(330)의 내면(333)에 둘러싸이는 빈 공간은 케이블(140)이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가정하여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나, 케이블(14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관통부(330)는 대응되는 케이블(14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밀착면(333)을 포함할 수 있다. 밀착면(333)은 관통부의 내면(333)에 해당될 수 있다. 밀착면(333)은 제2 절개부(322)에 의해 일부분이 절개될 수 있다.
밀착면(333)은 케이블(140)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3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 리브(334)는 케이블(14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 리브(334)는 케이블(14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돌출 리브(334)가 케이블(140)의 외주면에 밀착되면 돌출 리브(334)가 없는 경우보다 케이블(140)의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은 더 작아지므로, 케이블(140)의 굴곡이나 케이블(140) 외주면에 있는 요철에 의해 밀착면(333)이 케이블(14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해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몸체(310)는 탄성을 갖는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310)는 제1 절개부(321)와 제2 절개부(322)가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개부(321)에 의하여 서로 대응되는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은 몸체(310)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경우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제1 절개부(321)가 벌어짐에 따라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은 서로 분리되어 멀어지도록 몸체(310)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개부(321)가 벌어짐에 따라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은 서로 분리되어 멀어지도록 몸체(310)가 탄성 변형되는 경우, 제2 절개부(322)도 벌어질 수 있다. 서로 대응되는 제3 접촉면(322a)과 제4 접촉면(322b)은 제2 절개부(322)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몸체(310)가 변형되지 않은 경우 제3 접촉면(322a)과 제4 접촉면(322b)은 서로 밀착될 수 있으며,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이 서로 분리되어 멀어지도록 몸체(310)가 탄성 변형되면 제3 접촉면(322a)과 제4 접촉면(322b)도 분리되어 멀어질 수 있다.
관통부(330)의 밀착면(333)은 제2 절개부(322)에 의해 절개되어 있으므로, 밀착면(333)의 절개된 일단은 제3 접촉면(322a)과 연결될 수 있고 밀착면(333)의 절개된 타단은 제4 접촉면(322b)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접촉면(322a)과 제4 접촉면(322b)이 몸체(310)의 변형에 따라 분리되는 경우, 밀착면(333)의 제2 절개부(322)에 의해 절개되는 부분이 벌어질 수 있다. 즉, 제3 접촉면(322a)과 연결되는 밀착면(333)의 일단과 제4 접촉면(322b)과 연결되는 밀착면(333)의 타단은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몸체(310)가 탄성 변형되는 경우,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 사이에 간격(321c)이 형성될 수 있고, 제3 접촉면(322a)과 제4 접촉면(322b) 사이에도 간격(322c)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접촉면(322a)과 연결되는 밀착면(333)의 일단과 제4 접촉면(322b)과 연결되는 밀착면(333)의 타단 사이에는 제3 접촉면(322a)과 제4 접촉면(322b)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322c)과 연통되는 간격(333a)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140)은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 사이에 형성된 간격(321c), 제3 접촉면(322a)과 제4 접촉면(322b) 사이에 형성된 간격(322c), 제3 접촉면(322a)과 연결되는 밀착면(333)의 일단과 제4 접촉면(322b)과 연결되는 밀착면(333)의 타단 사이에 형성된 간격(333a)을 차례로 통과하여 관통부(330)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 절개부(321)와 제2 절개부(322)가 벌어지도록 몸체(310)가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케이블(140)은 벌어진 제1 절개부(321)와 제2 절개부(322)를 차례로 통과하여 일측이 벌어진 관통부(330)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140)의 일단이 관통부(330)의 직경보다 크거나 케이블(140)의 일단이 디스플레이 모듈(110)이나 인쇄 회로 기판(131)에 결합되어 있어서 제1 개구(331) 또는 제2 개구(332)를 통하여 케이블(140)을 그 일단부터 관통부(330)에 삽입하기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절개부(320)를 통해 케이블(140)의 일단이 아닌 중간 부분을 직접 몸체(310) 내부로 삽입하여 관통부(330)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클램프(300)에 케이블(140)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몸체(310)가 탄성 변형되어 케이블(140)이 관통부(330)에 삽입된 후 몸체(310)는 다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몸체(310)가 복원됨에 따라 관통부(330)는 삽입된 케이블(140)의 외주면을 감싸고, 제3 접촉면(322a)과 제4 접촉면(322b)이 다시 밀착되게 되며,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이 다시 밀착되게 된다. 관통부(330)의 밀착면(333)은 케이블(14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밀착면(333)과 케이블(140)의 외주면 사이로 수분이 침투할 수 없도록 밀착면(333)과 케이블(140) 외주면은 밀착되고, 제3 접촉면(322a)과 제4 접촉면(322b) 사이로 수분이 침투할 수 없도록 제3 접촉면(322a)과 제4 접촉면(322b)은 밀착되며,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 사이로 수분이 침투할 수 없도록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은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140)이 삽입된 채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 몸체(310)를 갖는 케이블 클램프(300)는 케이블 장착홈(211)에 결합됨으로써 케이블(140)이 인출되는 연통로(212)를 통하여 외부의 수분 또는 오수가 수용 공간(201)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은 제1 절개부(321)에 의해 절개되는 몸체(310)의 일면(310a)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블 클램프의 절개부와 관통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블 클램프의 절개부와 관통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과 