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125B1 -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 이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 - Google Patents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 이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125B1
KR102626125B1 KR1020210070259A KR20210070259A KR102626125B1 KR 102626125 B1 KR102626125 B1 KR 102626125B1 KR 1020210070259 A KR1020210070259 A KR 1020210070259A KR 20210070259 A KR20210070259 A KR 20210070259A KR 102626125 B1 KR102626125 B1 KR 10262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pair
hook
side end
prot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925A (ko
Inventor
조호윤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7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1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활선 공법이 적용 가능한 건축용 방호관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쪽의 측단부가 개구하고 이면들이 서로 대치되도록 다른쪽의 측단부가 접합되어 있는 한 쌍의 몸체부, 한 쌍의 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가 걸리는 후크 걸이부, 박육 형상을 가지고, 상기 다른쪽의 측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를 접합하는 접합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의 상기 한쪽의 측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몸체부의 개구 부분이 닫혔을 때에 상기 한쪽의 측단부가 서로 연결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건축용 방호관을 통해 간전활선 공법으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전선로에 건축용 방호관을 용이하게 설치 및 철거하여 작업자의 능륙이 증가될 수 있다.

Description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 이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PPROTECTIVE COVER FOR INDIRECT HOT-LINE WORK, AND METHOD OF INSTALLATION AND DEMOLITION THEREFOR}
본 발명은 간접 활선 공법이 수행될 수 있는 건축용 방호관, 이의 설치 방법및 철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방호관은 배전선로 인근에 건축 등이 진행되는 경우, 작업자 또는 작업용 장비가 배전선로에 접촉함에 따라 발생하는 안전사고나 선로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통상적인 건축용 방호관은 내부에 절연전선이 안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현상을 가지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끝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연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직접 활선 공법으로 건축용 방호관을 설치하는 방법은 절연바켓 트럭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배전선로에 접근하고, 작업자가 직접 건축용 방호관을 수백 내지 수만 볼트의 전류가 흐르는 활선에 직접 접촉하면서 절연전선에 끼우는 것으로, 시공시 건축용 방호관을 설치하는 작업자가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활선에 접촉함에 따라 감전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직접 활선 공법 대신 별도의 설치 기구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간접 활선 공법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간접 활선 공법은 사용되는 건축용 방호관 별로 별도의 설치 기구 및 철거 기구가 반드시 필요하고, 또한 이 기구를 이용해 건축용 방호관을 설치 및 철거하게 되어 있었으므로 작업자 숙련도가 필요하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168호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간접 활성 공법을 통한 건축용 방호관을 설치 및 철거 작업에서 기존 사용되었던 기구가 적용 가능하고, 설치건축용 방호관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선선로에서 간접 활선 공법을 통해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방호관은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으로서, 한쪽의 측단부가 개구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면들이 서로 대치되도록 다른쪽의 측단부가 접합되어 내부 공간에 전선을 수용하는 한 쌍의 몸체부, 박육 형상을 가지고 상기 다른쪽의 측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를 접합하는 접합부, 한 쌍의 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가 걸리는 후크 걸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의 상기 한쪽의 측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몸체부의 개구 부분이 닫혔을 때에 상기 한쪽의 측단부가 서로 연결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 걸이부를 상기 고정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접합부가 찢어지면서 전선에 설치된 건축용 방호관이 철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방호관에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는 상기 접합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반원기둥 형상의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건축용 방호관에서 상기 후크 걸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가 걸리는 홈을 형성하며, 상기 후크 걸이부는 상기 접합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몸체부에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축용 방호관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몸체부의 양쪽 측단부에서 각각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내측에서 복수 개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 및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 형성되어 결합하는 고정 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방호관의 설치 방법은 한쪽의 측단부가 개구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면들이 서로 대치되도록 다른쪽의 측단부가 접합되어 내부 공간에 전선을 수용하는 한 쌍의 몸체부, 상기 다른쪽의 측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가 접합하는 접합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가 걸리는 후크 걸이부, 상기 한 쌍의 몸체부의 상기 한쪽의 측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몸체부의 개구 부분이 닫혔을 때에 상기 한쪽의 측단부가 서로 연결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방호관의 설치 방법으로서,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후크 걸이부에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를 거는 단계; 상기 간접 활선 스틱을 이용하여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몸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전선에 접근시키는 단계; 상기 간접 활선 스틱을 이용하여, 상기 전선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개구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 양단에 구비된 고정부에 의해 상기 건축용 방호관을 전선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용 방호관 설치 방법에서 상기 건축용 방호관을 전선에 체결하는 단계는, 고정부의 고정 홈에 고정 돌기의 삽입되어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앞서 살펴본 건축용 방호관의 설치 방법으로 설치된 건축용 방호관의 철거 방법은,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내부 공간에 전선이 위치하여 고정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후크 걸이부에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를 거는 단계; 및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고정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간접 활선 스틱을 잡아 당겨 상기 건축용 방호관을 전선으로부터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용 방호관의 철거 방법에서 상기 건축용 방호관을 전선으로부터 철거하는 단계는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한 쌍의 몸체부로 구성되는 접합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반원기둥 형상의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가 접촉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고정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후크 걸이부를 간접 활선 스틱으로 잡아 당겨 박육 형상을 가진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접합부가 찢어지면서 상기 건축용 방호관이 상기 전선으로부터 철거된다.
