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168U - 45㎸급 건축용 방호관 - Google Patents

45㎸급 건축용 방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168U
KR20160000168U KR2020140005102U KR20140005102U KR20160000168U KR 20160000168 U KR20160000168 U KR 20160000168U KR 2020140005102 U KR2020140005102 U KR 2020140005102U KR 20140005102 U KR20140005102 U KR 20140005102U KR 20160000168 U KR20160000168 U KR 201600001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current
insulating panel
current
electric wir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주) 진흥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진흥이엔지 filed Critical (주) 진흥이엔지
Priority to KR2020140005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168U/ko
Publication of KR201600001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45㎸급 건축용 방호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절연 전선이 안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내부가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끝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연패널;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누설전류가 흐르는 절연패널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굴곡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전류가 흐르는 누설거리를 길게 연장함으로, 고압의 전선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절연패널 내면으로 전류가 흐르면 절연패널의 구조상 전류가 절연패널에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누설전류가 절연패널의 외면으로 전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소멸되도록 유도하여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 및 절연패널을 열가소성 탄성체(TPE) 재질로 제작하여 고무의 우수한 절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고온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여 25㎸ 이상의 고압 전선에 안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고압 전선이 안치되는 몸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홈으로 인해 몸체로 누설된 전류가 몸체의 내주면에 흐르는(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45㎸급 건축용 방호관{Building insulation pipe for 45㎸}
본 고안은 45㎸급 건축용 방호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설전류가 흐르는 절연패널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굴곡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전류가 흐르는 누설거리를 길게 연장함으로, 고압의 전선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절연패널 내면으로 전류가 흐르면 절연패널의 구조상 전류가 절연패널에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누설전류가 절연패널의 외면으로 전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소멸되도록 유도하여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 및 절연패널을 열가소성 탄성체(TPE) 재질로 제작하여 고무의 우수한 절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고온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여 25㎸ 이상의 고압 전선에 안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45㎸급 건축용 방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 배전선로 상에서 전력선의 접속 개소는 절연 전선, 애자, 주상 변압기 및 컷 아웃 스위치(COS:cut-out switch) 등으로 구성되어 지지물(전주)에 접속된다.
한편,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 배전선로 주변에서 공사 또는 활선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가공 배전선로 상에 작업자나 작업용 장비의 접근이 수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기적인 안전사고나 선로의 고장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전선을 방호관으로 덮어 전기적인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한다.
여기서, 종래의 방호관 구조를 살펴보면 통상 내부에 절연 전선이 안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끝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연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방호관은 몸체 내부에서 고압의 누설전류가 누설되는 경우에 전류가 상기 몸체 및 절연패널 내부 면을 외부 면으로 이송되는 누설거리가 짧아 25㎸ 이상의 고압의 전선에는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절연패널의 길이를 연장하여 누설거리를 연장할 수 있으나, 상기 절연패널의 길이를 연장하게 되면 상기 방호관의 무게가 증대되어 상기 방호관이 설치되는 전선이 하방으로 쳐지는 안전상의 문제점 및 상기 절연패널이 너무 길면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상기 절연패널 사이를 벌려 상기 몸체 내부에 전선을 안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불편하여 현실적으로 상기 절연패널의 길이를 연장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종래의 방호관은 제작의 편의성 및 절연성을 위해 통상의 저밀도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제작하였으나,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녹는점이 105 내지 110℃로 누설 전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고온에 종래의 방호관은 너무 쉽게 녹아 방호관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더욱 25㎸ 이상의 고압의 전선에는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25㎸ 이상의 고압의 전선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호관의 개발히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누설전류가 흐르는 