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677B1 -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677B1
KR101160677B1 KR1020120045816A KR20120045816A KR101160677B1 KR 101160677 B1 KR101160677 B1 KR 101160677B1 KR 1020120045816 A KR1020120045816 A KR 1020120045816A KR 20120045816 A KR20120045816 A KR 20120045816A KR 101160677 B1 KR101160677 B1 KR 101160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otation guide
live
insulated wire
distribu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해만
Original Assignee
(주)선진전력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진전력기술단 filed Critical (주)선진전력기술단
Priority to KR102012004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surfaces specially treated for preserving insulating properties, e.g. for protection against moisture, dirt,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64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에 관한 것으로, 배전 선로의 직접 활선작업시 활선 작업기구가 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파손시 교체가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보수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는, 절연 전선(1), 일측에 상기 절연 전선이 연결되는 인류 클램프(3), 상기 인류 클램프의 타측에 결합되며 소켓아이와 쇄클을 통해 전주의 완철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4)가 결합되는 곳인 충전부(2)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현수 애자를 감싸 보호하는 제1커버부(110)와; 상기 인류 클램프에서부터 상기 절연 전선과 상기 인류 클램프의 이음부를 감싸 보호하는 제2커버부(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커버부는 각각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제1-1,1-2,2-1,2-2커버편(111,112,121,122), 상기 제1-1,1-2,2-1,2-2커버편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2힌지(113,123), 상기 제1-1,1-2,2-1,2-2커버편의 자유 단부를 고정하는 제1,2체결구(114,1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제2커버부측의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안내홈(115)이 구비되고,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제1커버부측의 단부를 감싸는 덮음부(125) 및 상기 덮음부에 체결되며 단부가 상기 회전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안내핀(126)이 포함되어, 상기 제2커버부가 상기 회전안내핀과 회전안내홈을 통해 각각 회전하면서 활선 작업기구가 미끄러지면서 상기 충전부를 회피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PROTECTING COVER FOR LIVE FRONT OPERATE IN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 선로의 직접 활선작업시 활선 작업기구가 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파손시 교체가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보수할 수 있는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또는 특 고압(23㎸) 배전선로의 유지 보수공사는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유지하며, 정전사고를 최소화하여 전력수요자들에게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상태로 보수공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압이 살아있는 상태 즉, 무정전 활선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만 하며, 현재에는 대부분 이와 같이 활선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배전선로의 활선작업은 2가지 종류 즉, 직접활선작업과 간접활선작업으로 나누어져 있다.
간접활선작업의 경우 핫스틱이라는 공구를 이용해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간접활선작업은 공구를 이용한 작업으로서 안전성은 있으나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직접활선작업의 경우 작업자가 절연장갑을 끼고 전압이 22.9kV나 되는 특고압 전선을 접촉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로서 작업시간은 짧게 소요되나 위험성이 대단히 큰 단점이 있으며, 그동안 작업 부주의로 인한 인명피해가 적지 않게 발생하여 왔다.
그러나 작업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이점이 있다는 이유로 대부분 활선작업은 직접활선작업을 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인명피해의 문제점은 계속적으로 발생할 여지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전 선로 상에서 전력선의 접속 개소는 절연 전선, 인류 클램프, 인류 클램프 커버 및 애자 등으로 구성되어 지지물(전주)에 접속된다. 애자와 전선을 접속하는 인류 클램프에는 인류 클램프 커버가 씌워져 접속 개소의 충전 부위가 절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활선 작업과 같은 인위적인 접근이 없는 전제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활선 작업시에는 작업자나 작업용 장비의 접근이 수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절연 특성과 기계적으로 우수한 강도를 가진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만 한다.
도 1은 절연 커버(100)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절연 전선(1)에 연결되는 충전부(2)(접속 개소)를 보호하기 위하여 가공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10)를 충전부(2)의 상단에서 아래로 덮어 씌움으로써 절연 커버(10)가 충전부(2)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 커버(10)가 바람이나 전선의 진동과 같은 영향에도 피해 없이 안정적으로 충전부(2)에 형성되는 것이다.