본 발명의 건축용 방호관은 설치 및 철거 기구로서 간접 활선 스틱을 이용하는 간접 활선 공법으로 배선선로에서 건축용 방호관 설치 및 철거의 용이하므로 건축용 방호관의 설치 및 철거 작업시간의 경감으로 작업 효율성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접 활선 공법으로 건축용 방호관이 설치 및 철거되므로 활선에 건축용 방호관의 설치 및 철거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을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방호관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방호관의 설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방호관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방호관의 철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방호관의 철거 방법을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건축용 방호관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는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방호관의 모식도이다.
도 1에서처럼 본 발명의 건축용 방호관(100)은 내부 공간에 전선이 수용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에 반원 링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어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가 걸리는 후크 걸이부(30), 및 상기 몸체부(10)에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것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방호관을 측면을 살펴보면 상기 몸체부(10)는 반원기둥 형상의 제1 몸체부(11)와 제2 몸체부(12)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몸체부(11, 12)의 한쪽 측단부는 서로 접합하도록 접합부(20)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몸체부(11, 12)에서 다른 쪽의 측단부는 제1 몸체부(11)과 제2 몸체부(12)가 서로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져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로 자유로이 개구되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몸체부(11)와 제2 몸체부(12)로 두개로 분리되어 이루어진 몸체부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를 통해 몸체부 내부 공간으로 전선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합부(20)는 박육 형상으로 제1 몸체부(11)와 제2 몸체부(12) 일측 끝단을 서로 연결시킨다.
상기 접합부(20)의 두께는 상기 접합부(20)에 상기 제1 몸체부(11)와 제2 몸체부(12)가 접촉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에 힘이 가해지면 찢어질 수 있도록 설정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접합부(20)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제1 몸체부(11)와 제2 몸체부(12)가 서로 분리되지 않아 건축용 방호관을 전선에서 철거하는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하고, 접합부(20)가 지나치게 얇으면 건축용 방호관을 설치하는 작업 중에 접합부(20)가 파손되어 건축용 방호관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가할 수 있는 힘의 범위 내에서 철거 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접합부(20)의 두께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 걸이부(30)는 한 쌍의 몸체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도 2에서처럼 제2 몸체부(12)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기 후크 걸이부(30)의 모양은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가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모양이면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 반원 링 또는 원형 링 모양일 수 있다.
상기 후크 걸이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가 걸리는 홈을 형성하며, 상기 후크 걸이부(30)는 상기 접합부(20)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몸체부(10)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0)의 좌우 양측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0)는 한 쌍의 몸체부에서 개구부가 형성된 측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제1 몸체부(11)과 제2 몸체부(12)가 서로 내측으로 오므려지면서 개구부가 닫혔을 때 제1 몸체부(11)과 제2 몸체부(12)의 각각 한 쪽의 측단부가 서로 연결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한 쌍의 몸체부(10)의 양쪽 측단부에서 각각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판(41), 상기 고정판의 내측에서 복수 개 돌출 형성된 고정 홈(42), 및 상기 고정 홈(42)에 대응 형성되어 결합하는 고정 돌기(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41)에서 고정 홈(42)와 고정 돌기(43)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건축용 방호관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건축용 방호관은 설치 및 철거 기구로서 간접 활선 스틱을 이용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건축용 방호관의 후크 걸이부에 체결되어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는 기구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방호관의 설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건축용 방호관의 설치 방법은, 건축용 방호관의 후크 걸이부에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를 거는 단계(S110),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몸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전선에 접근시키는 단계(S120), 상기 전선이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S130)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고정부에 의해 상기 건축용 방호관을 전선에 체결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후크 걸이부에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를 거는 단계(S110)는 상기 간접 활선 스틱을 이용하여 건축용 방호관을 설치하도록 건축용 방호관의 후크 걸이부에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를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몸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전선에 접근시키는 단계(S120)는 상기 S110 단계를 통해 후크 걸이부에 고정된 상태로 간접 활선 스틱을 움직여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몸체부(10)에 형성된 개구부에 목표하는 전선 부위에 접근시킨다.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S130)는 상기 간접 활선 스틱을 움직여 상기 전선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위치를 조정한다.