절연패널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굴곡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전류가 흐르는 누설거리를 길게 연장함으로, 고압의 전선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절연패널 내면으로 전류가 흐르면 절연패널의 구조상 전류가 절연패널에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누설전류가 절연패널의 외면으로 전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소멸되도록 유도하여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 및 절연패널을 열가소성 탄성체(TPE) 재질로 제작하여 고무의 우수한 절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고온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여 25㎸ 이상의 고압 전선에 안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45㎸급 건축용 방호관을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고압 전선이 안치되는 몸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홈으로 인해 몸체로 누설된 전류가 몸체의 내주면에 흐르는(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45㎸급 건축용 방호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45㎸급 건축용 방호관은 내부에 절연 전선이 안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내부가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끝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연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절연패널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굴곡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절연패널로 누설된 전류가 상기 절연패널의 내면에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누설전류가 상기 절연패널의 외면으로 전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소멸되도록 유도하여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안정적으로 예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45㎸급 건축용 방호관(100)은 열가소성 탄성체(TPE:Thermoplastic elastomer)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45㎸급 건축용 방호관(100)의 두께(t)는 3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는 등각 간격으로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홈;을 더 형성하여,
상기 몸체로 누설된 전류가 상기 몸체의 내면에 체류하는 시간을 연장하여 누설전류가 상기 절연패널의 외면으로 전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소멸되도록 유도하여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안정적으로 예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45㎸급 건축용 방호관에 의하면, 누설전류가 흐르는 절연패널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굴곡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전류가 흐르는 누설거리를 길게 연장함으로, 고압의 전선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절연패널 내면으로 전류가 흐르면 절연패널의 구조상 전류가 절연패널에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누설전류가 절연패널의 외면으로 전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소멸되도록 유도하여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 및 절연패널을 열가소성 탄성체(TPE) 재질로 제작하여 고무의 우수한 절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고온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여 25㎸ 이상의 고압 전선에 안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고압 전선이 안치되는 몸체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홈으로 인해 몸체로 누설된 전류가 몸체의 내주면에 흐르는(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45㎸급 건축용 방호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45㎸급 건축용 방호관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45㎸급 건축용 방호관의 사용상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45㎸급 건축용 방호관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45㎸급 건축용 방호관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45㎸급 건축용 방호관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45㎸급 건축용 방호관의 A-A 단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45㎸급 건축용 방호관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45㎸급 건축용 방호관(100)은 몸체(10)와, 절연패널(2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절연 전선(1)이 안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절개부(11)가 형성되어 내부가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주면에는 등각 간격으로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홈(40);을 더 형성하여 상기 몸체(10) 내주면에 전류가 흐르는 누설거리를 길게 확보함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 내부에 위치된 전선으로부터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상기 몸체(10) 내주면으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누설된 전류가 상기 몸체(10)의 내주면에 체류하는(흐르는) 시간이 연장되어 누설전류가 후설될 상기 절연패널(20)의 외면으로 전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소멸되도록 유도하여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안정적으로 예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패널(20)은 상기 몸체(10)의 양끝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절연패널(20)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굴곡(30)을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패널(20)로 누설된 전류가 상기 절연패널(20)의 내면에 굴곡(30:주름)이 형성된 구조로 인해 상기 절연패널(20)의 전체적 길이를 길게 연장하지 않으면서 상기 절연패널(20)에 전류가 흐르는 누설거리는 