절연 커버(10)가 형성될 충전부(2)는 인류 클램프(3), 현수 애자(4)로 이루어지며, 인류클램프(3)의 일단은 절연 전선(1)에 연결되고, 인류 클램프(3)의 타단은 현수 애자(4)의 일단과 연결되며, 현수 애자(4)의 타단은 소켓 아이(5) 및 쇄클(6)을 통하여 전신주의 완철(7)에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절연 커버로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한 절연 커버는 현수 애자 및 인류 클램프에 대응 또는 상기 절연 전선, 인류 클램프 및 현수 애자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형상 크기를 갖되, 상기 인류 클램프를 보호하는 인류 클램프 커버를 덮도록 상기 인류 클램프 커버의 크기를 반영하여 상기 순차적인 형상 크기로 일체화된 본체 커버 및 상기 본체 커버가 상기 접속 개소를 덮어서 형성될 때, 상기 본체 커버의 양면을 고정하는 잠금 고리로 구성되는 것으로, 충전부를 덮는 기능만 수행할 뿐이다.
따라서, 활선 작업기구가 부딪치는 경우 절연 커버의 깨짐 및 천공이 발생하여 절연 커버로서의 기능을 못하게 되어 결국 활선 작업기구가 충전부에 접촉되어 도통으로 인한 인명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 커버의 파손이나 손상시 절연 커버가 일체형 구조이기 때문에 절연 커버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보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5173호 등록특허 제10-040275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전 선로의 직접 활선작업시 활선 작업기구가 충전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파손시 교체가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보수할 수 있는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는, 절연 전선, 일측에 상기 절연 전선이 연결되는 인류 클램프, 상기 인류 클램프의 타측에 결합되며 소켓아이와 쇄클을 통해 전주의 완철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가 결합되는 곳인 충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현수 애자를 감싸 보호하는 제1커버부와; 상기 인류 클램프에서부터 상기 절연 전선과 상기 인류 클램프의 이음부를 감싸 보호하는 제2커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커버부는 각각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제1-1,1-2,2-1,2-2커버편, 상기 제1-1,1-2,2-1,2-2커버편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2힌지, 상기 제1-1,1-2,2-1,2-2커버편의 자유 단부를 고정하는 제1,2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제2커버부측의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안내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제1커버부측의 단부에 상기 회전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안내핀이 포함되어, 상기 제1,2커버부가 상기 회전안내핀과 회전안내홈을 통해 각각 회전하면서 활선 작업기구가 미끄러지면서 상기 충전부를 회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에 의하면, 제1,2커버부가 분리 구성되면서 각각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활선 작업 도구가 닿는 경우 제1,2커버부가 각각 제자리 회전하면서 활선 작업 도구가 미끄러지면서 빗겨 나가도록 함으로써 활선 작업 도구에 의한 절연 커버의 깨짐과 천공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활선 작업 도구와 절연 전선의 접촉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2커버부 중에서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선택하여 교체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의 설치 위치를 보인 충전부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에 적용된 제2커버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100)는, 절연 전선(1)이 전주에 연결되는 충전부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부를 절연하는 것으로, 먼저 상기 충전부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충전부는 절연 전선(1)과인류 클램프(3) 및 현수 애자(4)에 걸치는 부분을 말하며, 각각의 연결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절연 커버(100)는, 현수 애자(4)를 감싸 보호하는 제1커버부(110)와; 인류 클램프(3)에서부터 절연 전선(1)과 인류 클램프(3)의 이음부를 감싸 보호하는 제2커버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커버부(110,120)는 각각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2커버부(110,120)는 각각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제1-1,1-2,2-1,2-2커버편(111,112)(121,122), 제1-1,1-2,2-1,2-2커버편(111,112)(121,122)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2힌지(113)(123), 제1-1,1-2,2-1,2-2커버편(111,112)(121,122)의 자유 단부를 고정하는 제1,2체결구(114)(124)로 구성된다.