상기 건축용 방호관을 전선에 체결하는 단계(S140)는 상기 개구부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 양단에 구비된 고정부에 의해 상기 건축용 방호관을 전선에 체결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의 고정 홈에 고정 돌기의 삽입시켜 고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방호관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4에서는 간접 활선 스틱(300)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후크 걸이부(30)에 간접 활선 스틱(300)의 후크(310)가 걸려진 상태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축용 방호관(100)의 몸체부(10)에 형성된 개구부에 목표하는 전선(200)에 접근시키고(S120), 전선(200)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제대로 안착되어 위치시키며(S130), 마지막으로 고정부(40)에서 고정 홈(42)와 고정 돌기(43)가 서로 체결되어 고정한다(S140).
상기 건축용 방호관을 전선에 체결하는 단계(S140)를 통해 전선에 건축용 방호관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후크 걸이부에서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를 빼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방호관의 철거 방법의 순서도이다.
앞서 살펴본 건축용 방호관의 설치 방법으로 설치된 건축용 방호관의 철거 방법은, 상기 건축용 방호관의 후크 걸이부에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를 거는 단계(S210), 및 간접 활선 스틱을 잡아 당겨 상기 건축용 방호관을 상기 전선으로부터 철거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방호관의 철거 방법을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축용 방호관(100)의 내부 공간에 전선이 위치하여 고정부(4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건축용 방호관(100)의 후크 걸이부(30)에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를 건다.
그 다음 S220 단계는 상기 건축용 방호관(100)의 고정부(4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간접 활선 스틱을 잡아당기면, 상기 건축용 방호관(100)의 접합부(20)가 찢어지면서 찢어진 부위로 전선(200)이 나와 상기 건축용 방호관(100)이 상기 전선으로부터 철거된다.
본 발명의 건축용 방호관(100)은 상기 후크 걸이부(30)를 상기 고정부(4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한쌍의 몸체부(10)가 서로 접하고 있는 부분인 접합부(20) 찢어지면서 체결되어 있던 몸체부(10)가 서로 분리되어 상기 전선으로부터 설치해체되면서 건축용 방호관(100)이 철거된다.
10 : 몸체부
11 : 제1 몸체부
12 : 제2 몸체부
20 : 접합부
30 : 후크 걸이부
40 : 고정부
41 : 고정판
42 : 고정 홈
43 : 고정 돌기
100 : 건축용 방호관
200 : 전선
300 : 간접 활선 스틱
310 : 후크

Claims (9)

  1.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100)으로서,
    한쪽의 측단부가 개구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면들이 서로 대치되도록 다른쪽의 측단부가 접합되어 내부 공간에 전선을 수용하는 한 쌍의 몸체부(10);
    박육 형상을 가지고, 상기 다른쪽의 측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가 접합하는 접합부(20);
    한 쌍의 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가 걸리는 후크 걸이부(30);
    상기 한 쌍의 몸체부의 상기 한쪽의 측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몸체부의 개구 부분이 닫혔을 때에 상기 한쪽의 측단부가 서로 연결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40);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몸체부(10)는 상기 접합부(20)에서 서로 연결되는 반원기둥 형상의 제1 몸체부(11) 및 제2 몸체부(12)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4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 걸이부(30)를 상기 접합부(20)에서 상기 제1 몸체부(11) 및 제2 몸체부(12)가 접촉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고정부(4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접합부(20)가 찢어지면서 전선에 설치된 건축용 방호관(100)이 철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방호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걸이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가 걸리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방호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걸이부(30)는 상기 접합부(20)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몸체부(10)에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방호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한 쌍의 몸체부(10)의 양쪽 측단부에서 각각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판(41);
    상기 고정판의 내측에서 복수 개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43); 및
    상기 고정 돌기(43)에 대응 형성되어 결합하는 고정 홈(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방호관.