길게 확보함으로, 상기 절연패널(20)에 체류하는(흐르는) 시간이 연장되어 누설전류가 상기 절연패널(20)의 외면으로 전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소멸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안정적으로 예방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45㎸급 건축용 방호관(100)은 열가소성 탄성체(TPE:Thermoplastic elastomer) 재질로 제작하여 전선(1)으로부터 고압(25㎸ 이상)의 전류가 누설되어 발생할 수 있는 고온에 녹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25 내지 45㎸ 고압 전선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무의 우수한 절연성을 확보하여 누설전류가 상기 몸체(10) 및 절연패널(20)을 관통하여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45㎸급 건축용 방호관(100)은 아래의 [시험기준] 150℃의 고온에 대한 내열용해 시험(KSC IEC 61479 7.6항 기준)에 따라 내열용해 시험을 수행한 결과가 아래의 [시험결과], [시험 전 사진] 및 [시험 후 사진]에 나타나 있다
[시험기준]
Figure utm00001
[시험결과]
Figure utm00002
[시험 전 사진]
Figure utm00003
[시험 후 사진]
Figure utm00004
즉, 본 고안의 45㎸급 건축용 방호관(100)은 150℃의 고온에서 외관의 변화가 전혀 없어 고온에 대한 내열성이 충분히 입증되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45㎸급 건축용 방호관(100)의 두께(t)는 3mm로 형성하여 60㎸ 전압까지 관통하지 못하도록 설계하였으며, 이는 내전압시험(KSC IEC 7.4 기준)에서 충분히 입증되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45㎸급 건축용 방호관(100)은 누설전류가 흐르는 상기 절연패널(20)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굴곡(30)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전류가 흐르는 누설거리를 길게 연장함으로, 고압의 전선에서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상기 절연패널(20) 내면으로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절연패널(20)의 구조상 전류가 상기 절연패널(20)에 체류하는(흐르는) 시간이 연장되어 누설전류가 상기 절연패널(20)의 외면으로 전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소멸되도록 유도하여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10) 및 절연패널(20)을 열가소성 탄성체(TPE) 재질로 제작하여 고무의 우수한 절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고온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여 25㎸ 이상의 고압 전선(1)에 안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고압 전선(1)이 안치되는 상기 몸체(10)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상기 연장홈(40)으로 인해 상기 몸체(10)로 누설된 전류가 상기 몸체(10)의 내주면에 흐르는(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45㎸급 건축용 방호관(100)은 다음과 같이 누설전류를 해소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45㎸급 건축용 방호관(100)을 고압 전선에 설치하기 위해 몸체(10)의 절개부(11)를 간편히 벌려 상기 몸체(10) 내부에 전선(1)이 안치되도록 하여 설치한다.
그런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으로부터 고압의 전류가 누설되면 상기 몸체(10) 내주면으로 흐르면 상기 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홈(40)으로 인해 누설된 전류가 상기 몸체(10)의 내주면에 체류하는(흐르는) 시간이 연장되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전류가 상기 몸체(10) 내주면을 거쳐 절연패널(20)로 전도되면 상기 절연패널(20)의 내면에 굴곡(30)이 형성된 구조로 인해 상기 절연패널(20)에 체류하는(흐르는) 시간이 연장되어 누설전류가 상기 절연패널(20)의 외면으로 전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소멸되어 누설전류로 인한 안전사고를 안정적으로 예방한다.
그런 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45㎸급 건축용 방호관(100)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몸체(10)의 절개부(11)를 벌려 전선으로부터 간편히 회수한 후에 필요시에 재사용하면 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전선
t. 두께
10. 몸체 11. 절개부
20. 절연패널 30. 굴곡
40. 연장홈
100. 45㎸급 건축용 방호관

Claims (4)

  1.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을 위해 절연 전선(1)을 덮어 절연 방호하는 건축용 방호관에 있어서,
    내부에 절연 전선(1)이 안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절개부(11)가 형성되어 내부가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하는 몸체(10); 및
    상기 몸체(10)의 양끝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절연패널(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절연패널(20)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굴곡(30)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절연패널(20)로 누설된 전류가 상기 절연패널(20)의 내면에 체류하는 시간이 연장되어 누설전류가 상기 절연패널(20)의 외면으로 전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소멸되도록 유도하여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안정적으로 예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5㎸급 건축용 방호관(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5㎸급 건축용 방호관(100)은 열가소성 탄성체(TPE:Thermoplastic elastomer)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5㎸급 건축용 방호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45㎸급 건축용 방호관(100)의 두께(t)는 3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5㎸급 건축용 방호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내주면에는 등각 간격으로 상기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홈(40);을 더 형성하여,
    상기 몸체(10)로 누설된 전류가 상기 몸체(10)의 내면에 체류하는 시간을 연장하여 누설전류가 상기 절연패널(20)의 외면으로 전도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소멸되도록 유도하여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사고를 안정적으로 예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5㎸급 건축용 방호관.