제1,2힌지(113)(123)는 각각 제1-1,1-2,2-1,2-2커버편(111,112)(121,122)의 절첩과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곳에 결합된다.
제1,2체결구(114,124)는 볼트와 너트, 체결핀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제1,2커버부(110,120)는 각각 서로 다른 부분을 감싸 보호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부분도 보호할 수 있도록, 제2커버부(120)의 단부에는 제1커버부(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제1커버부(110)보다 더 큰 직경의 덮음부(125)가 형성된다.
또한, 제1,2커버부(110,120)는 활선 작업기구가 부딪치는 경우 활선 작업기구가 절연 커버(100)를 비켜나가도록 제1,2커버부(110,120)는 다음과 같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커버부(110)측의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안내홈(115)이 구비된다.
제2커버부(120)는 제1커버부(110)측의 덮음부(125)에 회전안내홈(11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안내핀(126)이 포함된다.
회전안내핀(126)은 제1,2커버부(110,12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덮음부(125)에 나사 체결된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2커버부(120)의 둘레부에는 회전유도날개(127)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유도날개(127)는 제2커버부(120)의 둘레부에 돌출되어 활선 작업 도구가 제2커버부(120)의 둘레면에 닿기 전에 제2커버부(120)가 회전하도록 유도한다.
제1커버부(110)에도 제2커버부(120)의 회전유도날개(127)와 동일한 기능의 회전유도날개가 적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절연 전선(1)과 인류 클램프(3) 및 현수 애자(4)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충전부의 절연을 위하여 제1커버부(110)를 현수 애자(4)의 둘레부에 결합하고, 제2커버부(120)를 인류 클램프(3)와 절연 전선(1)의 이음부의 둘레부에 결합한다.
제1,2커버부(110,120)의 제1-1,1-2,2-1,2-2커버편(111,112)(121,122)을 벌리면 이들(111,112)(121,122)은 제1,2힌지(113,123)를 통해 벌어지며, 이들을 모은 후 제1,2체결구(114,124)를 체결하여 제1,2커버부(110,120)를 결합한다.
그리고, 제1,2커버부(110,120)를 서로 결합하기 위하여 회전안내핀(126)을 체결하여 회전안내핀(126)의 단부가 회전안내홈(115)에 삽입되도록 한다.
회전안내핀(126)을 통해 제1,2커버부(110,120)는 서로 이탈하지 않으며, 이때, 회전안내핀(126)은 제1,2커버부(110,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단부만 회전안내홈(115)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절연 커버(100)는 활선 작업이 이루어지는 구간을 절연 상태로 커버링한다.
작업자가 활선 작업을 하는 경우 활선 작업 도구가 절연 커버(100)에 닿더라도 절연 커버(100)의 재질의 특성상 작업자에게는 고압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인명사고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활선 작업 도구가 제2커버부(120)에 부딪칠 때 제2커버부(120)는 제1커버부(110)의 회전안내홈(115)에 삽입된 회전안내핀(126)의 안내를 받아 제자리 회전하면서 활선 작업 도구가 제2커버부(120)를 빗겨 나가도록 함으로써 활선 작업 도구에 의한 제2커버부(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커버부(110)도 제2커버부(120)와 마찬가지로 제자리 회전하면서 활선 작업 도구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회전유도날개(127)가 적용된 경우 활선 작업 도구가 제2커버부(120)의 둘레면에 닿기 전에 회전유도날개(127)에 닿게 되고 이로써, 회전유도날개(127)에 의해 제2커버부(120)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1,2커버부(110,120)가 파손된 경우 회전안내핀(126)을 풀어 제1,2커버부(110,120)를 프리(free, 제1,2커버부(110,120)가 분리될 수 있는 상태를 말함)상태로 하고, 제2커버부(120)를 제1커버부(110) 반대쪽으로 이격시킨 후 보수가 필요한 제1 또는 제2커버부(110,120)의 제1 또는 제2체결구(114,124)를 풀어 제1 또는 제2커버부(110,120)를 분리한다. 새로운 제1 또는 제2커버부(110,120)를 제위치에 설치한 후 회전안내핀(126)을 체결하여 제1,2커버부(110,120)를 연결함으로써 보수를 완료한다.