  6. 삭제
  7. 삭제
  8. 한쪽의 측단부가 개구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면들이 서로 대치되도록 다른쪽의 측단부가 접합되어 내부 공간에 전선을 수용하는 한 쌍의 몸체부(10), 상기 다른쪽의 측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몸체부가 접합하는 접합부(20), 상기 한 쌍의 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가 걸리는 후크 걸이부(30), 상기 한 쌍의 몸체부의 상기 한쪽의 측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몸체부의 개구 부분이 닫혔을 때에 상기 한쪽의 측단부가 서로 연결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40)를 포함하는 건축용 방호관(100)이 전선에 체결하여 설치된 건축용 방호관의 철거 방법으로서,
    상기 건축용 방호관(100)의 내부 공간에 전선이 위치하여 고정부(4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건축용 방호관(100)의 후크 걸이부(30)에 간접 활선 스틱의 후크를 거는 단계(S210); 및
    상기 건축용 방호관(100)의 고정부(4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간접 활선 스틱을 잡아 당겨 상기 건축용 방호관을 전선으로부터 철거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용 방호관을 전선으로부터 철거하는 단계(S220)는,
    상기 건축용 방호관(100)의 상기 한 쌍의 몸체부(10)로 구성되는 상기 접합부(20)에서 서로 연결되는 반원기둥 형상의 제1 몸체부(11) 및 제2 몸체부(12)가 접촉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건축용 방호관(100)의 고정부(4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후크 걸이부(30)를 간접 활선 스틱으로 잡아 당겨 상기 접합부(20)가 찢어지면서 상기 건축용 방호관(100)이 상기 전선으로부터 철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방호관의 철거 방법.
  9. 삭제
KR1020210070259A 2021-05-31 2021-05-31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 이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 KR10262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59A KR102626125B1 (ko) 2021-05-31 2021-05-31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 이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59A KR102626125B1 (ko) 2021-05-31 2021-05-31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 이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925A KR20220161925A (ko) 2022-12-07
KR102626125B1 true KR102626125B1 (ko) 2024-01-18

Family

ID=8444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259A KR102626125B1 (ko) 2021-05-31 2021-05-31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 이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1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797B1 (ko) * 2019-08-27 2020-02-12 (주)웅진엔지니어링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KR102110872B1 (ko) * 2018-12-05 2020-05-15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68U (ko) 2014-07-08 2016-01-18 (주) 진흥이엔지 45㎸급 건축용 방호관
KR102252930B1 (ko) * 2019-10-11 2021-05-18 한국전력공사 커버 개방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간접활선용 절연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872B1 (ko) * 2018-12-05 2020-05-15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KR102076797B1 (ko) * 2019-08-27 2020-02-12 (주)웅진엔지니어링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925A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15209C (en) Poke-through device
CN104600643A (zh) 装配式电缆穿墙固定装置及电缆穿墙敷设施工方法
JPS6131269B2 (ko)
KR101650145B1 (ko) 마감패널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2626125B1 (ko)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 이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
RU2017132972A (ru) Кабель,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абель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и систем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шины
KR101521460B1 (ko) 접지부 배선박스
KR102110872B1 (ko)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CN204424831U (zh) 装配式电缆穿墙固定装置
KR101713272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US48786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wire routing for buildings
KR20190139074A (ko) 방호관 취부장치
KR102001563B1 (ko) 전선낙하 방지장치
KR101043559B1 (ko) 절연 폴과 완철 홀더를 이용한 전선 가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공법
US20170054281A1 (en) Tubular part, embeddable electrical box, and kits formed by both
KR20190124565A (ko) 고전압 위험 표지판의 행거
CN210041199U (zh) 一种电缆桥架
KR101772337B1 (ko) 용이하게 시공되는 관통 슬리브
JP6867835B2 (ja) ユニットケーブル
KR200269701Y1 (ko) 케이블 고정구
KR20200051958A (ko) 접지장치
KR101130112B1 (ko) 배선박스와 그의 설치방법
KR102302728B1 (ko)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894185B1 (ko) 파이프 고정 너트 / 와샤
US20140300097A1 (en) Conduit stub-up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