같이,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은 제1 절개부(321)에 의해 절개되는 몸체(310)의 일면(310a)에 대해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더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은 제1 절개부(321)에 의해 절개되는 몸체(310)의 일면(310a)에 수직하고, 절개되는 몸체(310)의 일면(310a)과 직교하는 몸체의 상면(310b) 또는 하면(310d)에 대해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접촉면(322a)과 제4 접촉면(322b) 및 관통부(330) 역시 몸체(310)의 상면(310b) 또는 하면(310d)에 대해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접촉면(321a)과 제2 접촉면(321b)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더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외부의 수분이나 오수가 외부에 노출되는 몸체(310)의 상면(310b)으로부터 기판 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하여 이동해야 하는 접촉면(321a,321b)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외부의 수분의 침투를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의 내용은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케이블 클램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케이블 클램프(300)는 관통부(33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 마개(340)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 마개(340)는 관통부(330)에 삽입되는 마개부(341)와, 마개부(341)와 몸체(310)를 연결하고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탄성 연결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341), 탄성 연결부(342), 몸체(3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 마개(340)는 몸체(310)의 하면(310d)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마개부(341)가 몸체(310)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마개부(341)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거나 분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폐 마개(340)의 마개부(341)는 관통부(330)의 제1 개구(331) 또는 제2 개구(332)를 통하여 관통부(330)에 삽입될 수도 있고, 케이블(140)과 같이 벌어진 제1 절개부(321), 벌어진 제2 절개부(322)를 차례로 통과하여 관통부(330)에 삽입될 수 있다.
마개부(341)는 삽입되는 관통부(330)의 직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밀착면(333)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빈 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밀폐 마개(340)는 서로 다른 크기의 외경을 갖는 마개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341)는 탄성 연결부(342)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관통부(330)에 인접하게 옮겨질 수 있고, 마개부(341)는 관통부(330)에 삽입되어 관통부(330)와 수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부(330) 중 일부만이 케이블(140)이 삽입되고 나머지 관통부(330)에는 케이블(140)이 삽입되지 않는 경우, 케이블(140)이 삽입되지 않는 나머지 관통부(330)에 밀폐 마개(34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클램프(300)의 모든 관통부(330)는 케이블(140) 또는 밀폐 마개(34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고 모든 관통부(330)는 수밀하게 밀폐될 수 있으므로, 관통부(330)를 통해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 1
하우징; 10
유입부; 11
배출부; 12
보호 글라스; 20
디스플레이 모듈; 110
열교환 모듈; 120
제어 모듈; 130
인쇄 회로 기판; 131
전자 부품; 132
케이블; 140
기판 케이스; 200
수용 공간; 201
케이스 바디; 210
케이스 커버; 220
클램프 장착홈; 211
연통로; 212
케이블 클램프; 300
몸체; 310
절개부; 320
제1 절개부; 321
제2 절개부; 322
관통부; 330
밀착면; 333
밀폐 마개; 340
마개부; 341
탄성 연결부; 342

Claims (20)

  1. 하우징;
    화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케이블과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수용되는 기판 케이스;
    상기 수용 공간의 일측을 밀폐하도록 상기 기판 케이스에 마련되는 케이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절개된 제1 절개부;
    상기 제1 절개부의 일단에서 분기되는 복수의 제2 절개부;
    상기 복수의 제2 절개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부로서, 각각의 관통부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대응되는 케이블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관통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클램프의 몸체는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관통부는
    상기 대응되는 케이블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은
    상기 대응되는 케이블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상기 제1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은 서로 밀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제1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상기 몸체의 일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몸체의 일면과 이웃하는 상기 몸체의 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제1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상기 몸체의 일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케이스는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에 클램프 장착홈이 형성되는 케이스 바디;
    상기 케이스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 장착홈을 커버하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 장착홈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상기 케이스 커버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 마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폐 마개의 각각은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는 마개부;
    상기 몸체와 상기 마개부를 연결하고,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마개부와, 상기 탄성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개부는