1 : 절연 전선, 3 : 인류 클램프
100 : 절연 커버, 110 : 제1커버부
111,112 : 제1-1,1-2커버편, 113 : 제1힌지
114 : 제1체결구, 115 : 회전안내홈
120 : 제2커버부, 121,122 : 제2-1,2-2커버편
123 : 제2힌지, 124 : 제2체결구
125 : 덮음부, 126 : 회전안내핀
127 : 회전유도날개,

Claims (2)

  1. 절연 전선(1), 일측에 상기 절연 전선이 연결되는 인류 클램프(3), 상기 인류 클램프의 타측에 결합되며 소켓아이와 쇄클을 통해 전주의 완철에 설치되는 현수 애자(4)가 결합되는 곳인 충전부(2)에 설치되는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에 있어서,
    상기 현수 애자를 감싸 보호하는 제1커버부(110)와;
    상기 인류 클램프에서부터 상기 절연 전선과 상기 인류 클램프의 이음부를 감싸 보호하는 제2커버부(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커버부는 각각 반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제1-1,1-2,2-1,2-2커버편(111,112,121,122), 상기 제1-1,1-2,2-1,2-2커버편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2힌지(113,123), 상기 제1-1,1-2,2-1,2-2커버편의 자유 단부를 고정하는 제1,2체결구(114,1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는 상기 제2커버부측의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안내홈(115)이 구비되고,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제1커버부측의 단부를 감싸는 덮음부(125) 및 상기 덮음부에 체결되며 단부가 상기 회전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안내핀(126)이 포함되어, 상기 제2커버부가 상기 회전안내핀과 회전안내홈을 통해 각각 회전하면서 활선 작업기구가 미끄러지면서 상기 충전부를 회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커버부의 둘레부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유도날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KR1020120045816A 2012-04-30 2012-04-30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KR101160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816A KR101160677B1 (ko) 2012-04-30 2012-04-30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816A KR101160677B1 (ko) 2012-04-30 2012-04-30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677B1 true KR101160677B1 (ko) 2012-06-28

Family

ID=4668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816A KR101160677B1 (ko) 2012-04-30 2012-04-30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677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76B1 (ko) 2014-06-13 2014-10-08 주식회사 정림이엔씨건축사사무소 가공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절연장치
KR101514371B1 (ko) * 2014-07-16 2015-04-22 김미희 감전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 전용 절연애자
KR101750711B1 (ko) * 2016-08-17 2017-06-27 이득광 폴리머애자 절연구조
CN107265281A (zh) * 2017-05-12 2017-10-20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秦皇岛供电公司 单片绝缘子吊装装置
KR102099782B1 (ko) * 2019-10-16 2020-04-10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
KR102194834B1 (ko) 2019-10-15 2020-12-23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 활선 작업용 방호 커버
KR102238425B1 (ko) * 2020-06-30 2021-04-09 (주)광진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절연커버
KR102298331B1 (ko) 2021-04-28 2021-09-07 주식회사 민정테크 가공배전을 위한 전선 간격 유지기구
KR102320722B1 (ko) 2021-04-29 2021-11-02 주식회사 민정테크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382972B1 (ko) * 2021-06-11 2022-04-08 주식회사 태양전설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점퍼선 지지기구
KR102382980B1 (ko) *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클램핑장치
KR102382973B1 (ko) * 2021-06-11 2022-04-08 주식회사 태양전설 피뢰기능을 갖춘 안전형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KR102382976B1 (ko) *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가공배전라인 안전지지를 위한 고정기구