KR2020140005102U 2014-07-08 2014-07-08 45㎸급 건축용 방호관 KR201600001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102U KR20160000168U (ko) 2014-07-08 2014-07-08 45㎸급 건축용 방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102U KR20160000168U (ko) 2014-07-08 2014-07-08 45㎸급 건축용 방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68U true KR20160000168U (ko) 2016-01-18

Family

ID=5531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102U KR20160000168U (ko) 2014-07-08 2014-07-08 45㎸급 건축용 방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168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797B1 (ko) * 2019-08-27 2020-02-12 (주)웅진엔지니어링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KR102110872B1 (ko) 2018-12-05 2020-05-15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KR102314189B1 (ko) 2021-06-17 2021-10-19 주식회사 신화철강 포스맥 강판을 이용한 부식 방지 수상 태양광 상부 구조물
KR102314186B1 (ko) 2021-03-10 2021-10-19 주식회사 신화철강 스테인리스 스틸 계열의 수상 태양전지판 부유식 설치 구조체
KR102388373B1 (ko) 2021-05-11 2022-04-20 주식회사 신화철강 헬리컬 파일 계열 태양광 구조체
KR20220161925A (ko) 2021-05-31 2022-12-07 한국전력공사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 이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
KR20240020833A (ko) 2022-08-09 2024-02-16 한국전력공사 건축용 방호관 및 그의 설치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872B1 (ko) 2018-12-05 2020-05-15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KR102076797B1 (ko) * 2019-08-27 2020-02-12 (주)웅진엔지니어링 나전선용 방호관 연결구
KR102314186B1 (ko) 2021-03-10 2021-10-19 주식회사 신화철강 스테인리스 스틸 계열의 수상 태양전지판 부유식 설치 구조체
KR102388373B1 (ko) 2021-05-11 2022-04-20 주식회사 신화철강 헬리컬 파일 계열 태양광 구조체
KR20220161925A (ko) 2021-05-31 2022-12-07 한국전력공사 간접 활선 공법을 위한 건축용 방호관, 이의 설치 방법 및 철거 방법
KR102314189B1 (ko) 2021-06-17 2021-10-19 주식회사 신화철강 포스맥 강판을 이용한 부식 방지 수상 태양광 상부 구조물
KR20240020833A (ko) 2022-08-09 2024-02-16 한국전력공사 건축용 방호관 및 그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0168U (ko) 45㎸급 건축용 방호관
KR101160677B1 (ko)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CN102780195A (zh) 10-35kv冷缩电缆终端头及其制作方法
JP2011511611A (ja) 外部スリーブ
CN207542418U (zh) 一种绝缘保护套
US2091824A (en) Electric cord set
MX361758B (es) Cable electrico con cordon de alambre adicional.
CN206179554U (zh) 高强度缓冲电缆
KR102091699B1 (ko)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신축형 전선 커버
CN103904592A (zh) 一种10kV交联聚乙烯绝缘热缩终端头制作方法
RU173258U1 (ru) Кабель силовой экранированный
KR101188633B1 (ko) 피뢰기 일체형 컷 아웃 스위치
KR20200063432A (ko)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EP2413331A1 (en) Flexible middle voltage (3.6/6 kV - 6/10 kV - 8.7/15 kV - 12/20 kV) electric cable resistant against fire, mechanical impacts and water jets, according to the Standard BS 7846:2009 CAT. F60
CN105186430B (zh) 一种高压电缆保护装置
CN203632163U (zh) 一种用于母排的槽扣式硅橡胶绝缘护具
KR20180087074A (ko) 난연 신소재로 이루어진 감온변색 직선접속재
KR200339034Y1 (ko) 애자 방호관
RU150154U1 (ru) Концевая кабельная муфта
KR100786318B1 (ko) 지중케이블 연결을 위한 매설형 배관구조
CN206250406U (zh) 一种飞机300kV静电试验的低阻抗接地装置
CN206893352U (zh) 一种防雷埋地电缆
US9622454B2 (en) Electric fence box fuse system
CN213752159U (zh) 自粘式绝缘罩
IL273089B2 (en) A device for monitoring the insulation and/or continuity of at least one electric cable and a related monito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