    상기 제1 절개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절개부의 일단에서 절곡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클램프의 몸체는 탄성을 갖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복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을 보호하도록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내부에 수용하는 기판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 케이스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서 연장되는 케이블이 통과하도록 상기 기판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로가 마련되는 케이스 바디;
    상기 연통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상기 케이블과 결합되는 복수의 관통부;
    상기 복수의 관통부의 내면을 절개하는 복수의 절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개부는 2개씩 쌍을 이루어 합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개부는 3개씩 쌍을 이루어 합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복수의 케이블과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이 수용되는 기판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일측을 밀폐하도록 상기 기판 케이스에 마련되고,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절개된 제1 절개부;
    상기 제1 절개부의 일단에서 분기되는 복수의 제2 절개부;
    상기 복수의 제2 절개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부로서, 각각의 관통부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대응되는 케이블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관통부;를 포함하는 기판 케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케이스는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부에 삽입될 수 있는 밀폐 마개를 더 포함하는 기판 케이스.
KR1020200028532A 2020-03-06 2020-03-06 기판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210112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532A KR20210112901A (ko) 2020-03-06 2020-03-06 기판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PCT/KR2021/002673 WO2021177742A1 (en) 2020-03-06 2021-03-04 Board cas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7/194,901 US20210280992A1 (en) 2020-03-06 2021-03-08 Board cas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532A KR20210112901A (ko) 2020-03-06 2020-03-06 기판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901A true KR20210112901A (ko) 2021-09-15

Family

ID=7755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532A KR20210112901A (ko) 2020-03-06 2020-03-06 기판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80992A1 (ko)
KR (1) KR20210112901A (ko)
WO (1) WO202117774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2884B2 (en) * 2004-08-30 2008-10-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aling member for enclosures
JP4876063B2 (ja) * 2007-12-07 2012-0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8109580B1 (en) * 2008-05-31 2012-02-07 Porcelain Promotions, Inc. Display housing
KR20110055337A (ko) * 2009-11-18 201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WO2014205305A2 (en) * 2013-06-20 2014-12-24 Rain Case, LLC Enclosure device for a video display
US9853436B2 (en) * 2015-12-30 2017-12-26 Richard B. Simon Cable organizer and pro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80992A1 (en) 2021-09-09
WO2021177742A1 (en)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3195B2 (en) Structure for assembling lamp wires for backlight assembly into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10473844B2 (en) Backlight uni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319156B1 (ko) 표시장치
US9810832B2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ing device
US1047384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423640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positioning portion opposite to a second positioning portion and television device having the same
WO2018117411A1 (en) Display device
KR20230008906A (ko) 액정 표시 장치
US731283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US20160021773A1 (en) Display device and multi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200296190A1 (en) Terminal
WO2018194720A1 (en) Frame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display
US20120293728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6894738B2 (en) Lamp unit, light guide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m
WO2018117412A2 (en) Display apparatus
KR101396640B1 (ko) 표시장치
US20190394318A1 (en) Terminal
US20120281148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20160015476A (ko) 표시 장치
KR20210112901A (ko) 기판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JP2019103155A (ja) インバータ装置
KR20160087945A (ko) 표시 장치
ES2353950T3 (es)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de imágenes de tipo plano.
CN106773212B (zh) 全密闭显示单元
US10353140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