KR102382974B1 (ko) * 2021-06-11 2022-04-08 주식회사 태양전설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라인 고정용 스트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735B1 (ko) 2003-11-29 2005-07-05 양희성 전력선 이선을 위한 직선주 완금 엘피애자 고정장치
KR100527240B1 (ko) 2004-04-02 2005-11-08 양희성 연선작업용 엘피애자 고정장치
KR101080971B1 (ko) 2011-08-12 2011-11-09 (주)청운엔지니어링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JP2012060702A (ja) 2010-09-06 2012-03-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工事用絶縁保護カ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735B1 (ko) 2003-11-29 2005-07-05 양희성 전력선 이선을 위한 직선주 완금 엘피애자 고정장치
KR100527240B1 (ko) 2004-04-02 2005-11-08 양희성 연선작업용 엘피애자 고정장치
JP2012060702A (ja) 2010-09-06 2012-03-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工事用絶縁保護カバー
KR101080971B1 (ko) 2011-08-12 2011-11-09 (주)청운엔지니어링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76B1 (ko) 2014-06-13 2014-10-08 주식회사 정림이엔씨건축사사무소 가공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절연장치
KR101514371B1 (ko) * 2014-07-16 2015-04-22 김미희 감전위험을 줄일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 전용 절연애자
KR101750711B1 (ko) * 2016-08-17 2017-06-27 이득광 폴리머애자 절연구조
CN107265281A (zh) * 2017-05-12 2017-10-20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秦皇岛供电公司 单片绝缘子吊装装置
KR102194834B1 (ko) 2019-10-15 2020-12-23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 활선 작업용 방호 커버
KR102099782B1 (ko) * 2019-10-16 2020-04-10 주식회사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배선 고정장치
KR102238425B1 (ko) * 2020-06-30 2021-04-09 (주)광진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절연커버
KR102298331B1 (ko) 2021-04-28 2021-09-07 주식회사 민정테크 가공배전을 위한 전선 간격 유지기구
KR102320722B1 (ko) 2021-04-29 2021-11-02 주식회사 민정테크 가공배전선로 보수를 위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382972B1 (ko) * 2021-06-11 2022-04-08 주식회사 태양전설 가공배전선로용 안전형 점퍼선 지지기구
KR102382973B1 (ko) * 2021-06-11 2022-04-08 주식회사 태양전설 피뢰기능을 갖춘 안전형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KR102382974B1 (ko) * 2021-06-11 2022-04-08 주식회사 태양전설 분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라인 고정용 스트랍장치
KR102382980B1 (ko) *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고정을 위한 클램핑장치
KR102382976B1 (ko) *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가공배전라인 안전지지를 위한 고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677B1 (ko)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KR101499652B1 (ko) 주상변압기 보호용 피뢰기와 컷아웃 스위치의 일체형 설치구조
CN103618158B (zh) 一种接地环
KR102020819B1 (ko) 개폐 체결구조를 갖는 절연커버
CN105356368A (zh) 绝缘护罩安装工具
CN103490340B (zh) 一种瓷横担绝缘挡板
KR101457154B1 (ko)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2110872B1 (ko)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KR200444024Y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20200063432A (ko) 직접활선용 자기융착 직선절연 슬리브커버 구조체
CN106410737B (zh) 柔性防爆接头盒及其生产方法
KR101188633B1 (ko) 피뢰기 일체형 컷 아웃 스위치
KR100989443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CN204391670U (zh) 一种电缆中间接头分段式防爆盒
KR20130020389A (ko) 배전선로용 활선 클램프
CN209200377U (zh) 一种耐张避雷器护罩
CN103441352B (zh) 电柜用接地线
CN207504428U (zh) 一种绝缘子防护套
CN204905471U (zh) 新型接地线挂钩
RU168416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6-35 кВ ОТ ЖИЗНЕДЕЯТЕЛЬНОСТИ ПТИЦ
CN111863323A (zh) 一种电缆
KR20090076378A (ko) 충전부 은폐형 계기접속 단자카바
CN205389011U (zh) 一种防脱落的变电设备接地装置
CN211907898U (zh) 一种新型分体式过孔导电滑环
CN108963489B (zh) 接地线及10千伏接地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